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아라가야(阿羅伽耶)의 성립기반과 영역의 변천

        김세기 ( Se Ki Kim ) 대구사학회 2012 대구사학 Vol.106 No.-

        The Formation and Territory of Aragaya deducing from Archaeological Sources Kim, Se-ki [Abstract] Aragaya, existed in Haman, was the state which formed and developed from Anya, a small country belong to the Three Han States, in the third century. There have been negative views about the existence of Anya, because a wooden grave proving the formation of small countries didn`t excavate at Haman. But recently, a large scale of dolmens on the boundaries of graves were excavated at Jindongri. When we deduce from the distinctions of the scale and facilities contained therein, we can conclude that a high level of political authority was developed at Haman. According to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people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early state at Haman were the group constructed dolmens at Jondongri. The early state at Haman was formed at Jindongri, unified a Haman basin and the group built dolmens around it, and transferred the center to the Dohangri area. That has the root of Anya, and the territories were included the central zone of Haman basin, the coastal area of Jindongri, and the district of Gunbuk around Nam River. Anya was developed to Anra on the strength of the foreign trade by utilizing the southern coast and the advantage of waterways along Nam River and Nakdong River in the late of third and the early of fourth centuries. And the state expanded to the Chilwon area in this century. The main form of grave was changed to pit tomb in the fifth century. The ancient graves of Dohangri, the complex of Aragaya graves, had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very fine plane form flattened to more than 5.5:1 ratio drapery, the structure of a single room, and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side the central room. Therefore, Aragaya was developed from the period of using pit tomb as a main form of grave.

      • SCOPUSKCI등재

        LD<sub>50</sub> 산출방법에 있어서 수리 · 통계학적 특성

        김세기,김근종,이병무,Kim Se Ki,Kim Keun-Chong,Lee Byung Mu 한국독성학회 2004 Toxicological Research Vol.20 No.4

        Lethal dose 50% ($LD_{50}$) has been commonly used as a parameter for the estimation of acute toxicity not only in animal experiment, but also in human study. Several methods to estimate $LD_{50}$ had been introduced, but Spearman-Karber and Berens-Karber method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ir relative convenience and accuracy. However, $LD_{50}$ values estimated from the two methods showed inconsistency and vari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tality data. In this study, the two methods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accuracy and stability for the estimation of $LD_{50}$.

