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김진경,조형진,조강현,Kim, Jinkyoung,Cho, Hyungjin,Cho, Kang-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3

        도로가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고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격리된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된 야생동물 생태통로에서 보전 가치와 생태적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응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태통로에서 소음 교란도, 식생 구조 및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인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는 도로 차량으로부터의 소음 교란이 적절하게 차단되지 않고 있었다. 생태통로 식생에서는 단풍잎돼지풀, 개망초, 칡, 찔레꽃 등과 같은 천이초기종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식생 천이를 촉진하고 동물 서식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식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통로에서 족적과 폐쇄회로 티비로 야생동물을 조사한 결과, 등줄쥐, 너구리, 두더지, 청솔모 등의 제한된 포유류가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징매이고개 생태통로는 현재 소음 간섭과 교란 식생의 번성으로 생물 이동통로로서의 적적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로서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물 서식과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 Roads are widely accepted to be as a major cause of habitat fragmentation. The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acceptable alternatives among the solutions to provide connectivity between patches isolated by roads. We investigated noise disturbance, vegetation structure and wildlife crossing and habitation at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located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to monitor and evaluate its conservation value and ecological performance and to propose measures for their adaptive management. From the result of noise measurement, the noise disturbance from the road traffic was not properly blocked out at the wildlife crossing structure. The survey results of vegetation structure showed that the early-successional plant species such as Ambrosia trifida, Erigeron annuus, Pueraria lobata, Rosa multiflora invaded widely on the crossing structure. An efficient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facilitation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animal habitat. The crossing structure was used by limited mammal species: Apodemus agrarius, Nyctereutes procyonoides, Mogera wogura and Sciurus vulgaris coreae as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using footprints and closed-circuit television. In conclusion, The Jingmaei-Pass wildlife crossing structure is unable to function properly as a biological corridor because of the interference of noise and flourishing disturbed vegetation. Therefore, proper alternatives are required for improving animal habitats and mobile environments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 of a wildlife corridor.

      • KCI등재
      • KCI등재

        Same Voices or Not?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romote to Girls’ Empowerment in Uganda

        홍승연(Seung Yeun Hong),김진경(Jinkyoung Kim),강민아(Minah Kang),이혜미(Hyemi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굿네이버스의 여아역량강화 사업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여아의 역량강화 과정과 성 역할 변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를 여아, 남아, 가족,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여아 역량강화에서 사회생태학적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는 개인 수준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지역사회 수준의 행위자 를 포함한 다각적 차원에서 여아의 역량강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요구되는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접근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여아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한 여아 20명과 부모, 교사 등 35명, 총 55명을 대상으로 총 9회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Discussion)을 실시하였으며 여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이해를 위해 3개의 가정과 1개 학교를 대상으로 비참여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아들의 경우, 개인적 수준에서 역량강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여아의 주변인 집단에서는 여아의 변화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거나 전통적 규범에 매몰되어 변화에 수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여아와 주변인들 간에 긴장과 갈등이 수반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여아역량강화와 같은 심도 있는 사회문화적 변화가 요구되는 개발협력사업 수행 시 여아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서로 다른 변화의 속도, 변화의 범위와 깊이 그리고 저항에 대한 개별화된 고려가 요구된다. Purpose: Using a socio-ecological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how girls, boys, families, and other community members accept social change regarding gender roles and the empowerment of girls in Uganda.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a girls’ empowerment program, which was implemented by Good Neighbors International. Originality: Despite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o-ecological approach in girls’ empowerment in previous studies, little is known about how each socio- ecological factor responds to empowerment empirical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girl’s empowerment concomitant process at a wider level by including actors at the interpersonal, community, and individual levels. Methodology: FGDs and observations within households and schools were conducted. In all, nine FGD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55 participants, including 20 girls and 35 adults via theoretical sampling. A thematic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 The result revealed that recognition of the problem and adults’ resistance to change posed challenges. Actors at the intrapersonal and community levels paid little attention to girls’ issues and continued to interpret gender roles based on traditional norms. Tension and conflict existed between the girls engaged in the empowerment process and other stakeholder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change concerning girls’ empowerment and gender inequality should consider the haste, breadth, and depth of the issues, as well as adults’ resistance to change.

