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을 만들기에 있어 주민에 의해 표현되는 풍경 공유성 - 광주광역시 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란,조동범,Kim Su-Ran,Cho Tong-Buhm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mmon characteristics in everyday landscape cognition that the residents share and to restore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through citizen-participatory town design. Through the residents participatory workshop supported by the Gwangju Buk-gu District Autonomy and Citizen Academy of Gwangju YMCA, 304 people from eight administrative districts participated in three programs. In each program, photographed landscape images representing everyday conditions of the townscape were presented in several ways: in program 1, the residents' mental map was studied; in program 2, landscape images of real places were matched to locations on a map; and in program 3, the landscapes were scored on a scale from 1 to 5 according to five descriptive categories. The elements that were recognized as common landscape features were public facilities, pedestrian spaces, school areas, and parks and natural green spaces. Additional results including recognition of the participants affection for the village and a common landscape image shared by the people, as inhabitants looked around at the space of their own lives. It seems possible that more creative townscapes can be created by residents through participatory programs.

      • KCI등재후보

        2010년 가축 및 도축장 식육에서 분리한 Salmonella의 항생제 내성

        김수란 ( Su Ran Kim ),남향미 ( Hyang Mi Nam ),장금찬 ( Geum Chan Jang ),김애란 ( Ae Ran Kim ),강민수 ( Min Su Kang ),채명화 ( Myung Hwa Chae ),정석찬 ( Suk Chan Jung ),강대진 ( Dae Jin Kang ),김준걸 ( Joon Kul Kim ) 한국예방수의학회(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11 예방수의학회지 Vol.35 No.4

        Salmonellosis constitute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in both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aims of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erovar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almonella isolated from food animals and animal products in slaughterhouses and farms. A total of 323 Salmonella were isolated from food animals (n=277) and meats (n=46) during 2010. Of the isolates, 21 different serovars were identified. The predominant serovars were S. Rissen (35%) and S. Montevideo (24.3) in healthy pigs, while S. Enteritidis (25.5%) in healthy chicken. S. Typhimurium (88.8%) was predominant in disease pigs, while S. Gallinarum (29.2%) and S. Montevideo (26.9%) were in diseased chickens. Among meat samples, S. Typhimurium (57.1%) was the most common serovar in pork but S. Enteritidis (38.7%) and S. Montevideo(32.3%) were in chikcen meats. Analysi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revealed that 20.7% of the isolates were sensitive to all the 15 drugs tested. The isolates were frequently resistant to nalidixic acid (47.7%), tetracycline (38.4%), streptomycin (33.7%), and ampicillin (32.8%). The resistance to quinolone and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was higher in chicken and chicken meat isolates. Of the 323 isolates, 174 (53.9%) were resistant to one or more CLSI subclass, and 117 (36.2%) showed multiple-resistance. Our findings showed that multiple resistant Salmonella organism are widespread in animals and animal products in Korea.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r exposure for consumers of antimicrobial resistant Salmonella, policies and guidelines aiming at prudential use of critical antimicrobials for humans are needed.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의 화법 양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 중학생의 연설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 연구

        김수란 ( Su Ran Kim ),한연희 ( Yeon Hee Han ),전은주 ( Eun Ju Jeon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3

