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에 의한 질소 산화물 전환 및 철 이온 환원활성

        김세림(Selim Kim),홍정일(Jungil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6

        다양한 유산균들이 생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L. kimchicus, L. lactis, L. casei, L. plantarum, LGG 및 Leu. mesenteroides 등 유산균 6종을 선별하여 균주별 nitrate의 환원과 nitrite의 소거, 그리고 철이온에 대한 환원활성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6종의 유산균 중, 5종의 균주에서 72시간 배양시간 동안 nitrate에 대한 환원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L. kimchicus는 nitrate의 환원을 통해 과량의 nitrite를 생성했다. 한편, nitrite 소거활성은 균주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L. kimchicus는 nitrate와의 반응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반응시간과 균수에 따른 급격한 배지 중 nitrite 수준 감소를 유도하였다. Ferric ion의 ferrous ion으로의 환원에 있어서도 L. kimchicus가 다른 5종의 균주에 비해 420-1500배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L. kimchicus의 환원활성은 멸균처리 균주나 균체 용해물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아 생균의 대사능력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L. kimchicus의 활성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관련 환원활성에 의한 NO 등 유용 포스트바이오틱스 대사물에 의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any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probiotic properties that exert various health benefits. In this study, the reduction potential of nitrogen oxide compounds and ferric ions by six LAB, including Lactobacillus kimchicus, L. lactis, L. casei, L. plantarum, L. rhamnosus GG,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ere evaluated. The L. kimchicus strain produced a substantial amount of nitrite reduced from nitrate added to the media, whereas the other five LAB strains did not. L. kimchicus also showed the most potent reducing activity of ferric to ferrous ions. However, the reduction potential of the autoclaved L. kimchicus was little pronounced.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viable LAB or their cell lysates against different radical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potency of the LAB’s reducing ability.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L. kimchicus has a strong reduction potential for nitrogen oxides in viable status, and that this ability can be used as a probiotic property for various health benefits.

      • SCOPUSKCI등재

        우육 염지 시 Lactobacillus kimchicus 얼갈이배추 발효물 첨가에 의한 아질산나트튬 저감효과

        김세림(Selim Kim),김희정(Hee Jeong Kim),이서영(Seo Young Lee),홍정일(Jungil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6

        L. kimchicus는 얼갈이배추에 대한 발효과정을 통해 신속하게 상당량의 천연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얼갈이배추 중 질산염에 대한 환원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L. kimchicus의 생육은 4℃의 저온조건 및 5% 이상의 염도에서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나, 25-37℃의 온도, 그리고 2%의 염도는 L. kimchicus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쇄우육의 염지과정 중 얼갈이배추 발효액 첨가는 OxyMb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지연시켰으며, 75℃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하여 육색을 고정했을 경우 얼갈이배추 발효액 자체는 염지육의 적색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NaNO₂와 조합처리 시 동일량의 NaNO₂ 단독처리 시보다 유의적인 육색의 적색도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48시간 염지 시 얼갈이배추 발효액과 75 ppm NaNO₂를 혼합처리한 경우에도 150 ppm NaNO₂처리군과 유사한 적색도를 나타냈다. 또한 염지육에 잔류하는 아질산염도 얼갈이배추 발효액과의 조합처리 군에서 NaNO₂만을 처리한 군에 비해 유사한 적색도를 보였음에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본 결과는 L. kimchicus에 의한 얼갈이배추 발효물의 활용이 육류의 염지과정에서 NaNO₂의 저감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다양한 채소 발효물을 염지에 활용하여 NaNO₂의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Sodium nitrite (NaNO₂)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he color and enhancing the flavor of cured meats, but its safety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inter-grown cabbage broth fermented by Lactobacillus kimchicus (FB) on ground beef during the cur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L. kimchicus produced a substantial amount of nitrite after 24 h of FB fermentation. After 24 h of curing at 4℃, the addition of NaNO₂ or FB delayed oxymyoglobin formation. After heating, the redness of the cured meat was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with FB plus NaNO₂ added than with the same level of NaNO₂ only added. After 48 h of curing, meat redness was similar between samples cured with FB plus 1/2 the level of NaNO₂ and those cured with NaNO₂ only, whereas the residual nitrit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samples cured with FB plus 1/2 the level of NaNO₂.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vegetables containing natural nitrite sources may be applied to meat curing process to reduce NaNO₂ usage.

