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편의점 PB상품 콜라보레이션 유형에 따른 펀슈머 소비자 태도 연구 : CU HEYROO 팝콘 상품을 중심으로

        김주미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the time spent indoors increases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COVID-19), convenience store popcorn sal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Home Ludens’ who watch OTT and enjoy leisure at home. Convenience store popcorn PB products with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and taste starting with CU's 'Gompyo Popcorn' to various exotic tastes with collaboration such as ‘Matsogeum, Cyworld and Prinkles were well-received in the product concept and recorded high sales from the beginning. As the popularity of unique products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various brands among the MZ generati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st-efficient Fun (fun versus price)' and 'Funsumer' (Fun+Consumer) pursuing fun in consumption, have spread. As the number of companies planning collaboration PB products increases, convenience stores with high accessibility and usability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major platform for the MZ generation as a holy place for unique collaboration products. As convenience store collaboration PB products are getting a hot response from the MZ generation Funsumer, various collaboration products such as convenience store PB brands and snacks, alcoholic beverages and convenience foods were launched, and collaboration marketing has evolved to lead the current trend and pursue fresh fun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unique collaboration design focusing on popcorn PB products of 'CU', one of big 2 convenience stores, as a study on consumer attitudes for marketing that suggests an effective collaboration direction that can target the Funsumer MZ gen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types of collaboration expression types, such as game, NB product, corporate (non-food), and TV content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Funsumer and by age. The Funsumer MZ gene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1981-1990, 1991-2000, 2001-2010 based on their birth year), a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attitudes for each expression type. For 10 days from October 10 to October 19, 2022, 245 Funsumer answered the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ritten in Google Office form. Out of the survey answers, answers of 201 Funsumer excluding insincere answers and those who have not purchased collaboration PB products or have not used SNS were analyzed. SPSS 28.0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search Question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attitude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ype. In the case of corporate NB product collaboration, the cognitive factor, emotional factor, and behavioral motivation fact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consumer attitude analysis. In Research Question 2, the differences in consumer attitudes by expression type according to age were highest in cognitive responses and emotional responses among those who were born in 1981-1990, and those who were born in 2001-2010 showed the highest in behavioral respons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attitudes by age.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PB product type such as game, NB product, corporate (non-food), and TV content collaboration PB product, has an overall effect on the attitudes of the MZ generation Funsumer. Among the four expression types, it was confirmed that NB product collaboration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consumer attitude of the Funsumer, and Funsumer born in 1981-1990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the consum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collaboration when developing a convenience store collaboration PB product. Convenience store collaboration PB products are still influencing the attitude of Funsumer with the launch of new and unique collaboration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Funsumer, a new consumer group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 and the collaboration PB products of convenience stores that lead the current trend and have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and taste, will be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is a prior study on the types of collaboration PB products,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researchers study the collaboration PB product design strategy.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OTT를 시청하며 집에서 여가를 즐기는 '홈루덴스족'이 늘며 편의점 팝콘 매출이 증가하였다.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고 맛까지 갖춘 편의점 팝콘 PB상품은 CU '곰표 팝콘'을 시작으로 '맛소금, 싸이월드, 뿌링클' 등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으로 이색적인 맛의 팝콘을 출시해 상품 콘셉트에 호평을 얻으며 출시와 함께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한 이색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소비에서 재미를 추구하는 '가잼비(가격 대비 재미)', ‘펀슈머(Fun+Con sumer)’ 소비 패턴이 확산하였다. 편의점 PB상품은 스낵, 주류, 간편식품 등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출시하였으며, 접근성과 이용률이 높은 편의점은 MZ세대의 주요 플랫폼으로써 이색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성지로 자리 잡았다.