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수치해석을 활용한 수소설비 폭발 방호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김지유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구온난화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면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체 에너지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기존 내연기관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무탄소 배출 에너지인 수소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는 연소범위가 넓고, 최소 점화에너지가 작아 다른 연료보다 위험하므로 수소 취급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를 취급하는 설비는 누출된 가스에 의하여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해저감설비인 방호벽을 설치하도록 법규와 관련 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기준에서는 가스저장량이 300 kg 이상(압축가스는 1 m³ = 5kg)인 용기 보관실 벽을 방호벽으로 구축하고, 300 kg 미만인 용기 보관실에 대한 별도의 피해 저감 설비기준이 규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수소충전설비, 수소생산설비 등 가스 저장량이 300 kg(60 m³) 이상인 수소 저장 및 사용하는 곳에서는 방호벽을 반드시 설치하고 있으며, 가스 저장량이 300 kg(60 m³) 미만인 제조 및 생산 사업장, 기업체 연구소 또는 대학교 실험실 등에서 수소를 저장 및 사용하는 경우 고압가스 실린더 캐비닛에 설치함으로써 수소 누출로 인한 피해를 저감 및 방지하고 있다. 가스 실린더 캐비닛은 외부로부터의 충격, 흡기 및 배기 시스템 등의 결함 발생 시 폭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폭발이 발생할 때 외부로 폭발파 등이 전파되어 이차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통계에 따르면 고압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연간검사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인식은 단순히 가스용기를 저장 및 사용하기 위한 보관함으로 인지되어 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폭발 방호성능 등 구조 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 관련 설비의 용기 보관실 내 가스폭발에 따른 방호벽과 고압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방호성능 평가를 위해 방호벽과 실린더 캐비닛에 대한 국내외 기준을 검토하고, TNT 당량법을 통해 수소폭발 압력전파 프로파일을 산출한 후, 법적 기준 철근콘크리트 방호벽과 실제 사용 중인 가스 실린더 캐비닛에 대한 3D 모델을 생성하여 ANSYS AUTODYN을 이용한 폭발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캐비닛 모델과 방호벽 모델의 폭발 방호성능을 평가하였다. 폭발 방호성능 평가 결과, 가스 실린더 캐비닛 모서리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캐비닛 내부 수소 누출로 인한 폭발 발생 시 폭발 압력을 견디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철근콘크리트 방호벽은 응력분포 측면에서는 최대발생응력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항복강도를 초과하지 않으나 방호벽 하부콘크리트의 국부적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급작스러운 동적 하중에 의해 발생한 국부적 손상으로 판단되며, 국내 방호구조의 성능평가 기준인 지점회전각을 기준으로 방호벽의 구조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지점회전각은 약 0.877°로 방호단계 1 수준으로 나타나 법적 기준 철근콘크리트 방호벽은 수소폭발에 대한 방호성능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 우리나라와 캐나다의 과학관 전시물에 나타나는 과학의 본성 및 전시물 특징

        김지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형식적인 교육의 중요성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 교육에서 그와 관련한 교육환경으로 식물원, 박물관, 미술관등과 같은 학습의 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실 밖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학습 형태로서의 견학은 학습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학습의 장은 중요한 교육적 자원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국립중앙 과학관과 캐나다 밴쿠버의 Science World와 H.R MacMillan Space Centre를 선정하여, 우리나라와 캐나다의 과학관에서 나타나는 전시물의 특징과 과학의 본성을 비교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틀을 세우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분석틀을 확보하여 타당성을 획득하였다. 이후, 선정한 세 곳의 과학관을 방문하여, 확보한 분석틀을 재인용하여 각 과학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전시물의 특징을 활동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전시물과 그 패널에서 나타나고 있는 과학의 본성을 살펴보았다. 세 곳의 과학관에서 모두 다섯 가지 관점의 과학의 본성이 전부 나타나고 있었으나, 캐나다와 다르게 우리나라의 과학관은 증거기반 과학 본성과 이론기반 과학본성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활동 유형에 따른 전시물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과학관에는 고정전시와 같은 수동적인 형태의 전시물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캐나다에서는 전시물 조정이나 관람자 신체 사용과 같은 능동적인 형태의 전시물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한 곳과 캐나다의 두 곳의 과학관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각 나라의 전반적인 과학관 특징으로 파악하는 것은 적합하지가 않다. 그러나 과학관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 중 하나의 길잡이가 됨으로써, 보다 새롭고 더욱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지속 될 수 있다고 본다.