      • KCI등재

        설득형 시조의 유형과 논증 구조에 관한 試論

        김세림(Kim, Se-Lim) 한국시조학회 2017 시조학논총 Vol.46 No.-

        본 연구는 설득형 시조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그 유형과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의 시조 문학 연구사에서는 시조를 문학 텍스트로서만 간주하고 텍스트 안에서의 깊이 있는 발전을 도모해왔다. 이를 벗어 시조를 화용론적 담론 행위로 파악하고 접근한다면 화자와 청자, 그리고 맥락이 고려된 새로운 해석과 유형이 보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시조를 설득적 말하기로 보고 그 유형과 유형별 구조를 분석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먼저 설득형 시조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사전적 의미와 대표적인 설득 모델을 참고하였다. Petty와 Cacioppo(1986)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에 따르면 설득 메시지는 설득에 이르는 접근 방법에 따라 중심 통로와 주변 통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논리적으로 근거가 충분하지 않거나 논증 구조로 설명되지 않는 문장이라 하더라도 청자에게는 충분히 설득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의 설득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논리학에서 논증의 유형과 구조를 차용하여 조작적으로 개념을 정의해본 바, 화자에게 설득의 의도가 있고 텍스트에서 논증적 요소가 나타나는 것들을 설득형 시조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설득형 시조 안에서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다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구조를 점검하였는데, 이때 설득의 목적이 분명해야 유형 구분이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되어 교훈적 시조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귀납적 유형에서는 불확실한 증거를 바탕으로 둔 일반화 방법과, 비교대상의 유사성을 근거로 어떤 성질을 공유한다고 추론하는 유추의 방법을 사용한 시조들이 있음을 확인되었다. 또한 연역적으로는 이미 알려진 원인과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한 사례에 적용하는 원인적 일반화를 사용한 설득형 시조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이론적 체계화를 통하여 설득형 시조의 개념과 유형을 보충하고 교육적 효용에 기여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지속될 것이다. 이 연구는 설득형 시조라는 새로운 개념과 유형을 설정하는 시도로서 그 단초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of Persuasive Sijo operationally and analyze the type and structure of it. Sijo literature research has considered Sijo as the literary text and evaluated it in the aspect of text in-depth. It was expected that a new interpretation and type considering the speaker, listener, and context would be revealed if we evaluate Sijo in the aspect of pragmatic discours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type of Sijo and the structure of Sijo by identified type with considering Sijo as persuasive dialogue. First of all, the lexical meaning and the representative persuasion models were referred to set the concept of Persuasive Sijo operationally. According t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developed by Petty and Cacioppo(1986), a persuasive message can be divided into a central route and a peripheral route depending on the approach leading to persuasion. I found the possibility of persuasion in the literary text because even a sentence not logically grounded or not explained by the argumentation structure could be persuasive enough to listeners. Moreover, when the concept was defined operationally by borrowing the type and structure of demonstration, Sijo showing the intention of persuasion and text showing demonstrative elements could be classified as Persuasive Sijo. The structures of multiple Sijo were evaluated to confirm if Persuasive Sijo types could be classified. Didactic Sijo were examined first because the type of Sijo would be more distinctive when the objective of Sijo is clear.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wo induction types, which are generalization, based on uncertain evidence, and analogy, inferring a certain property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comparative objects. Moreover, in the deductive inference aspect, some Persuasive Sijo used generalization applying known reasons and results to specific cases. In the future, the concepts and types of Persuasive Sijo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a theoretical systematization. Furthermore, future studies will evaluate how to apply the gained knowledge to the educational purpos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new concepts and types of Persuasive Sijo.

