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

        김주엽(Kim, Joo-Yup),이혜진(Lee Hye-Jin)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3

        인적자본에 대한 국가와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개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면서, 최근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의 유효성과의 직접적 영향관계에 주안점을 두고 있을 뿐,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긍정심리자본과 직무 태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14일 동안 국내에 위치한 6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기혼자들에게 설문응답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응답 475부를 얻었으며, 이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직무소외감과의 직접 효과에 대하여 검증 해 본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직무소외감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구성원의 정서의 관계를 검증 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긍정적 정서의 정(+)의 영향을, 부정적 정서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정서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직무소외감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정서는 직무 소외감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는 부족했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 유효성 사이의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긍정심리자본이 개인의 정서를 통해 더욱 큰 영향력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Recently,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n organizational member in his/her performance has received serious attention from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he previous research has, however, focused mainly on the direct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not paying enough attention on the factors mediating and/or moderating in their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plore the factors performing those rol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find out the role an individual s affec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nd alienation, sugges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use personal positive affect. For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600 married persons in six domestic companies by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477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related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and negatively to job alienation. It also shows that affec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lienation. The results above present that an individual s affect plays a key role in realizing the potential powe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attitudes, and is expected to increase job performance.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직무만족에 대한 재검토

        김주엽 ( Joo Yup Kim )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2 産業과 經營 Vol.25 No.1

        Recently, as the role of affect in organizational attitudes and behavior has received more attention from practioners as well as scholars,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has achieved considerable developments in terms of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its Determina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evertheless, neither academics nor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tioners has ignored these changes ocurring in the domain of job satisfaction. This review tries to explain those development in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urge them to pay more attention to this transition. This review attempts to explore three topics especially: the refinement of job satisfaction, dispositional approach to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Finally, some furhter research agenda are proposed.

      • KCI등재

        소진(Burnout)에 대한 직무요구, 직무통제 그리고 사회적 지원의 효과

        박상언(Sang-Eon Park),김주엽(Joo-Yup Kim),민용(Min-Yong Kim) 한국인사관리학회 200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9 No.2

        최근 심화되고 있는 기업의 구조조정과 감량경영 조치들로 인해, 사원들이 체감하는 업무부하와 직무스트레스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조직구성원들이 경험하고 있는 소진(burnout)의 정도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직무관련 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직무요구-통제 모형’(Job Demand-Control Model)에서 등장하는 직무통제 요인 이외에, 사원들이 직무요구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또 다른 직무자원(job resources) 구실을 할 수 있는 ‘상사의 사회적 지원’ 변수를 추가한 확장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특히 이 변수가 직무요구와 사원들이 느끼는 소진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가에 주목하였다. 제조업 생산직에 근무하는 총 182명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선행연구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직무요구 변수는 주로 소진의 ‘고갈’(exhaustion) 차원에, 그리고 직무통제 및 사회적 지원과 같은 직무자원 변수들은 소진의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disengagement)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통제 변수는 직무요구 변수와 별다른 상호작용을 보이지 않은 반면, 상사의 사회적 지원 변수는 소진의 두 차원 모두에서 직무요구의 부정적 영향을 의미있게 완화시키는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의미와 본 연구의 한계점들이 토론되었다. Job Demand-Control(JD-C) Model, proposed by Karasek, is currently perhaps the most influential theory on the job strain. The model assumes that strains are produced by job stressors and job control. The stressors have their greatest negative impact when job control is low and job demands are high, whereas an increase in job control serves to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emands on strain. According to many researchers, there may be several job resources besides job control factors that can help to facilitate successful coping with high-strain jobs, preventing or buffering the potentially harmful effects of these kinds of jobs. In this respe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the moderating role of job social supports(from a supervisor) as a kind of job resources in the JD-C Model, and its effects on employee burnout (i.e.,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The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82 manufacturing workers produced moderately strong evidence for this extended JD-C Model. Especially, we found that job demands are primarily related to the exhaustion component of burnout, whereas (lack of) social supports are primarily related to disengagement. In addition, Social supports attenuated or buffered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emand on burnout, while job control did not have this kind of interaction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n discussed.

      • KCI등재후보

        분배공정성과 이직의도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역할 연구

        왕아정 ( Yajing Wang ),김주엽 ( Joo-yup Kim )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7 産業과 經營 Vol.30 No.1

        본 연구는 중국 소형 기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분배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이 이직의도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분배공정성과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역할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중국은 개혁개방 경제체제로의 변화에 따라 일한만큼 받는 보상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중국의 전통문화인 유가와 도가사상에 따라 대인 관계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개념들이 분배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으로 파악할 수 있고, 중국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이러한 공정성 유형들이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및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중국 소형 기업의 조직구성원 335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고, 검증결과를 보면, 첫째, 분배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이직의도와 유의적으로 부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배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과 유의적으로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배공정성과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배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이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Chinese employees are more and more paying attention to whether they are fairly treated in pay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Chines society are getting exposed more to the diverse western management systems. Reflecting such current tendency, the number of studies focusing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ts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increasing these days.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interactional justice in China.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ncept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its meaning in Chinese corporations, particularly focusing on its role on the relationships among distributive justice, turnove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Chinese enterprises th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justic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organizational justice including distributive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on both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a number of research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test the hypotheses, a set of questionnaires which was proved to be valid in western employee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working in the companies mainly located in vicinity in Chung Ching, China. The result shows that all of the hypotheses induced in this study are proved to be true, that is, both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interactional justice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Finally,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