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여건에 따른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탐색: 주,야간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정겸 ( Jeong Kyoum Kim ),정회인 ( Hoe In C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여건에 따른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여건에 따른 맞춤형 이러닝 학습지원 전략을 도출하여, 학습자의 이러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만족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콘텐츠 요인, 상호작용 요인, 시스템 요인의 3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별로 하위 요인을 선정하여, 주·야간 3, 4학년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닝 만족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콘텐츠 요인, 상호작용 요인, 시스템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학생들의 이러닝 만족요인 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콘텐츠 명확성, 콘텐츠 타당성, 콘텐츠 풍부성, 시스템 접근성, 학습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 및 학습자와 교수자간 상호작용, 시스템 안정성,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만족요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주·야간학생별로 분석한 결과, 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주·야간 학생 모두 학습내용에 해당되는 콘텐츠 명확성을 중요한 이러닝 만족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주간학생의 경우에는 콘텐츠와 관련된 요인을 야간학생의 경우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시스템 요인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야간 학생 모두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요인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 성공적인 이러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느 요인에 어느 정도의 상대적 중요도를 가지고 지원할 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생들의 학습여건에 따라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차이를 고려하여 자원을 배분하는 데 있어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ve importance in E-learning depending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which, to create learning-assisted strategy of customized E-learning in line with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and to provide plan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in E-learning. To achieve this, literature review on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and Delphi Technique were performed to select three major factors: factor of contents, factor of interaction, and factor of system. In addition, sub-factors were selected depending on each factor to conduct a survey targeting three hundred full-time and part-time university students ranging from junior to seni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consist of factor of contents, factor of interaction, and factor of system in sequence of relative importance. Also, relative importance on components of total students`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were in sequence of as followings: clearness of contents, validity of contents, richness of contents, accessability of system, interaction with learners and contents/ learners and instructors, stability of system,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on component of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full-time and part-time students, which provid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all students, either full-time or part-time students, recognized clearness of contents and contents of learning as the most important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 In specific, full-time students relatively importantly recognized factors related with contents. However, in the case of part-time students, they relatively importantly recognized factors associated with both interaction with instructor and system. On top of that, it turned out that factors of learner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ere not relatively important for both studen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e very essential data for university to decide which factors they assist and more, to what extent of relatively importance they do for successful E-learn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reasonable ground to distribute resources considering relative importance and the difference of priority of E-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depending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문제행동유아의 행동원인에 대한 부모-교사의 인식수준과 교사의 지도전략에 관한 연구

        김정겸(Joeng Kyoum Kim),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차이 연구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부모와 교사 간 인식차이 분석 결과 유아의 모든 문제행동 유형에 대하여 부모와 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고 특히 부모보다 교사들이 문제행동에 대해서 비교적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 지도전략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에 있어서도 유아의 지도전략에 대해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있어, 반응적 상호작용과 교육기관에서의 예방실제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부모보다 교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정서 전략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원래 유아들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통제관리 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편중된 지도전략보다 사회 정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통적 지도전략에 바탕을 두되 교사·유아 간 발생되는 문제행동 유형과 대상유아에 따라 반응적 상호작용하는 지도전략이 선호되고 특히 돌출문제 행동이 많이 발생하는 유아의 행동 특성을 고려할 때 돌출문제 유아의 행동억제와 예방에 중점을 둔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과 예방실제 지도전략이 선호되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all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Especially, teachers had more recognition about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an parents. And the reactive interaction and the actual preven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preferred in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a teaching strategy for children, such that teac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recognition about a teaching strategy for children than parents di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ategy for social emotion. This means that teachers should originally control and manage various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 common teaching strategy, which is socio-emotionally recognized, rather than the biased teaching strategy. But the teaching strategy of reactive interaction is preferr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roblem behavior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children who show problem behaviors. Especially, teaching strategies of reactive interaction and actual prevention focused on the inhibition and preven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re preferred in light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many unexpected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직무역량 탐색