      • KCI등재

        1980년대 광산사고 후 강원도 민영탄좌의 ‘화해’ 과정과 탄광 노동자의 선택

        김세림(Kim Seirm)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4

        이 연구는 광산재해를 다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로, 광산재해 피해자들이 재해 후 어떤 문제에 직면해있었으며 실질적으로 무엇을 바랐는지에 주목하였다. 1970년대 말부터 광산의 대형 재해는 점차 빈발하고 있었다. 정부는 재해빈발광산으로 지정되는 경우 국고보조금을 줄이고 집중관리하는 방식으로 광산재해 예방책을 세웠다. 정부의 처벌적 정책이 강화될수록 광업소에서는 다양한 편법을 사용해 ‘재해율’을 낮추려 했다. 통계와 서류에 광산사고의 실제는 가려져 있었고 광업소에서는 광산재해를 최대한 조용히 수습하기 위해, 감독관 개인 차원에서는 인사고과에 영향이 없도록 하기 위해 재해 노동자에게 ‘화해’를 종용했다. 광업소 측이 재해 노동자와의 절충을 위해 애썼던 이유는 1980년대 사북항쟁 후 탄광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에 사회적 관심이 쏠려 있었고 전두환 정권 역시 탄광촌의 환경 개선을 약속했기 때문이었다. 그에 더해 산재 소송 판결도 노동자에게 유리하게 내려지던 것이 배경이 되었다. 하지만 당시 변호사들이 과도한 수임비를 요구하거나 전체 위자료를 횡령하는 일도 빈번히 일어났기 때문에 손해배상금을 받더라도 탄광 노동자에게 돌아오는 몫은 회사에서 제시하는 화해금보다 오히려 적었다. 무엇보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사택에서 거주하며 석탄장학금으로 자녀들을 교육하는 탄광 노동자들이 소송을 제기하려면 이러한 혜택을 포기해야만 했다. 이러한 이유로 재해자와 그 가족 역시 ‘화해’에 응하였고, 회사를 상대로 최대한의 보상금을 받기 위해 “지랄”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사택에서의 삶과 석탄장학금을 유지하기 위해 재해자의 부인은 재해 현장으로 다시 가야 했다. 1970∼80년대 대형화하는 재해와 그 책임이 정부에서 기업으로, 기업에서 다시 한 개인으로 전가되었던 구조 앞에서 생활과 자녀 양육의 안정성을 보장받기 위해 분투하였던 것이 이 시기 탄광 노동자가 직면해있던 산업재해의 모습이었다. 회사와의 화해 역시 이 분투의 일환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ine disaster in multiple layers, paying attention to what problems the victims of the mine disaster faced after the disaster and what they actually hoped for. Since the late 1970s, major disasters in mines have been increasingly frequen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measures to prevent mine disasters by reducing government subsidies and intensively managing them when designated as disaster-prone light mine. As the government’s punishment policy strengthened, mining companies tried to lower the “disaster rate” using various expedients. Statistics and documents covered the reality of the mine accident, and mining companies urged disaster workers to “settlement” to deal with the mine disaster as quietly as possible, and to ensure that personnel review is not affected at the supervisor’s level. The reason why mining companies tried to compromise with disaster workers was that social attention was focused on improving the treatment of coal mine workers after the 1980s Sabuk uprising, and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also promised to improve the coal mining village’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background was that the industrial accident litigation ruling was made in favor of workers. However, at that time, lawyers frequently demanded excessive fees or embezzled all alimony, so even if they received compensation for damages, the share of coal mine workers was less than the reconciliation money offered by the company. Above all, coal mine workers living in company housing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with coal scholarships had to give up these benefits in order to file a lawsuit. For this reason, the victim and his family also responded to the “settlement”, and they had no choice but to “brawl” to receive maximum compensation from the company. And in order to maintain life at company housing and coal scholarships, the victim’s wife had to go back to the disaster site. In the 1980s, disasters responsibilities were passed on from the government to companies and from companies to individuals, the industrial accidents faced by coal mine workers during this period. Coal mine workers struggl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life and child rearing in front of this structure. Reconciliation with the company should also be understood as part of this struggle.