        본 연구는 교육적 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중학생 연설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연설 수준을 파악하고,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담화능력을 짐작하여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것은 현장 적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생의 연설 양상을 주제 선정 양상, 내용 전개 양상, 표현 및 조정 양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주제 선정 양상에서는 대체로 청자를 고려하여 주제를 선택하거나, 연설을 통해 청자들의 반응을 얻을 수 있기를 바라고 연설을 계획하고 있으나, 행동 변화의 대상과 실제 청자가 일치하지 않아, 설득 연설의 목적인 ‘청자의 행동 변화’를 일으킬 수 없는 모순이 일어났다. 내용 전개 양상에서는 체계적설득 전략 없이 청자의 공감을 얻기 위해 극단적 표현, 부적절한 질문, 억지 논리, 공감하기 어려운 경험 제시, 중립성 과잉 강조 등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표현 및 조정 양상에서는 대부분 준비해온 연설 원고를 그대로 읽는 수준으로 이루어져 청자와의 상호교섭없는 연설문 읽기로 변질되었다. 이에 중학생 학습자에게 연설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돕는 교육 내용, 청자 요인에 대한 구체적 지식 및 활용 방법, ‘소리 내어 읽기’와‘말하기’의 차이, 계획과 준비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말하기 불안 관리 전략에 대한 교육 내용 등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peech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educational measures, apprehend speech levels of learners and seek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ways appropriate for them. It is likely to lower adaptability to today`s educational arena when we set up a standard of speech achievement. In this manuscript, speech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categorized by aspects of topic selection, contents development, speech expressions and coordination. In an aspect of topic selection, planned a speech to gain listeners` response but a contradiction happened that doesn`t arouse ‘a change of listener`s behavior’, the purpose of persuasive speech. In an aspect of contents development, several fallacies are observed such as extreme expressions, inappropriate questions, forced logic, taking an absurd experience as an example, emphasizing over-neutrality to gain sympathy of listeners without systematic strategies for persuasion. In an aspect of speech expressions and coordination, speech is changed into just reading a text of speech at the level of reading prepared manuscript without interaction with listeners. It is suggest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need educational contents to help precise understanding of speech, concrete knowledge listener`s con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articulating’ and ‘speaking,’ importance of speech planning and preparation and strategies for dealing with speech anxiety.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과정 및 질문제해요인과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김수란(Su Ran Kim),송인섭(In Sub S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 그리고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검증하고, 각 잠재변인 간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6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질문은 인지적 혼란에 의해 생성이 되고, 이렇게 생성된 질문은 실제 질문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학습자 내·외적 질문저해요인들이 실제 질문을 하게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질문은 내면에 질문이 생성이 된 것과 그것이 실제로 표출이 된 것 모두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수업을 설계할 때 인지적 혼란을 초래하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의 내면에 질문이 많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질문저해요인들을 통제하여 실제 질문으로도 표출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learners` questioning process, questioning hesitation factors and problem solving and to analyz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among latent variabl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694 college students and conducted SEM. As a result, the learners` questions are made from cognitive confusion, these questions led the students to ask a question actu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arners` internal/external hesitation factors had negative effects when the students asked a question in real situation. Moreover, the learners` questions which are made internally or is expressed externally both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results, when professors design a lecture to improve problem solving, it is considerable to provide intentionally the situations which cause the learners` cognitive confusion. Through this the professors make the learners to have many questions in their minds and through controlling the questioning hesitation factors the professors help the learners express their questions actually.

      • KCI등재

        위드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에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김수란(Su-ran Kim),이선경(Sunky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변화된 대학교육의 변화를 인식하고, 그러한 변화에서 특히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총 18명의 대학교육 전문가 집단의 FGI 및 델파이 조사(1차, 2차)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COVID-19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은 지속·확대될 것이며, ‘자기교육역량, 공감적 소통, 협력적 태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특히 중요하게 요구된다. 둘째, 스마트기술과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 확대가 기대되며,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서는 ‘4-IR스마트 기술활용, 미디어 리터러시, 창의적문제해결능력, 도전실천역량, 윤리비판적사고력’이 요구된다. 셋째, 대학교육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 및 의미가 재구조화될 것이라고 예상되며, ‘시민의식, 창의적문제해결능력, 진로창조역량, 융복합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넷째, 대학 간 공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활성화가 예상되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융·복합능력, 협력적태도, 진로창조역량’이 강조된다. 결론 COVID-19와 상관없이 여전히 중요한 핵심역량, COVID-19 이후 더욱 강조되어야 할 핵심역량 및 새롭게 부각된 핵심역량들을 제시해 추후 대학 핵심역량 재설정 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after COVID-19 and to explor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especially in such chang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FGI and Delphi surveys of 18 university education expert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n-face-to-face education will continue and expand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rolonged, and ‘self-educational competence, empathic communication, cooperative attitude, media literacy’ competence is especially important.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 using smart technology and edutech will be expanded. In this environmental change, ‘4-IR smart technology utilization, media literacy,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hallenge practice ability, ethical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required. Third, it is expected that social needs and meanings of the role of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restructured, and the importance of ‘citizen consciousn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areer creation competence, and convergence ability’ is highlighted. Fourt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universities are expected, and in this environment, ‘convergence ability, cooperative attitude, and career creation competence’ are emphasized.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resetting core competencies in future by presenting core competencies that are still important regardless of COVID-19,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more after COVID-19, and newly highlighted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대학생용 다면적 학습역량 진단 검사(MLCT) 개발 및 타당화