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현 트렌드를 주도하며 차별화 전략으로 신선한 재미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펀슈머 MZ세대 소비자를 공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소비자 태도 연구로, 편의점 빅2 브랜드 'CU'의 팝콘 PB상품을 중심으로 이색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콜라보레이션 PB상품 사례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게임, NB상품, 기업(비식품), TV콘텐츠 네 가지 콜라보레이션 표현유형이 펀슈머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의욕적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펀슈머 MZ세대는 (1981-1990년생, 1991-2000년생, 2001-2010년생) 세 개의 연령 집단으로 나누어 표현유형마다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 연구하였다. 2022년 10월 10일부터 10월 19일까지 10일 동안 구글 오피스 폼으로 작성된 온라인 설문을 통해 펀슈머 소비자 집단 245명의 설문을 회수하였으며, 콜라보레이션 PB상품 구매 경험이 없고, SNS 이용 경험이 없는 일반 소비자와, 불성실한 응답을 설문에서 제외한 펀슈머 소비자 201명의 설문을 수집하고, 실증 분석을 위해 SPSS 28.0을 사용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 네 가지 표현유형에 따라 소비자 태도 (인지적,감정적,행동의욕적)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NB상품 콜라보레이션의 경우,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 행동의욕적 요소 소비자 태도 분석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 연령에 따른 표현유형의 소비자 태도의 차이는, 1981-1990년생이 전체 연령에서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2001년-2010년생은 행동의욕적 반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연령별로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게임, NB상품, 기업(비식품), TV콘텐츠 콜라보레이션 PB상품 유형은 전체적으로 펀슈머 MZ세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네 가지 표현유형 중, 익숙한 맛과 친숙함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NB상품과 상품 경쟁력을 가진 PB상품이 콜라보레이션 된 NB상품 유형은 펀슈머 소비자에게 이색적이고 친근한 이미지로 소비자 태도에서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표현유형에 따른 펀슈머 소비자 태도 비교 분석을 통해 편의점 콜라보레이션 PB상품 개발 시, 콜라보레이션 방향성을 제시해 실용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편의점 콜라보레이션 PB상품은 현재에도 트렌드를 주도하며 새로운 이색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출시해 펀슈머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고 맛을 갖춘 편의점 콜라보레이션 PB상품과 새로운 소비층 펀슈머 소비자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PB상품 표현유형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콜라보레이션 PB상품 개발과 디자인 전략을 고민하는 기업과 후속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4대 재벌 재무구조 변화 : 부채비율 인하의 성과

        김주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말 외환위기와 그에 따른 경제 전체에 걸친 위기를 겪으면서 한국경제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지난 30여년에 걸친 관치경제의 부정적 유산에서 주로 비롯된 재벌기업들의 방만한 차입경영과 그에 따른 재무구조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추진된 기업구조조정은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부채비율 200% 축소정책을 실시하였다. 부채비율 200% 축소 정책의 결과는 4대 재벌의 부채비율이 1997년말 473%에서 1999년말 173.9%로 절반이하수준으로 감축되어 재무구조 개선의 가시적인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4대 재벌의 재무구조 개선이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보다는 그룹내 계열사의 유상증자 참여를 통한 자기자본 확충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실질적인 부채삭감 노력은 미흡하다고 평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4대 재벌의 부채비율 개선에 있어서 대폭적인 자본의 증가가 실질적인 자금 유입인 신주 발행이나 당기순이익의 증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구조조정 취지에 어긋나는 자산재평가나 순환출자의 요인이 일정 부분 기여하였을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4대 재벌의 재무구조를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속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한 4대 재벌의 경영실적은 개선되었다. 그러나 1999년의 경상이익률 증가는 주식시장 활황에 따른 유형자산 평가 및 처분이익의 증가, 통화당국의 저금리정책에 의한 금융비용 하락 등 영업외손익부문의 개선에 기인한 것으로 기업의 본질적인 경영활동을 반영하는 영업이익 부문은 뚜렷한 개선의 징후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둘째로 4대 재벌의 부채비율은 큰 폭으로 개선되었지만 이는 부채규모의 감소보다는 자기자본의 대폭적인 증가에 기인한다. 자기자본의 증가는 대규모의 유상증자와 더불어 자산재평가 적립금 및 투자유가증권 평가이익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4대 재벌의 소유구조를 살펴본 결과, 1997~1999년 동안에 계열사간 순환출자가 대폭 증가하였고, 삼성그룹을 제외한 현대, LG, SK그룹에서 내부지분율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4대 재벌의 조정부채비율을 추정하였는데, 이는 자본증대에 상당한 기여를 한 자산재평가적립금 및 투자유가증권평가이익을 자기자본에서 차감하여 계산하였다. 추정 결과, 4대 재벌의 조정부채비율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4대 그룹 부채비율 인하에있어 실제적인 자금유입을 동반하지 않는 자산재평가에 의한 부분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998~1999년 동안에 4대 재벌은 부채비율 200%를 달성하는 데 있어 구조조정 취지에 어긋나는 자산재평가 및 순환출자를 이용하여 명목상의 부채비율 200%를 달성하였으나, 이러한 부채비율 200% 달성의 의미는 과대계상된 것으로, 실질적인 재무구조 개선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cy crisis at the end of 1997 and the subsequent deceleration of growth signify a key turning point for Korean economy, in the sense that they prompted a renewed interest on some of the structural problems the economy had been facing for decades. The overly leveraged financial structure of business groups, commonly known as chaebols, stemming from decades'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to capital allocation is all but one example of such problems. In an attempt to reduce the overall financial risk of the economy, the government has taken an initiative to curb the debt/equity ratio of chaebols arbitrarily at 200%. On the face of it, this policy yielded a visible result. the aggregate debt/equity ratio of 4 major chaebols declined from 473% at the end of 1997 to 173.9% by the end of 1999. However, there is continued criticism that the nominal improvement has been largely ineffective in terms of reducing the level of financial risk as the reduction of debt/equity was achieved mainly by expansion of equity base rather than by reduction of debts.