      • KCI등재

        대가야 고대국가론

        김세기(Kim, Se-ki)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7

        가야 혹은 대가야에 대한 연구는 사료 자체가 워낙 영성하여 문헌사료만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이루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또한 그렇다고 해서 고고자료만 가지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가야사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고고학전공자들과 문헌사학자들이 공동연구를 통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가야사연구에서 핵심과제는 과연 가야의 국가발전 단계가 어디까지였나를 중심으로 어찌하여 가야제국들은 하나로 통합되지 못하고 문헌기록에 멸망할 때까지 다수의 국명이 존재하고 있었는가? 등의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가야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논의는 자연히 연맹체론과 고대국가론으로 모아지고 있다. 연맹체론은 전기가야연맹과 후기가야연맹 혹은 대가야연맹, 지역연맹체로 정리되어, 가야는 끝까지 연맹왕국이었다는 학설로 『삼국유사』 오가야조와 『일본서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하여 고대국가론은 주로 고고자료를 근거로 특히 대가야는 고총고분의 위계와 금관 등 출토유물을 통해 부체제를 거쳐 고대국가까지 발전했다고 주장하는 설이다. 따라서 이글은 고대국가 개념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연구된 고고자료와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5세기 중반이후 대가야의 변화상을 통하여 대가야가 고대국가로 발전한 사실을 추론한 것이다. 대가야의 국가위상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고고자료는 역시 고총고분으로 대형분은 20m이상, 중형분은 10-15m에 달한다. 정해진 묘역 중앙에 주인공 묘실을 설치하고, 주석실 옆에 부곽과 순장곽을 배치한다, 특히 순장곽을 2기이상 가진 다곽순장은 고령지산 동고분군만의 특징이다. 단곽순장분은 고령에서 점차 서부경남을 거쳐 호남동부지역까지 확산되고, 대가야토기와 위세품까지 공반 되고 있어 대가야가 넓은 영역을 확보하고 위세품을 사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령의 가라왕 하지는 독자적으로 중국에 진출하여 ‘보국장군본국왕’이라는 중국 남제의 관계 제3품에 해당하는 품계를 받음으로써 국제적으로 당당한 하나의 국가로 인정을 받고 공식적으로 대왕을 칭하며 국명을 대가야로 정하였다. 또 독자적 건국신화와 예악을 통하여 통치이념을 실현하고, 중앙관제를 제정한 다음 지방을 상하부로 편제하였다. 이와 같은 고대국가의 면모는 고고자료에서도 뚜렷이 보이는데, 고령지역에서만 금관과 금동관이 출토되고, 대왕명, 하부사리리명 토기, 연화문이 그려진 벽화고분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대가야는 낙동강 이서에서 지리산과 섬진강, 남강 이북에 이루는 영역의 확보, 신라와 백제에 군사를 파견할 정도의 군사력 등으로 볼 때 확실한 고대국가를 이룩하였다. The study of Gaya or Daegaya is so lacking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with the literature alone. It is not so much that we can study with archaeological materials alone.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search, archeological majors and literary historians have worked together through joint research. The key tasks in the Gaya research are how far Gaya has developed, and did the Gaya Empires have a number of national names until they were not consolidated into one and were destroyed? The discussion of this political character of Gaya is naturally gathered into the League of Confederation and the theory of the ancient states. The theory of Federation is divided into the former period of Gaya Federation, the latter period of Gaya Federation, or the Daegaya Federation, and the Regional Federation. The theory is based on “Samguk Yusa,” Ogaya, and “Ilbon Seogi”. The ancient state theory is mainly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such as the ranks of a Gochong ancient tomb and a golden crown.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concept of ancient states and synthesize archaeological and literary data so far studied. In addition, this article deduced the fact that Daegaya was developed into an ancient state through the changes that occurred since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archaeological data representative of the national status of Daegaya is a Gochong ancient tomb. The large tombs are more than 20 meters long and the medium tombs are 10 to 15 meters long. The hero’s burial chamber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designated graveyard. Bugwak and Sunjanggwak are placed next to the Juseoksil. The multi-Sunjanggwak with two or more tombs is characteristic of the Jisan-dong tomb complex. The single-Sunjanggwak was gradually spreading from Goryeo through West Gyeongnam to Honam East. The Haji of Gara King at Goryeong entered to the China independently and received the title of “the King of Boguk Janggun Bonguk”.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as a nation internationally, officially called the Great King, and the kingdom was named Daegaya. In addition, through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myth and prosperity, the states realized the governing ideology, enacted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organized the provinces into the upper and lower parts. This fact proves the gold and bronze vessels are excavated only at Goryeong, the name of the Great King, the Habusaririmyeong Pottery, and the tomb murals painted with the Yeonhwamun. Daegaya achieved an authentic ancient state in terms of securing the territory of Jirisan, the Seomjin River, the north of Namgang, and military forces in Silla and Baekje from the Nakdong River.

      • KCI등재

        고고학으로 본 가야의 개념과 영역

        김세기(Kim, Se-ki)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근래 정부의 가야사 복원정책이 발표된 이래 가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문헌사료가 제한되어 있는 현실에서 고고학 자료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면서 가야가 신라 보다 우수했다거나, 경주를 제외한 넓은 지역이 5세기까지 가야였다는 인식도 퍼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그 동안 여러 요인으로 소외되었던 가야사에 대한 보상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학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고자료의 해석을 통해 가야사 연구의 기본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것은 고고학 자료가 가야의 개념과 영역, 국가발전단계 등을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을 위한 기초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가야고고학 자료 중 가장 많은 각 지역의 고총고분으로 대표되는 왕릉급 고분의 묘제와 출토유물(토기, 위세품)을 통해 가야의 개념을 제시하고 영역을 추론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찾아낸 가야묘제는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석실묘로 발전하는 단계를 가야묘제로 정의하고, 토기양식 중 고배대각의 투창이 상하 일치하는 것을 가야토기양식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의 고분 중 가야묘제를 가진 고분과 이러한 가야고분 안에서 가야토기와 가야식 위세품이 출토되는 지역을 가야의 개념과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야묘제와 토기는 가야의 공통양식 안에서 각 지역별로 지역양식이 나타나고 있고, 이것을 통하여 가야의 영역과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 지역양식과 영역은 금관가야영역, 아라가야영역, 소가야영역, 대가야영역으로 대별되며, 지리적으로 보면, 대체로 금호강 남쪽에서 낙동강서안에 해당된다. 특이한 점은 대가야영역이 지리산을 넘어 장수지역과 섬진강 서쪽인 순천, 광양을 포함하는 것이다. 가야고고학이 가야사복원에 더 기여하려면 계획적 발굴조사, 왕궁, 산성, 봉수 등 가야의 국가발전단계 규명을 위한 고고학 자료 확보에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Since the government’s recent policy to restore the Gaya has been increasing, the interest in Gaya has been explosively growing. In such a situation, the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data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reality that the documentary is limited.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that Gaya is now superior to Silla, or that large areas except Gyeongju were territories of Gaya until the 5th century.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reward psychology of Gaya, which had been neglected by various factor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ademically, it became necessary to approach the basic problem of Gaya research through interpretation of archaeological data. The reason is that archaeological data is the basis for a logical and objective approach to the concept and area of Gaya, and the stage of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Gaya is presented and the area is deduced from the burial tombs and excavated artifacts(pottery, prestige articles) in each area of G aya. In this way, the tombs of Gaya have been evolved into a step of Moggwanmyo(木棺墓), Moggwagmyo(木槨墓), Seoggwagmyo(石槨墓), and Seogsilmyo(石室墓). Among the earthenware styles, the upper and lower coincidence of the pitch angle of the upper diagonal was set to the Gaya earthenware style. Therefore, we have set up the concept and area of G aya as an excavated site of burial tombs, an earthenware, and a prestige articles. Gaya’s tombs and earthenware contain the common style of Gaya and reveal the style of each area.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recognize the area and characteristics of Gaya. The local styles and areas are categorized into the Geumgwangaya area, the Aragaya area, the Sogaya area, and the Daegaya area. Geographically, it is generally located in the we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outh of Kumho River. Unusual is that the Daegaya area includes Suncheon and Gwangyang, which extend beyond Jirisan to the Jangsu area and the west of the Seomjin River. If Gaya’s archaeology is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Gaya history, it needs to focus its efforts on securing archaeological data to investigate the national development stages of Gaya, including its planned excavation research, royal palaces, fortresses and Bongsu.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등 교육과정을 통해 본 체육사상 고찰