        김수란(Kim suran),김미영(Kim m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역량을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기 위한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습역량의 상위요인을 구성한 후,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학습역량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91개의 예비 진단문항을 개발해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53명의 대학생들에게 예비조사를 거쳐 기초문항분석을 실시한 후, 79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해 구성요인의 타당도와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다면적 학습역량 진단도구(MLCT)는 동기 차원에 내재동기, 외재동기, 자기효능감, 목표설정, 의지통제를 측정하는 22문항, 인지 차원에는 수업집중전략, 인지학습전략, 창의적 문제해결을 측정하는 17문항, 행동 차원에는 성실성, 학습습관, 학습자원활용을 측정하는 15문항, 정서 차원에는 우울, 학습불안, 학업스트레스를 측정하는 18문항, 환경 차원에는 교수자의 지지, 또래관계, 학습환경을 측정하는 11문항의 총 83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가 개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다면적 학습역량 진단도구는 학생 스스로 입학부터 졸업까지 지속적이며 단계적으로 자신의 학습역량을 확인해 자기주도적인 학습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더 나아가 대학에서 학생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학습지원체계 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diagnostic test to understanding of learning competency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For this, the study constructed the factors of learning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n conducted a Delphi survey on experts to derive the sub-factors. Based on the selected learning competency factors, preliminary diagnostic items were develop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s.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surveys and analyzing basic items to 53 students,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consturcts were verified by conducting CFA with data obtained through the main survey with 792 students. Results As a result, the MLCT measured 22 items for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goal setting, and volitional control in the motivation level, 17 items for measuring class concentration strategy, cognitive learning strateg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cognitive level, 15 items for measuring diligence, learning habits, and use of learning resources in the behavioral level, and 18 items for measuring depression, learning anxiety, and academic stress in the emotional level. Lastly, 11 items for measuring support of instructor, peer relationship, and learning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 level. Conclusions Through the MLCT validated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can gradually check their learning competency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more, the university can use it to plan customized learning support so that students can have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 KCI등재

        연구 및 교재 분석을 통한 교육심리 교과목의 내용 영역 탐색

        김수란(Suran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직 교과목 중 「교육심리」수업을 계획하고 실시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교육심리학의 주요 내용 영역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10년(2008년~2018년) 동안 교육심리학회지에 게재된 444편의 연구와 같은 기간 동안 국내에서 출간된 58권의 교재 내용 영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개인차, 발달, 동기), 학습, 학급관리, 평가와 관련된 내용은 교육심리 연구와 교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영역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교육심리 수업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둘째, 발달 영역 중 진로발달과 발달적 차이, 개인차 영역 중 창의성, 다양한 학습자 영역 중 다문화 학생 및 감수성, 학습 영역 중 자기조절학습(사회인지주의), 학급관리 중 긍정심리와 관련된 내용은 현재 교육심리 교재에서는 다소 비중이 낮았다. 하지만 최근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므로 앞으로 수업에서 더욱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업이론이나 교사 영역, 다양한 학습자 중 장애와 관련한 내용은 최근 연구와 교재에서 다루는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심리 수업에서 다소 비중을 줄이는 것을 검토해봐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른 교직 교과목과 차별화되는 교육심리학의 고유한 내용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ortant area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the contents of 444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58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last 10 years(2008-2018)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learners(e.g., individual differences, development, motivation), learning,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were found to be common in educational psychology studies and textbooks. Therefore, these areas should be continuously dealt with in an educational psychology class. Second, the content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creativity, multi-cultural students and sensitivity, self-regulated learning(social cognitivism), and positive psychology were not focused on in current educational psychology textbooks. However,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these areas, so they should be dealt with more heavily in future classes. Lastl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struction theory, the teacher’s field of specialization, and disability among various learners were not emphasized in recent studies and text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ducing the weightage assigned to these topics in educational psychology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nique content area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educational psychology differentiated from other teacher training courses.

