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헝가리어 심리동사 문장의 통사구조

        김신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zakdolgozat arra törekszik, hogy bemutassa a pszichológiai (vagyis érzelmeket kifejező) igék szintaktikai szerkezeteit a magyar mondatokban. A cél az volt, hogyan a pszichológiai igék szintaktikai működésének leírását adjuk. Ennek érdekében a dolgozat az X’ elmélet alapján elemzi a különböző példamondatokat. Először a pszichológiai igék szemantikus szerepének és argumentumszerkezetének vizsgálata történik meg, mert minden nyelvben léteznek hasonló érzelmet kifejező igék. Általában a pszichológiai igéknek van egy közös experiens szemantikus szerepe, amelyben az érzelmeket érző, átélő személyeket fejezik ki. Az igék típusa szerint megkülönböztethető célszemantikus szerepeket találunk a magyar érzelemkifejező szavakban. Mivel a pszichológiát reprezentáló igék az érzelem alanyának tárgyát igénylik, a legtöbb ilyen ige tranzitív igeként működik, amely a tárgyeset argumentumát és az alanyeset argumentumát igényli. Ugyanakkor a megfelelő igékhez olyan ragokat használunk, amelyekben egy határozói eset dominál, vagy ahol részeshatározói eset jelenik meg. Van a magyarban egy sajátos pszichológiai ige is, amelyet a „meg-” igekötővel használnak aktív és passzív mediális igei attribútummal. A dolgozat elemzi a magyar pszichológiai igékben használt mondatok szintaktikai jellemzőit. A magyar pszichológiai igéket tartalmazó mondat egy olyan fókuszmentes mondat, amely magukat a pszichológiai igékét erős alanyként használja az experiens pszichológiájának kifejezésére. Ezért a magyar pszichológiai igés mondatokat általában a verbális mondatként (VP) írják le. Ha a mondat alanya korlátozott, akkor azt le lehet írni topikos mondatként (TP), amely a lexikai kategórián túl a funkcionális kategória témakategóriájába tartozik. Azon igekötős mondatokban, amelyeket a „meg-” igekötővel használnak, ez maga a mondat fókuszpontja, de módosítóként elemezzük, mert a szótővel jelentéstani egységet képez. Ezen túlmenően azon típusban, amelyben a részeshatározós argumentum jelen van, azige leírását a birtokos szerkezetben kell leírni, és a mondatelemet a birtokost jelző végződéssel topikos mondatként (TP) lehet leírni, mivel maga határozott főnévi kifejezésként működik. Morfológiai szempontból a pszichológiai igék jellemzői a pszichológiai változás „eredményének” kifejeződései. Emiatt a magyar pszichológiai igék nem a cselekvést leíró igét jellemző-ás/-ésképzőt, ha nem főleg az -at / -et képzőt használják. Ezenkívül az igék a deverbális -alom / -elem végű képzett szavakat is használhatják, melyek elvont, absztrakt, fizikailag nem megfogható képzeteket írnak le. Azonban, ha a pszichológiai igék viselkedési jellemzőkkel rendelkeznek, vagyis ágensi szemantikus szerepre jellemző tulajdonságaik vannak, valamint módosítóval állnak, akkor nominális főnevet használnak -ás/-és képző hozzáadásával. Az igekötős igével álló magyar pszichológiai igék az igéhez csatolt -ás / -és képzővel állapot változást fejeznek ki. Mindkét esetben az igék előtt módosítót használnak. Vannak olyan igék, amelyekben a főnévi származék jelentésében különbözik magától az eredeti pszichológiai, érzelmet kifejező igéktől, függetlenül az ige jelentésétől.

      • MeO-PEG-OMe를 사용한 Benzo-[1,4]-oxazinone 화합물의 마이크로웨이브 합성

        김신형 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1,4]-oxazinone moieties has the possibility of medical supplies and biological active compound. Effective method is that compose using 2-chlorophenol by starting material, uses Smiles rearrangement. The using MeO-PEG-OMe sovent Microwave is strong source of energy that repeatability that can apply to a lot of application field is good. This microwave can reduce reaction time, and reaction process is simple, and have other various kinds advantages as is definite with existent general heating method that can control creation of outgrowth. In this study, composed using general heating method and microwave heating method composing benzo-[1,4]-oxazinone to use Smiles rearrangement, and compared this. And, when using MeO-PEG-OMe sovent, merit will be indicated.