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contributions were made to the change in debt/equity ratio of 4 major chaebols from operating profits, rights issues, gains on asset revaluation and circular equity inves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stantial increase in recurring profit margin in 1999 w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net non-operating income, including gains from valuation and disposal of equity investments and reduction of interest expense on the back of loose monetary policy. The improvement in operating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as marginal. Secondly, the reduction in debt/equity ratio was achieved mainly through expansion of the equity base rather than through debt reduction. More specifically, a substantial increase in asset revaluation surplus and gains on valuation of equity investments played a key role in increasing the size of shareholders' equity. Finally, the level of circular equity investments had increased over the 1997-1999 period. The absolute level of equity investment in affiliates had also increased over the same period for the 4 major chaebols, with the exception of Samsung Group. Following these results, the adjusted debt/equity ratio was estimated excluding the impact of contributions from changes in asset revaluation reserve and gains on valuation of equity investments. The estimated ratios were uniformly higher than the ratios reported on the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Hence it can be deduced that asset revaluation, which does not accompany actually cash inflow, is accountable for a major proportion of reduction in debt/equity ratio for 4 major chaebols. In conclusion, although 4 major chaebols have achieved sub-200% debt/equity ratios, the practice adopted was far from being compliant to the underlying objective of the financial restructuring. The debt/equity ratios on the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significantly underestimate the degree of financial leverage of 4 major chaebols.

      • 심리적 불편감, 자기은폐, 사회지지망, 개인주의-집단주의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내담자들이 전문적 도움 추구를 하기까지 다양한 변인들이 매개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개인적 변인(심리적 불편감, 자기은폐, 사회지지망) 및 문화적 변인(개인주의-집단주의)이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심리적 불편감, 자기은폐, 사회지지망, 개인주의-집단주의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광주 지역 5개 대학 162명의 대학생들이었고, 측정도구로는 도움 추구 태도에 관한 질문지(Fisher & Turner, 1970)와 심리적 불편감을 측정하기 위해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김광일 등, 1984), 자기은폐 질문지(Larson & Chastain, 1990), 사회지지망 질문지(Vaux, 1985), 개인주의-집단주의 질문지(Singelis & Triandis 등, 1995)를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t 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변인 및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문화적인 변인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수직적 개인주의 경향이 높았고, 남자는 여자보다 수직적 집단주의 경향이 더 높았다. 둘째, 각 변인들과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관계간의 상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심리적 불편감, 자기은폐, 사회지지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수평적 집단주의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문화적 변인과 개인적 변인이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변인은 수직적 집단주의, 수평적 집단주의이었으며, 개인적 변인은 사회지지망과 자기은폐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 변인과 개인적 변인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수직적 집단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사회지지자원의 유용성에 대한 믿음이 부정적일수록, 자기은폐가 높을수록,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수직적 집단주의 문화적 성향이 있고 심리적 불편감과 자기은폐가 높으며, 사회지지자원의 유용성에 대한 믿음이 부정적인 잠재적 내담자들은 전문적 도움 추구에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문적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이러한 특성을 지닌 잠재적 내담자들이 전문적 상담에 대해 지니고 있는 거리감과 부정적 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ultural 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horizontal collectivism,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psychological distress, social-network orientation, and self - concealment) on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in Korea. One hundred and sixty two undergraduates (64 men and 98 wome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ch participant received a package of the instruments;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ATSPPHS: Fisher & Turner, 1970),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Kim, et al, 1984), the Network Orientation Scale(NOS: Vaux, 1985), the Self-Concealment Scale (SCS: Larson & Chastain, 1990), and the Individualism-Collectivism Scale(ICS: Singelis & Triandis et al, 1995). To analyze data,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found in individual variables and help-seeking behavior. However, women were shown to have higher level of vertical individualism than men. Men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 of vertical collectivism than women. (2)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the following individual variables; psychological distress, negative network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collectivism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3)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ertical collectivism and horizontal collectivism in cultura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Network orientation and self concealment in individua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4) The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vertical individualism, negative social-network orientation, self-concealment people exhibit, the more negative attitudes they hav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counseling were discussed.

