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향화효소억제제의 생식호르몬 분비와 배란유도에 대한 효과

        김숙현,김정아,박준철,배진곤,신소진,권상훈,조치흠,윤성도,차순도,김종인,이정호,Kim, Sook-Hyun,Kim, Jeong-Ah,Park, Joon-Cheol,Bae, Jin-Gon,Shin, So-Jin,Kwon, Sang-Hoon,Cho, Chi-Heum,Yoon, Sung-Do,Cha, Soon-Do,Kim, Jong-In,Rhee, Jeong-Ho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2

        목 적: 방향화효소억제제가 생식호르몬 분비 양상에 미치는 영향과 무배란 여성에서의 배란유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 연구방법: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letrozole을 투여하지 않은 주기 (대조군)와 투여한 주기 (연구군)에서 생식호르몬 혈중치를 측정하였다. 각 월경주기 3, 11, 21일에 LH, FSH, $E_2$, testosterone, DHEA-S의 혈중치를 측정하였고 각 주기 21일에는 progesterone 측정이 추가되었다. 불임의 원인이 무배란으로 진단된 환자 60명에게 크로미펜과 letrozole을 투여한 후 (각 치료 군, 30명) 배란율, 임신율, LH 분비폭발 시점, 성장 난포 수, 자궁내막 두께, 자궁경관 점액의 양과 견사성, LH 분비폭발 시점의 난포 직경 등을 측정하여 두 군 간의 임상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Letrozole은 LH, FSH, $E_2$, DHEA-S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etrozole 투여 주기 11일째의 testosterone과 21일째의 progesterone 혈중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0.40{\pm}0.16$ vs $0.28{\pm}0.11\;ng/ml$, p=0.002, $18.18{\pm}13.07$ vs $8.38{\pm}7.64\;ng/ml$, p=0.001). Letrozole과 크로미펜 군 간의 배란유도 효과에 대한비교에서 배란율, 임신율, 성장 난포 수, 배란 전 난포 직경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크로미펜 군과 비교할 때 letrozole 군에서 조기에 LH 분비폭발이 발생했고 ($12.12{\pm}2.46$일 vs $14.52{\pm}3.18$, p=0.006), LH 분비폭발 시점에서의 자궁내막 두께가 두꺼웠으며 ($10.48{\pm}1.23$ vs $8.52{\pm}0.93\;mm$, p=0.000), 자궁경관 점액 양이 많았고 견사성이 높았다 ($2.04{\pm}0.61$ vs $1.57{\pm}0.59$, p=0.012, $6.00{\pm}1.12$ vs $4.95{\pm}1.61\;cm$, p=0.003). 결 론: Letrozole은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에서 난포 성장을 촉진하고 자궁내막을 호전시키며 무배란 여성에서는 크로미펜에 필적하는 배란유도 효과가 있으며 더욱 생리적인 배란유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tase inhibitor on reproductive hormone profiles and evaluate it's ovulation inducing capability in anovulatory infertile women. Methods: We quantified the blood levels of reproductive hormones from 30 healthy normal cycling women in natural cycle (control) and letrozole medicated cycle (study). LH, FSH, estradiol, testosterone, DHEA-S were quantified on third, 11th, 21th day in both cycles, and on 21th day, progesterone was added. Sixth anovulatory infertile women received either letrozole or clomiphene citrate for ovulation induction (n=30 in each groups). We compared the clinical parameters such as ovulation rate, pregnancy rate, the day of LH surge, number of follicles and endometrial thickness, cervical mucus amount, spinnbarkeit, mean diameter of follicles on the day of LH surge. Results: Letrozole had no effect on the LH, FSH, estradiol, DHEA-S secre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testosterone level on day 11 and progesterone level on day 21 in letrozole medicated cycle compared than control cycle ($0.40{\pm}0.16$ vs $0.28{\pm}0.11\;ng/ml$, p=0.002, $18.18{\pm}13.07$ vs $8.38{\pm}7.64\;ng/ml$, p=0.001, respectively). In comparison between letrozole and clomiphen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rate, pregnancy rate, number of mature follicle, mean diameter of follicles, but showed earlier LH surge, thicker endometrium, more cervical mucus, and higher spinnbarkeit in letrozole group ($12.12{\pm}2.46$ vs $14.52{\pm}3.18$ days, p=0.006, $10.48{\pm}1.23$ vs $8.52{\pm}0.93\;mm$, p=0.000, $2.04{\pm}0.61$ vs $1.57{\pm}0.59$, p=0.012, $6.00{\pm}1.12$ vs $4.95{\pm}1.61\;cm$,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 Letrozole may augment folliculogenesis and improve the endometrial condition for implantation in normal cycling women. Ovulation efficacy of letrozole in anovulatory women was comparable to clomiphene citrate and letrozole may be more physiological in ovulation ind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응답하라 1997〉에 나타난 정서의 구조와 집합기억