        김정겸(Kim, Jeong-Kyou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논문은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들이 바라는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무자의 직무수행 역량 요 인은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규명하였다. 이들 직무역량을 기초로 하여 대전?충남지역의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수행 역량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무자에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기초역량, 기획? 분석역량, 프로젝트 운영관리역량, 평가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직무 역량에서 실무자가 지각하는 가장 높은 요 인은 다음과 같다. 기초역량에서는 변화와 혁신의 태도 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기획?분석 역량에서는 수업분석 및 컨 설팅, 운영관리역량에서는 인력관리 그리고 평가역량에서는 매체효과성평가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교수학습지원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수학습지원센터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 풀을 구성하 고,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역량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job competence of the staff at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CTL) in university and to find out the level of job competence, which has been asked to the staff of the CTL. For that, the factor of the job competence, whichis required of the staff of the CTL, was inquir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job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d the required job competence of the staff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job competence required of staff are thebasic job competence, planning-analysis job competence, management job competence for the project, and evaluation job competence. The first factor in basic job competence is the attitude tochange and innovation. In the planning-analysis job competence, the first factor is an analysis and consultation of instruction. In managing the job competence for the project, the first factor is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first factor in evaluating the job competence is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 Therefore, to revitalize the CTL, there is a need to organize an expert pool, plan and support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김정겸(Jeong-Kyoum Kim),유재령(Jae-Ryeong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와 정서노동이 교사 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전시와 충청남북도소재 유치원 과 어린이집의 교사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정서노동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상황에 알맞은 정서노 동이 교사의 효율적인 교수와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교사효능감과 교 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을 긍정적인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이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정겸(Joeng Kyoum Kim),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문제행동유형이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대전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 재직 중인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대처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문제 행동 유형에 따른 교사의 대처전 략 또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과 적합성을 갖고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대가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들의 문제 상황 발생 시 뛰어난 대처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체로 유능한 교사의 행동이 유능하지 않은 교사에 비해 벌을 세우거나 체벌을 가하는 경향이 낮은 것으 로 나타났고 다소 큰 목소리로 꾸짖거나 안된다고 일러주는 대처방법은 대체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확하 게 짚어주거나 유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상황을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그러한 대처전략만이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경고를 주고 정확하게 안 된다고 일러주는 것 또한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유아 교사에게 있어 경력과 전문적 지식이 중요한 요인 으로 작용하고 다양한 전략이 응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on the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involv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90 teachers involved in ECE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se teachers have a professionalism and suitability for their career and excellent ability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children in this age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competent teachers had less tendency to put children in the corner or give physical punishment to them than incompetent teachers. Competent teachers didn't use coping strategies involving scolding or saying no with a somewhat loud voice, but rather pointed to each word accurately or helped the children express their feelings and understand their situation. However, their coping strategies may not always be suitable in all situations. When necessary, saying no accurately with an accompanying warning is also important. Consequently, career and professional knowledge are important for teachers involved in ECE, and it would be useful to collate the diverse strategies that they use.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정겸(Kim, Jeong-Kyoum),강영식(Kang, Young-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들의 문제행동 척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 유아 교육전공 교수 세 그룹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70년대 부터 현재까지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측정척도 는 문항 209개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 관련한 5개 영역 총 209개의 항목 가운데 96개가 주요항목으로 채택되었다. 이들 하위 요인별 채택된 내용을 보면 또래 관계의 40항목 중 17개가 채택되고 발달영역 또한 41개 항목 중 13개 항목이 기본생활습관 50항목 중 20개 항목, 도덕성이 38개 항목 중 22개 항목, 정서적 항목의 40개 항목 중 24개 항목이 채택되었다. 