      •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체계 변화 연구

        김지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제 2차 세계 대전 이래 40여 년 동안 공적개발원조(ODA)의 수원국이었다가, 2009년 11월, OECD의 선진공여국 모임(DAC)에 24번째로 가입하면서 ODA 공여국으로 변모하였다. 이로서 한국은, 원조 수원국에서 출발하여 원조 공여국이 된 국제사회 원조정책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때문에, ODA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ODA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아직도 초보적인 상황이다. 한국의 ODA 현황에 대한 연구나 역사적 변천사, 한국 ODA의 문제점 등을 다루는 정보제공형 혹은 정책제언형 연구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그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제는 한국 ODA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한국 ODA의 일반적 기술이나 역사적 전개에 대한 기술에서 벗어나 한국 ODA의 특정한 측면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통해 한국 ODA 자체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ODA 추진체계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현재 추진체계의 특성은 무엇이며 추진체계의 변화를 어떤 요인에 기인하는가 그리고 현재의 추진체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단순히 추진체계의 변화를 기술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추진체계 변화에 대한 요인의 분석을 통해 한국ODA 추진 체계의 변화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했으며, 연구방법은 기본적으로 한국 ODA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문헌연구를 통해서 이제까지의 추진체계의 변화를 정리하는 문헌연구가 주된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ODA의 추진체계 변화를 정리하고 또 최근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문헌연구는 기본적으로 ODA에 관한 각종 선행연구들, 그리고 외국의 ODA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또 최근 한국 ODA의 추세 등에 대한 각종 단행본 및 보고서 등을 대상으로 해서 이루어졌다. 한국의 ODA 추진체계는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를 별개의 기관이 담당하는 이원적 지원체계로 출발하여 다양한 부처들이 개별적으로 ODA를 추진하는 분산화 단계로 변화한 후, ODA 정책의 체계화를 위해 이원적 지원체계를 조정할 수 있는 기관을 만드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2006년 국제개발협력위원회가 만들어져 ODA에 관한 전반적인 정책수립 및 기본계획 등을 심의하고 중장기 국제개발협력 추진전략 수립평가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2009년 현재까지도 이러한 조정기능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ODA 추진체계의 또 하나의 변화는 1999년 2월, 26개의 NGO로 구성된 협의체인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KCOC: Korea NGO Council for Overseas Cooperation)가 창립되면서, 무상원조에 있어 정부와 KOICA 및 개발 NGO간의 협력관계를 모색하게 된 것이다. 한국의 ODA 추진체계가 이원화 체계와 분산화라는 큰 흐름에서 변화한 것은 아니지만 ODA에서 민간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것은 중요한 변화중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원체제 구축에 있어 다양한 협력주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공공. 민간 파트너십(PPP)을 구축하는 국제적 추세에 맞추어 민관파트너십 사업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진체계의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이러한 추진체계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부처 간의 영역다툼과 같은 관료정치적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의 ODA 추진체계의 변화는 주로 ODA 환경의 변화와 그로 인한 ODA 정책의 변화 필요성 그리고 변화된 환경 속에서 ODA 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효율성 강화의 필요성이 추진체계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역시 부처별로 분산되어있던 ODA 관할권을 JICA로 단일화한 것도 변화된 ODA 환경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한국의 경우 변화된 국제정치 환경과 국제경제의 변화 그로 인한 ODA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추진체계의 변화를 꾀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를 분리하는 이원적 ODA 추진체계에는 어떠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ODA가 다양한 부처에 의해 시행되는 분산화는 국가 차원의 의도된 변화가 아니라 각 부처들의 업무영역을 늘리려는 부처 차원의 이익추구에 의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옳다. 국가 차원의 대응으로 볼 수 있는 것은 KOICA 산하에 민간협력과를 설치하여 민간단체도 ODA지원을 시작토록 한 것과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설치하여 ODA 정책의 조정과 통합 기능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ODA 관련 민간협력의 비중이 너무 미미하고,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ODA 추진체계 내 조정 및 통합 기능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실제 별다른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2006년 ODA 추진체계의 개혁 논의에서 이원화된 추진체계를 하나로 통합하자는 외교부의 안은 거부되었고 기획재정부가 제안한 이원화된 추진체계를 그대로 두고 조정할 수 있는 기관을 만들자는 안이 받아들여지게 되는 것 자체가 이원화된 추진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에 대한 폐지관련 논의가 나오는 것도 실질적으로 이원화된 추진체계 하에서는 조정기능을 제대로 발휘될 수 없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창설은 ODA 추진체계가 통합되는 변화라기 보다는 또 다른 ODA관련 기구를 새로 만들어냄으로서 이원화된 체계를 오히려 강화하여 각각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요약하면 한국의 ODA 추진체계의 변화 (좀 더 정확히는 변화가 없는 것은)는 부처 간의 영역다툼과 같은 부처이기주의 혹은 관료정치의 산물이다. 