      • Fourier級數의 收斂性에 관한 硏究

        김신형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1807, Fourier asserted that an arbitrary function could be expressed as a Linear combination of sines and cosines. These linear combinations, called Fourier series, have become indispensable tools in the analysis of certain periodic phenomena which have been studied in physics and engineering. Dirichlet, Dini and Jordan contributed to discover sufficient conditions for establishing convergence of the Fourier series for the arbitrary function either at particular points or throughout the interva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sufficient conditions to be satisfied by functions in order that its Fourier series converge at particular points or the interval.

      • 로켓 기반 UAV의 자세제어 시스템 검증을 위한 비행 환경 모사 HIL 시험

        김신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Rocket-based UAVs utilize rocket propulsion to extend the range over which fixed-wing aircraft can fly and increase airtime. Rocket-based UAVs need to make a maneuverable flight with a posture control system to create a ballistic trajectory to the desired target. Developing an Attitude Control System(ACS) that allows such maneuvering flight is necessary. Similarly, since UAVs are flying devices, when flying outdoors, they are exposed to noise like wind and various environments like cargo.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and flight testing of UAVs for controllers operating in these environments. Flying devices, including rocket-based UAVs, need to ensure the robustness of their components, as some system failures can lead to crashes throughout the airplane. HIL systems are well suited for these tests because they can simulate hazardous environment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simulating the aerodynamic environment with a computer model, so it is not as precise as a wind tunnel devi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obustness of the ACS was verified by constructing a device that can perform HIL tests using a wind tunnel device for a rocket-based UAV. Since rocket-based UAVs are not complete and are under development, some parts not involved in the UAV's attitude control system have been replaced with dummy weights to conduct HIL tests. In addition, the HIL components based on the flight test system built i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troduces a flight test system's components and shows how to build the HIL test bench. Determine the flight environment simulated by wind tunnel and the flight test system using Flight simulation of the rocket-based UAV. The body of a rocket-based UAV generates a lift angle of attack of 10 degrees. It holds to an attitude control device when flying at a speed of 10 m/s in a standard atmospheric density environment of 25°C and 1 atmosphere of pressure.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found that the posture control device performed the set role robustly. We also found that it can help increase rocket-based UAVs' controller performance in the same environment.