        김세기(Kim, Se Ki)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2015 교육과정까지 초·중등 체육과 교육과정 변천의 중심사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문헌 고찰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초·중등 체육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미국의 교육제도와 함께 신 체육이 도입되어 실용주의에 기초를 두고 변천하여왔다. 둘째, 교육과정별 강조한 중심사상은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아래에 진보주의, 국가주의, 실용주의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시작부터 5차 교육과정까지는 국가 주도의 획일화와 집중 경향이 강했으며, 6차 교육과정부터 실용주의에 바탕을 두고 분권화 경향과 교육과정 권한 이양 및 개인의 자율성과 다양성 추구에 중심을 두고 교육과정 변천이 이루어졌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nges of main thought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from 1945 liberation to 2015 curriculum Method: Curriculum from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nd concerned documents within the period mentioned above are closely analyzed. Results: Firs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is nationalized one, which is based on the educational thoughts from Korean traditional humanitarian ideal and has changed under the pragmatism with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education system and new physical education. Second, stressed main thoughts on each curriculum are nationalism, progressivism and pragmatism under educational thoughts from the humanitarian ideal. Third, standardization and centralization were prominent from the first to fifth curriculum, whereas decentralization, curricular devolution, pursuance of personal autonomy and diversity are sought from the sixth curriculum based on the pragmatism. Conclus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is based on humanitarian ideal and pragmatism and it shows nationalism, progressivism and pragmatism.

      • KCI등재

        여성 체육교사의 젠더 고정관념과 역할갈등, 직무 소진 및 만족의 관계

        김세기(Kim Se-Ki),이승만(Lee Seung-M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체육 교사의 젠더 고정관념과 역할갈등, 소진, 직무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9~10월 전국의 여성 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확보한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타당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및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젠더 고정관념은 역할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젠더 고정관념은 직무 소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젠더 고정관념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할갈등은 직무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젠더 역할갈등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 소진은 직무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학교 내에서 암묵적으로 남성적 이미지와 역할을 강요받는 여성 체육 교사의 어려운 점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교직에 대한 열정을 소진시킴과 동시에 만족감을 떨어뜨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 체육 교사의 직무 상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how gender stereotypes, role conflict,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re related among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320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9. These data were used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es, w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ender stereo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role conflict. Second, gender stereotypes had no effect on job burnout. Third, gender stereotypes had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role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 Fifth, role conflict had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nally, sixth, job burnou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faced by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pressured to take on masculine images and roles, and that these factors were detrimental to their passion for teaching and job satisfaction. As such, we emphasized some of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faced by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nted the need to address these issues.

