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차원 분석모형을 활용한 디지털교과서 정책 분석

        김유정(Kim Youjung),이정민(Jeongmin Lee),정제영(Jae Young Ch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2025년 본격 도입 예정인 AI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디지털교과서 정책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규범적 차원에서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큰 틀에서 미래 교육의 변혁을 위한 도구로 볼 수 있으며, 시대별로 세부 전략에는 차이가 있었다. 구조적 차원에서는 디지털교과서 관련 법령과 제도가 유연하게 개선되었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중앙정부 주도 하에 정책이 실행되고, 시・도교육청, 학교, 유관기관의 지원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민간기업의 참여가 증가했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정책 도입부터 교사 역량 강화가 강조되었고, 기술 사용에 초점을 맞추던 것에서 교육 혁신을 위한 하이터치-하이테크 역량으로 확장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해관계자 간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유연한 법과 제도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디지털교과서의 현장 안착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중앙정부, 유관기관, 교육청, 학교, 민간기업 간 역할 분담과 협력을 위한 모니터링 체제 구축이 중요하다. 넷째, 하이터치-하이테크 교육 실현을 위해 교사의 역량 강화와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I digital textbooks, which are scheduled to be fully introduced in 2025. To this end, the digital textbook policy changes from the late 1990s to the present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policy analysis framework by Cooper, Fusarelli & Randall (2004).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normative dimension, digital textbook policy can be seen as a tool for transforming future education, with varying detailed strategies over time. In the structural dimension, laws and systems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have become more flexible and improved. In the constitutive dimension, the policy was implemented under the government, supported by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schools, and related institutions, with recent increases in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the technical dimension, the emphasis has been on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from the inception of the policy, shifting from a focus on technology use to high-touch, high-tech capabiliti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four main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essential to clearly set the values and goals of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form a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Seco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flexible laws and systems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Third,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for role division and collaboration among the government, related institutions, educational offices, schools, and private companies is crucial. Fourth,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and foster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re essential for realizing high-touch, high-tech educat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김유정(Youjung, Kim),임경령(Kyungryeong,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수학’과 관련되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둔 ‘유아수학’과 관련된 411편의 논문에 있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출현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유아수학 관련 학술지 논문에서 수학태도, 수학능력, 수학활동의 키워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 키워드들은 다른 키워드와의 연결이 가장 많이 되었으며, 키워드 간의 연결도 가장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물에서 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의 키워드를 1기(2001-2007년)와 2기(2008-2018년)로 나누어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상위권의 키워드에 변화가 나타났다. 1기와 2기 모두 수학능력, 수학활동, 문제해결능력은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다. 1기 때는 역동적 평가, 평가도구, 수학성취 등이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다. 반면 2기 때는 수학태도가 가장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1기 때 나타나지 않은 누리과정이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의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twork of keywords i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related research. To this end, keyword network analysis(frequency of occurrence,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was conducted on keywords of 411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based on the academic paper databas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keywords of mathematics attitude, mathematics ability, and mathematics activity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i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from 2001 to 2018. In addition, these keywords are most frequently linked with other keywords, and are also most frequently linked between keywords. This is interpreted as the influential keyword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related researc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keyword network by dividing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to 1st stage(2001-2007) and 2nd stage(2008- 2018), there was a change in keywords with high influence over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mathematics ability, math ac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keywords with great influence. In the first stage, dynamic evaluation, evaluation tools, and mathematical achievements were keywords with grea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stage, mathematical attitude was the most influential keyword, and the Nuri curriculum that did not appear in the first stage was keyword with great influenc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사의 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 원감 및 교사의 요구도 분석