이원화된 추진체계의 등장 역시 유상원조를 담당했던 재경부가 유상원조 부분을 계속 관할하기를 고집했기 때문이고 현재 제한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통해 이원화된 추진체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추진체계 개혁이 이루어진 것도 기획재정부의 추진체계 통합 반대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한국의 ODA 추진체계 변화를 예상해 본다면 한국의 추진체계는 다른 선진국들과는 달리 ODA 환경이나 추세가 바뀌더라도 계속적으로 이원화된 추진체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ODA 기본법이나 ODA 담당 기구에 대한 법안에 있어서도 단일화된 추진체계에 대한 안은 외교부만이 제안하고 있고 다른 안들은 재경부의 주도 혹은 이원화된 추진체계를 유지하는 안들이다. 한국의 행정부에서 경제부처의 영향력에 대한 논의는 또 다른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지만 ODA 업무를 외교부 중심으로 통합하는 변화는 상당 기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Korea used to be the recipient country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for 40 years since the World War II, finally on Nov. 2009, they transformed into ODA's donor country, as being the 24th nation to join the DAC. It means Korea stands as a successful example in the global aiding policy, to be the first nation to transform into donor country from as being the recipient. For that reason, interests for ODA is getting increased, but still the detailed research for Korea's ODA is relatively unknown. It corresponds to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suggestive or informational researches on the policy such as Korea's historical transition and the problems of Korea's ODA. These researches might be quite helpful in certain aspects, but now it is the point to execute an analytical research on Korean ODA. We need to implement an analytical research on the uniqueness of Korean ODA itself instead of the standard means or historical background. This research analyze on the transition of Korean organisational structure for ODA,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organizational structure, how the changes would contribute, and what would be the downside of the current structure. The research not only exemplify the changes of organisational structure, but also analyze the reasons of the change to come up with a possible theory on Korean ODA's transition, the prime method of the research would be a research on related literature which would arrange all the Korean ODA's organisational structural changes from the past. As a result, it would be able to analyze on the recent changes that have been made in the Korean ODA. This study consists of preceding aspects on ODA, foreign ODA structure, and report on the current drift on Korean ODA. Korean ODA organisational structure started out as an bi-organisational supports structure, as a separate organization would take charge of the grant and credit assistance, enabling various investors to modify into individual ODA structure, to come up with an organisation that can modify the bi-organisational structure in order to systemize the policies of ODA. 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n 2006, it discussed the foundation of the policy as well as the basic plan and the long term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The other changes made in the structure of Korea's ODA in February 1999, consisting of 26 NGO consultations (KCOC: Korea NGO Council for Overseas Cooperation) was founded to seek for a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NGO development. Korea's ODA organisational system isn’t far off from the central trend, but it holds a bigger role in the private sector of the ODA. Recentl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Korea is implementing on Private partnerships to build a public-private partnership(PPP) to meet the international trend. These changes are caused by several factors. The key reason for the structural changes in Korea is how to manage the challenges between the government departments, such as bureaucracy. The structural change of ODA in DAC countries mainly emphasize on the environment and the resulting need for changes in ODA policy, performing more