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기술 수용농가의 시범사업 타당성 및 경영성과 분석

        김연중(Kim, Yean-Jung),한혜성(Han, Hye-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기술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마늘주아재배 기술 사업에 대하여 농업경영체의 신기술 수용에 대한 태도, 신기술의 타당성 분석, 기술도입 전후의 경영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마늘주아재배 농가들은 농업 신기술에 대한 요인들 중 기술만족도(4.30)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새로운 것을 적극적으로 선호하고자 하는 혁신성 (4.21)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신기술에 대한 위험에 대해서는 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BMO 모델을 이용하여 마늘 주아재배 기술 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사업 매력도와 적사도가 각각 44점, 45점으로 사업 성공률이 80%이상으로 높았다. 마늘주아 재배기술의 도입 전후의 경영성과 분석에서도 이 사업 참여 농가들은 신기술을 도입 한 후 종구비 절감(43%) 및 수량증가(28%) 등 전반적으로 경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s of experts’ survey for Cultivation techniques of good seed bulb in garlics program, purpose of introdu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this program. As a result of survey on new technology adoption to be cultivated in cultivation techniques of good seed bulb in garlics, technique satisfaction scored the highest with 4.3 points whereas innovation scored 4.21 points. On the other hand, risk scored the lowest with 2.53 points. Also, using BMO model business attractiveness and business fit scored 44 points, 45points respectively. Thus, the project rate of success were analyzed by more than 80 per cent. Finally,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analyzed on the garlic farms by selecting the highest awareness collected. As a result of effects after new technology adoption, 43% of the surveyees stated that the relative management costs dramatically decreased, and increase in production.

      • KCI등재

        농업부문 에너지 소비량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김연중(Yean-Jung Kim),김배성(Bae-S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9

        농업부문의 에너지 관련 정책의 합리적인 수립을 위해서 농업부문의 에너지 수급을 예측하고, 농가 에너지 소비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에너지원별 및 작물별 소비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 기후 온난화에 대응하여 세계는 온실가스를 의무적으로 감축하고자 하며, 우리나라도 202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0%를 감축하기로 하고, 관련법을 제정하였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농림어업부문은 5.2%의 감축목표를 설정하였다. 농업부문 온실가스배출은 에너지 소비와 관련되어 있어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 작물별 및 에너지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업부문 탄소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반이 되는 표본설계에 중점을 두고, 조사 및 추정 오차를 줄이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농업부문 에너지 소비실태 조사를 위한 모집단을 농업총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왜도(Skewness)가 높은 품목과 전국적으로 재배가 분산된 품목들에 대해서는 주산지를 대상으로 표본 추출틀을 설정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한 범위에서 규모를 절사하였다. 표본의 수는 품목별 각 층의 경계를 결정한 이후 95% 신뢰수준을 활용하여 네이만 할당방식에 의해 설정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품목별로 추출된 표본을 이용하여 도출된 추정결과와 모수를 비교·검정하고, 오차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urrent and future energy consumption by farm households for the rational specification of energy related policy in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onsumption by source of energy and by the crops. On the other hand, the world has tried to reduce the production of greenhouse gases and, in line with this,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related legislations to contribute to this reduction (30% reduction in emissionsby 2020). The reduction target of the agricultural sector is specified as 5.2% of the national total. This study focuses on sampling design to determine the energy consumption and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and suggests sever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confidence level and to make a dent survey and estimation errors. The population for the energy consumption survey of the agricultural sector was derived from agricultural census data. In the case of commodities with high skewness, we cut the sample range to within the statistical significant range. The number of samples in each class is specified using the Neyman allocation method and 95% significance level. The estim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opulation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several management methods of sampling errors are suggested.