      • 역사적 예수 문제에 대한 분석적 연구

        김신형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계몽주의를 배경으로 인간의 이성에 바탕을 두고 라이마루스가 처음으로 18세기 후반 역사적 예수라는 횃불을 높이 들었다. 역사적 예수 연구는 원자료의 부족과 삶의 자리의 변화로 처음부터 객관적 과학적인 검증 방법으로는 불가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마루스는 역사적 직관과 상상력, 그리고 주어진 제한된 자료를 분석하여 메시야가 아닌 유대교의 종말론과 묵시문학을 배경으로 활동한 정치적 운동가의 모습을 그려냈다. 이는 초기 교회 공동체에서 형성되어 그 이후 1700여년 동안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도전적인 선언이었다. 프로테스탄트적인 그리스도교의 진리행위로서 역사적 예수 연구는 이후 스트라우스와 바이쓰, 브레데와 쉬바이쳐로 이어져 내려 오면서 회의주의와 철저 종말론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그들이 갖고 있었던 역사적 예수의 재건의 꿈은 양식비평가의 등장과 함께 붕괴된다. 불트만은 케리그마의 예수와 역사적 예수 사이에는 연속성이 없다는 불연속성을 선포한다. 역사적 예수의 재건을 할 수도 없고 할 필요도 없다는 선언이 었다. 이로서 100년이 넘도록 이루어온 역사적 예수의 재건의 희망은 사라져버렸다. 그러나 불트만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케리그마의 역사성을 인정하고 불트만의 불연속성을 비판한다. 피퍼, 케제만, 푹스, 보른캄, 쉬타우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즉 복음서 기자들은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었으므로 케리그마는 신화적인 개념을 선포한 것이 아니며 역사적 인격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선포하는 것이다. 역사적 예수 연구는 200년 동안 독일 신학자들이 주도하였고 연구도 학자들 중심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학문적인 접근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전통이 1985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예수 세미나에 의해 비판을 받는다. 역사적 예수 연구 과정과 결과를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고 개인이 아닌 집단의 이름으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예수의 진정한 언행을 찾기 위한 예수 세미나의 노력은 새로운 기회이면서 동시에 대단히 위험스러운 것이다. 그리고 예수 세미나의 대표적 학자인 보그는 부활절 이전의 예수와 부활절 이후의 예수를 구분함으로서 신앙의 그리스도와 역사적 예수 모두를 인정하는 양시론을 주장한다. 역사적 예수 연구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더라도 본질적으로는 우리 앞으로 걸어오는 그래서 우리의 결단을 촉구하는 예수의 모습임에는 틀림이 없다. It was Hermann Reimarus who flung the torch of historical Jesus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arly Christianity era, and that was motivated and aided by the rationalism of the Enlightenment. He was also the first to grasp the fact that the world of thought in which Jesus moved was essentially eschatological. He claimed that Jesus was not the founder of a new religion, but a political figure set in Jewish eschatological and apocalyptic tradition. He had no predecessors and his task was a fierce polemic. After Reimarus, Frederick Srauss, Johannes Weiss, William Wrede, Albert Schweitzer and other German theologians further developed the study of historical Jesus into thorough - going scepticism and thorough-going eschatology. They were all hopeful of dream that real image of historical Jesus could be reconstructed soon. But this dream has been crushed completely by the form- critics led by Karl Schmidt, Martin Divelius and Rudolf Bultmann . Bultmann declares that the sequence between the kerygmatic Christ and historical Jesus has been severed and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reconstruct it. It seemed all the debates of the last two hundred years were over. But after 30 years of moratorium, he was challenged again by his own disciples led by Piper, Kasemann, Bornkamm, Fuchs , Stauffer, Robinson and Conzelmann. The study of historical Jesus was mostly led by German theologians and within the closed sessions of the univer sities. Since 1985, however, Jesus Seminar, chaired by Robert Funk and led by American biblical scholars lunched a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 for historical Jesus. They searched for the authentic words and deeds of Jesus by color coding ballot and opened their seminar and it s findings directly to lay people. It is a new challenge, indeed. It will serve either a good opportunity or a negative impact. Marcus Borg who represents one of dominant leading biblical scholars maintains in his book, The Meaning of Jesus : Two Vis ions, that Jesus was both a Jewish mystic and a Messiah by distinguishing Him as pre- Easter Jesus and post-Easter Jesus. He approves both kerygmatic Christ and historical Jesus.