      • KCI등재
      • 흉노의 와전 제작 기술과 특징 : 몽골 고아 도브 흉노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김진경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8 고고학지 Vol.24 No.-

        The sites of Tereljyn durvuljin, Gua dov, Burkhyn durvuljin, Khureet dov, which are located along the Kherlen River, have yielded roof tiles and convex roof-end tiles. As a results they have been the focus of interest, being regarded as walled city sites containing evidence of the sedentary lifestyle of the Xiongnu ruling class. In 2013-2016, National Museum of Korea, Institute of History and Archaeology of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and National Museum of Mongolia jointly excavated the site of Gua dov, where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16 different types of roof-end tiles, numerous roof tiles, and wall tiles, were discovered. This paper introduces the roof tiles from the site of Gua dov and examines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Xiongnu roof tiles. The convex roof-end tiles from Gua dov were decorated using the cloud motif, which had been popular in Han China. The Xiongnu cloud motifs, however, are unlike the original Chinese examples and have been transformed in various ways. The presence of a square profile in the center, with a semi-globular indentation located within, is a distinctively Xiongnu feature; similarly shaped features, formed by the axle of the potter’s wheel, are also observed at the base of ceramic vessels. The roof tiles were not manufactured using a mold; they were made using the coiling technique and their surfaces were paddled, resulting in a pattern consisting of parallel lines. There are also numerous instances in which waves and horizontal lines, which were used to decorate Xiongnu pottery, have been observed on Xiongnu roof tiles. Convex roof-end tiles were made by cutting a cylindrical roof tile into half, along the vertical axis, but leaving a section of the circular base intact. This presents a contrast to contemporaneous Chinese roof tiles, which feature the traces of cloth along the inner surface that had been produced following the use of a roof tile mold; the surfaces of the Chinese roof tiles were decorated with checkered and cord-impressed patterns. The technique of fusing parts of convex roof-end tiles, which was used in Han Dynasty, has not been observed in examples from Gua dov.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roof tiles from Gua dov had been influenced by Chinese technologies but developed into a distinctively Xiongnu tradition, with Xiongnu characteristics. This indicates that the roof tiles from Xiongnu sites had been manufactured by Xiongnu crafts people. In relation to this, the roof tile kiln discovered at the recently excavated site of Khustyn bulag is of great interest. It is unlikely that the convex roof-end tiles from Gua dov were all used at the same time, as various types have been identified. This fact requires additional research to be undertaken in the future on the shrinkage and repair of roof tiles, the occupational span of the site, and the nature of the crafts people and the location of their workshops. This paper marks a first step in the study of Xiongnu roof tiles; developments in this field of research require additional investigations to be carried out on walled city sites and production sites in the vicinity. 헤를렌강을 따라 분포하는 테렐진 두르불진, 고아 도브, 부르힌 두르불진, 후레트 도브 등의 흉노시대 유적은 평기와와 수막새가 출토되어 유목국가에서 흉노 지배층의 정주생활을 보여주는 도성 유적으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2013~2016년에 국립중앙박물관과 몽골 과학아카데미 역사학고고학연구소, 몽골 국립박물관이 공동으로 발굴조사한 고아 도브 유적에서는 16종류의 수막새와 대량의 평기와, 벽전 등 건축과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었다. 본고에서는 고아 도브 유적에서 출토된 와전을 소개하고, 흉노의 와전 제작 기술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고아 도브 유적 출토 수막새는 중국 한대에 유행하는 운문을 모티프로 삼았지만, 동일한 문양은 없으며 흉노에서만 보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었다. 특히 반구형의 중방 바깥으로 방곽을 추가한 것은 토기 바닥에 있는 방형의 축흔과 함께 흉노만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평기와는 와통을 사용하지 않고 테쌓기를 한 후 평행선문을 타날하였으며, 파상문과 횡침선 등 토기와 동일한 문양이 시문된 예가 많다. 수막새에는 원통의 수키와를 접합한 후 절반을 절재하여 하단부에 원통의 일부가 남아 있다. 동일시기 중국에서 와통을 사용하여 내면에 포목흔이 남고, 외면에 승석문과 격자문을 주로 타날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한대에 완성된 수키와를 접합하는 방식은 고아 도브 유적에서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고아 도브 유적에서 출토된 와전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와전 제작 기술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되지만, 흉노만의 특징이 반영되어 발전하였다. 이는 흉노 자체적으로 와전을 제작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최근 발굴조사된 호스틴 볼락 유적의 기와 가마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아 도브 유적에서 출토된 수막새는 동일시기에 사용되었다고 볼 수 없는 다양한 형식이 공존하고 있다. 이는 보수와 수축 방식, 유적의 점유 기간, 제작 집단과 생산지 등 여러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흉노 와전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이며, 고아 도브 유적 전반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주변 도성 유적과 생산 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