effective promotio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atical changes. Japanese ODA also tried to unify the separate ODA distribution to JICA,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managing the organisational structure. It seems that Korea can't make any changes in betwee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It means bi-organisational system in Korea does not appear in the changes. In brief, Korea's change in the system for ODA (more exactly, no change is) is the result of bureaucracy or departmentalism in Korean political systems. The emergence of localized bi-organisational system is responsible for assisting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to keep their part of tied aid, because of competent jurisdiction, and insisted on a limited role here, and through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ommittee had set in bi-organisational system. Regarding recent ODA basic law or bill about institute related to ODA, bill of simplified the system is proposed by onl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ther bill is lead by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concerning holding bi-organisational system. It seems to take quite long time fo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onsolidating and managing the ODA alone.

      • 5성 호텔 믹솔로지스트가 지각한 감정노동이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정관리 및 직무특성에 기반한 MPS의 조절효과

        김지유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내 호텔산업 시장에서 호텔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고객과 직접적으로 소통을 하고 이들이 요구하는 사항들에 대한 응대를 들어주며 고객과의 접점에서 질 높은 서비스제공의 향상뿐만 아니라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고객 만족을 위해 직원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조직이 요구하는 기준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감정을 관리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 감정노동을 빈번하게 겪게 되어 많은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한국 사회의 경제적 수준은 과거에 비해 더욱 상승하고 있고 숙박 시설의 수요뿐만 아니라 식음료를 통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면서 고객들은 호텔에서의 고객 맞춤형 호텔 바(bar)에 대한 관심과 니즈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 및 전문성을 가진 식음료 분야에서 바에 종사하는 음료 전문가인 바텐더의 서비스제공은 강조되고 있고 서비스제공 향상에 대한 시장의 욕구도 계속해서 향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음료를 제조하고 실무적인 조주 운영 능력에 따른 바텐더의 제한적인 담당 직무개념에서 확장되어 음료 특성을 분석하며 다양하고 창의적인 음료 메뉴 개발과 더불어 고객이 필요로 하는 바텐더의 외부적인 요소와 내부적인 요소를 융합하여 바의 업장을 다양한 시각으로 파악하고 칵테일을 포함한 모든 음료를 연구하고 제조하는 사람을 일컫는 믹솔로지스트가 부각 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호텔산업의 트렌드와 시대적 변화에 있어 믹솔로지스트가 가져야 하는 역할과 중요성에 따른 서비스제공은 계속해서 강조되어지고 있으며 조직이 요구하는 바와 고객 만족을 대상으로 직원들이 지녀야 하는 믹솔로지스트의 감정관리 및 직무특성은 전문가 도입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바 영업에 있어 업장의 특성상 자정이 넘는 영업시간과 주류라는 매개체를 통해 고객을 직접 응대해야 하는 믹솔로지스트의 직무는 더욱 고객과 직원이 직접 대면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타 업장보다 감정노동의 정도가 매우 큰 편이고 이러한 감정노동은 고객과 직원 간의 관계 형성에서 서비스제공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성 호텔 믹솔로지스트가 지각한 감정노동이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믹솔로지스트 직원들이 갖는 감정관리 및 직무특성에 기반한 잠재적 동기부여수준 MPS에 따라 조절효과를 검증해 바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믹솔로지스트의 인적자원 관리와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국내 5성 호텔에서 종사하는 믹솔로지스트를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표본은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한 달간 33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총 300부의 유효표본으로 검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진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가설검증에 있어서 측정 도구들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감정노동, 종속변수인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와 조절변수인 감정관리 및 직무특성에 기반한 잠재적 동기부여수준 MPS 모두 각각의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성 호텔 믹솔로지스트가 지각한 감정노동이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노동이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정관리 및 직무특성에 기반한 잠재적 동기부여수준 MPS가 조절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상호작용 변수를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두 변수 