      • KCI등재후보

        1950년대 공주 유구지역의 피난민 정착촌 형성과 직조업

        김세림 ( Kim Serim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2 No.-

        한국전쟁기 피난민의 유구지역 이주 동기 및 정착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적이다. 또한 피난민 정착촌으로서 유구를 다시 보며, 이들의 정착과정에서 작동한 동향인 네트워크의 구체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공주 유구의 피난민 정착 사례는 한국전쟁기 피난민들이 정착지를 찾아간 경로와 자신들만의 터전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유구는 해방 이전까지만 해도 500여 가구가 생활하고 전기도 잘 들어오지 않는 벽지였다. 유구에 인구가 급증한 시기는 한국전쟁을 전후로, 정감록에 나온 십승지라는 이유 때문에 많은 피난민이 살 곳을 찾아 몰려왔다. 보다 직접적 이유는 1950년대 초반부터 유구에 직조업이 형성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직물의 절대수요가 증가하고, 직조기의 비중이 동력에서 인력으로 옮겨가면서 1950년대 영세직조업에는 호황기가 왔다. 당시 직물은 생산과 동시에 판매되었으므로 자본으로 빨리 전환되어 피난민들의 지역 정착을 도왔다. 유구에 정착한 황해도민들은 적극적으로 친인척을 유구로 불러와 직조업에 종사하게 하면서 가계를 일구어 갔다. 이들은 전국에서 친척들을 찾아와 집을 지어주거나 수직기를 만들어주는 등 적극적으로 정착조건을 마련해주었다. 그렇게 모인 피난민들은 또 다시 흩어진 가족들을 유구로 불러왔다. 피난민들은 유구에서 교회를 개척하거나 개간을 해 ‘신설동’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의 동향인 연결망은 친인척 및 혼인관계로 촘촘히 형성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직조업이 있었다. 이들의 연결망을 중심으로 직조공장은 약 250개로 늘어나고 직물조합이 설립되는 등 유구는 피난민들에 의해 활기를 띄어갔다. 그러나 1950년대 정부의 원조배분정책에 수혜를 받은 대규모 면방직공장들이 성장하면서 전국적으로 인견직생산은 급격히 쇠퇴했다. 전력사정이 나빠 수직기로 직물을 생산해오던 유구의 직조업은 크게 타격을 입어 1960년대부터 쇠퇴일로를 걸었다. 그럼에도 피난민들은 짧은 기간 동안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유구지역에 정착촌을 일구고자 하였으며 1950년대 피난민들이 직조업을 중심으로 유구에 정착해간 과정은 현재 유구에 중요한 지역정체성을 마련해주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motives of refugees for migration to Yugu area and the settlement process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also aims to reconsider Yugu as a settlement for refugees and analyze concrete characteristics of networks among refugees from the same provinces during their settlement process. The refugee settlement case in Yugu, Gongju demonstrates the refugees’ process of finding a settlement and creating their own living foundation during the Korean War, in detail. Before the liberation, Yugu was a remote village where about 500 households lived and electricity was not supplied properly.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population in Yugu began to rapidly increase and a lot of refugees crowed into this area, since this was mentioned as Sipseungj in Jeonggamrok. A more direct reason was because that starting the early 1950s, the weaving industry began to be formed. The absolute demand for fabrics rose due to the Korean War and with the shift of the proportion of looms from power to human resources, in the 1950s, small weaving businesses faced prosperity. At that time, fabrics were sold as soon as they were produced and the swift conversion to capital helped refugees settle down in this region. Refugees from the Hwanghae Province were active in bringing their relatives over to Yugu and they made their livings, engaging in the weaving industry. They provided settlement conditions actively by building houses for their relatives, who we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or making hand looms for them. Refugees coming together this way brought their separated families over to Yugu once again. Refugees pioneered or opened Christianity in Yugu and created ‘Sinseol-dong’. In that process, the networks among refugees from the same provinces were tightly formed with relatives and in-laws. At its core, the weaving industry functioned. Yugu became activated by refugees while weaving factories increased to nearly 250 and a weaving association was founded, focusing on their networks. But in the 1950s, large-scale cotton textile factories obtaining benefits from the aid allo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grew and rayon fabric production rapidly decayed throughout the country. Fabric production of the weaving industry in Yugu relied on hand looms because of the poor power condition. For this reason, the industry suffered greatly and from the 1960s, it began to decline. Nevertheless, refugees strived to cultivate a settlement in Yugu area, seizing the opportun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refugees’ process of settling down in Yugu in the 1950s, based on the weaving industry provided a significant regional identity to Yugu of the present time.

      • KCI등재
      • KCI등재

        K-pop 가사의 러시아어 번역 양상 및 자연스러움에 대한 코퍼스 기반 연구

        김세림 ( Kim Selim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3 유럽사회문화 Vol.- No.31

        본 논문은 K-pop 가사의 러시아어 번역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양상 및 오류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코퍼스 분석을 비롯한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을 모두 사용하며, 수작업으로 수정한 한-러 병렬 코퍼스를 기반으로 정렬된 텍스트를 형태-통사적, 의미적 층위에서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노래 가사 번역 이론과 문화소 번역 전략을 고려하여, 프란존(Franzon 2008)이 제안한 '운율적 일치' 와 '의미적 일치'라는 널리 용인되는 개념을 분석틀로 삼는다. 그에 따라 언어 쌍간의 음절 수, 단어 및 문장의 대응관계를 논의한다. 특히 번역의 통사적 자연스러움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의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한-러 병렬 코퍼스 2021을 참조 코퍼스로 사용하여 언어별 텍스트 내 단어와 글자 수를 비교한다. 단어, 표현, 그리고 문장의 변조를 대상으로 한 본고의 분석 결과는 한-러 번역의 양상 및 전략과 팬 번역에서의 오류 유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대중가요에 흔히 등장하는 단어 및 표현이 러시아어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것은 인간 번역 뿐만 아니라 기계 번역의 품질 향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양국의 제2언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한-러 병렬 코퍼스 혹은 오류 코퍼스를 구축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Russian translations of K-pop lyrics focusing on their patterns and errors. For this purpo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cluding corpus analysis are used. Based on the manually revised Korean-Russian parallel corpus, the aligned tex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t the morpho-syntactic and semantic levels. Considering existing song translation theories and translation strategies of cultural-specific items, this study takes the broadly accepted concepts of ‘prosodic match’ and ‘semantic-reflexive match’ proposed by Franzon(2008) as a framework for data analysis. The number of syllables, word correspondences, and sentence correspondences between the language pairs were discussed accordingly. To evaluate the syntactic naturalness, in particular, the Korean-Russian Parallel Corpus 2021 constr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used as a reference corpus to compare the number of words or syllables in the texts. The analysis of words, expressions, and alternations in sentences leads u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terns and strategies of Korean-Russian translation and types of translation errors in fan translation. Investigating how words or expressions that commonly appear in popular songs correspond to Russian can segue into constructing datasets, which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not only human translation but also machine translation. The present study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n accurate Korean-Russian parallel corpus or even an error-annotated corpus which would be helpful to second language learners in both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