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내산 진공 포장 냉장 돈육 등심의 미생물 수준에 의한 유통기한 설정

        김일석,민중석,이상옥,신대근,이정일,이무하 ( I . S . Kim,J . S . Min,S . O . Lee,D . K . Shin,J . I . Lee,M . Lee ) 한국축산학회 1998 한국축산학회지 Vol.40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acuum packaged chilled pork loins and to establish their shelf-life for export. The samples were stored at 0℃±1(A and B companies) and 2℃±1(C and D companies). In the analysis of microorganisms, their total plate counts did not reach 1×10^6CFU/㎠ until 30 days. Psychrotrophic microbes of the samples were over 1×10^6CFU/㎠ at 30 days. The anaerobic microbes were over 1×10^6CFU/㎠ at 30 days in samples stored 2℃ and reached 1×10^6CFU/㎠ at 4s days in simples stored 0℃. Shelf-life was 33∼42 days during storage at 0℃ and 26∼34 days at 2℃.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R²) of regession equations from shelf-life were 0.8690∼0.9553 in total plate count, 0.7634∼0.8632 in psychrotrophs and 0.7140∼0.9203 in anaerobic bacteria.

      • KCI등재
      • KCI등재
      • 무항생제 돈육 및 무농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구매 선호도 및 인식도

        김일석,하창주,진상근,이신우,이정일,이문희,허순구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7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4

        무항생 돈육 및 무농약 인증 농산물에 대한 인식도와 인지경로 조사결과, 무항생제 돈육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다는 질문에 75%, 무농약 인증 농산물은 61.4%가 그렇다라고 답하였다. 무항생제 돈육 인지경로에 대한 물음에 TV/라디오가 38.1%, 신문이나 잡지광고가 33.3%로 나타났다. 무항생제 돈육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 46.4%가 신뢰, 13.6% 불신뢰, 40.0% 무응답으로 나타나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농약 인증 농산물에 대해서는 각각 47.9, 17.1, 35.0%로 무항생제 돈육에 대한 신뢰도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무항생제 돈육 및 무농약 인증 농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육제품의 구입의향은 적극적인 구입의사가 22.1%, 구입한다가 43.6%로 나타났다. A total 140 housewives in Gyoungnam province were surveyed. About 75% consumers expressed that they listen about antibiotics-free pork by acknowledged 38.1% from TV/radio and 33.3% from newspaper/magazine. The investigation of confidence was found in confidence (46.4%), non-confidence (13.6%) and non-answer (40.0%) by antibiotics-free pork. Also, the pesticide-free agriculture products were found in confidence (47.9%), non-confidence (17.1%) and non-answer (35.0%), similar as antibiotics-free pork appearance of results. Again, consumers purchase thought antibiotics-free pork and pesticide-free agriculture products were found positive (65.7%).

      • KCI등재

        수출용 진공포장 야끼부다 제품의 냉장저장 중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김일석,진상근,하경희,류현지,박기훈,정구용,Kim Il-Suk,Jin Sang-Heun,Hah Kyoung-Hee,Lyou Hyun-Ji,Park Ki-Hoon,Chung Ku-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4{\pm}1^{\circ}C$에서 40일 저장되는 동안 수출용 진공 포장 야끼부다 제품의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된 제품은 일본인이 선호하는 육제품으로 안심 야끼부다(T1), 등심 야끼부다(T2), 뒷다리 야끼부다(T3) 3종이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 40일차에는 T2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모든 처리구에서 TBARS와 VBN값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보수력은 T1 $81.41{\sim}92.20%$, T2 $81.13{\sim}94.51%$, T3 $82.93{\sim}87.50%$ 범위로 나타났다. 전단가는 T3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전 저장기간 동안 더 높았다. 총균, 대장균 및 유산균수는 저장 전 기간 동안 $3.0\;log_{10}CFU/g$ 이하로 나타났다. 관능 검사 결과, 모든 제품이 40일까지 5.5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4{\pm}1^{\circ}C$에서 진공포장된 야끼부다의 저장성은 40일까지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n vacuum packaged Yakibuda products for Export during storage at $4{\pm}1^{\circ}C$ for 40 days. Yakibuda, Japanese favorite meat product, were produced with three different pork cuts or tenderloin (T1), loin (T2) and ham (T3). The pH of all produce was tend to increased with increase in storage period. After 40 days of storage, pH of T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BARS and VBN values of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period. The water holding capacity ranged $81.41{\sim}92.20%$ in T1, $81.13{\sim}94.51%$ in T2 and $82.93{\sim}87.50%$ in T3. The shear force of T3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during whole storage time. The number of microorganism (Total plate counts, Escherichia coli, Lactobacilli spp.) were below 3.0 $log_{10}CFU/cm^2$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 In sensory evaluation, the score of overall acceptability were above 5.5 point in all products. The storage properties of vacuum packaged Yakibuda could be maintained for 40 days at $4{\pm}1^{\circ}C$ storage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국내시장에 유통중인 소시지 및 캔류 제품의 품질 비교