        김숙현(Sook-Hyun Kim),장민지(Min-Gi Jang),오지영(Ji-Young Oh)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6 No.-

        본 연구는 〈응답하라 1997〉(tvN)이라는 드라마 텍스트 분석을 통해 현재의 정서구조 아래에서 90년대의 집합기억이 어떻게 생산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응답하라 1997〉은 2030세대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과거 회상의 방식으로 노스탤지어를 사용하였고, 특히 10대 소녀들의 팬덤 문화를 통해 90년대의 대중문화 소비의 화려한 집합기억을 전면에 등장시켰다. 본 연구는 계열체적, 통합체적, 컨텍스트적 분석을 통해 〈응답하라 1997〉이 재현하는 ‘과거’의 90년대가 ‘현재’의 사회적 맥락 안에서 구성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응답하라 1997〉은 90년대가 가진 불안이나 상처, 어두운 기억을 90년대의 화려한 소비문화로 대체시키면서 과거를 낭만화하여 소비하기 적당한 매끄러운 서사로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위로와 치유는 문화 소비 안에서의 주체적 경험이라는 것과 대중문화 텍스트의 자기 텍스트화의 과정 안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응답하라 1997>이 만들어내는 집합기억은 현재의 정서의 구조와 상호소통에서 비롯되었으며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nineties was produced in today’s structures of feeling through the drama textual analysis of “Reply 1997”(tvN, 2012). “Reply 1997” brings nostalgia to go back in time to share its reminiscence not only with the 2030 generation, but also those of all ages. In particular, it reveals the popular culture consumption and the vivid collective memory of the ninetie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fandom culture of teenage girls. Through the syntagmatic, paradigmatic, and contextual analysis, this study found out the meaning of the past of the nineties represented in “Reply 1997” was constituted in today’s social context. In other words, “Reply 1997” romanticizes the anxiety, wounds and dark memories of the nineties with enthusiastic consumption culture and turns it into a fluid narrative adequate to consume. However, all the consolation and treatment in this drama is a subjective experience within cultural consumption, and is also shown through the self-textualization process of popular culture text. Ultimate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ollective memory in “Reply 1997” is socially constituted and derived from mutual communications and the structures of feeling of today.

      • 유방의 스파르가눔증

        김숙현(Kim Sook Hyun),전유하(Jeon Yoo Ha),선유화(Seon Yu Hwa),강민철(Kang Min Chul)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2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Vol.5 No.1

