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시대 입사장(入絲匠)의 역할과 작업범주의 재해석

        김세린 국립무형유산원 2017 무형유산 Vol.- No.3

        Ipsa(入絲)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decorative techniques in metal art in both the Eastand the West. It is based on the art of inlaying, which involves inserting materials, colors or othersubstances that differ from those of a given object into that object. Examples include the inlaying ofchina,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pyeongtal, or gold-inlaid lacquerware. The processconsists in engraving lines or planes on the surface of an object, and then inserting decorations thatare usually a metal with a different color, texture, material, or properties, and a mixture of metal andpigment. This creates a color contrast in the object that highlights the decorative effects of elegantlines and planes. Therefore, the methods of inlaying and how materials are expressed can differdepending on the regional culture or the ingredients produced. This implies that the ipsa techniquehas a tremendously wide spectrum and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 of ipsa has been handed downfor many generations to the present day. As such, the tradition of a particular technique is connectedwith the culture, society and daily life of the time in which it was originally enjoyed. Currently in South Korea, the ipsa technique has been preserved in metal engraving as National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5 and in inlaying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78. However, although both are based on insertion, they diffe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and foundations of the work involved. For instance, metal engraving involves doing the generalmetalware work based on joijil, and the ipsa technique falls under this category. In contrast, inlayingfocuses on ipsa work, decorating the surface of an item of metalware. This may have originated in thedifferences between metal engravers and ipsa craftsmen that existed prior to the Joseon Dynasty, andconfusion caused by today's interpretation and perception of them. Therefore, to accurately analyzethe art and technique of ipsa, and to identify the technical foundation, roles and work tendencies oftraditional ipsa, it is necessary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ipsa craftsmen through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ipsa up to the Joseon Dynasty by studying the relevant literatureand artifacts. This paper seeks to reinterpret the scope of the ipsa technique by focusing on the work of ipsacrafts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cope of the ipsa technique, which is currently perceivedas a decorative method of metal art, turned out to be broader than was widely thought. Existingliterature and artifacts show that ipsa craftsmen were in charge of inlaying not only metal but alsowood and stone-made craftworks. This implies that the use of the ipsa technique was wider than iscurrently thought.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the ipsa technique, andthe name and scope of ipsa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reinterprets the scope andcharacteristics of the ipsa technique through literature and artifacts of the Joseon Dynasty. 입사(入絲)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활발하게 사용된 공예의 장식기법 가운데 하나이다. 기물의 표면에 음각(陰刻)을 하고 음각 홈에 색 또는 물성이 다른 재료를 넣어 장식하는 감입법(嵌入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보석감장·도자의 상감·칠기의 나전·평탈·창금 기법 등과 근간이 동일하다. 이러한 시문 특성은 바탕재와 장식재의 색채 및 질감 대비를 통한 선과 면의 선명하고 유려한 표현을 동반한다.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폭이넓고, 곡선·직선·면 등 시문 가능한 문양이 다채로워 우리나라는 물론 여러 문화권의 공예 장식에 고루 활용되었다. 또 각 지역의 산출 재료와 향유 문화에 따라 감입방식과 표현에 차이가 있어, 기법이 지닌 넓은 스펙트럼과 개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입사공예에는 이를 제작하고 향유했던 이들의 문화와 사회상, 삶이 내재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雕刻匠)과 제78호 입사장(入絲匠) 분야에서 입사기법이전승된다. 두 종목 모두 감입(嵌入)을 기본으로 하지만, 현재 통용되는 작업에 대한 인식과 근간에는 차이가있다. 조각장은 조이질을 바탕으로 금속세공 전반의 작업을 하는데 입사기법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반면 입사장은 금속공예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입사작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사서(史書) 및 유물을 검토해보면 입사장은 금속은 물론 다른 바탕재료로 제작된 공예품 전반의 입사장식을 담당했음이 확인되어, 현재의통념과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통념의 차이는 전통 공예가 지닌 기본적 특성이 아닌 주요 재료를 기준으로 하는 근대식 공예 분류법에 따라 이뤄진 인식 및 해석의 혼동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입사공예 및입사장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과거부터 이어온 입사 전통의 기법적 기반과 역할, 작업양상에 대한 문헌, 유물 분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까지 입사장의 역할과 작업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금속으로 바탕재를 사용한 기물의 장식기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입사의 시문 범주와 입사장의 작업범위는 현재의 인식에 비해 광범위했다. 문헌과 명문(名文)을 비롯한 여러 자료들은 현재와는 다른 넓은 인식의폭을 뒷받침해준다. 본 논문은 문헌 및 유물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사실과 근거를 토대로, 입사장의 법전(法典)명문화가 확인되고 자료가 이전 시대에 비해 비교적 풍부한 편인 조선시대 입사의 기법 및 조각장과의 유기적관계를 분석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입사장의 역할과 작업범주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했다.

