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 조성된 습지의 육상곤충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김원장 ( Won Jang Kim ),김원장 ( Jae Ok Kim ),신현상 ( Hyun Sang Shin ),엄한용 ( Han Yong Um ),류성만 ( Sung Man Ryu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습지는 일반적인 육상환경 또는 수환경과는 달리 독특한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는 생태계를 형성 한다. 습지의 동물분류군 중 곤충류는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곤충류들도 각기 서 식처에 따라 종 특이성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식물상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조사 는 인공 간척습지에 분포하는 육상곤충과 수서곤충 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척습지 생태 계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시기 및 지점은 경기도 안산시 소재에 있는 인공 습지에서 생물이 출현하는 계절 적 특성을 고려하여 2012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조사가 이루어졌다. 육상곤충 조사는 이동성을 고려하여 습지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조사지점은 습지의 수로나 웅덩이를 중심으로 1개 지점씩 선정하여 총 4개 지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육상곤충의 채집은 일반적인 채집방법인 포충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으며, 저서성대형무척추동 물의 현장조사는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을 병행하였다. 정량 채집된 육상곤충 및 수서곤충 은 군집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우점도지수, 종 다양도, 종 풍부도, 종 균등도의 4가지 항목을 산출하였다. 육상곤충에 대한 현지조사 결과 10목 45과 85종 883개체가 조사되었다. 분류군별 출현 종 수의 경우, 딱정벌레목이 17종(20.0%)으로 가장 많은 종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파리목과 노린재목이 각각 13종(15.3%), 잠자리목이 12종(14.1%), 메뚜기목이 8종(9.4%) 등의 순으로 확인 되었고,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의 경우, 노린재목이 234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가 조사되었으며, 딱 정벌레목이 180개체, 파리목이 136개체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출현종 조성을 분석한 결과 초지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초지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개 체크기가 작고 군서하는 애긴노린재가 우점종, 말매미충이 아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군집분석결 과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현지조사 결과 2문 3강 7목 14과 17종 307개체가 조사되었다. 딱 정벌레목이 5종(29.4%)으로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잠자리목이 4종 (23.5%), 노린재목이 3종(17.6%)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고, 분류군별 출현개체수의 경우 노린재목이 104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가 조사되었고, 십각목이 ``382개체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정수성 수계 에 널리 분포하는 새뱅이가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섭식기능군 중 잡아먹는 무리(PR)가 12종 (70.6%), Zone 1이 13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조사되었다. 수서곤충류의 경우 4목 11과 14종 (82.3%) 214개체(69.7%)로 비곤충류에 비해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 새만금호 유입부의 수질특성

        재옥 ( Kim Jae-ok ),김원장 ( Kim Won Jang ),조국현 ( Jo Guk Hyun )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6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d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inlet of Saemangeum.. Specifically hourly monitoring(25hr) performed from Feburary 2003 to October 2005. Variation of salinity was no diffirence between at MKB and DJB on the large time of tidal effect on the side DJB was more higher(p<0.01) salinity than MKB by on the small time of tidal effect and rainfall, therefore we know that the tide flow into toward DJB than MKB. Total suspended solids(TSS) increase by turbulence as seawater input.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showed that salinity and TSS factors was opposite to TN and TP factors. Therefore we expecte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high TSS and a nutrient increase and seawater circulation have an effect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dissolved oxygen supply and nutrients dilution. Also, there is very big difference between minimum and maximum values during hourly monitoring(25hr) of TSS(100~800mg/L), COD(4.0~12.0mg/L), TN(3.0~9.0mg/L) and TP(0.2~1.0mg/L) which showed a sine curve 『The lowest-increase-peak-decrease-The lowest』types.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explained by hourly monitoring(25hr) suggests that water quality environments of Saemangeum area may have cycle typical of estuary river depending on tidal effects.

      • KCI등재

        새만금 하구역의 이화학적 환경요인에 따른 수질 평가

        재옥,김원장,조국현,Kim, Jae-Ok,Kim, Won-Jang,Jo, Kuk-Hyun 한국농공학회 200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9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emical water quality by hourly monitoring(25hr) of Saemangeum esturary. For this study, we selected 2 sites like a Mangyong Bridge(St. 6) and Dongjin Bridge(St. 7). Inflow of salt water was not detected during low tide(maximum 553, 508cm) of all stations, while the salinity rises were detected in spring tide(750cm). When 602m of maximum tide was reached, salinity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t St. 7,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St. 6. Therefore, We know that salinity varia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tide height at survey site. Also, significant variance of salinity(p<0.05) was found between St. 6 and St. 7 because dike construction made the flood tide move into the Dongjin river. Total suspened solids(TS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ecause of the river runoff at St. 6, and also the turbulance and resuspension according to salt intrusion at St. 7. During the high tide,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sea seemed to dilute the nutrient but to elevate TSS concentration in St. 7. Silicate 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studied site were decreased by the mixing of sea water, whereas the evident trend of phosphate concentration was not found.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the phosphorus condition. Phosphorus exists inactive when it is affected by hydrated iron and adsorbed onto suspended matters. Compared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t. 6 and St. 7, phys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nd TSS hav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p<0.001), but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St. 6 than St. 7. It could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discharge of fresh water by sewage treatment plants located in St. 6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성과평가를 위한 선행조사 결과