모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변수를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 간의 해석에 차이를 가져온 감정관리 및 직무특성에 기반한 잠재적 동기부여수준 MPS에 대한 조절효과 존재 여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Chow’s 회귀모형 및 계수 간의 차이 검증을 활용하여 강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관리 지각이 낮은 집단이 감정관리가 높은 집단보다 감정노동이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더욱 큰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냈고 두 번째, MPS 지각이 낮은 집단이 MPS가 높은 집단보다 감정노동이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더 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호텔기업은 믹솔로지스트가 지각한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의 특성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감정관리 및 잠재적 동기부여수준 형성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조직 내 서비스 매뉴얼 교육과 인적자원 시스템 도입 및 운영에 있어서 관리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믹솔로지스트 본인이 감정관리 및 동기부여수준 조절 여부에 따라 직무성과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장기적으로는 서비스제공 행동의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객 유치 및 조직의 성과와 호텔기업 발전 방향에 있어 정보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대학원생의 경험 : 안개 속을 걷는 학생들

        김지유 대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연구는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밝혀보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대학원에 입문한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대학원에서 경험하는 것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의 경험을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전공 석사생 8명으로 선정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나온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기대한다. 첫째,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대학원생들의 경험통해 후학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 둘째, 특수대학원 상담전공대학원이 앞으로 변모해가야 할 방향을 교육관계자들에게 제시하며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대학원이 학업의 연속 선상에 머물지 않고 진정한 상담자를 길러낼 수 있는 커리큘럼 구성을 요청하는 데 있다.

      •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시청을 통한 무용인식이 공연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지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시청을 통한 무용인식이 공연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350명을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였으며, 그 중 325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무용인식과 공연관람의사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 나이,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시청 빈도,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시청 적극성,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시청한 대학생의 무용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시청한 대학생의 무용인식과 공연관람의사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시청한 대학생의 무용인식이 공연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무용인식의 심리적 인식, 신체적 인식, 공연적 인식이 공연관람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시청한 대학생의 공연관람의사에 대한 무용인식의 설명력은 53.1%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ive sampling which falls into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recognition from watching dance competition TV Show on spectatorship intent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ollowing analysis method; anl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for verifying reliability, T-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ollowing conclusion is derived. First of all, there are some distinct differences indicated between recognition on dance and spectatorship intention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Secondly,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danc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watched dance competition TV show and their spectatorship intention there is specific correlation indicated among the whole variables. In third, some key factors of the dance recognition specifically, psychological recognition, physical recognition and theatrical recognition have mainly and widely influence on spectatorship intention. Furthermore, the average percentage of explanatory ability for dance recognition on spectatorship int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watched dance competition TV show is 53.1% indicated.

