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에 관한 일반교사의 경험 분석

        김정연(Kim, Jeongyo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경험에 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일반교사 6명을 대상으로 2회의 FGI를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일반교사가 경험한 교육지원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지원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참여자들의 공유된 경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룹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2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2개 주제에 대한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 교육지원의 어려움은 교육지원에 관한 정보 찾기의 어려움, 교육지원제도의 혼란스러움, 학습지원의 명암, 정서적 지원의 막연함, 학교생활에서의 공공연한 배제로 인한 부담감에 대한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둘째, 건강장애 교육지원 정책과 개선요구에 대해서는 건강장애 교육지원 정책의 개선, 협력적 교육지원 강화, 교육 행정지원 및 개선, 필요한 시기에 제공되는 교사교육과 연수 등이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건강장애학생들의 교육지원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일반교사들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지원 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n educational supporting experience on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for school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2 number of FGI that were subject to 6 general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Through the conduction of interviews, the perceptions on educational support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cases of educational supports, which were transformed into written data. Results: As a result, 2 main topics and 9 subtopics were generated. The first main topic was about the difficulties of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such as inaccessibility to information, confusing system, contrast of the educational supports, ambiguity of emotional supports and overt exclusion in school life. The second main topic was related to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policy. For example, reformation of relevant policies, enhancement in cooperative education supports, administrative supports and teacher training in an appropriate time were derived. Conclusion: In the discussion section, various supporting methods for solving the difficul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teachers’ supports were proposed.

      • KCI등재

        보완 · 대체의사소통체계(AAC) 사용자의 문해력 중재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김정연(Jeongyoun Kim),박은혜(Eunhye Park),표윤희(Yunhui Py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2

        배경 및 목적: 장애아동에 대한 AAC 중재연구는 다양한 목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문해력 중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학습 효과성이 강조되고 중도장애학생의 문해력 학습에 대한 권리가 주장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AAC를 사용하는 아동들의 문해력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문해력 중재 관련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는 국내외 문헌들을 통해 그 동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문해력 중재 요소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논문 선정 기준에 맞는 총 30편의 국내외 연구 논문을 선정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장애 유형과 연령, 연구방법, 중재 방법, 종속변인 유형을 바탕으로 하여 AAC 사용자의 효과적인 문해력 중재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AAC 사용자의 문해력 교수의 중재 요소는 크게 적절한 반응과 촉진 교수(4편), 환경의 질 높이기(4편), 직접교수법(5편), 통합적 AAC 중재(11편), 대화상대자 훈련(1편), 컴퓨터 활용 교수(5편)를 통한 중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 요소들을 AAC 의사소통체계를 기반으로 분석해본다면 30편의 논문 중 음성출력 도구(VOCA)를 이용한 연구는 14편, 그림카드와 낱말카드 등의 상징을 이용한 연구가 모두 15편이었고, 이야기책을 사용한 연구가 5편, 컴퓨터를 활용한 연구가 5편이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 나타난 효과적인 교수변인별의 종합적 논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AAC 사용자의 문해력 연구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importance of literacy intervention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various literature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 intervention elements used to improve the literacy skills of AAC users. Methods: Thirty intervention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intervention methods as well as the type of participant disability, the experimental design, and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Both domestic and foreign articles were included. Results: The components of AAC literacy intervention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1) using appropriate responses and prompts, 2)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3) direct AAC skills instruction, 4) multi-faceted comprehensive AAC intervention, 5) conversation partner training, and 6)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In terms of the AAC system used in the intervention, 14 studies using VOCA, 15 studies used picture (or word) cards, 5 studies using storybooks, and 5 studies using a computer system. Discussion & Conclusion: The effective instruction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30 studies are discussed.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f this review for further studies on the literacy of AAC users are suggested.

      • KCI등재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연(Kim, Jeongyoun),박은혜(Park Eunhy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11년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개발될 교과용 도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면담을 통해 특수교사들의 공유된 경험과 실제적인 개선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4개의 주제와 18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 주제에 대한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과서 역할에 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2) 교과서 활용의 강점, (3) 교과서 활용의 어려움, (4) 교과서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활용과 관련된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서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using textbooks in the 2011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and then,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future textbooks. Method: For this purpose,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went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Based on their shared experiences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s discussed in the interview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resulting in 4 themes and 14 sub-themes. The four themes included (1) understanding the roles of textbooks, (2) strength of the use of textbooks, (3) limitations to using textbooks, (4) improvement plans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textbooks. Conclusion: In the ‘Discussion’ section, based on the cases related to the use of textbooks in the fundamental curriculum, improvement ways to develop and supply textbooks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를 가진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 경험 연구