      • TV 드라마의 여성 결혼이민자 재현에 관한 연구 : SBS <황금신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김주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디어 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에 새로 편입하게 된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재현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여성 결혼이민자는 한국 사회에서는 소수자의 위치에 있으며, 실제 여성 결혼이민자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계층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디어는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미디어의 여러 범주 중에서도 그동안 논의가 활발치 못했던, 텔레비전 드라마의 여성 결혼이민자 재현에 관해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여성 결혼이민자가 등장하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본 시청자들은 드라마 속 여성 결혼이민자와 현실에서 만나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동일시하고, 여성 결혼이민자를 재현하는 드라마가 생산하는 의미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논의 대상이 된 드라마는 지난 2007년 6월부터 6개월간 방송된 SBS의 주말드라마 <황금신부>이다. 이 드라마는 여성 결혼이민자가 주인공이 되어 극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끌어가는 만큼, 드라마에서 재현되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외면적 특성과 내면적 특성을 좀 더 다양하고 정교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텔레비전 드라마 속에서 국제결혼과 여성 결혼이민자, 그리고 한국 가정에서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기호학적 방법인 통합체 분석, 계열체 분석을 사용했다. 그리고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나타난 함축적 의미와 이데올로기를 밝혀내기 위해 신화 분석 방법을 채택했다. 먼저, 드라마 <황금신부>의 통합체적 분석을 통해 드러난 갈등구조와 해결구도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부, 친족, 세대, 또래 여성간의 갈등구조에서 갈등의 숨은 원인은 개인간의 문제라기보다는 한국인 대 여성 결혼이민자의 대립임을 파악되었다. 특히, 한국 여성들과 여성 결혼이민자의 관계에 있어서는 위계적 차별구조가 나타났다. 즉, 여성 결혼이민자가 가족이나 아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람의 됨됨이 보다, 출신 국가와 학력, 사회적 지위 등의 외적 조건이 우선시 된다. 결국 외적 조건이 부부나 가족, 사회내의 역학적 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한국사회에서 여성 결혼이민자라는 조건은 차별을 감수해야 하는 약자의 위치임이 밝혀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든 갈등구조를 풀기 위해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노력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여성 결혼이민자가 인내와 희생을 통해 자신의 존재 가치를 알릴 때에만 비로소 갈등이 해결구도를 맞는다는 것이다. 이는 갈등을 만드는 또 하나의 주체인 남편이나 시댁 가족들, 구세대나 또래 여성들은 어떠한 수고도 하지 않고 여성 결혼이민자를 지켜보는 역할을 하는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한국의 가정과 사회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해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서, 일방적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에게만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를 요구하는 모순적 사고가 드라마 속에서 통용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황금신부>에 등장하는 남녀 인물들의 성격과 특성, 직업과 역할에 대한 계열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드라마 속에서 재현되는 여성결혼이민자상은 한국인 여성 그리고 국제결혼을 한 한국인 남편과 이항대립을 이루어 재현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드라마 속 한국 여성은 부정적인 여성상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는 긍정적인 여성상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국제결혼을 한 한국인 남편은 아내의 도움을 받는 인물로, 여성 결혼이민자는 본래의 성격 및 특성 등을 살려 남편에게 도움을 주는 인물로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성 결혼이민자가 직업과 역할의 선택에 대해, 여전히 여성적 직업과 사적인 영역에 머물고 있는 점, 부부가 함께 직업을 가진 후에도 가사분담은 여성의 몫으로만 남겨져 있는 점 등을 통해 성역할의 고정화와 가부장적 가치관이 여전히 남아있음이 밝혀졌다. 이것은 드라마 속 여성 결혼이민자가,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는 새로운 여성상으로 제시된 것이 아니라, 희생과 헌신이 미덕이던 한국의 전통적 여성상을 대체하는 인물로 선택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화분석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여성 결혼이민자에 관한 신화와 드라마에서 나타난 여성 결혼이민자의 숨은 의미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 결혼이민자가 비주류층 한국 남성과 결혼하고, 가난하며, 무지하고 어수룩한데다 소통이 어려운 상대이며, 한국을 동경해온 만큼 하루빨리 한국 문화를 가르쳐 동화, 통합시켜야 한다는 신화적 의미는 선행연구의 신화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여성 결혼이민자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결혼을 깨지 않고, 강하고 적극적이며, 남편이나 가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해 도움을 준다는 신화적 의미는 기존 신화와 차별화된 것이었다. 기존신화와 유사한 신화적 의미들은 지배적인 신화라 부를 수 있다. 드라마 <황금신부>의 지배적 신화에는 경제력이 떨어지는 국가에서 온 여성 결혼이민자를 지적 능력, 문화적 이해도, 사회적 지위가 낮은 계급으로 분류하는 인종 차별주의와 자본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이 드라마는 한국인들이 열등한 존재인 여성 결혼이민자를 가르치고 선도해야 한다는 자국문화 우월주의를 품고 있다. 반면, 기존신화와 차별된 신화적 의미들은 대항적인 신화라 할 수 있다. 드라마 <황금신부>의 대항적 신화에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발전시키기 보다는, 가정 내 역할을 더욱 중요시해야 한다는 성역할 고정화와 남성중심적 이데올로기가 내포되어 있다. 나아가,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아내이자 며느리로 자리매김 하길 바라는 한국인들의 욕망과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드라마 속에 숨어있는 것이다. <표 18> 분석결과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결론적으로 드라마 <황금신부>의 통합체, 계열체, 신화분석을 통해 드러난 점은 다음과 같다. 드라마에서 재현한 여성 결혼이민자상은 한국인들의 차별의식이 낳은 열등한 존재에서, 한국인들의 판타지에 의해 만들어진 완벽한 여성으로 그 모습이 변해가는 과정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하는 한국 사회의 이중성이 만든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드라마 속 여성 결혼이민자가 가정과 일을 모두 소화하는 여성, 이른바 ‘슈퍼우먼’으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은, 부부나 가정,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하는 많은 부분을 여성의 능력으로 치환하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남성은 사회 활동을 전담하고 여성이 가사노동을 맡으며, 가족 내에서는 남성인 아버지가 지배적인 위치를 가지는 것을 가부장제라고 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성에 따라 역할을 다르게 부여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기대가 달라진다는 잘못된 고정관념 내지 허위의식이라 할 수 있다(백선기, 2001). 