이 중 가장 많은 항목이 채택된 문항은 정서적 요인이었으며 가장 많이 기각된 것은 발달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발달기 유아의 내면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부분은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한 불안, 위축, 돌발 행동, 부모나 교사에 의존, 둔하된 저행동 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raw a scale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on experts from three groups of daycare center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majored professors. A total of 209 items were measured by the scale for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rom the 1970s to now. The results showed that 96 of a total 209 items in 5 categories related to the scale for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ere adopted as major items. Using these 96 major items in 5 categories, 17 out of 40 items in a peer relationship category, 13 out of 41 items in a development category, 20 out of 50 items in a fundamental habit category, 22 out of 38 items in a morality category, and 24 out of 40 items in an emotion category were adopted. Most items were adopted in the emotion category, whereas most items were rejected in the development categor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ir problem behaviors are caused mainly by anxiety, shrinking, unexpected behaviors, dependence on parents or teachers, and slow behaviors due to the latent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at the developing stag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사용 경험

        김정겸(Kim, Jeong-Kyou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9

        학교교육행정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국가교육행정정보시스템(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 NEIS) 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NEIS의 시스템적인 측면과 사용상의 용이성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정작 이 시스템을 사 용하고 있는 교사들이 시스템 사용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2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 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업무체제 효율화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시스템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1) 적극적 수용형 2) 현실 적 수용형 3) 소극적 수용형 4) 부정적 수용형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는 NEIS는 행정업무 효율화 뿐 아니라 학교조직 문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교사의 NEIS 수용 유형을 고려한 교육행정 업무 환경이 조성될 필요 가 있음을 시사한다.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NEIS is administered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service. There have been some researches about the NEIS system and the easiness of the use. However there was no study about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e use of the NEIS syste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eachers' subjective experience in the use of NEIS system. For this, researcher had depth interviews with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collect data and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the Groun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he expectation for the efficiency of NEIS in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of NEIS, are sorted into the following types. 1) A type of positive acceptance 2) A type of realistic acceptance 3) A type of passive acceptance 4) A type of negative accept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ors need to suppor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se of NEIS depend on the four types of the acceptance.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김정겸(Kim, Jeongkyoum),김기덕(Kim, Kiduck),이상선(Lee, Sangs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Chen(2016)의 ICCEE 모형을 준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운영하였던 경험에 대해 자전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존 수업의 수업목표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온라인 수업의 유형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식으로 결정하였다. 수업내용은 수업목표와 동일하게 기존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LMS와 e-mail을 기술적 도구로 선정하였다. 기존 수업의 플립드 러닝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동영상 콘텐츠와 과제 수행을 병행하는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이후 강의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모듈화와 구체적인 사례가 추가되었으며,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오픈북 기반 시험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실천 과정에서는 상호작용 및 학습 참여와 공평한 시험 응시를 위한 다양한 실천들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이 실현되고 있으며, 학습자를 배려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내용 전달에 치중한 강의자료의 개발과 평가, 상호작용 감소 등의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실시간 소그룹 토론활동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간 분배,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online clas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n instructor who changed their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experiences of designing and operating onlin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explored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case by using Chen (2016) s ICCEE model. As a result, in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researcher maintained the goals of previous classes and employed the type of non real time online classes. The contents of classes remained the same, and LMS and e-mail were selected as new technical tools. To achieve similar effects as flipped learning in previous classes, a teaching strategy combining video contents and task performance was established. Since then, modularization of contents and specific cases have been add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cture materials, and open book test questions have been developed to secure fairness for student evaluation.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online courses, various practices were carried out for interac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fair examinations. As a result, researchers confirmed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are being realized through online classe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continuous efforts considering learners. However,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evaluation, and reduction of interaction of lecture materials focused on content delivery were identified, and real-tim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ime distribution for emotional interaction, and application of learner-led customiz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mitigate the problems.