        이승헌 ( Seung Heon Lee ),김원장 ( Won Jang Kim ),이진경 ( Jin Kyung Lee ),이남석 ( Nam Seok Lee ),재옥 ( Jae Ok Kim ),정수 ( Jung Soo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2019 년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우리나라 농업환경보전을 위하여 농업환경 보전 프로그램을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2019년도 5개 마을, 2020년도 20개 시범마을이 선정되어 프로그램이 진행 중에 있다. 2020년 2월에는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수준, 추진실태 모니터링 및 성과 등을 조사하고 항목별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대상지 평가기준의 평가지표는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내 준수•실천 항목 분야를 평가 지표화하여 총 4개 영역, 29개 지표로 하였다. 4개 영역은 주체역량(14개), 지원체계(5개), 계획수립/활동실천(6개), 성과관리(4개)로 구성되고 세부항목에 대한 지표개수는 괄호속에 명기하였다. 평가 시기는 1차년도는 사업전후 2회 실시하고, 2차년도부터는 매년도 11월 사업 종료 시기에 하게 되어있다. 평가자료의 확보는 설문조사(22개)와 행정자료조사(7개)로 한다. 금회 조사는 평가기준이 금년 2월에 확정되어 2020년도 20개 마을에 대하여 참여자 규모 대상마을별 30여명 이내, 지역적 안배(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는 영남지역 제외),친환경인중농가 참여비중을 고려하여 6개 마을(강원 원주 매지마을, 전남 담양 청촌마을, 충북 옥천 장화마을, 전남 강진 안풍마을, 전북 무주 잠두마을, 충북 괴산 신기마을)을 선정하여 사업대상지별 참여자 인식도 등 사업평가 관련 사전평가 조사를 3월10일에서 3월 30일 사이에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조사자는 140명이었고 이중 남자가 75명, 여자가 65명이었다. 조사대상 전체 사업지 주민과 지자체 업무담당자 등을 조사한 결과 총점(100% 만점)이 19.7%로 준비 단계에 해당하였다(기준:준비 40%이하, 육성 70%이하, 안착 70%초과). 사업에 대한 개념과 환경보전형 영농활동 둥에 대한 방법 인지도 등 실천기반 은 낮았으나(45.1%), 사업대상지 주민들의 참여의지(90.3%)는 높게 나타났다. 사업기간동안 인지도 향상을 위해 사업에 참여하는 농업인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업 전반에 대한 교육과 사업 자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 계획되어 있는 1차년도 조사평가 이후 종합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 인공 조성된 습지의 식생 변화 추이

        신현상 ( Hyun Sang Shin ),재옥 ( Jae Ok Kim ),김원장 ( Won Jang Kim ),서정빈 ( Jung Bin Suh ),엄한용 ( Han Yong Um ),지광재 ( Kwang Jae Ji ),재구 ( Jae Ku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습지생태계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조절, 침식 방지 등 환경적으로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 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범지구적 문제로서, 전 세계 모든 나라들은 탄소배출감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습지의 보존과 생태적 관리는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 조성된 간척습지의 조사결과와 더불어 간척 습지의 식 물상을 파악하여 간척습지 생태계의 관리(보존, 건전한 이용, 복원 등)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지점은 경기도 안산시 소재에 있는 인공 조성된 습지에서 2003년, 2008년, 2010 년, 2012년의 식생을 비교·조사하였다. 식생 조사방법은 상관식생에 의한 식물군락을 조사하고, 기존의 식물사회학적 방법(Braun-Blanquet, Z-M학파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입지적 특성을 감안하여 방형구(Quadrat)와 선상법(Line transect method)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인공 조성된 습지에서 조사시기에 식생 변화를 비교한 결과, 가장 넓은 면적을 분포하는 갈대군 락의 경우 2003년, 2008년에 비하여 다소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2003년과 비 교하여 참억새-새군락(4.68%), 아까시나무군락(4.73%), 족제비싸리군락(2.41%) 등의 비율이 증가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기존에 확인되지 않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군락이 2012년도에 확 인되었다(그림 1). 이와 같은 결과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간척습지 내의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목본 류, 중·건생 초본식물 및 귀화식물의 유입으로 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인공 조성된 습지는 생태적 천이와 관련하여 육화가 진행되고, 수생식물의 분포면적 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육상식물이나 외래귀하식물의 분포역이 확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현상은 간척습지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으로 간척습지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