      • 중학교 국어 교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신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임을 표방하면서 ‘역량’의 도입이 교과 교육과정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로 학교 현장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여러 쟁점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실제 학교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는 것은 기존의 교육과정의 실천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향후 국가 교육과정을 보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 실천 경험을 살펴보면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이 어떠한 시사점을 갖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국어 교사들이 실천한 역량기반 수업의 계획과 실제, 평가 과정은 무엇인가? 둘째, 중학교 국어 교사들이 역량기반 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역량’을 도입하면서 나타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겪는 변화와 이에 따른 어려움은 실제 교육 현장의 맥락과 과정을 보지 않고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이에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 실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역량기반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실천한 교사의 경험을 연구하고자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이해하기 위해 연구자와 같은 학교에 근무하며 역량기반 수업을 함께 연구한 경험이 있는 서울의 Y 중학교의 박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박 교사와의 심층면담과 수업 자료, 학생 결과물, Y 중학교의 교육과정 문서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국어과 역량기반 수업 실천 사례와 그 실천 경험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문제와 향후 국가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박 교사와 연구자는 ‘시를 중심으로 하는 국어과 역량기반 수업’을 실천하면서 여러 현실적인 문제를 경험하였다. 수업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육 주체인 교사 수준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상의 어려움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핵심 개념’과 ‘역량’에 따른 역량 수업 실천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국어 교과는 의사소통 능력과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인 ‘기능’과 ‘태도’가 강조되는 교과로서 ‘핵심 개념’과 같은 지식적인 측면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개념’을 추출하였고 이를 국어 수업에 구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능과는 별개로 역량을 도입하면서 역량-기능-활동의 관계 구도 하에 교수·학습이 일어나도록 설계하였으나, 실제로 역량과 기능을 구별하기는 쉽지 않았다. 기능-활동과의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던 기존의 수업에 ‘역량’이라는 상위 목표가 생긴 것은 역량과 기능, 활동을 연계한 교수·학습을 위함이었으나, 실질적으로 기존의 기능 중심의 수업과 역량 수업을 다르게 구현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둘째, 역량과 성취기준의 관계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역량기반 수업이 실행되고 있었다. 보이지 않는 학년군별 성취기준의 위계는 여전한데, 총체적인 개념이 역량을 도입함으로써 교사들은 역량기반 수업 실천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교사들은 역량과 성취기준이 상하의 관계가 아닌 상호 영향을 주고 받고 있으나 유기적인 연결의 논리성이 찾기 힘들다고 하였다. 성취기준은 국어 하위 영역에서부터 비롯된 것이고, 역량은 이 모든 것을 연결시켜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 둘을 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처럼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에 역량이 새롭게 도입되어 ‘역량도 있고 성취기준도 살아있는 과도기’가 이어지고 있었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평가 과정은 매우 중요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하였다.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눈에 보이는 평가로 수행평가를 위주로 하고 있었는데, 문화향유 역량과 같은 포괄적인 의미의 기능과 역량은 가시적인 평가가 여전히 어려웠다. 또한 역량에 대한 평가는 절대 평가로서 일정 성취수준에 도달하면 만점을 부여할 수 있었음에도 상대평가를 의식하는 평가 분위기가 여전했다. 이는 ‘평가’라고 하는 상대주의적 틀 속에서 절대주의에 기반한 평가를 해야 하는 문제를 드러낸 것이다. 또한 평가 결과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기대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은 자신이 참여한 활동에서 스스로 만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교사들은 학생들의 활동을 점수로 수치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점수를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박 교사와 연구자의 이후 국어 수업의 개선 사항과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박 교사와 연구자의 이후 국어 수업에서 개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핵심 개념과 기능을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둘째, 역량과 성취기준을 연계한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통합형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의 평가에서 평가 도구를 다양화하고 성취평가제와 같은 절대평가의 취지를 살리는 평가를 하도록 한다.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여러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번에는 박 교사와 연구자의 역량기반 수업 실천 경험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개선에는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여러 층위 간의 긴밀한 협의와 원활한 소통이 일어나야 한다. 둘째, 교과의 고유성을 이해하여 유연한 교과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취지와 의도를 교과서 개발에 충분히 담아내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전달해야 한다. 넷째, 역량의 의미와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성취기준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역량 함양의 평가에서 절대주의 평가인 성취평가제에 근거하여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평가 기준과 그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업을 실천한 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상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박 교사와 연구자는 함께 실천했던 수업을 되돌아보며 앞으로의 국어 수업에 많은 개선점을 생각하게 되었으며, 향후 국가 교육과정에 필요한 조언을 제시할 수 있었다.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 could lead to various issues whil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Examining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applied in the school fiel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applied and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it while exploring the experience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o explore in-depth the implications of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process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mplemented by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fac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n order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Korean language competency-based classes and studie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racticed them. In order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depth 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fiel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Park teacher of Y Middle School in Seoul, who worked at the same school as the researcher and had experience in researching competency-based classes together.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 Park and the curriculum documents of Y Middle School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practicing Korean language competency-based classes. Throug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Teacher Park and the researcher experienced a number of practical problems while practicing “Korean language competency-based class focusing on poetry”. Based on the experience in class practice,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the teacher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an internal contradiction was revealed by the introduction of ‘key concepts’ and ‘competency’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cond, competency-based instruction was being conducted withou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re is a lack of evaluation metho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improvement matters of later Korean language classes by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The matters to be improved in later Korean language classes by teacher Park and research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cond,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to link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in evalua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diversify evaluation tools and conduct absolute evalu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various abilities by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This time, we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from the experience of the competency-based class practice of teacher Park and the researcher. First, in the course of curriculum development, close consultation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levels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ose a flexible curriculum by understanding the uniqueness of the subject. Third, the intention of developing the national curriculum must be fully incorpora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Fourth, the meaning and role of competencies should be set in detail and linked organically with achievement standards. Fifth, in order to evaluate competency buil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racticed competency-based classes,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discusse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is process, teacher Park and the researcher looked back on the lessons they had practiced together and thought of many improvement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lessons, and were able to provide advice necessary for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 難經에서의 命門學說 成立에 대한 硏究

