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현대미술의 역사재현에 대한 연구 : 798예술구 후속세대 리송송(李松松)의 역사화를 중심으로

        강민아(Minah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이 연구에서는 현대 중국예술을 상징하는 베이징의 798예술구의 후속세대인 리송송의 역사화 작업에 주목하여 그의 독창적인 역사재현 방식을 탐구하였다. 문화혁명 이후에 중국 예술의 저변이 확대되고 동시에 예술시장이 국제화되었는데, 2010년대부터 중국의 부상이 본격적으로 두드러지고 중국 예술시장의 상업화가 급속화되면서 798예술구는 또다시 격변을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후속세대의 대표주자인 리송송은 ‘중국적 모티프’ 중에서도 중국 현대사 장면을 작품 소재로 주목해 역사의 한 장면에 추상성과 내러티브를 동시에 담아낸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본고는 관조와 유물론적 실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가 작품과 현실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계속해서 중국 현대사의 중대한 장면들을 소재로 주목하는 동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는 유화 그리드 작업방식과 여러 기법적 장치를 통해 관람자가 오래토록 작품 언저리를 배회하도록 이끈다. 관조의 경험은 탈정치적으로 보이기도 하나 역사적 장면에 오랜 시간 시선을 머문다는 점에서 가장 지속 가능한 정치적 실천이다. 그리고 붓질을 하나하나 덧칠하며 반복하는 노동의 과정은 역사적 시공간으로 진입하는 고요하면서도 집중적인 여정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contemplation and material practice,” an ingenious way of representing history, by focusing on Li Songsong’s works. Li Songsong’s works constitute the successor generation of Beijing’s 798 Art Zone, symbolizing contemporary Chinese art. Post the cultural revolution, Chinese art expanded as well as became internationalized in the art market at the same time. Since 2010, the rise of China in earnest and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the Chinese art market have led to further upheaval in the 798 Art Zone. LiSongsong’ s works, representative of the successor generation, are characteristic in that they capture the abstraction and narrative of a scene of history at the same time by paying attention to the scenes of modern Chinese history as the subject of “Chinese motifs.” By focusing on the keywords of contemplation and materialistic practice, this paper attempts to confirm Li Songsong’s driving force, which helps him in continuing to focus on the important scenes of Chinese modern history,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between his work and reality. In particular, he leads viewers to wander around the work for a long time via the application of oil painting grid work method. In addition, the oil painting brushstrokes, wherein the traces of his labor remain intact, enable viewers to reconstruct a scene of history on their own. Li Songsong’s work can be said to be an aesthetic and political practice in the sense that it allows viewers to enter historical time and space.

      • KCI등재

        내전 후 평화의 달성을 위한 정부의 질(quality of government) : 질적비교연구방법론(QCA)의 적용

        한승헌(Seungheon Han),강민아(Minah Kang)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articular configurations of conditions successfully resulted in peace building for 22 post-conflict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65-1997.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whether democratic accountability, GDP per capita, intervention of UN PKO, and quality of government are important condit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successful peace building two to five years after the civil war, for post-conflict countries. Using the crisp-set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mbination of these four conditions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peace building. The results suggests that a high quality government with the absence of UN PKO’s intervention two years after the war, and a high quality of government in combination with both high level of democratic accountability and high level of GDP per capita five years after the war, both attribute to the successful peace building. This paper highlights not only the importance of a good quality government but its configuration to the other three conditions that allows for successful peace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영향요인: 취약계층 행동모델 적용