        배경 : 스파르가눔증은 만손열두조층속의 2기 유충인 충미충인 스파르가눔에 의한 인체 감염이다. 인체에 감염된 사례는 처음 1882년 중국에서 보고된 후 국내에서는 1917년에 스파르가눔증이 발견되었고, 그 후 1981년 유방 스파르가눔증이 보고되었다. 스파르가눔증은 원미충에 감염된 물을 끓이지 않고 섭취하거나, 충미충에 감염된 뱀, 개구리, 닭 등을 생식할 때, 뱀이나 개구리의 껍질이나 근육을 안구나 환부에 부착한 경우 감염된다. 감염 부위는 복벽, 흉벽, 대퇴 및 음낭 등의 피하 조직 및 근육 사이 근막이다. 이 외에 안와, 흉강, 복강, 척수강 및 중추신경계에 감염되기도 한다. 보고되는 예들 중 유방감염은 드물다. 환자의 임상 증상과 생식 습관으로 감염을 의심할 수도 있고, 외과적으로 적출하려 확진할 수 있다. 주로 통증이 없는 피하조직 내의 만져지는 종괴로 나타나며 이동성이 있을 수 있고,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유방의 스파르가눔증은 유방촬영술에서 석회가 없는 불규칙한 관상의 음영증가로 보이며, 초음파 영상에서는 피하지방층에서 저에코의 관상 종괴 내부에 불균질한 고에코로 보이고 종괴 주변부 지방에코가 증가되는 경우도 있다. 검사당시 움직이는 충체가 발견되면 확진할 수 있다. 종종 유방의 스파르가눔증이 유방암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증례 : 88세 여성으로 외부 유방촬영상 우측유방 부분결절 소견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유방암 가족력과 증상은 없었으며 유방촬영술상 scattered fibro glandular densities의 유방 실질을 가졌으며 우측 유방의 하내측 주변부에 약 6.5cm 크기의 불규칙한 관 모양의 고음영 종괴가 관찰되었다. 초음파 검사에서 우측 하내측의 4시방향부터 6시 방향에 걸쳐 4.7cm의 저에코의 관 모양의 종괴가 보였고, 압축되지 않아서 혈광 종괴 보다는 스파르가눔증을 의심하였다. 이후 초음파 유도하 피부 marking을 하여 절제생검을 시행하였고, 저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충체가 발견되었다. 결론 : 유방의 스파르가눔증은 드문 질환이지만 증례에서 알 수 있듯이 초음파 검사가 스파르가눔증의 진단과 유방암과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충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스파르가눔중의 치료방법인 외과적 절제 술에 유용한 검사임을 알 수 있었다. Synopsis : Sparganosis is a human infection caused by Sparganum, a plerocercoid, a stage 2 larva of Spirometra. The first case of human infection was reported in China in 1882, and then in Korea in 1917, after the discovery of sparganosis in 1917, breast sparganosis was reported in 1981. Sparganosis is infected when drinking water infected with protozoa without boiling, reproducing plerocercoid infected snakes, frogs, chickens, etc., or when the skin or muscle of a snake or frog is attached to the eye or affected area. The site of infection is the subcutaneous tissue such as the abdominal wall, chest wall, femur and scrotum, and the fascia between muscles. In addition, infections in the orbit, thoracic cavity, abdominal cavity, spinal cavity and central nervous system may occur. Among the reports cases, breast infection is rare. Infection can be suspected based on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and reproductive habits, and can be confirmed by surgical removal. It is known that it appears as a palpable mass in the subcutaneous tissue without pain, may be mobile, and the size is not constant. Mammography shows irregular curvilinear hyperdense without calcification, and ultrasound images show a heterogeneous hyperechoic structure inside the hypoechoic curvilinear lesion in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re are cases of increased fat echo in the periphery of the lesion. If a moving body is found during examination, it can be confirmed. It has been reported that sparganosis of the breast is often mistaken for breast cancer. Patient : A 8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with nodular mass of the right breast. She had no symptoms and no family history. Mammography showed breast parenchyma is scattered fibro glandular densities and 6.5cm curvilinear hyperdense lesion of the right lower inner breast. Ultrasonography showed a 4.7cm hypoechoic curvilinear lesion in the 4 o’clock to 6 o; clock on the right lower inner breast, not compressed, it was suspected of sparganosis rather than hemangioma. Afterward, surgical removal was performed by skin marking under ultrasound guidance, and the body was foun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 : Sparganosis of the breast is a rare infection, but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ultrasound examination was helpful in diagnosing sparganosis and discriminating it from breast cancer and it was useful for surgical resection, a treatment method for Sparganosis,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plerocercoid.

      • KCI등재

        사적 다큐멘터리의 서사적 경향 및 특성

        김숙현(Kim, Sook-Hyun),이효민(Lee, Hyo-Mi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3 No.2