      • KCI등재

        조선 중-후기 왕실용 금속제 입사공예품의 제작도구 : 의궤기록을 중심으로

        김세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9 한국문화연구 Vol.37 No.-

        공예품의 제작도구는 제작자가 제작 과정에서 기물의 형태를 갖출 때 사용하는 도구와 표면의 가공 및 마연, 장식을 할 때 사용하는 도구들을 포괄한다. 조선시대 공예품 제작에 사용된 도구는 현전하는 의궤 기록을 통해 구체적인 도구의 명칭과 도구가 사용된 분야, 사용자가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의궤 자체는 왕실공예품의 제작에 국한된 기록이지만, 의궤에 기록된 제작에 참여한 장인의 유형은 官에 소속된 官匠은 물론 때에 따라 私匠도 있다. 이를 통해 관영수공업과 민영수공업의 제작기술과 도구를 일정부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의궤에 기록된 공예품의 구체적인 제작 및 시문 기술과 도구가 연계 분석되는 분야 중 입사공예품 기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의궤 내 입사공예품 제작 및 입사장에게 지급된 도구를 기록 유형에 따라 다른 문헌과 비교했다. 그리고 도구의 종류와 용도를 추출했다. 아울러 주요 외부 요인을 함께 고려해 Ⅲ장에서는 도구를 용도별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문양의 세밀한 표현과 표면 마연, 입사 시문 시 충격으로 인한 기물의 파손 방지 등의 목적으로 도구가 매우 세분화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입사공예품의 제작에 사용된 도구들은 현재 입사기법을 전수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입사장, 조각장 분야에 전승돼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재의 전승 상황은 Ⅲ장의 국가무형문화재 전승도구와 의궤 내 기록과의 비교를 통한 용도와 용례 파악은 조선시대 입사공예품 제작 도구의 실체에 접근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기존 미술사, 공예사 분야에서 활발하게 조망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한 연구의 시작이라는 측면에서 기초 연구방법론을 제시하는 단계에 머무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공예사를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하고 연구하는 데 있어 필요한 연구방법론을 적용해 제작도구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Crafting tools are tools used by the producer to form objec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ols used to process and decorate the surface. In the Joseon Dynasty, the specific name of the tool and the user of the tool are often identified through the records that are present. Although the research subject is limited to the production of royal crafts, various types of producer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rafting techniques and too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focuses on the metal inlaid crafts, which can be analyzed by connecting the craftsmanship of the crafts and decoration techniques recorded in the Eugye(儀軌) of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tools provided to the craftsman in charge of the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metal inlaid crafts were compared with other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record. And we extracted the types and uses of the tools.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ain external factors, Chapter III analyzed the tools by their us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tools were very subdivid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detailed expression of decoration, polishing of the surface of crafts, and prevention of vandalism due to impact when decorat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tools used in the Joseon Dynasty were inherited by artisans in the same field. In fact, the tools they are currently using helped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e Joseon Dynasty tools. There is a limit that this research can stay at the stage of presenting basic research methodology in terms of the start of research on the part which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existing art history field. However, this study method is necessary for more three-dimensional and various aspects of research. This paper intends to put significance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MPLS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분산 방안

