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쟁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정겸(Kim, Jeong Kyoum),김기덕(Kim, Ki Duck),이상선(Lee, Sang Se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나타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쟁점과 그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OVID-19 상황에서 운영된 대학 온라인 수업을 다룬 문헌들을 수집하고,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주요 쟁점과 해결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의 준거 틀은 수업운영, 교수자, 학습자, 인프라 등 4개의 대학 온라인 수업의 운영요소에 기반하여 작성되었다. 연구결과, 도출된 쟁점 및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운영과 관련하여 상호작용 및 학습현황 파악 문제와 수업내용 및 과제의 난이도 및 분량 문제, 토론 학습의 제한 등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는 상호작용 창구 확대, 학습자 반응 시스템(Learner response system) 활용,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과제 제공 등과 함께 적응형 학습 시스템(adaptive learning system) 활용과 모듈화된 수업운영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수자와 관련하여 교수 전문성 부족과 평가방법의 공정성, 콘텐츠 개발 역량 부족 등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는 교수자 및 대학 차원의 노력, 공정한 평가 운영, 우수 사례의 공유 등과 함께 동영상 가이드라인, 수업설계 매트릭스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습자와 관련하여 시험 및 학습 불안, 효과성에 대한 불신 등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는 교수자의 학습 촉진자 역할 수행, 혼합형 수업 운영, 1:1 개별 피드백 등과 함께 현장 전문가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프라와 관련하여 기술적 환경의 불안정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으며, 해결방안으로 LMS 개선 및 지원 인력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and solutions of online courses at universities in the COVID-19 situation. To this end, documents dealing with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operated in the COVID-19 situ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was prepared based on the operating elements of four university online classes: course management, instructor, learner, and infra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course management, issues of interaction, difficulty and quantity issues of course contents and tasks, and restrictions on discussion learning were pointed out as issues. As a solution, the use of an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modular class operation were proposed. Second, in relation to instructors, issue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fairness of evaluation methods and lack of contents development capabilities were pointed out as issues. As a solution, video guidelines and instructional design matrix development were proposed. Third, in relation to learners, anxiety about examination and learning, and distrust of effectiveness were pointed out as issues. As a solution, a plan to utilize field experts was proposed along with the instructor s role as a learning facilitator, the operation of mixed online courses. Finally, in relation to infrastructure, instability of the technical environment was pointed out as an issues. As a solution, LMS improvement and support manpower placement were proposed.

      • KCI등재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김정겸(Kim, Jeong-Kyoum),신현숙(Shin, Hyun 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아 44명을 대 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7주간 전래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 활동 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조성,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보다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 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동억제력, 낙관 성,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래놀 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44 children were used in a study in the Korean traditional play program. The program was held 2 times per week for 7 weeks and was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ecuted Korean traditional play in comparison to the ordinary outside play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sub-factors of social abilities of scrupulosity, cooperation and sociability; it found that Korean traditional play had a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skills in contrast to ordinary outside play. Also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ecuted Korean traditional play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ecuted ordinary outside play. This shows there is a positive effect in the increase in resilience from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resilience sub-factors of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control impulse, optim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mpathy skill, efficacy and active participation to challenges. In other words, Korean traditional plays had a positive effect on a sub-factor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emotional control.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습센터 활용의도 관련 변인 간구조적 관계 분석

        김정겸(Kim Jeong kyo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교수학습센터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 행연구 검토를 통해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이들 변인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명의 대학생으로부터 개 인적 특성(자기효능감, 혁신성향), 사회적 특성(주관적 규범, 홍보, 지원), 혁신수용 (사용 용이성, 상대적 유용성), 활용의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변인 즉 자기효능감과 혁신성향은 사 용 용이성, 상대적 유용성을 포함하는 혁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은 혁신수용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혁신성향이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적 특 성변인이 교수학습센터 활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지만, 혁신수 용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특성변인 중 주관 적 규범과 홍보는 혁신수용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나, 지원 요인 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규범과 홍보는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혁신수용과 활용의도 간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었으나 사회적 특성과 활용의도 간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의 교수학습센터가 학생지원 전략을 구안하는데 많 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that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CTL)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and to examine their direct/indirect relationship through the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the self-efficacy, inclination of innovation, subjective norms, public relation, support, ease of use, relative advantage, the intend of utilization inventory from 198 university students. Various data was analyzed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SEM by the problems of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is research results, first, personal factors(self-efficacy and, inclination of innovati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 on innovate factors(ease of use, relative advantage). Personal factors was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innovate factor. Second, personal factors(self-efficacy, inclination of innovati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 on the intend of utilization. Personal factors was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intend of utilization, but personal factors was found to have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d of utilization through the innovate factor. Third, subjective norms, public relati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 on innovate factors. But, support was not found to have influence on innovate factors. Fourth, subjective norms and public relati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 on the intend of utilization. And the innovate factors was not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intend of utilization, but social factors was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intend of utilization.