        김신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theory of MingMen is found in NanJing, especially in chapters 36 and 39. Chapter 36 says: The Kidneys are not really two, as the left Kidney is a Kidney proper and the right Kidney is the Gate of Vitality. The Gate of Vitality is the residence of the Mind and is related to the Essence Gi. The name of MingMen exists in NeJing but there is a convergence of views between the concept of MingMen in NeJing and NanJing. NanJing regards MingMen as the true nature of the human body, activating all physiological functions. However, for several centuries, medical writers seldom discussed MingMen as something separate from the Kidney. With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Chinese physicians considered MingMen as occupying the place between the two Kidneys, related to Essence Gi. Why does NanJing regard MingMen as the root of the human body has been the subject of controversy and has not been solved yet. From this study,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MingMen can be found in physiology of Zang-Bu organs in NanJing. The assignment of Yin-Yang for the Five Zang organs in NanJing is different from that in NeJing. NeJing assigns Yin-Yang for the Five Zang organs on the basis of the circulating system of Zang organs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NanJing grasps the Five Zang organs from a view point of respiratory system. So Lung and Heart are classified as Yang Zang as they are in charge of exhalation. while Liver and Kidney, which are in charge of inhalation, are classified as Ying Zang. NanJing makes much of the interchange of Gi between Nature and the human body and establishes MingMen as a fundamental organ. The theory of MingMen dates back to Han period but the concept of the true nature of the human body was immanent even in ancient Chinese thoughts. In Han period, the true nature of the human body was directly named, for example, as DanJen in Taoism and as MingMen in medical science from the philosophy of coincidence of heaven and man. After NanJing, MingMen and DanJen have a close connection as the essence of human being. The theory of MingMen was embodied, reflecting the philosophies of that time. This can be observed in the influence of TaeGuk DoSul on the understanding of MingMen in Ming dynasty. MingMen works as the root of the human body in connection with Essence Gi. Dong jung seo used the concept of Essence Gi as the origin of cosmos and assumed that all creatures had been derived from it. Essence Gi is a dynamic and rarefied form of Essence having its origin in between two Kidneys. Essence Gi closely related to Mingmen is derived from Pre-Heaven Essence and constantly replenished by the Post-Heaven Gi. In this respect, Essence Gi functions as the true nature of the human body and MingMen related to Essence Gi produces and manages Zang-Bu organs and Twelve Meridians. The problem whether MingMen has a real substance or not can be solved by studying oriental philosophy. Oriental philosophy treats the real nature in the midst of change and creation and does not divide the real nature and a phenomenal world. From this perspective, MingMen works as the root of the human body whether or not it has a substantial form. Both NeJing and NanJing regard a man as an ideal being who leads a primordial energy residing in between two Kidneys while breathing. It can be seen in chapter 1 in NanJing and chapter fifty circulation in NeJing. It means that the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accords with the revolution of the universe. Consequently MingMen is established as the center that makes a man coincide with the cosmos.