        문정화 ( Moon Junghwa ),강민아 ( Kang Mi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취약계층인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 현황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Gelberg 등(2000)의 취약계층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독거노인은 생활전반에 걸쳐 취약한 상태이며, 이들 중 25.7%가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인요인 중 여성, 전기노인, 취업상태, 낮은 교육수준, 비자발적 독거가 미충족 의료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능요인 중 낮은 가구소득, 의료기관까지 짧은 소요시간, 낮은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적은 지인 수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필요요인 중에서는 많은 만성질환 개수, 기능제한, 우울증, 나쁜 영양상태가 미충족 의료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취약한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필요성과 이들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충분한 소득지원, 부족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보완, 독거노인의 취약특성을 중심으로 한 건강관리 지원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edicting factors of the unmet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Korea. For this study, we analysed data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vulnerable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course. 25.7% of the respondents were shown to have unmet medical needs. The factors that predicted unmet medical needs were age, employment status, low education level, involuntary solitary living, low household income, distance to medical centers, low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lack of close friends, number of chronic diseases, limitations in daily functions, depression, and nutritional status. These results suggest urgent needs for policies to provide adequate income security, social support mechanisms, and access to necessary health care services to fill the needs of vulnerable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경상남도 구급대원의 코로나19에 대한 재난대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채여주 ( Yeojoo Chae ),강민아 ( Minah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관한 재난대비 인식도, 감염노출 예방행위,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재난대비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구급대원 직무교육 참석자 중 1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대비 역량은 재난대비 인식도, 감염노출 예방행위,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대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난대비 인식도, 재난관련 교육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재난대비 역량에 대한 설명력은 26.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급대원의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 관련 재난대비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구급대원 직무교육 시 재난대응 관련 수업의 체계화된 커리큘럼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VID-19 disaster preparation of paramedics in Gyeongsangnam-do. This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from 138 paramedics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for paramedics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is related to disaster preparedness awareness, prevention practice against infection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actors affecting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disaster preparedness awareness and disaster-related education experience. It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23.6%.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paramedics’s preparation for COVID-19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of classes for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capabilities.

      • KCI등재

        성별영향평가 제도 수행조건과 공무원의 수행전략

        김둘순(Kim Dool-Soon),강민아(Kang Kim Minah)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공무원이 직접 성별영향평가 주체가 되어 수행한 2005년 기관별 성별영향평가 사업 참여 공무원을 대상으로 평가 수행조건과 공무원의 수행전략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무원들은 조직 환경과 활용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 평가자 역량 등이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서 수행전략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적극적 참여전략, 소극적 참여전략, 외부 연구기관 넘기기, 회피하기 전략 등이다. 이 중에서 총괄부서 지정이 명확하고, 고위관리직의 지원이 있으며, 평가 참여자의 인지 및 태도가 긍정적일 수록 적극적 참여전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것은 여성부의 평가결과 우수사례(기관)로 선정되는 효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공무원들이 수행전략을 선택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영향요인은 고위관리직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평가담당 공무원의 성별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o perform gender impact assessment by the public officials. In Korea, on the local and national level Gender impact assessment(hereafter, GIA) was first time conducted in 2005.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ials, who had conducted a gender impact assessment on his/her policy objectives showed various attitudes towards GIA in practice. Their attitudes were categorized into 4 strategic types - active strategic type, passive strategic type, outsourcing strategic type, avoiding strategic type. The public officials adopted the different typ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human/material resource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capability of assessor. In case of the more clear responsible parties for GIA, the assessor with more positive attitude/recognition and more support from high level officials, there was a tendency to adopt the active strategy for GIA. Therefore they were rewarded for the excellent practic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GEF). It was also found that GIA officials were the concerns and support from high level officials and the positive and responsible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as an assessor.

      • KCI등재

        노인의 종사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 건강수준의 조절효과

        문정화 ( Moon Junghwa ),강민아 ( Kang Mina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종사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소득수준과 건강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종사상 지위, 소득수준, 건강수준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자영업/고용주와 무급가족종사자는 비취업자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용직근로자는 오히려 비취업자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직근로자, 임시직근로자 역시 비취업자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소득과 건강은 삶의 만족도의 결정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은 자영업/고용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건강은 자영업/고용주, 일용직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무분별한 노인 일자리의 양적 확대보다 종사상 지위의 특성과 노인의 소득 · 경제수준을 고려한 양질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노인 소득보장, 건강보장 정책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statu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and health. For the study, we used data from the 2014 `National Data on the Elderly` research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We us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employed/employers and unpaid family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 non-employed when we controlled for demographic factors such as employment status, income, and health variables. On the contrary, the daily employed worker displaye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unemployed. Both regular and casual workers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non-workers, although the relation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ome and health were found to be strong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income also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mployed/employer and life satisfaction. Health was shown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mployed/ employer, daily employed worker, unpaid family worker and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needs for policy changes to create stable and high-quality jobs which consider quality of employment status, income and health of the elderly,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of jobs to improve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o this, it seems that better policies like the income guarantee and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the elderly are needed in parallel.