      • 스마트 농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김연중(Yean-Jung Kim),국승용(Seung-Young Gouk),김용렬(Young-Ryul Kim),이명기(Myung-Gi Lee),김종선(Jong-Sun Kim),김윤형(Yoon-Hyung Kim),민경택(Kyung-Taek Min),지인배(In-Bae Ji),심재헌(Jae-Hun Sim)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현대 농업은 전통적인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6차산업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IT(정보통신)·BT(바이오)·ET(환경)·NT(나노) 등 융합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부가가치 융합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농업과 ICT의 융합은 농림업 생산·유통·소비의 전 과정에 ICT를 접목하여 신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기상이변, 복잡한 유통구조에 따른 고비용 구조, 급변하는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농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농업의 현황, 개념 및 필요성을 정리하고 각 분야별 도입가능 기반 기술 및 국내외 사례 검토를 통해 스마트 농업 도입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주요 시사점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 부문의 경우 스마트 기술은 현재 시설원예나 과수 부문에서 주로 생산비 절감, 노동 부담 절감, 고품질 생산과 품질관리 등에 초점을 맞추어 도입되고 있다. 향후 노지 채소 부문의 스마트 기술 개발 및 보급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축산 부문 스마트 농업 확대를 위해서는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의 구축과 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생산과 유통단계에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생산 부문의 IT를 이용한 가축 환경 모니터링·제어체계 및 성장환경 통합관제시스템을 통한 농장 자동화 시스템을 확대·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유통·가공에서의 IT를 이용한 축산물 물류정보 융합기반 유통 선진화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임업의 경우 스마트 기술은 임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산림경영에 필요한 정보 콘텐츠 구축, 정보통신 인프라구축, 앱 개발, 사용자 능력 배양 등이 시급한 선결 과제이다. 넷째, 농산물 유통과 물류 분야의 스마트 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농산물의 표준·규격화가 확대되어야 하며, 품목별 표준은 농산물의 유통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므로 공동선별을 통해 농산물을 유통하는 조직의 합의를 통해 표준을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농촌 활력을 위해 IT를 활용하여 농촌관광, 귀농·귀촌 지원, 농촌생활지원, 농촌교육, 농촌복지, 농촌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수요자와 원활한 네트워크와 소통을 위해 첨단화된 농촌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농촌주민에 대한 IT 활용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여섯째, 지리정보는 단일 산업보다는 다른 산업과 융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향후 스마트 농업 분야에서 융복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워터그리드의 경우는 인력 및 장비의 효과적인 운용과 물절약을 통한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이용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곱째, 스마트 농업 확대 및 보급을 위해서 기존 농식품 분야 IT 융합 관련사업의 운영 및 활용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농식품 IT 융합 분야의 정부 R&D 투자 확대 및 실용화 제고를 위해서는 R&D 투자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실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는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방식의 추진체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시설원예 농가의 에너지 절감시설에 대한 만족도 분석

        김연중(Kim, Yean-Jung),한혜성(Han, Hye-Sung),최칠구(Choi, Chil-K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에서는 시설감귤농가와 시설포도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업 에너지 절감시설과 신재생에너지원의 이용행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농가들의 에너지 이용행태를 조사한 결과, 농업 에너지 절감 시설과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및 운영 관리 시스템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설감귤 농가와 시설포도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IPA분석 결과에 따르면, 에너지 절감시설과 관련된 항목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중요도는 높았으나 수행도(만족도)는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류비 부담 등으로 인해 재배면적이 감소추세에 있는 시설감귤 농가의 경우 ‘관련 보조시설 확충 지원’이나 ‘기술개발’, ‘저비 용 대체에너지 보급문제’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판단되지만 실제 수행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반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시설포도농가의 경우 ‘에너지 절감시설에 대한 AS 용이성’, ‘지역별 여건을 고려한 지원정책’, ‘절감시설에 대한 기술개 발’에 대해서 모두 우위를 나타냈다. 영농 광열비의 증가는 결국 농가경영에 부담을 증가시키고 대외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현재 농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등유는 열효율적인 면에서 손실이 많기 때문에 경유, 증유 등을 지속적으 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기존 노후화 시설에 대한 개보수 지원과 함께 대체에너지의 보급?확대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issues related to focus on farmers behaviors of energy saving facilitie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of controlled horticulture farmers and economic analysis using an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 on average ranging from 2.33 to 2.56 in a five point Likert-scale on greenhouse mandarin and grape-related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levels were high in the mean rating from 2.69 to 4.8. The results show that energy loss reduction of complementary facility and alternative energy supply support for low cost implementation ar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respondents concerns than performance quadrant Ⅲ.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energy-saving facilities to promote the use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continuously in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AHP기법을 이용한 농업관측사업 중장기 발전방향 탐색

        김연중(Kim, Yean-Jung),한혜성(Han, Hye-Sung),김배성(Kim, Bae-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물 수급 및 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농업경영인과 소비자 등 시장참여자들이 공급 및 수요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수행하고 있는 농업관측사업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농업관측센터 관측요원과 농업관측 자문위원 등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농업관측사업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농업관측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 70명을 대상으로 전자 메일 및 전화조사를 통해 수행하였고, 설문결과 중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응답을 제외 하고 최종 24명의 설문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련 전문가들은 농업관측사업 중장기 발전을 위해서 관측사 업의 적시성과 관측정보의 정밀도 제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농업관측요원들은 적시성 제고를 꼽았으 나, 관련 실무자들(관측자문위원)들은 정밀도 제고가 보다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s of experts’ survey for the agricultural outlook program, and finally suggests the direction and long-term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is program. Agents and consultants in the agricultural outlook center were surveyed in order to develop a long-term plan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this agricultural outlook program, and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70 experts in Agricultural Outlook Center and finally, the statistical effective 24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ts long-term improvement plan was the enhancement of timeliness in overall. Particularly, outlook agents weighted more on timeliness for long-term planning, but consultants on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