      • 오류 분석을 통한 태국어 작문 지도방안 연구

        김신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올해는 한국과 태국이 공식적으로 수교한지 54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과 태국은 1958년 공식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래 정치, 외교,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 걸쳐서 매우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한태 관계는 처음에 정치 경제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외교 문화적 관계로 그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한태 양국 간의 실질적인 관계가 이루어진 것은 한국전쟁이 일어난 1950년으로, 태국이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하면서부터였다. 당시 태국정부는 11,876명의 군인을 파견하였고 134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이를 시작으로 한국과 태국은 현재까지 21개의 국제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는 양국의 교역과 투자, 문화 교육, 이중과세 방지, 과학기술 협력, 범인인도, 사법협력, 근로자 협력 사안 등을 총 망라하고 있다. 근래 태국에서는 한국드라마와 노래, 음식,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가 크게 인기를 얻으며 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한국의 대중매체에서도 태국인이 인기 연예인이 되거나 태국 음식과 마사지, 영화, 그리고 그 밖에 다양한 태국의 문화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들도 많아지고, 일상생활에서도 태국 음식이나 마사지, 영화, 그리고 여행 등과 같이 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늘어나면서 양국의 문화 교류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한태 관계의 발전은 언어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국은 1966년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태국어과가 설립되어 일찍부터 태국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후 1982년도에 부산외국어 대학교에 태국어과가 설립되었고 이듬해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 태국어 통번역학과가 설립되었다. 이들 교육기관을 통해 배출된 태국어 전공자들은 현재 한태 관계발전에 적지 않게 이바지하고 있다. 언어란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일 뿐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써 언어 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태국어는 한국인들이 학습하기 쉽지 않은 언어로써, 한국과 태국은 비록 지리적으로 같은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으나 한국어는 알타이어(Altalic)족, 태국어는 차이나-티벳어(Sino-Tibetan)족으로 서로 다른 언어 유형에 속하며 문법적 특징 또한 매우 다르다. 한국어는 문장 내의 단어가 어형이 변화하지 않고 각 단어의 문법적 관계가 조사 또는 접미사에 의해 표시되는 교착어인 한편 태국어는 문장 내의 단어가 어형 변화가 없고 문법적 관계가 어순 혹은 특정 조동사에 의해 표시되는 고립어이다. 또한, 음성 음운론적으로도 태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성조가 있는 언어로, 같은 형태의 단어라 할 지라도 음의 높낮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태국어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배우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는 듣기와 읽기에 속하는 이해 기능과 함께 말하기와 쓰기에 속하는 표현 기능, 이 두 가지를 모두 학습해야 하는데 이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고루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기의 경우는 대화의 상대자가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의사 전달이 명확해질 수 있으나, 쓰기의 경우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오로지 글로만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작문은 보다 고차원의 의사소통 수단임은 틀림이 없고, 오늘날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각종 전자우편을 통해 쓰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나날이 부각되고 있다. Paulston(1972)은 “외국어 학습 과정의 초급과 중급 단계에서 작문은 다른 언어 기술을 보강하고 강화해 주는 데 기여하며, 과제나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고 작문은 학습자의 기억력을 증진시켜 후에 참고를 위한 자료로 이용되어지기도 한다.”고 하며, 작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의 변화로 일반적인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듣기와 말하기 교육은 강화되고, 전통적으로 읽기는 항상 중요시되어 온 반면, 쓰기의 영역은 다소 소홀히 다루어져 왔는데, 이러한 경향은 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인이 태국어를 학습하는 데 필요한 교재 및 교과 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당수 이루어져왔지만, 태국어 작문 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충분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의 한 학기 교과과정 중에서 ‘작문’ 과목이 차지하는 비율은 총 22개 과목 중, 2학년 과정인 ‘중급태국어작문’과 3학년 과정인 ‘고급태국어작문’, 그리고 4학년 과정인 ‘태국어회화작문연습’ 과목으로 3개 과목뿐이다. 그 중 2학년 중급 태국어작문이라는 과목이 개설되어 있긴 하나, 쓰기에 대한 부담감으로 2학년 학생 보다는 대다수가 3학년 이상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초급 단계에서의 작문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의 한 학기 교과과정에서도 1학년~4학년 총 15개 과목 중, 작문 영역에 해당되는 과목은 ‘초급태국어작문실습’ 1개 과목뿐이다. 이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태국어 교육에 있어서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 작문 교재 역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외국어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습득 단계가 어디까지 도달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가 되고, 교사에게는 앞으로 학습자에게 무엇을 지도할 것인지, 혹은 학습자들이 어떤 방법과 과정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학습자 역시 학습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켜가는 창조적 노력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한국인 학습자의 작문 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한우(1988)는 태국어 학습에 있어서 작문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인식하고, 태국어 문법구조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작문 시에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한 바 있다. 정환승(2002)은 태국어와 한국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 학습자가 태국어로 작문할 때 나타나는 오류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문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태국어 작문 학습의 중요도에 비해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특히나 한국인 학습자가 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태국어 작문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들이 무엇을 가장 어려워하는지,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 효율적인 작문 지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태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작문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점차 높은 단계로 훈련을 해 나간다면, 이 후 일상생활이나 업무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보고서 및 학문적인 글과 같은 더 높은 수준의 자유 작문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작문에 대한 편안한 접근 자세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반복되는 오류가 습관화되지 않도록 올바른 태국어식 표현을 지도하면서 적절한 교정법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작문 오류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태국어 작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