앞서 선행연구를 고찰하면서 살펴보았듯이, 2000년 이후 드라마 속의 한국 여성상은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하여 가부장적이었던 성역할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드라마 속 성역할이 변화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드라마 <황금신부>에서 재현한 여성 결혼이민자상은 오히려 모성주의,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강조되고 성역할의 고정관념을 자연화 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한국사회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내포하는 전통사회의 여성상을 더 이상 신세대 한국여성들에게 기대할 수 없게 되자, 새로운 사회 구성원인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그 기대를 옮긴 것이라 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외부 세계 또는 현실을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형상화 시켜주며, 또 그 형상을 현실과 동일한 것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해준다. 특히, 텔레비전 드라마는 현실을 허구적으로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그 역할이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드라마 속 여성 결혼이민자의 모습이 완벽한 아내나 며느리로 지나치게 이상화, 신비화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이 역시,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편협하고 왜곡된 이미지를 생산해내기 때문이다. 게다가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우리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정형화된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현실 속에서도 이러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느냐하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드라마에서 재현하는 이들의 이미지가 오히려 현실과의 괴리감을 만들어, 한국인들이 현실에서 만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더욱 ‘타자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드라마에서 재현하는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의 전통적 여성상을 대체하는 존재가 아니라, 고유한 문화와 정체성을 가진 존재로 재조명되길 기대해 본다. 미디어가 여성 결혼이민자를 한국 사회의 고정관념이 만든 잣대로 평가하지 않고 이들 본연의 모습을 재현하려 애쓴다면,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새로운 ‘신화’가 만들어 질 수 있을 것이다. It'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by media, as those immigrants have emerged as a new group of people who are incorporated into Korean society. They are a minority in Korean society, and just a very small number of Koreans meet them in person. Under the circumstances, media could be said to play a fairly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way of looking 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V drama, on which there hasn't been dynamic discussion in association with the various roles of media. TV viewers who watch a drama describing a female marriage immigrant are likely to identify that character with re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y may meet, and the way they look at them is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drama. That was why this study focused on TV drama as a medium of represen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SBS's weekend drama entitled 'The Golden Bride' was selected in this study, which was on the air for six months from June 2007. Since a female marriage immigrant was the main character who determined the flow of the drama, this researcher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take a careful look at how the drama represented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from various angles. Syntagmatic analysis and paradigmatic analysis, which were semiological analyses, were utilized to check into how the TV drama described international marriage,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interaction with Korean family members. In addition, a myth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hed light on the implications of the semiological analyses results and the ideology of the drama. As a result, the typical, patriarchal ideology was still prevailing in the drama that portrayed a female marriage immigrant, though the drama was viewed as a mirror of social changes in large part. The drama was different from news, documentary or entertainment programs in the way of depicting a female marriage immigrant. The latter portray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inly as marginal women who should be protected, whereas the former represented the female immigrants as the so-called mysterious superwoman who was good at household chores and an excellent performer at work.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earlier studies, and the fact jus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백두대간 산행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김주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지나친 입시 경쟁과 교육의 획일화, 체험활동의 부족, 학업에 대한 부담 등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삶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경향과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학교폭력,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집단 따돌림 등의 위기에 놓여 심각한 문제로 발전되기도 한다. 이러한 청소년들은 타인을 이해하고 협동하는 사회성이 결여되고 있다. 또한 자신의 감정을 공유하고 위로를 받거나 삶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결해 줄 사회적 관계망이 부족하다. 