        김세린,송정화,이미정,Kim, Sae-Rin,Song, Jeong-Hwa,Lee, Mee-J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9 No.6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효율적인 명시적 라우팅(explicit routing)을 지원할 수 있어 트래픽 엔지니어링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MPLS를 이용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서 다중 경로 상에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LBM(Load Balancing in MPLS networks)이라 명명하였다. LBM은 하나의 진입-진출 라우터 쌍 간에 다중의 LSP(Label Switching Path)론 설정하고, 플로우 단위로 이들 다중의 LSP에 부하를 분산하되 경로의 길이와 부하를 함께 고려하여 부하를 분산한다. 또한, 링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링크의 활용률이 커짐에 따라 더 짧은 경로에 의해서만 사용되도록 제한하고, 더 짧은 경로의 활용률이 커짐에 따라 더 길지만 활용률이 더 낮은 경로를 대체 경로(alternative path) 후보로 고려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최단 경로 방식 및 기존의 다중 경로를 사용하는 방식들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 LBM의 성능이 우수하며, 특히 국부적으로 트래픽이 편중되는 경우 LBM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PLS enables efficient explicit routing, and thus provides great advantages in supporting traffic engineering. Exploiting this capability, we Propose a load balancing scheme which deploys a multipath routing. It is named LBM (Load Balancing in MPLS networks), and targets at efficient network utilization as well as performance enhancement. LBM establishes multiple LSP (Label Switched Path)s between a pair of ingress-egress routers, and distributes traffic over these LSPs at the new level. Its routing decision is based on both the length and the utilization of the path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a link usage, a link is limited to be used by shorter paths as its utilization becomes higher Longer paths are considered to be candidate alternative paths as the utilization of shorter paths becomes higher. Simulation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LBM to that of static shortest path only scheme as well as the other representative dynamic multipath traffic distribution approach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LBM outperforms the compared approaches, and the performance gain is more significant when the traffic distribution among the ingress-egress pairs is non-uniform.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김세린,황지인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4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workplace bullying, organization culture and nursing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6 to 26, 2018 with 168 nurses participating in RN-BSN and graduate programs in a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2.0 by t –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f nurses, 23.2% were found as victims of workplace bullying. Higher scores for workplace bully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rank-oriented culture (r=.19, p=.015),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lational-oriented culture (r=-.43, p<.001)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r=-.35, p<.001). After adjusting for other variables, better nursing performa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scores for workplace bullying (β=-.18, p=.026)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β=.24, p=.023).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Efforts to creating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ducing workplace bullying can contribute to improving nursing performance.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간호조직문화, 간호업무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간호학사편입과정 및 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자료 수집은 2018 10월 16일부터 26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t – test, ANOVA,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23.2%가 직장 내 괴롭힘의 피해자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은 위계지향문화(r=.19, p=.015)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관계지향문화(r=-.43, p<.001), 혁신지향문화(r=-.35, p<.001)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장 내 괴롭힘(β=-.18, p=.026)과 혁신지향문화(β=.24, p=.023)로 나타났다. 간호조직문화는 직장 내 괴롭힘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을 줄이고, 혁신을 지향하는 조직문화를 강화함으로써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중앙군영의 입사장 편제와 군수용품의 입사 시문 양상

        김세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3 한국문화연구 Vol.44 No.-

        입사(入絲)는 조선시대 왕실과 민간의 의례, 일상, 취미, 완물 등 다양한 용도를 지닌 공예품의 장식에 사용된 시문기법이다. 기물의 표면에 음각을 하고 금속으로 된 장식 재료를 감입해 문양이나 문자, 상징 등을 표현했다. 유물과 문헌을 살펴보면 입사기법은 조선시대 군(軍)에서 사용된 물품에도 다방면에 활용되었다. 기물의 꾸밈과 상징, 문자의 전달이나 화포의 심지 구획선과 같이 명확한 표식 등 여러 용도가 확인된다. 현전하는 유물에서 나타나는 유형을 보면 사용자의 직위와 의례의 법식을 나타내는 상징과 꾸밈, 군령 등을 전달하거나 무기에 표식 하는 것과 같은 실용으로 시문 목적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시문기법은 조선시대 공예품에서 사용된 입사의 세부 기법이 두루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군수용품은 중앙의 군기시 소속 장인이 기본적으로 제작하고 상황에 따라 상의원, 제용감, 사옹원 등 다른 관청의 장인과 연계해 만들었다. 양난이 끝난 16세기 말~17세기 초에는 여러 무기가 도입되고 군제와 무예제가 개편 및 정비되었다. 이에 따라 군수용품의 제작을 담당했던 장인의 운영 체제에도 변화가 생겼다. 기존 군기시의 제작은 유지되었고 동시에 훈련도감, 어영청, 수어청, 금위 영, 총융청 등 수도 방위를 담당한 중앙 군영에도 장인을 배치하여 군영에서 필요한 군수물자를 직접 제작할 수 있게 했다. 중앙 군영 소속 장인은 중앙 관청 소속 장인과 동일하게 경공장(京工匠)으로 편제했고 입사장도 그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중앙 군영의 군수용품 제작을 담당했던 장인의 운영 체제를 통해 현재 유물로 전해지고 있는 조선 후기 군수용품의 입사 시문 양상과 입사장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그간 미술사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군수용품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윤곽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을 밝혀 둔다.