        이 연구는 최근 활발히 제작되고 있는 신진 여성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사적 다큐멘터리에 주목하고, 포스트 다큐멘터리의 관점에서 그 현재적 경향과 서사의 특성을 탐구한다. 사적 다큐멘터리에는 ‘나’에 대한 주관적인 성찰을 비롯하여 가족이나 친구 등 주변의 일상 세계를 관찰하는 여성 감독들의 시선이 담겨 있다. 이들은 세대, 젠더, 노동 등 각종 사회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는, 따라서 불안정한 정체성을 형성 중인 ‘사회적 주체’로서의 ‘나’를 재현하고, 그를 통해 개인의 문제가 집단적/사회적 문제들과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여성 감독들의 실천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사이의 이분법적 구분을 비판적으로 재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다큐멘터리의 외연을 확장시킬 뿐만 아니라, 세계 내의 각종 위계질서에 도전하는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사적 다큐멘터리는 자기서사를 통해 관객과 수평적인 관계를 맺고, 그들과의 공통 기억을 형성함으로써 연대의 공간을 창출할 가능성을 지닌다. 여성들이 제작한 사적 다큐멘터리가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장(field)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편견 속에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만큼 이 다큐멘터리들의 특성과 의의를 읽어내는 작업은 중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onal documentaries by female documentary directors that are being produced rigorously in recent years, and explores the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ersonal documentary based on the post-documentary perspective. Personal documentaries contain the views of female directors, who observe the everyday world surrounding them including their families and friends, in addition to their subjective reflection on ‘I.’ They reproduce ‘I’ as a ‘social subject,’ who is directly faced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generation, gender and labor, and thus forming an unstable identity, and speak through her that the problems are not individual but are complexly intertwined with collective and social problems. Ultimately, the documentary practice of these women directors allows us to critically reconsider the dichotomous classification between what is public and what is private. This not only leads to external expansion of documentary, but also challenges the various hierarchies in the world. Furthermore, a personal documentary is meaningful in that it creates a space of solidarity with the audience from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m through self-narrative and forming common memories with them. Personal documentaries produced by female documentary directors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eld, but as long as it has not been firmly evaluated in prejudice, the task of reading ou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is documentary is important.

      • 용매열 합성법을 이용한 Bi₂Te₃ 나노튜브 합성에서의 반응 온도의 영향

        김숙현(Sook Hyun Kim),김장중(Jang Jung Kim),서승욱(Seung Wook Suh),박병기(Byung Ki Park)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5

        The Bi₂Te₃ nanotubes could be prepared by a solvothermal reaction using the Te nanowires as template. The first step of synthesis is formation of the Te nanowires. Subsequently, alloying process is progressed to synthesize Bi₂Te₃. The Bi₂Te₃ nanotubes have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200~300㎚, with a few micrometers of the length. Because morphology of the Te nanowires depends on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Bi₂Te₃ nanotubes fabricated finally are affected as well by the temperature conditions. The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X-ray diffraction(XR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아동의 전자게임 활동이 시각적 병행처리에 미치는 영향

        김숙현(Sook Hyun Kim),최경숙(Kyoung Sook Choi)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hort and long term playing of video gamer on children`s visual parallel processing. All of the 64 fourth grade subjects were above average in IQ. They were classified into high and low video game users. Instruments were a visual parallel processing task consisting of imagery integration items, computers, and the arcade video game, Pac-Man. Subjects were pre-tested with a visual parallel processing task. After one week, the experimental group played video games for 15 minutes, but the control group didn`t play. Immediately following this, all children were post-tested by the same task used on the pretest. The data was analyzed by ANCOVA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relaying short-term video games improved visual parallel processing and that long term experience with video games also affected visual parallel process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users in visual parallel processing after playing short term video games.