      • KCI등재

        직장보육시설 위탁 운영 어린이집 학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정겸(Kim, Jeong-Kyoum),강영식(Kang, Young-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의 위탁운영형태별 이용 만족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국․공․사립 이용학부모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전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보육요인으로서 위탁․직영 모두 보육 환경, 보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보육 운영 요인이 잘 되어 있을수록 시설, 프로그램, 운영, 보육 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들 관계의 충족에 따라 직장 보육시설의 이용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보육시설 운영에 따른 차이비교에서도 규모에 있어 50~74명 규모가 가장 선호되고 직장 내 직접 운영보다 전문보육기관에 위탁이 선호되고 소재지 또한 직장 내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의 영유아부모들의 맞벌이 추세의 증가에 따라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다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알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시설보다 50명 내외 중소규모가 선호되고 전문위탁운영기관에 의한 위탁을 통해 보육프로그램, 시설, 양질의 교사확보 등이 선행될수록 만족도 또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parents' satisfaction of contracting-out system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400 parents who use national, public and privat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factors were the qualities of childcare environment, childcare program and early childhood teacher in both contracted-out and in-house services. The satisfaction with facility, program, operation and childcare training was improved in goo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could improve the expectation for the us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ize was 50 to 74 children. The contracted-out services was more preferred than in-house services. And the location of on-the-job facility was more preferred than off-the-job facility. As stated above, the preferenc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was more raised than that of general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by an increase in the trend of working child parents' dual income. In other words, small and medium sized childcare centers of some 50 children were more preferred than large scaled childcare centers. Consequently, the retainment of childcare programs, facilities and quality teachers contracted out to professional childcare centers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m.

      •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김정겸(Jeong-Kyoum Kim),유재령(Jae-Ryeong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와 정서노동이 교사 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전시와 충청남북도소재 유치원 과 어린이집의 교사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정서노동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상황에 알맞은 정서노 동이 교사의 효율적인 교수와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교사효능감과 교 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을 긍정적인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겸(Kim, Jeong-Kyoum),이주연(Lee, Ju-Y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사고양 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이기 위한 내적변인임을 밝혀 유아교사에게 맞는 적절한 사고양식과 인성개 발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연구대상은 대전,충남.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 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346명의 유아교사들이다.연구결과 첫째,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의 관계에서는 사고양 식의 사법적,군주제,전체적,내부적,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교사의 인성개 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둘째,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긍정적 으로 미치는 영향은 전문의식에는 사법적,내부적 사고양식과 일반적 교사효능감,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교육애에는 입법적, 내부적,보수적,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열정에는 입법적,군주제,무정부제,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 적 교사효능감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가 특정 사고양식을 발휘하고 인성개발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hinking styles and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of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o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with the intention of clarifying that these two factors of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are important internal variables in enhancing their dedication to teaching, and to seek ways of finding thinking styles and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ppropriate for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at nursing school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aejeon, Chungnam, and Chungbuk were chosen as the study o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s commitment to teaching was in close relation to their judicial, monarchy, totalitarian, intern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As for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personal efficacy and dedication to teaching show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This indicates that as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preferred certain thinking styles,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also could be enhanced, and that as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personal efficacy was high,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was enhanced as well. Second, as for the positive effect of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thinking styles and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o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it turned out that such factors as judicial and internal thinking styles, common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affected professional recognition, such factors as judicial, internal, conservative, liberal thinking styles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influenced their affection for teaching, and such factors as legislative, monarchy, anarchic, and liberal thinking styles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affected zeal.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행동 관련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 연구 추이 및 유형에 대한 종단적 탐색 연구