청소년문제가 사회문제로 확대되지 않기 위해서는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협동할 수 있는 사회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녹색자금 숲체험교육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5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40회 이상 참여한 대상자를 반복적 참여자로 선정하고,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5회 미만 참여한 대상자를 일시적 참여자로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정범모(1971)의 ‘초등학교 인성 검사지’와 김동환(1992)의 ‘건전한 사회성 검사’, 김종두(2010)의 ‘초등학생 사회성 검사’에서 청소년의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손지원, 하시연(2013)의 설문지를 통해 숲에 대한 태도를 고려하여 산행과 관련성이 있는 항목들로 최종 수정‧보안하여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특성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변량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성의 5개 하위요인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독립표본t검정을 실시하여 사회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반복적으로 산행에 참여한 청소년의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하위요인인 자율성, 준법성, 근면성, 협동성, 대인관계 모든 척도에 대해서 반복적 참여자가 일시적 참여자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장기적이고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함께하는 산행경험은 소외계층 청소년에게는 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대관계 형성과 활발한 사회 참여 기회 제공으로 정서적, 사회적 지지망을 형성하여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긍정적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청소년문제 해결에 있어 근본적인 해결접근방법으로 청소년대상 산림교육이 필요하다. 앞으로 산림교육들은 일회성이 아닌 반복적으로 장기간 진행되어야하며, 다양한 기관을 통해서 이러한 장기간 반복적인 숲체험 프로그램들이 지원‧개발되어야한다.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in entrance examinations,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lack of hands-on activities and academic pressure, many adolescents in Korea have come to develop negative and critical perception about their own lives and self-centered mindsets. Occasionally, this develops into serious problems when adolescents become victoms of school violence or bullying, or get addicted to internet/smartphone, etc. These adolescents lack sociality, which helps them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thers. Additionally, they have insufficient social network through which they can share their emotions, be comforted, and solve life dilemmas together.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 problems from growing into social problems, adolescents will need to develop sociality and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ther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repeated mountain trekking experience in adolescent sociality. Fifty-eight adolescents who took part in Green Fund’s forest experience program were analyzed as research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for comparative analysis. Those who participated 40 times or more from 2014 to 2015 were designated as repetitive participants, and those who participated 5 times or fewer from March 2016 to April 2016 were designated as temporary participants. The questionnaire utilized by this research edited and used the contents from Jung Beom-mo’s (1971) “Elementary School Personality Test,” Kim Dong-hwan’s (1992) “Healthy Sociality Test,” and Kim Jong-du’s (2010) “Elementary School Student Sociality Test” to measure adolescent sociality. Attitudes towards forests in Son Ji-won and Ha Si-yeon’s(2013) survey were taken for consideration when compiling a questionnaire with categories related to trekking for the final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for usage. The general attribute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using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mpu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five sub-components of sociality,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xecut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ociality was higher in adolescents who repeatedly participated in trekking. Repetitive participants scored higher than temporary participants in all measures of the sub-components of sociality: autonomy, lawfulness, diligence, coopera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us, it can be said that long-term, repetitive trekking experiences affect adolescent sociality. Notably, group trekking experience helped improve sociality of underprevileged adolescents in building an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network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helped form relationships and provision of an opportunity fo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We have verified positive influence of repetitive trekking experienc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us far. Therefore, it supports the need of forest education as a fundamental approach to solving adolescent problems. Looking forward, forest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repeatedly over a long-term period instead of being a one-time event. Such long-term, repetitive, hands-on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and developed in various institutions.