      • KCI등재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precariousness)과 행복

        한승헌(Han, Seungheon),임다혜(Yim, Dahye),강민아(Kang, Minah)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본 연구는 Rodgers(1989)가 제안한 불안정성의 세 가지 차원인 자원의 결핍, 불확실성, 통제권한의 부재를 이론적 분석 틀로 하여 한국 청년들이 경험하는 불안정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0년에 실시된 제8차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세대인 만 19세부터 만 34세의 총 41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가구 소득수준, 사회적 지지라는 세 가지 자원의 결핍이 삶의 불확실성과 통제권한의 부재라는 불안정성의 요소들을 통해 행복에 미치는 경로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년세대를 저연령집단(만 19세-26세)과 고연령 집단(만 27세-34세)으로 구분하여 연령집단 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원의 결핍 및 불확실성과 통제권한의 부재 모두 청년들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중에서 통제권한의 부재가 청년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소득수준, 사회적 지지 모두 통제권한의 부재를 통해서만 행복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 결과, 저연령 집단과 비교했을 때 고연령 집단에서만 소득수준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고연령 집단의 통제권한의 부재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저연령 집단보다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제언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precariousness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ubjective well-being by adopting the three forms of precariousness suggested by Rodgers(1989) such as lack of resource,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as its analytical framework.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the path model of self-rated health, income level and social support(three forms of resource)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Study population include young adults aged between 19 to 34 with a sample size of 415 using data of the 8th wave of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10. Study population is divided into lower-age group (aged between 19-26) and upper-age group (aged between 27-34)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b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Study results show that three forms of resources,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had 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outh Korean young adults and disempower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among the factors. In addition, self-rated health and income level had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both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while soci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only through disempowerment. Results from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ndicate that among the two age groups, income level on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upper-age group. In addition, disempowerment had greater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upper-age group than the lower-age group.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paper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nd discussion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정신질환자의 민간보험 가입차별 문제에 대한 정책과정: 비판적 담론분석의 적용

        주민지 ( Minji Ju ),김희언 ( Heeun Kim ),강민아 ( Minah K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국내 정신질환자들이 경험하는 민간보험 가입 차별이 정책 문제로 인식된 이후부터 이에 대한 정책이 도입되기까지 지난 10여 년의 정책 논의 과정에 대한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정신질환 이력 또는 정신과 진료 기록만으로 보험 가입이 거절되는 상황은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차별 문제로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정책 행위자들이 정신질환자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과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각자의 언어로 표현한 담론의 내용과 변화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텍스트, 담론적 실천, 사회적 실천의 세 가지 차원에서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가치 체계의 변화 과정에 대해 면밀한 고찰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세 가지 시기별 담론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의 꾸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책 이해관계자들 간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포함한 관련 개념들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 결과 상법과 정신보건법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정신질환에 대한 담론은 경증이며 회복이 가능한 `국민들`의 문제와 상대적으로 중증인 `장애인`의 문제로 분절화 되어버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랜 시간에 걸쳐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 대안들이 모색되었다 해도 정책대상집단으로서의 정신질환자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합의가 되어 있어야 제도적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ducts a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the policy process of solving the discrimination against mentally-ill patients` purchasing private insurances, which have been discussed for over a decade. It has been constantly criticized a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that the refusal to insure or provide coverage to the mentally-ill people with pre-existing conditions or even those who have any record of being tre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discourses which contain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 on mentally-ill as a policy target group, and analyzes the contents and changes based o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o figure out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et of values among policy stakeholder, the three dimensional analytical approaches of CDA - text analysis, discourse practice analysis, and sociocultural practice analysis - were used. Analysis of the flow of discourse of three periods respectively found that the policy stakeholders have not met a state of agreement, even on the key concepts including mental illness and mental disorder. Inevitably, the discourses on “mentally-ill” have been segmented into two tracks: the citizens with mild and recoverable symptoms and the citizens with severe mental disability. Regardless of the diverse policy alternatives raised for several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an agreement on the concepts and ranges of mentally-ill people as policy target group will be able to minimize the institutional vacu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