        김일석,진상근,하경희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4 No.1

        한국 시장에 유통중인 제품유형이 동일하게 표기되고 제조경과 일자가 유사한 소시지류 [천연장에 충전된 위너소시지(N), 콜라젠 케이싱(collagen casing)에 충전된 비엔나 소시지(C), 셀롤로오즈 케이싱에 충전된 후랑크 소시지(F)] 와 캔류 [스팸류(S), 런천미트류(L), 장조림류(J)] 제품을 각각 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도는 천연장을 이용한 소시지는 4.9∼5.0 범위가, 비엔나 소시지는 6.6과 8.0 수준이, 후랑크후르트 소시지는 5.2와 6.5 수준이었다. 염도는 천연장을 이용한 소시지 제품은 모두 2.0 이하로 나타난 반면, 비엔나와 후랑크후르트 타입의 소시지는 2.0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이 조사 제품의 각각 66.6%, 80.0%로 나타나 천연장 이용 소시지보다 염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H는 대부분 6.0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분함량은 N, C, F에서 각각 57.9∼59.8%, 53.9∼61.4%, 55.3∼62.9%의 범위를 보였고, 조지방함량은 N, C, F에서 각각 14.5∼20.6%, 13.2∼21.7%, 15.3∼24.8%의 범위를 보였다. 육색에서는 천연장을 이용한 소시지의 L*값이 49.8 ∼56.7 범위로 다른 제품군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소시지 제품의 기호도는 조지방 함량과 L*값이 높은 제품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캔 제품에 있어서 당도는 장조림이 6.0∼10.2%로 스팸(6.6)이나 런천미트(5.2∼6.7)보다 높았다. 염도는 스팸류가 2.58∼3.27%로 런천미트(2.09∼2.50%)나 장조림(2.19∼2.79%)보다 높게 나타났다. pH는 스팸과 런천미트가 장조림보다 다소 높았다. 수분 및 조지방 함량은 스팸류가 52.0∼59.2%와 19.6∼28.0%, 런천미트는 55.7∼60.8%, 17.3∼22.1%로 각각 나타났다. 장조림은 수분함량은 69.4∼74.9%, 조지방 함량은 1.5∼8.8%로 나타났다. 육색은 L*값과 a*값에서 스팸류와 런천미트 제품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b*값은 런천미트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제품들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나 염도가 낮은 제품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좋았다. The wienner sausage(natural casing, N), wienner sausage(collagen casing, C), frankfurter sausage(F) and can products[spam(S), luncheon meat(L), jangjorim(J)] were obtained from different Korean meat processing companies and investigated for their salinity, saccharinity, pH, moisture and fat content, meat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In sausage products, the saccharinity percent ranged 4.9∼5.0 in N, 6.6∼8.0 in C, and 5.2∼6.5 in F. The salinity percent of C and F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 The pH values of all sausage product were above 6.0. The L* values of N were ranged 49.8∼56.7, which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C and R The sausage with high content of crude fat and high L*value earn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In can products, saccharinity percentage was higher in J compared to the S and L. The salinity percentage of S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Land J. In meat color, L* and a* valu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S and L, although b* value of L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S and J.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an products, however, the product containing low-salt ha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 KCI등재

        미디어 공간의 상호작용 동인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김일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Space design has a physical form that consis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finishing of the material. The media space that is emerging today is changing the form of space design by the special feature of media. Media space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media, space, and interaction with people by digital technology. Media space is applied to media in physically constructed space, and design elements are expressed in terms of information, technology, sense, and action. As the design elements change, the form of space design by media is directed to interaction. The fusion of space design and media media creates new forms of space design. The interactive form of media that forms the form of change between space and man changes the structure of space desig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lements of design through the use of media that are influenced by the media that are represented by digital technology. Thus, the types of interaction represented by the media are analyzed, and the interaction types of the space design by the media are classified. Through this research, it identifies the changing design elements and forms as the media is applied to the space, and distinguishes the types of interaction of the space design which is expressed by the change motive of the design form element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the spatial form of the space is changed by the form driver, the material driver, the efficiency driver, and the target driver in the space mediated by the object and device media rather than the image centered media. Sensory interaction, material interaction, information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Research has shown that the media space identifies interaction elements of design by form, material, efficiency, and destination drivers. And the design of media space by these drivers is distinguished by four interaction types: sensual interaction, media interaction, information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공간디자인은 구조의 구축과 재료의 마감에 의해 구성되는 물리적인 형식을 갖는다. 오늘날 나타나고 있는 미디어 공간은 미디어라는 특수한 특징에 의해 공간디자인의 형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미디어 공간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미디어와 공간, 사람과 상호작용이라는 형식이 나타나는 특징을 갖게 한다. 미디어 공간은 물리구축적인 공간에 미디어가 적용되어 정보, 기술, 감각, 행위의 측면에서 디자인적 요소들이 표출된다. 이러한 디자인 요소의 변화에 따라 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형식은 상호작용이라는 방식이 연출되고 있다. 공간디자인과 미디어 매체의 융합은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형식들을 만든다. 공간과 사람사이에 변화의 형식을 만드는 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형식은 공간디자인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미디어가 공간디자인의 형식에 영향을 주고 있는 동인을 통하여 디자인 요소를 논증한다. 그리하여 미디어에 의해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여, 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 유형을 구분하고 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는 미디어가 공간에 적용되면서 변화되는 디자인 요소와 형식을 파악하고, 디자인 형식요소의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 유형을 구분한다. 이를 위해 영상중심의 미디어가 아닌 사물적이고 장치적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매개된 공간이 형식동인, 물질동인, 효율동인, 목적동인에 의해 공간의 디자인 형식이 변함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미디어 공간의 상호작용을 감각 상호작용, 물질 상호작용, 정보 상호작용, 행위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상호작용의 유형을 분석된다. 연구에서 확인된 바에 의하면, 미디어 공간은 형식, 물질, 효율, 목적 동인에 의한 디자인의 상호작용 요소가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인에 의해 미디어 공간의 디자인은 감각적 상호작용, 매체적 상호작용, 정보적 상호작용, 행위적 상호작용의 네 가지 상호작용 유형에 의해 구분된다.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