      • 한국 남성 아이돌 스타의 이미지 유형

        김주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에 따른 대중문화의 발전으로 대중스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타의 모방이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고 있으며, 대중스타의 이미지는 대중의 이상적 이미지를 반영함과 동시에 이미지 연출의 본보기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재 아이돌 스타는 한국 대중문화계를 장악하고 사회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으며, 남성의 외모에 대한 변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남성 아이돌 스타의 외적 이미지는 대중의 호응을 얻으며 남성 외모관리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성 아이돌 스타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패션 및 뷰티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남성 이미지 유형을 밝히고 이미지 연출의 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2008년 2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활동한 남성 아이돌 스타 중 대중의 인지도가 높은 15개 그룹을 선정하여 그들의 활동사진 자료를 통해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패션 및 뷰티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유형별 이미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미지 관련 전문가 집단의 워크샵을 통해 분류된 남성 아이돌스타의 이미지 유형은 엘리트, 어번시크, 카리스마, 반항아, 토이보이, 옴므파탈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에 나타난 패션 및 뷰티 디자인 특징과 이미지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의 특징은 무채색 계열과 내추럴 톤으로 통일감과 조화로운 느낌을 주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디테일이 단순하고 편안한 느낌의 세미정장 스타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깔끔한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피부톤 보정과 눈썹의 형태를 다듬는 정도의 기본 메이크업으로 정돈된 느낌을 보여주었으며, 헤어스타일은 자연스럽고 단정한 스타일에 내추럴 브라운 컬러로 연출하였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부드럽고 감성적이면서도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보수적인 이미지가 느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어번시크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은 무채색 계열의 몸에 피트되는 슬림한 수트형과 세미 정장 스타일로 가슴이나 팔 등의 부분 노출을 통해 잘 가꾸어진 몸매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눈매를 강조하는 스모키 메이크업과 초콜릿브라운 컬러의 세련된 헤어 스타일링으로 도시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도시적인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카리스마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 스타일은 근육질 몸매가 드러나 피트 되는 블랙위주의 의상과 가죽 소재의 액세서리로 강한 느낌을 더했다. 어두운 피부톤과 강한 라인의 스모키 메이크업, 근육을 강조하는 바디메이크업으로 남성적인 섹시미를 강조하였으며, 짙은 컬러의 쇼트헤어로 거친 느낌을 강조하였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섹시하고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으며, 거칠고 대범하며 강한 남성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반항아형은 스트리트 패션에 징이 박힌 금속 액세서리 등으로 반항아와 같은 이미지를 강조하여 연출하였으며,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어두운 피부톤에 스모키 아이메이크업, 컬러 스모키, 페이스페인팅 등으로 메이크업이 독특하고 강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헤어스타일은 다양한 컬러의 염색과 개성 있는 스타일이 많았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자유롭고 개성적인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토이보이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은 전체적으로 밝고 컬러풀한 색상의 캐쥬얼한 의상에 운동화, 캡이 달린 모자 등으로 어리고 발랄한 이미지로 연출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메이크업은 밝은 피부톤 위주의 메이크업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스모키 아이메이크업이 나타나고 있으며, 헤어스타일은 밝은 컬러의 염색에 귀여운 베이비펌 스타일이 많았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친근한, 편안한, 귀여운, 순수한, 자연스러운, 발랄한, 어려보이는, 연약한의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옴므파탈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은 블랙위주의 무채색 계열에 스트롱톤의 원색 컬러로 어둡지만 화려한 이미지가 공존하고 있으며, 비치는 소재에 몸매가 드러나는 타이트한 의상과 함께 징이 박힌 초커스타일의 목걸이와 같은 악세서리로 선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보여주었다.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두꺼운 피부화장에 섀도가 짙어진 스모키 아이메이크업, 붉거나 누드톤의 입술 화장으로 여성적이면서도 선정적인 느낌을 강조하여 보여주었고, 헤어스타일은 짙은 레드 톤의 브라운 컬러 염색에 인위적인 형태의 헤어스타일로 화려한 느낌을 살렸으며,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선정적이며 어둡고 화려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6가지 남성 아이돌 스타의 이미지 유형은 현대 남성의 트렌드 이미지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남성 아이돌 스타는 트렌드를 주도하면서도 대중의 선호도에 따라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었다. 또한 6가지 남성 이미지 유형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As pop culture has developed recently in Korea through the growth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e interest in pop celebrities has increased, and it has become a natural phenomenon to imitate the stars. The images of celebrities not only reflect ideals, but also are an example of image making. The idol stars are currently dominating Korean pop culture, and leading the social trends. With growing changes and interests in the male appearance, the external images presented by male idol stars have received a great response from the public, leading the business related to male appearanc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for each type, and through this, to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male images and to provide data on image making. As part of the empirical study, 15 well-known male idol star groups who were active during February of 2008 and August of 2010 were selected, their image types were categorized using photographic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were analyzed for each type.