        김정연(Kim, Jeongyoun),윤형준(Yun, Hyung J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 경험은 무엇이며,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는 어떠한지 아버지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이를 위하여 일반학교 통합 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아버지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아버지의 양육 유형, (2) 자녀의 장애가 아버지에게 미치는 영향, (3) 아버지의 역할 인식. 첫째, 아버지의 양육 유형에 대한 대주제는 낮은 기대감과 자책하는 아버지, 낮은 기대감을 가지나 수용적인 아버지, 기대감은 높으나 소극적인 아버지, 기대감이 높은 적극적인 아버지의 4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자녀의 장애가 아버지에게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의 성격 및 심리?정서적 변화, 가족이나 친척, 친구 등의 인간관계의 변화, 직장 및 사회생활 변화의 3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셋째, 아버지의 역할 인식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4개의 하위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아버지들은 가장으로서 가져야 할 역할과 그에 대한 부담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경제적 문제 해결이 아버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며, 가족의 버팀목으로서 중요한 역할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직업, 결혼 등 미래에 대한 책임감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문적 지원을 통해 아버지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approach of phenomenology regarding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hat their experience is in parenting their childr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the inherent meaning of this experience is. In order to achieve this, 9 subjects were interviewed; these subjects are the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an inclusive class at a general school. After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derived; 1) The father’s parenting type, 2) The impact of the child’s disability on the father, 3) The father’s perception of his role as a father. First, in the theme regarding the father’s parenting type, 4 types are categorized regarding the future success of the disabled child: a) The father who suffered from self-blame and had low expectations, b) The father who was understanding even though he had low expectations, c) The father who was discouraging despite his high expectations, d) The father who was supportive and had high expectations. The second theme regards the impact of the child’s disability on the fat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y. Three sub-themes are derived: a) Changes in the father’s emotions, b) Changes in the father’s relationship with immediate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c) Changes in the father’s work life and personal life. The third theme is categorized into 4 sub-themes since his perception of what kind of father he is appeared different based on his parenting. In general, fathers have the important role of being the head of the family and a large burden is placed on them concerning this position they need to have. Specifically, the father’s most important duties are to solve economic problems, and the entire family recognized his responsibility in solving these issues to be crucial. The father places much effort into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disabled child’s career, marriage and future and through various professional support, there is hope for him to be able to deal with his role of being both the head of the family and also caring for his disabled child.

      • KCI등재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연 ( Jeongyou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 8명을 대상으로 9회기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조사자료, 현장연구일지, 교육 참여 소감문, 포커스 그룹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 (1)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가 아동의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겪는 어려움,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어머니에 미치는 영향, (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요구 및 방안.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소를 고찰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과 학교와 가정을 연계한 교육 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in mother-child communicative interaction.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offer mothers of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disorders and Cerebral Palsy. 8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so 8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to share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ir participation to the program. Three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the impact of child``s communication difficulties on parents, (2) The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 the support needed for implement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the support plan for the family by parents education service, suggest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afterwards in providing the assistance services to the family of a child with communicative disabilities through a parents education program within the nation. And it also presented th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and methods in order to apply the knowledge related to communication to the parents, and not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arent as a promoter for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a child.

      • KCI등재

        과소 농촌지역의 교통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김정연(JeongYoun K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0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various problems of rural transportation, and to suggest the new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rigidity and inefficiency of current transportation policies in the depopulated rural areas. By their nature, rural areas are dispersed geographically. They face higher unit cost for transportation stemming from their smaller scale, low population density, rugged terrain, and relatively poor roads. Besides, a reduction in total population size and motorization has brought serious transportation problems to the rural areas. These factors increase the burden of rural residents, bus companies, and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New rural transportation policies should explicitly take into account the needs of rural areas, communities, and their people. Policy issues and actions fall into at least two general dimensions. One is to improve the rural transportation system itself, such as rationalizing the conventional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troducing the unconventional mode to depopulated remote villages, encouraging the green mode, etc. The other is to increase the locational accessibility by rearranging the settlement system, to reduce the transportation demand by strengthening the circulatory or delivery service system, one-stop service of public facilities in rural town, and accelerating rural informationizing.

      • KCI등재

        정신지체 중학생의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자녀의 진로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연 ( Jeongyoun Kim ),백승영 ( Seung Young Baek ),신일근 ( Il Geun Shin ),윤송이 ( Song Ei Yun ),윤형준 ( Hyung Jun Yun ),양성오 ( Sung Oh Y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의 진로 장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의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녀의 진로에 대해 부모가 인식하는 장벽(가정 차원, 학교 차원, 지역사회 차원), 2) 성공적인 진로 찾기를 위한 역량강화 과제(자녀와 가정 차원, 학교 차원, 지역사회 차원, 정부 차원), 3) 정책적 지원. 본문에서 면담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구체적인 인터뷰 내용을 제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을 통해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지체 중학생의 진로 장벽의 관련 요소를 살펴보고, 필요한 지원과 정책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과 학교와 가정을 연계한 진로 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barrier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ttended general middle schools.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thers’ experiences with thei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the impact of student’s career barriers (2) the task of empowerment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3) the support needed for raising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s fo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provided.