      • KCI등재

        숙종 연간(1674-1720) 산릉, 봉릉도감의 노야소(爐冶所) 운영과 야장(冶匠)의 역할

        김세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2 한국문화연구 Vol.42 No.-

        본 논문은 숙종 연간(1674-1720) 산릉, 봉릉도감의 금속품 제작을 담당했던 노야소(爐冶所)와 야장(冶匠)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노야소(爐冶所)는 능 조성이나 건축물 영건에 필요한 각종 철물(鐵物)을 제작하기 위해 마련된 대장간이자 제작공간으로 야장(冶匠)을 포함한 관련 전문 장인들이 차출되어 재료 가공부터 기물 제작까지 일련의 과정을 수행했다. 노야소의 제작을 총괄하는 변수(邊首) 야장 중 경륜이 풍부한 장인이 맡았으며 다른 야장과 함께 철물 제작을 수행했다. 그렇기에 야장은 노야소 내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볼 수 있다. 야장의 제작활동 분석은 그들이 제작한 조선시대 왕실의 능묘 조성 및 건축물 영건 공역에 소비된 철물의 재료와 제작기법 이를 통해 완성된 제작품의 종류와 쓰임을 유기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숙종 연간 시행된 산릉, 봉릉도감의 노야소에서도 공역에 필요한 각종 장식물과 부재, 도구 등을 제작하였고, 때에 따라 표면 장식도 담당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도감에 참여한 야장은 특정 공역만을 수행하는 전문 장인이 있었음을 확인했다. 전문 장인의 참여는 제작품의 정교하고 균일한 품질 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노야소와 소속 장인이었던 야장의 역할을 통해 조선시대 도감의 금속공예품 제작체제 일면을 분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공예 자료 집성을 위한 데이터 구성 연구

        김세린,한혜선,장남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3 한국문화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공예 관련 문헌과 유물자료를 집성한 공예정보 DB를 구축하기 위한 분류체계 설정과 구조화 과정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조선시대 공예정보를 집성한 DB를 구축을 위해서는 분산되어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기준 마련이 가장 중요했다. 이에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각종 공예 관련 용어에 주목하였고 이 용어[색인어]들을 중심으로 한 카테고리 구성과 로우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도출하였다. 조선시대 공예는 지나간 과거가 아닌 현재까지 전승이 지속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공예품이 가진 사용처와 사용목적 등 대중이 가장 궁금하게 여기는 의문에 대해서는 명쾌하게 설명하기 쉽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조선시대 공예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집성한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접근성이 높은 편리한 시스템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동시에 공예가 지닌 역사적, 문화적 의미와 조선시대 물질문화에 대해 반추하고 자료의 대중적 관심을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설계 검토 결과는 추후 제공될 <조선시대 공예 DB>의 완성도와 타당성을 높이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tructuring a classification system to build a craft database that organizes literature and relics related to craft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build a database of craft information from the Joseon Dynasty, setting standards for collecting scattered data was most important. Accordingly, we paid attention to various craft-related terms appearing in the literature, and came up with a plan to construct categories based on index words and construct a database using raw data. Craft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not just a thing of the past, but are one of the traditional culture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in the present. However, it was not easy to clearly explain the questions that the public was most curious about, such as the purpose or place of use of craft products. In that respect, I believe that a database that organizes extensive information on crafts from the Joseon Dynasty will be a convenient system to resolve these questions.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each craft, and even the material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recall the importance of public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The design review results exam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to improve the completeness and suitability of the Joseon Dynasty craft database that will be servic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