      • KCI등재후보

        공연중심 연극치료의 양상과 치료적 특성

        김숙현(Kim, Sook Hyun)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연 극치료(drama therapy)는 크게 과정지향(process-oriented)의 연극치료와, 연극제작과 그 생산물에 무게 중심을 둔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정지향의 여러 연극치료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소개와 실천에 비해 공연 지향의 ‘치료적 연극(therapeutic theatre)’, 혹은 ‘치료적 공연’에 대한 이론적인 정립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료적 연극’의 양상과 개념적 정의 그리고 그에 따른 영역적 특성에서부터 출발하여,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를 대표하는 연극치료사 스테판 스노우와 르네 에무나를 중심으로 공연지향 연극치료가 지닌 치료적 가치의 특이성과, 이를 발현하는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스노우와 에무나의 치료적 공연에 대한 공통된 사상과, 그들 각각의 치료적 연극 을 대변하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과 ‘자기-현시적 연극’을 통해 그들 간 방법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에는 치료적 연극이 왜/어떻게 치료적이라 할 수 있는지 이해할수 있었다. ‘연극’ 본유의 치유적 속성을 발판삼아 출현한 다수의 특수/장애인 극단들의 연극생산이 본격화되고 있고, ‘치유’ ‘치료’라는 용어가 공연제목에 유행처럼 덧붙여지는 있는 현 시 점에 있어서 ‘치료적 연극’의 궁극적 목표와 그 특성 및 효과에 관한 본 연구는 치‘ 료적’ 공연 모색의 지표가 되어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k about the performance-oriented drama therapy, the therapeutic theatre, to consider why/how it has a therapeutic effect. This article proposes the definition of the therapeutic theatre and its therapeutic characteristics and values, based on the therapeutic theatre of two prominent dramatherapist, Stephen Snow and Renée Emunah. At first Stephen Snow established ‘the performative drama therapy model’. And also Renée Emunah named her therapeutic theatre ‘the self-revelatory theatre’. This study finds that the most important common aspect of these two methods is the utilization of improvisational techniques, however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s that they present their performances from the fictional play or non-fictional play. Despite this difference, they all emphasis on the effects of public performance in the therapeutic theatre, which could help the self-images of clients who are excluded to be improved. They insist the therapeutic impact of performance could be even more efficacious than process-oriented drama therapy . They emphasize that aesthetics and therapy are intertwined and the aesthetic success of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as well. And this paper also finds that the root of the therapeutic theatre is based on Grotowsky’s ritual theatre.

      • KCI등재

        여성 영화감독의 역할수행 과정과 실천의 구조

        김숙현(Sook Hyu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1

        이 연구는 여성 영화감독의 셀룰로이드 천장 및 비가시성에 대해 문제제기하면서 특히 장으로 진입하는 초기 단계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그 경험에는 여성 영화감독의 역할 수행과 실천의 원형적인 구조가 있고, 또 영화 장의 질서와 연결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배경의 여성 영화감독들을 연구 참여자로 만나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개별 감독의 궤적 추적보다는 여성감독의 집단적 경험을 현재의 시점에서 재구성했다. 진입단계는 영화 애호 및 소비에서부터 교육 및 제작 현장 경험과 경력을 쌓는 일련의 과정이며, 제도와의 관계를 통해서 구체화된다. 영화감독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훈련하며 또 노동하는 동안 벌어지는 자기인식적인 내적인 경험과 함께, 자본을 운용해 역할을 부여받고 수행하는 외적인 경험을 포괄한다. 영화 장은 장의 특수성과 더불어 신체에 기반을 둔 여/남 이분법적 위계 위에서 남성 하비투스와 남성자본을 우위에 둔다. 그래서 여성 영화감독은 ‘여성’으로서 갈등할 수 있다. 젠더 문제는 소외와 배제의 불평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감각적인 것에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 미세한 것까지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여성 영화인들은 영화 장으로 진입해서 새로운 역할을 실험하고 또 흥미로운 영화를 생산하고 있다. 진입단계를 주목하는 일은 여성 영화감독의 역할 및 지위 획득의 구조적인 한계와 불평등을 드러내고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더 중요하게는 젠더 차별과 불평등이 영화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예술적 다양성과 창작이라는 영화적 가치를 보존할 수 있어야 한다. Questioning women film-makers’ celluloid ceiling and invisibility, this study focuses on women film-maker’s the entrance experience in narrative film production. That experience has embedded women film-makers’ origins of role performance and structural practic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film-makers and constructs their collective experience from the present point if view. The entrance experience is processes of taking the role of film-maker and receiving recognition by accumulating consuming,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 Also, the way such steps are materialized is closely related to institutions. It incorporates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the former is the process where women film-makers work in the field and form their identity as film-directors, and the latter is the process where they receive and perform their role by employing various capitals. In the cinematic field, male habitus and masculine capital occupy the dominant position among the binary opposition of women and men, which is based on their body. Thus, women film-makers went through conflicts as ‘woman’ and faced prejudice and inequality in opportunities.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gender affects not only the problem of equality, but also very minute and sensitive factors and subtle factors that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This opens up opportunities to reveal women film-makers’ structural limitation and inequality in achieving roles and status. In conclusion, gender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hat impose limitations on film production should institutionally be prohibited. When this principle is finally abided, then the artistic diversity in cinematic field and the essence of cinematic value of free artistic creation can be truly p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