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 성인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치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신황식(Hwang Sik Shin),김진리(Jin Ri Kim),서주영(Ju Young Seo),신경숙(Kyung Suk Shin),유병욱(Byung Wook Yoo),조용진(Yong Jin Cho),오정은(Jung Eun Oh),홍성호(Sung Ho Hong),조주연(Choo Yo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5 No.1

        연구배경: 이번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 수검자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2월부터 2011년 2월 까지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했던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가 정상인 20세 이상 성인 남녀 5,52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측정하였고 문진을 통해 갑상선 질환의 기왕력을 조사하였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를 백분위에 의거하여 4군으로 분류한 후 각 집단에 대한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혈청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는 혈압, 공복 혈당과 관련이 있었다(P<0.05).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은 전체 21.6% (1194명)이었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에 따라 23.1%, 21.5%, 21.0%, 20.8%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는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보정 전후에서 모두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 성인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의 수준과 대사증후군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은 없었다. Background: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s elevated by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yroid hormone. Thus,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relation of thyroid hormone and th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and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s: Subjects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were 5,526 men and women aged 20 years and more,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ne university hospital in Chungcheongnam-do for general health check-up from February 2010 to February 2011. Study people with normal TSH level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serum TSH level quartiles. Age, body mass index (BMI), blood pressure (BP),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were compared with serum TSH concentration. The contribution of parameter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subjects with TSH level was assessed. Results: Serum TSH level related with diastolic BP, systolic BP, and fasting glucose level (P<0.05). But the other component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SH was not rel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serum TSH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euthyroid subjects.

      • KCI등재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 Bimala Sharma ),하윤 ( Ha Yun Kim ),김진리 ( Jin Ri Kim ),남은우 ( Eun Woo Nam )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3

        연구목적 : 네팔과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도 자살문제는 상당한 국가적 재난과제이다. 이 연구는 네팔의 자살 시도 현황과 자살 방법 및 이유 등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및 자살 예방 정책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게재된 논문 및 보고서를 내용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네팔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8.6~24.9명으로 세계 표준화 자살률인 10만 명당 11.4명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그러나 네팔은 자살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국가 데이터가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자살 시도 및 자살 사례가 과소보고 되는 주요 이유는 자살 사례의 오분류, 법적 및 보건부문 간의 협력 부족, 낙인, 인식 부족, 법적 조항 및 미흡한 사망 등록 시스템 등 때문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자살 사례에 대한 부검 보고서 또는 고의적인 자해에 대한 기관 보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을 매달거나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은 자살의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살충제 약물 중독이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청소년, 특히 20세에서 35세 사이의 자살 사망 및 자살 시도 사례가 더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정신 건강 정책은 전 국민을 위한 기본적인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보장, 정신 건강에 대한 필요한 인력 개발, 정신 건강 인식 제고를 위해 1997년에 채택되었다. 그러나 그 시행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정신건강법은 2006년에 기안 되었으나 아직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결론 : 네팔에서의 자살 사망 및 자살 시도 등의 문제는 많았지만 이에 비해 자살 예방에 대한 관심과 우선순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팔은 정신건강 정책과 정신건강 서비스의 일부 조항은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자살 예방 대책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Objective : Suicide is a disaster of unknown magnitude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Nepal. This review aimed to explore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policies in Nepal. Methods : Published articles and other reports were review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 The estimated suicide rate in Nepal is between 8.6 to 24.9 per 100,000 populations, which is more than double that of the global age-standardized suicide rate of 11.4 per 100,000. However, there is a severe shortage of reliable, representative, and nationwide data about the burden of suicide in Nepal. The major reasons for the underreporting of suicidal attempt and cases include the misclassification of cases,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the legal and health sectors, stigma, a lack of awareness, legal provisions, and poor death registration systems. Most of the studies were institution-based using either autopsy reports of suicide cases or cases of deliberate self-harm. Hanging and poisoning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suicides; and organophosphorus poisoning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poisoning.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in women and young people, especially among those between 20 and 35 years of age. A mental health policy was adopted in 1997 with the objective to ensure accessibility of basic mental health services for all; to develop required manpower; and to improve awareness about mental health. However, its implementation has not been effective. The Mental Health Act was drafted in 2006, but its endorsement by the government is also pending. Conclusions : The suicide burden in Nepal seems alarming but receives far less attention and priority. Although there is a mental health policy and some provis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no specific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re developed.

      • KCI등재

        우리나라와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건강결정요인 비교분석

        박명배 ( Myung-bae Park ),문지영 ( Ji Young Moon ),김진리 ( Jin Ri Kim ),남은우 ( Eun Woo Nam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8 보건행정학회지 Vol.28 No.2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utiliz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ata to identify macroscopic determinants of health at national level and to utilize it in health policy development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Korea. Methods: The potential years of life lost (PYLL)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19 indicators were selected as health determinants to be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AS ver. 9.4 packag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and model used in technical statistics concerning PYLL by countries, multi-linearity tes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OECD economic studies were modified and used. Results: From 1994 to 2012, the average PYLL for OECD countries was 4,262.9 years, the highest in Estonia and the lowest in Icel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PYLL were four variables: gross domestic product, nitric oxide, tobacco consumption, and number of doctors. The health determinants that had more influence on the PYLL of Korean people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were tobacco consumption, calorie consumption, fat intake and total health expenditure. Conclus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unnecessary deaths, we must continue to strengthen our smoking policy and nutrition policies such as calorie and fat intak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crease of total health expenditu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health asp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