        김유정(Youjung, Kim),남규(Gue,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유아 교사 역량을 포함시키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원감 및 교사의 요구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및 인천, 대전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장, 원감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18년 11월 2일부터 12월 3일에 걸쳐 배부 및 회수 되었으며 총 17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사의 역량에 대한 설문지의 문항은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되었으며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사와 신뢰도 검증을 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의 요구도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사의 역량의 중요도와 필요수준그리고 현재 수준에서 감성역량, 사회적 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에서는 초학문적 역량의 필요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직급에서는 정보통신역량과 초학문적 역량의 중요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경력에서는 정보통신역량, 초학문적역량, 사회적 역량의 중요도와 필요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th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nclude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curriculum for tra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who work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Daeje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November 2 to December 3, 2018, and a total of 17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on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used after validity test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field thought that the importance, required level and curren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compete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in order of emotion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In the reg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quired level of transdisciplinary competence. In the job pos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ransdisciplinary competence. In the care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required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ransdisciplinary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비유 생성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과학영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유 생성 패턴 분석

        김유정 ( Youjung Kim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이 연구에서는 비유 생성 전략을 개발하여 이를 중학교 1학년 과학영재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에서 5개 소집단의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비유의 유형 및 과학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과비유 생성 패턴 및 비유 생성 전략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비유 생성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과학영재들이개별적으로 생성한 비유는 일반적인 비유 생성 활동에서 보다 질이좋은 유형의 비율이 높았으며, 소집단 활동을 거친 후에는 대부분 가장좋은 유형의 비유를 생성하였다. 과학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각단계의 영역별 하위 범주의 상호작용의 빈도 및 비율에서 약간 다른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소집단별 비유 생성 패턴은 심층적 소재 선택형, 포괄적 소재 선택형, 표면적 소재 선택형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났으며, 각 유형별로 대응 정교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학영재들은비유 생성 전략의 가치 및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유 생성 전략이 더 정교한 비유를 생성하고, 창의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비유 생성 전략은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ogy-generating strategy and applied this to a 7th grade science-gifted class. The types of analogies they generated, verbal interactions and analogy-generating patterns, and perceptions of five groups on the analogy-generating strategy were examin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higher proportion of the elaborated analogies in terms of quality generated by science-gifted students individually in the analogy-generating strategy than in general analogy-generating activity. After having small group activities, most small groups generated the elaborated analogies.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verbal interactions of each sub-stage were found to be slightly different. Analogy-generating patterns in small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electing in-depth source, selecting inclusive source, and selecting surficial source. The elaborating patterns of mapping between a target concept and analogies were different among the types. Science-gifted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in terms of its values and attitudes toward the analogy-generating strategy, and they responded that the analogy-generating strategy was helpful in generating more elaborated analogies and fostering creative thinking. Therefore the analogy-generating strategy is expected to generate positive impact on the creativ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효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근거한 접근

        김정원 ( Jungwon Kim ),김유정 ( Youju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근거하여 구성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능력, 수학적 과정기술, 그리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N구와 Y구에 위치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유아 76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은 만 5세반 유아의 전체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의 하위요인들 중 수와 연산, 측정, 규칙성, 자료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은 만 5세반 유아의 전체 수학적 과정기술과 수학적 과정기술의 하위요인들 중 문제해결하기와 의사소통하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은 만 5세반 유아의 전체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태도의 모든 하위요인들인 수학에 대한 흥미, 유능감, 그리고 끈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mathematics ability, mathematics process skill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of 5-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76 5-year-old children; among these, 37 formed the experimental and 39 formed the control group. A detailed analysis of mathematics ability, mathematics process skill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evels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broad variety of activities using picture-books which were developed based on Nuri-curriculum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16-week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5-year-old children`s levels of mathematics ability, mathematics process skill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 KCI등재