      • KCI등재후보

        가야지역 고분자료와 묘제의 지역성 고찰

        김세기 ( Se Ki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이 논문에서는 가야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고분 자료를 통하여 가야 묘제가 지역별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들은 어떤 역사적, 고고학적 의미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가야고분의 분포지역은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성주, 고령으로부터 하류에 위치한 김해를 중심축으로 그 서쪽 내륙 지역인 합천, 거창, 함양, 산청과 남해안에 연접한 함안, 고성, 진주에 이르고 있다. 또한 호남 동부지역에 해당하는 남원, 진안, 장수지역과 호남 남해안인 순천까지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가야고분들은 입지와 묘제, 출토유물 등에서 공통점과 각기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고령의 대가야권역은 단곽순장 석실분과 다곽순장 석실분으로 발전하며, 그 크기나 유물의 양에서 다른 지역보다 우수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지역적 범위도 고령, 합천, 거창, 함양, 산청을 넘어 남원, 진안, 장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을 차지한다. 더 나아가 호남 남해안인 순천지역까지 진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김해의 금관가야권역은 단곽 목곽묘에서 일자형 주부곽목곽묘로 발전하며 김해지역에 한정된 분포범위를 가지고 있으나, 한경 등 발달된 선진문물이 일찍 들어오는 지역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함안의 아라가야권역은 목곽묘에서 단실석실분으로 발전하며, 매우 긴 세장형 수혈식 석실에 벽감이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가야묘제의 지역성을 통해 볼 때 가야지역은 대가야권역, 금관가야권역, 아라가야권역 등 세 개의 권역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5-6세기의 가야세력은 3개의 대권역으로 분립되어 있었으며, 그중에서 대가야세력이 가장 강대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which a graveyard system had by regional groups, and the meaning what they had historically and archaeologically, by analyzing the old tomb materials excavated in Gaya territory. The distribution regions of old tombs were extended from Seongju and Goryeong located at the middle reaches of Nakdong River, centering around Gimhae located at the lower reaches, to Hapcheon, Geochang, Hamyang, Sancheong which located at inland area, and Haman, Goseong, Jinju connected at the south coast. Also, they were extended comparatively at broad region to the Namwon, Jinan, Jangsu located at the eastern part of Honam, and Suncheon located at the south coast of Honam. The old tombs of Gaya were revealed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conditions of location, a graveyard system, and excavated articles. The region controlled by Daegaya of Goryeong was developed from a stone tomb with a outer coffin to a stone tomb with outer coffins in formula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was superior to another region in view of a size and a quantity of relics. The influence of Daegaya was widespread over Goryeong, Hapcheon, Geochang, Hamyang, Sancheong to Namwon, Jinan, Jangsu. Moreover, it advanced into Suncheon located at the south coast of Honam. The region controlled by Geumgwangaya of Gimhae was developed from a stone tomb with a outer coffin to a wooden tomb with a center outer coffin in form of sideways. This formula of tombs was restricted in the region of Gimhae, and had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region which advanced civilization such as Hangyeong was adopted. The region controlled by Aragaya of Haman was developed from a wooden tomb to a stone tomb with a outer coffin, and had the local characteristics with niche in a stone tomb digged a ground by slender and long form. As we analyzed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a graveyard system in Gaya, the region of Gaya was classified into Daegaya, Geumgwangaya, and Aragaya. Therefore, the power of Gaya was also divided into three scope of influence. Among the three powers, the influence of Daegaya was exceedingly far-reaching in 5-6th century.

      • KCI등재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maSMAbots 최적화

        김세기(Se Ki Kim),강태원(Tae Won K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4

        Unlike natural organism, the ordinary robots use actuators that are operated with motor or cylinder. We can construct muscle based robots that use shape memory alloy wires that contract when heated and release when cooled. A robot’s moving distance and consumed energy are varied with their shape(number, thickness, length, weight of legs and bodies). In this paper, we construct optimized maSMAbots(multiple articular Shape Memory Alloy robots) using genetic algorithms. For using genetic algorithms, we propose numerical model based on mechanics of maSMAbot’s shape and walking pattern. Next we design maSMAbots chromosome which contains number and position of the segments and legs etc., finally design fitness fun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ome useful and effective robots can be constructed with proposed method, and we find the shape of the maSMAbots go with the form of natural organism.

      • KCI등재후보

        LD_(50) 산출방법에 있어서 수리·통계학적 특성

        김세기(Se Ki Kim),김근종(Keun-Chong Kim),이병무(Byung Mu Lee) 한국독성학회 2004 Toxicological Research Vol.20 No.4

        Lethal dose 50% (LD_(50)) has been commonly used as a parameter for the estimation of acute toxicity not only in animal experiment, but also in human study. Several methods to estimate LD_(50) had been introduced, but Spearman-Karber and Berens-Karber method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ir relative convenience and accuracy. However, LD_(50) values estimated from the two methods showed inconsistency and vari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tality data. In this study, the two methods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accuracy and stability for the estimation of LD_(50).

      •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스티키토 구성 최적화

        김세기(Se-Ki Kim),강태원(Taew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근육과 같은 움직임을 갖는 금속을 이용한 스티키토는 동작 방식이 실린더나 모터를 사용할 때와 많이 다르다. 고려할 내용이 많이 모양을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고, 사용 목적에 따라 구성도 달리 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근육처럼 반응하는 니티놀을 이용하는 스티키토의 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성 최적화 한 개체들과 기존의 개체와 비교한 결과 약 5배 멀리 갈 수 있었고, 전류도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