      • 광주·전남지역 순회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은숙(Kim, Eun-Sook),김정연(Kim, Jeongyoun),김시원(Kim, Si-Won)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敎科敎育硏究 Vol.37 No.1

        이 연구는 순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순회교사의 인식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광주 전남지역에서 순회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95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 전남지역의 순회교육은 다양한 장애정도와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어, 수학, 미술 위주의 교과교육과 언어치료, 감각·통합훈련, 물리치료 등의 치료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순회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업무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회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과 개선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순회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연수지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교육 관련 행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요구하였다. 순회교사의 처우개선을 위해서는 업무 경감과 별도의 수당 지급, 교사 순환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에 근거하여 순회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itinerant education and finding the most effective way of operation by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itinerant teachers. For this, survey on 95 teachers who take charge in itinerant education in Gwaungju-Joennam Area was conducted. Results are followed: first, itinerant education in Gwaungju-Joennam Area targets students with various levels and kinds of disabilities. It provides curriculum focused in language arts, mathematics and art. It also provides therapeutic supports including speech theraphy,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and physical theraphy.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working as an itinerant teacher appeared to be high. Second, supportive method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for effective operation of itinerant education was analyzed. It reveals that the most necessary support for itinerant teacher is training support. Als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itinerant education are required to expan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itinerant teacher, reducing task, additional payment, rotation system appears to be necessary. In debatement part, based on those results, improvement way of itinerant edu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대상의 스마트기기 기반 AAC 중재 국내 연구 동향

        김송(Song Kim),김정연(Jeongyoun Kim)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중재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22편의 논문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전반적인 동향, 독립변인, 종속변인 및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중재 연구는 분석 초기에 비해 최근에 발표된 수가 다소 적었으며, 특수학교의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 전략은 직접교수, 환경중심 언어중재, 스크립트 활동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재 도구는 태블릿 PC를, 소프트웨어는 마이토키 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장소는 특수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의 목적은 의사소통 행동의 향상 외에도 읽기 기술, 문제행동 중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목표로 한 의사소통 기능은 요구하기, 반응하기, 인사하기 등 발달 초기 단계의 낮은 수준의 기능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기반 AAC의 긍정적인 중재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발달장애학생의 AAC 지원 방안과 발전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 about smart device-based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22 articles from South Korea’s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2011 to 2021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overall trend,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sults. The results suggest that, firs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inly studied, a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design was single subject research.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es has been decreased during the period. Second, intervention strategies diversified including direct instruction, milieu teaching, script activities. Tablet PC and Mytalkie were the major hardware and software for the studies, and the most frequent place of intervention was special school, followed by home, community. Third, the main purpose of intervention wa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low standard, such as to request, to respond and to greet, in addition to cultivating reading skills and meditating problem behaviors. Forth, most researches found a positive intervention effect of smart device-based AAC.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support plan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smart dev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 실태 및 발전방향 탐색

        허유성 ( Yusung Heo ),김정연 ( Jeongyou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등 법적, 제도적 개선 결과로 장애인을 위한 각종 서비스가늘어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역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인간대상 연구윤리를 어떻게 공론화하여 제도화하고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특수교육 공동체 내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한 연구 참여자를 주 대상으로 하는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와 관련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원 석·박사 과정, 국내 특수교육 관련 기관의 연구원,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연구윤리 실태, 지식 및 인식 수준,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해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인식을 물어보는 문항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구체적 경험이나 지식을 물어보는 문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해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개선 노력보다는 개인적, 사회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특수교육 분야 인간대상 연구윤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특수교육 전문가 단체에서 인간대상 연구윤리 원칙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문가 집단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생들은 특수교육 학과에서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영역이 다른 어떤 학문 분야보다 인간대상 연구윤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수행하였지만 국내 어떤 인문·사회분야도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한 준비와 실천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간 대상 연구윤리가 특수교육만의 문제로 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Curr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increased after passing several significant laws and policies. Consequently, researches on people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lated persons also were expanded. However, there are limited researches and dialogues on research ethics, in particular protecting participants in special education field although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critically vulnerable research participants in self- decision on research participation. This study tried to analyze current situations, perceptions, and future efforts in research ethics in special education with current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First, there were discrepancy between general awareness and more detail knowledge about research ethic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many participants in this study emphasized improving individual and social awareness rather than establishing laws and system including training graduate students as well institutionalizing IRB. Third, participants favored more inactive ways in approaching research ethic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researchers in perceiving effective future ways of enhancing research ethics in speci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