        고등학생이 이온 결합에 대해 생성한 비유의 특징 분석 -학생의 인지적 특성에 따른 비유의 특징 비교-

        김민환 ( Minhwan Kim ),권혁순 ( Hyeoksoon Kwon ),김유정 ( Youjung Kim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온 결합에 대해 생성한 비유의 특징을 비유 생성 개수와 대응 관계 이해도, 비유의 소재와 유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 결과를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와 논리적 사고력, 비유 추론 능력에 따라 비교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39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이해도, 논리적 사고력, 비유 추론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들은 비유를 더 많이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한 비유에 대한 대응 관계 이해도는 논리적 사고력과 비유 추론 능력만 관계가 있었다. 학생들이 비유를 생성하기 위해 활용하는 소재는 조사한 인지적 특성 중 목표 개념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서만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개념 이해도가 높을수록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비유를 생성하였다. 학생들이 생성한 비유의 유형은 일부 인지적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개념 이해도와 논리적 사고력이 높은 학생들이 글과 그림을 모두 사용한 비유를 더 많이 생성하였다. 작위성과 추상도, 체계성의 측면에서 비유의 유형은 인지적 특성과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s generated by high school students to explain ionic bonding in the perspectives of the number of analogs, the understanding of mapping, and the source and type of analogs. We also compared the results by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95 11th grad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the more the students generated the analogs. The understanding of mapping wa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It is noteworthy that the sources of analogs differed only depending on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oncept among the cognitive variables studied.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ptual understanding also generated analogs from more diverse sources. Some types of the generated analogs were related to the cognitive variables. For examples, th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generated more verbal/pictorial analogs. The types of analogs were not related to cognitive variables in terms of artificiality, abstraction, and systemic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방향 탐색

        최현주(Hyunjoo, Choi),김유정(Youj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유아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분야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5일(월)부터 2019년 2월 1일(금)까지 16주간 총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교육에 관심도는 높으나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량 부족,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체계 부재 등으로 인해 실제적으로 유아교육이 운영되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들은 본 연구를 통해 경험중심교육, 협동학습교육, 자율적이며 주도적인 교육방법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에 합의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효과적인 유 아교육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우선되어야 할것이며 정책적, 사회적 지원이 모두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this, we conducted a Delphi survey of 12 experts in related fields. The Delphi primary survey was an open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lphi 1st Survey, the second and thir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68 items. The second and third surveys consisted of the Likert 5 scale. Based on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through the Delphi third survey, we calculat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onsensus, convergence, and CVR for each items, and final agreement points of experts were derived. As a result, Korea is very interested in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u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limit to actual education due to lack of education competence of teachers and lack of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 systems. Therefore, in this study, it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hould be prioritizes for teacher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nd that it can be done when both policy and social support are achieved.

      • KCI등재

        유아의 어휘습득에 있어서 명시적ㆍ직접적 어휘지도법과 맥락적ㆍ간접적 어휘지도법의 효과의 차이

        이지현(Lee Jeehyun),김유정(Kim You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 활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활동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전통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는 간접적인 어휘지도 방법의 효과와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5세반 유아 120명(실험집단 60명, 비교집단 60명)을 대상으로 8주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책 읽기 활동을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 활동을 수행한 집단과 간접적인 지도 활동을 수행한 집단의 유아들이 어휘 인식, 명명, 정의내리기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명시적 어휘의미 지도 방법이 유아들의 어휘 인식과 어휘 명명 및 어휘에 대한 정의 내리기에 매우 효과적이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적인 어휘지도방법의 효과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유아들에게 가장 적절한 어휘지도 방법으로서 간접적이고 맥락적인 방법과 더불어 의미 있는 상황에서 어휘의 의미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on young children's acquisition of words. The ex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program which was focused on meaning of 56 target words derived from 25 picture book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the subject children during and after the picture book reading. The subjects were 120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2 public kindergartens and 2 private kindergartens in Kyungkido and Seoul. The children had rich opportunities to deal with and discuss about those target words in and out of reading contexts and to use them in various contexts during 8 week period. The subjects were tested for their recognizing, naming, and defining of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useful to enhance children's abilities to recognize, name and define word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referring to the research that showed effects of more indirect vocabulary instruction on young children vocabulary acqui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