        김정겸(Kim, Jeong-Kyoum),강영식(Kang, Young-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유아의 문제행동변화를 종단적 탐색연구를 통해 그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는데 결과를 보면 1970~1990년도 전체 41개 요인에서 1990~2000년대 62개요인 2000~2010년에 93개 요인으로 나타내 초기 연구에 비해 관련 영향요인이 2000년대 이후 두 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내 그만큼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요인의 비중에 있어서도 부모의 도덕적 사고관이 가장 높고 그리고 유아에 대한 부정적 사고나 정서가 더 높아 유아 자신의 기질이나 태도보다 부모의 유아에 대한 양육 태도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영향요인과 원인 규명에 있어 초기연구들은 유아 개인에 정신 건강적 측면에서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는 경향이 높았으나 2000년대 이후 들어 유아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 가정환경, 어린이집 이용환경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회적 환경과 또래, 교사관계 등의 비중이 높아져 이에 따른 대체 자원 또한 시대적 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 야 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for implications through longitudinal exploratory research on the change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their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rose to 62 factors between 1990 and 2000, and 93 factors between 2000 and 2010 from total 41 factors between 1970 and 1990, which they were more than doubled after the 2000s compared with the earlier studies, subdivid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propor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that parents' moral thinking had the highest, and their negative thinking or emotion for children were higher than their moral thinking, which their problem behaviors were more greatly affected by parenting attitudes toward them than their own temperament or attitudes. The earlier studies were more likely to find the cause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looking into the factors and causes influenc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erms of children's personal mental health, but there was more proportion of social environment,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while soaring family, relationship, home environment and child care center environment factors as well as children's personal factors after the 2000s. Consequently, the alternative resources or the environments of the times should be applied in other ways.

      • KCI등재

        학습여건에 따른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탐색: 주,야간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정겸 ( Jeong Kyoum Kim ),정회인 ( Hoe In C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여건에 따른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여건에 따른 맞춤형 이러닝 학습지원 전략을 도출하여, 학습자의 이러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만족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콘텐츠 요인, 상호작용 요인, 시스템 요인의 3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별로 하위 요인을 선정하여, 주·야간 3, 4학년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닝 만족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콘텐츠 요인, 상호작용 요인, 시스템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학생들의 이러닝 만족요인 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콘텐츠 명확성, 콘텐츠 타당성, 콘텐츠 풍부성, 시스템 접근성, 학습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 및 학습자와 교수자간 상호작용, 시스템 안정성,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만족요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주·야간학생별로 분석한 결과, 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주·야간 학생 모두 학습내용에 해당되는 콘텐츠 명확성을 중요한 이러닝 만족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주간학생의 경우에는 콘텐츠와 관련된 요인을 야간학생의 경우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시스템 요인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야간 학생 모두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요인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 성공적인 이러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느 요인에 어느 정도의 상대적 중요도를 가지고 지원할 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생들의 학습여건에 따라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차이를 고려하여 자원을 배분하는 데 있어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ve importance in E-learning depending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which, to create learning-assisted strategy of customized E-learning in line with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and to provide plan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in E-learning. To achieve this, literature review on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and Delphi Technique were performed to select three major factors: factor of contents, factor of interaction, and factor of system. In addition, sub-factors were selected depending on each factor to conduct a survey targeting three hundred full-time and part-time university students ranging from junior to seni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consist of factor of contents, factor of interaction, and factor of system in sequence of relative importance. Also, relative importance on components of total students`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were in sequence of as followings: clearness of contents, validity of contents, richness of contents, accessability of system, interaction with learners and contents/ learners and instructors, stability of system,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on component of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full-time and part-time students, which provid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all students, either full-time or part-time students, recognized clearness of contents and contents of learning as the most important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In specific, full-time students relatively importantly recognized factors related with contents. However, in the case of part-time students, they relatively importantly recognized factors associated with both interaction with instructor and system. On top of that, it turned out that factors of learner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ere not relatively important for both studen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e very essential data for university to decide which factors they assist and more, to what extent of relatively importance they do for successful E-learn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reasonable ground to distribute resources considering relative importance and the difference of priority of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depending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혼합학습 환경에서 비만학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김정겸 (Jeong Kyoum Kim),이은선 (Eun Sun Lee) 韓國學校保健學會 2006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9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available f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hich referred to a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learning. And it's also intended to verify its effect to boost the efficiency of obese school children's learning about obesity. Methods : The subjects were 52(experimental group=21, control group=31)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were overweight or obese children. The data was analyzed by ANCOVA. Results : The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blended learning setting wasn't more conducive to lowering the obesity level of the obese students than the typical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But the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blended learning sett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ypical one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the obese students about obesity, and in enhanc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Conclusion : As the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blended learning setting was effective in boosting the relevant knowledg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put into developing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for both online and offline to help students to access information on obesity and manage it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