      • KCI등재

        직장보육시설 위탁 운영 어린이집 학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정겸(Kim, Jeong-Kyoum),강영식(Kang, Young-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의 위탁운영형태별 이용 만족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국․공․사립 이용학부모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전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보육요인으로서 위탁․직영 모두 보육 환경, 보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보육 운영 요인이 잘 되어 있을수록 시설, 프로그램, 운영, 보육 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들 관계의 충족에 따라 직장 보육시설의 이용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보육시설 운영에 따른 차이비교에서도 규모에 있어 50~74명 규모가 가장 선호되고 직장 내 직접 운영보다 전문보육기관에 위탁이 선호되고 소재지 또한 직장 내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의 영유아부모들의 맞벌이 추세의 증가에 따라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다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알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시설보다 50명 내외 중소규모가 선호되고 전문위탁운영기관에 의한 위탁을 통해 보육프로그램, 시설, 양질의 교사확보 등이 선행될수록 만족도 또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parents' satisfaction of contracting-out system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400 parents who use national, public and privat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factors were the qualities of childcare environment, childcare program and early childhood teacher in both contracted-out and in-house services. The satisfaction with facility, program, operation and childcare training was improved in goo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could improve the expectation for the us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ize was 50 to 74 children. The contracted-out services was more preferred than in-house services. And the location of on-the-job facility was more preferred than off-the-job facility. As stated above, the preferenc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was more raised than that of general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by an increase in the trend of working child parents' dual income. In other words, small and medium sized childcare centers of some 50 children were more preferred than large scaled childcare centers. Consequently, the retainment of childcare programs, facilities and quality teachers contracted out to professional childcare centers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m.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쟁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정겸(Kim, Jeong Kyoum),김기덕(Kim, Ki Duck),이상선(Lee, Sang Se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나타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쟁점과 그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OVID-19 상황에서 운영된 대학 온라인 수업을 다룬 문헌들을 수집하고,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주요 쟁점과 해결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의 준거 틀은 수업운영, 교수자, 학습자, 인프라 등 4개의 대학 온라인 수업의 운영요소에 기반하여 작성되었다. 연구결과, 도출된 쟁점 및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운영과 관련하여 상호작용 및 학습현황 파악 문제와 수업내용 및 과제의 난이도 및 분량 문제, 토론 학습의 제한 등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는 상호작용 창구 확대, 학습자 반응 시스템(Learner response system) 활용,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과제 제공 등과 함께 적응형 학습 시스템(adaptive learning system) 활용과 모듈화된 수업운영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수자와 관련하여 교수 전문성 부족과 평가방법의 공정성, 콘텐츠 개발 역량 부족 등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는 교수자 및 대학 차원의 노력, 공정한 평가 운영, 우수 사례의 공유 등과 함께 동영상 가이드라인, 수업설계 매트릭스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습자와 관련하여 시험 및 학습 불안, 효과성에 대한 불신 등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는 교수자의 학습 촉진자 역할 수행, 혼합형 수업 운영, 1:1 개별 피드백 등과 함께 현장 전문가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프라와 관련하여 기술적 환경의 불안정이 쟁점으로 지적되고 있었으며, 해결방안으로 LMS 개선 및 지원 인력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and solutions of online courses at universities in the COVID-19 situation. To this end, documents dealing with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operated in the COVID-19 situ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was prepared based on the operating elements of four university online classes: course management, instructor, learner, and infra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course management, issues of interaction, difficulty and quantity issues of course contents and tasks, and restrictions on discussion learning were pointed out as issues. As a solution, the use of an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modular class operation were proposed. Second, in relation to instructors, issue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fairness of evaluation methods and lack of contents development capabilities were pointed out as issues. As a solution, video guidelines and instructional design matrix development were proposed. Third, in relation to learners, anxiety about examination and learning, and distrust of effectiveness were pointed out as issues. As a solution, a plan to utilize field experts was proposed along with the instructor s role as a learning facilitator, the operation of mixed online courses. Finally, in relation to infrastructure, instability of the technical environment was pointed out as an issues. As a solution, LMS improvement and support manpower placement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