      • KCI등재

        중학생 대상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수란(Kim, Sur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학생들이 호소하는 학업문제를 해소해 원만한 학업발달을 돕기 위한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문헌연구 및 학교상담 수요자(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조사를 통해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내용구성을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목표에 부합하고, 체계적이고 예방적인 소규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 학업상담이 효과적인지 검증하기 위해 17명의 실험집단에게 집단상담을 약 3개월 동안 15회기(1회기는 학부모 대상 상담)를 진행한 후 같은 기간 어떠한 집단상담에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학습동기 및 전략(ALSA) 검사, 심리적안녕감(K-WBSA)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상담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습동기 및 전략과 심리적안녕감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밖에도 집단상담 경험보고서를 통해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실시해 참여 학생들의 반응을 유목화하여 상담 이후에 나타난 의식 및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것으로 본 학교 학업상담의 효과를 질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학교 학업상담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지나친 학업부담으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의 심리적안녕감이 위협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학업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건강한 학업발달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small group counseling sessions. In order to achieve our objectives, firstly,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our literature research and a needs analysis of the user of school counseling program (students, parents, teachers). As a result, a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made available at the school in Korea used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to target all students systematically as a preventative counseling model. Secondly, group counseling was carried out over the course of 3 months (15 sessions, 1 of the sessions was for parents) by applying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 To test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sed ALSA and K-WBSA,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ANCOVA.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ing motivation/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have been confirmed, depending upon their attendance of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In addition, the reflections of students upon joining this counseling program were categorized through a report on their experiences. Those who attended the academic counseling program showed higher levels of maturity and better attitudes towards academic life. This serves as important evidence of the empirical quality of our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academic counseling programs such as the one used in this study are used more actively in schools.

      • KCI등재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및 평가지표 개발

        김수란(Kim Suran),이선경(Lee, S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대학 실정에 맞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구축과 그에 부합하는 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대학 내 모든 정규 교육과정에 활용 가능한 통합된 인증체제와 평가지표를 2개년도에 거쳐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구성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1차년도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평가영역 및 준거를 도출하여 평가지표 초안을 구성하였다. 교육과정이 실제로 역량에 기반하여 개발, 운영 및 성과 관리될 수 있도록 목표에 따라 총 3단계(기초인증, 본인증, 성과인증)로 인증을 구분하였으며, 단계별 평가지표는 대표적인 교육평가모형인 CIPP모형을 기반으로 총 4개 평가영역, 10개 평가항목(요소), 20개 지표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2차년도 연구에 해당하는 본 연구를 통해 A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 12개 정규 교육과정에 실제 평가를 적용하여 봄으로써 개선사항을 파악하였으며 수정 델파이 기법(modified Delphi Technique)을 활용하여 전문가 의견을 반영, 각 항목을 수정하고 최종 평가지표로서 타당화하였다. 특히 1차년도 대비 2차년도 연구상 발생한 수정⋅변화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이론적으로 타당하면서도 현장 적용성 높은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 평가지표의 개발 및 보급 필요성과 대학의 역량기반교육과정과 관련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and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competency of university. The integrated accreditation system and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all regular curriculums in universiti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over two years. The specific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is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and the appropriate evaluation area,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drafted. The accreditatio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goal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developed, operated and managed based on the competence.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ed of 4 areas, 10 items, and 20 indicators based on the CIPP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hich corresponds to the second year s study, identified improvements by applying actually to 12 regular curriculum of 4-year universities in A region, and used modified Delphi Techniques to reflect expert opinions, revise each item and make it a final evaluation indicators. In particular,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easibility of change in the second year compared to the first year,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which is theoretically valid and highly applicable to the field, was deriv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reditation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follow-up study related to competency-based university curriculum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