      • 경관협정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연구 :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과 부산시 해운대구 청사포를 중심으로

        김지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민 참여계획은 과거 양적·물적 성장에서 질적 내실화를 통한 성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 삶의 질과 지역공동체 회목을 통한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제시되었다. 제시된 방법은 삶터의 물리적 환경개선 뿐만 아니라 생태·문화·환경복원등에 대한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방향으로의 전환할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모든 계획이 지향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계획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경관협정은 주민참여를 통해 제도적 틀 안에서 경관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계획방법으로써 대표적 주민참여 방안이다. 그리고 경관협정은 지역공동체가 회복되고 이를 원동력으로 하여 주민이 내발적으로 지역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관협정의 제도적 범위는 시각·물리적 범위에 머물러 있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과거의 단순 환경개선사업들처럼 단발성 사업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실제 경관법 제정이후 2009년부터 시행된 경관협정 사례지는 대부분 사업이 지속되고 있지 않다. 경관협정 유사사례들을 보면 시각·물리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요소들을 계획, 실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을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때문에 경관협정 제도도 모든 계획의 궁극적 목표인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아가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협정유사사례를 검토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물리적 환경과 더불어 주민의 내발적 지역관리를 위해 사회·경제적 측면이 실행되는 것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경관협정에서 지속가능성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정리도 함께 해보았다. 그리고 사례에서 나타난 사회·경제적 측면들이 현재 경관협정이 유지되고 있는 대상지에서도 작동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경관협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편적 요인과 원칙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향후 경관협정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안정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연구

        김지유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따른 영향에 대해 초등학교 일반교사는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특수교육보조원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해 초등학교 일반교사는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따른 영향에 대해 초등학교 일반교사는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 일반 초등학교 4개교의 10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아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이에 따른 영향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을 성별, 통합학급 담당 경험유무,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하는 통합학급 담당 경험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의 중요도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은 생활지도 보조 항목에 대한 보조 활동을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수업활동 중에 수행해야할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자료복사, 잔심부름, 교실의 사무행정보조, 평가 자료 관리 보조, 교실 정리 정돈과 같은 단순한 업무에 대해서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로 중요하지 않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학급에 중도․중복 장애가 있는 경우의 지원활동, 장애학생이 과잉행동이나 자리이탈 등 심한 문제행동, 그리고 학업장면에서의 심각한 문제 상황에 대해 적절한 지원 제공자로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영향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이 전반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가 장애아동에게 주어야 하는 별도의 관심이나 주의를 특수교육보조원이 해 줌으로 수업진행이나 전체적인 아동관리에 도움이 됨을 인정한 것이다. 일반아동이 받는 영향에서도 일반아동의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고 장애아동 또한 교사의 지시를 즉각적으로 따르지 못할 때 특수교육보조원의 도움으로 지시에 따를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장애아동이 가능한 한 일반 교실 환경에서 활동하도록 모든 기회 제공하는 것과 장애아동의 학습지도는 특수학급에서 실시하고 학습지도 이외의 활동은 일반학급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관한 항목에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장애아동이 일반 교실 환경에서 활동하도록 모든 기회를 제공하기보다는 특수학급에서의 활동과 적절한 균형이 필요함을 피력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고, 그렇다고 해서 모든 학습지도는 특수학급에서 실시하고 일반학급에서는 이외의 활동을 위주로 하기보다는 일반학급에서도 적절한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성별에 상관없이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특수교육보조원의 영향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이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통합학급 담당 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있어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실정돈에 있어 통합학급 담당경험이 없는 교사가 통합학급 담당경험이 있는 교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통합학급 담당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보조원의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 차이가 없었지만 전체아동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항목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통합학급 담당경험이 있는 교사는 통합학급 담당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교실 외 활동 상황에서 장애아동의 이탈이나 돌발행동에 대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처치와 아동관리로 전체아동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통합학급 담당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특수교육보조원이 수행해야할 역할에 대해 교실정리정돈과 같은 단순 업무보다는 장애학생의 과잉행동이나 자리이탈 등 심한 문제행동, 그리고 학업장면에서의 심각한 문제 상황에 대해 적절한 지원 제공자로서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보조원의 영향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그 역할에 대한 영향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에 대한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특수교육보조원 역할 정립 및 효율적인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을 위한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보조원 활용이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의 구체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요망된다. 둘째, 특수교육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명확한 위상 정립과 아울러 특수교육보조원이 수행해야할 역할에 대한 법제화로 책무성을 강화하고 특수교육보조원의 수를 더욱 늘려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