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image types,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he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which were classified through a workshop by a group of image-related experts, were categorized into 6 types: Elite, Urban Chic, Charisma, Rebellious child, Toy boy, and Homme Fatale.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eauty design, and image for each typ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ashion style of the Elite group offered a sense of unity and a harmonious feeling, with an achromatic color and a natural tone, and was mostly a semi-suit style in which the details were mostly simple and comfortable. The make-up was a basic make-up with skin tone correction and a refining the shape of the eyebrows, for a clean image and neat feeling, and the hair-style was presented with a natural brown color for a natural and indecent style.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at it presented a soft, sensitive, yet luxurious, chic and conservative image. Secondly, the fashion style of Urban Chic group was a slim-fitted suit or semi-suit style in achromatic color, and exposed the chest or the arms, showing off a good physique. The urban image was also emphasized by high-lighting the eyes with smokey eye make-up and sophisticated chocolate-brown color hair styling.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at it scored the highest points for urban image. Thirdly, the fashion style of the Charisma group was mainly fitted black clothing that showed a muscular body, adding a strong feeling with leather accessories. It emphasized the muscular sexiness with dark skin tone, strong-line smokey make-up, and body make-up that highlighted the muscles, a short hair-cut with dark color also stressed the masculinity.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at it presented a sexy, assertive, and confident image, and scored the highest points for a tough, bold, strong, and masculine image. Fourthly, the fashion style of the Rebellious Child group was a street fashion with studded metal accessories to highlight the rebellious image, and its make-up was a unique and strong type with smokey eye make-up in dark skin, color smokey make-up, or face painting. The hair-style was varied with dying in many different colors and other unique styles.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e highest points were given for a free and unique image. Fifthly, the fashion style of the Toy Boy group was overall bright and colorful casual clothing with sneakers and cap hats, presenting a young and cheerful image. The make-up usually had been on a bright skin tone, but recently smokey eye make-up has been a trend as well, and the hair-style was usually a cute baby perm style with bright colors.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cored high for a friendly, comfortable, cute, pure, natural, cheerful, younger looking, and soft image. Sixthly, the fashion style of Homme Fatale group was a dark, yet glamorous image with strong primary colors on black or an achromatic series of colors, and highlighted provocative image with tightly-fitted clothing that reflected the body figure, and accessories like studded choker-style necklaces. The make-up was done on a thick make-up base with smokey eyes of strong shadows, also highlighted femininity while remaining provcatively-appealing with red or nude color lip make-up. The hair-style demonstrated a glamorous feeling through an artificial looking style, dyed with a strong red tone and brown color, and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cored the highest for a provocative, dark, and glamorous image. As seen above, the six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have a great relation with the modern male trends and images, and the male idol stars have been leading the trends and presenting the image by the public preference. In addition, as shown above, the recent male image is a mixed image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showing a complex aspect that does not dominate with one image, and was found to be constantly changing in the flow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