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졸업예정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그릿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지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ercentage of young adults who do not enter the labor market and remain unemployed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unstable social phenomena and a rapidly changing job wor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reas t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independence and job search of college students, including young adults, in order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and promo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graduates located in Korea. For this purpose, an 82-item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social support, gri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administered to 247 college graduates in Ko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SPSS PROCESS MACRO 3.5,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confirm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6 dual mediation model. First, we found that college graduates' perceived social suppor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ut no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we tested whether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graduate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the mediator grit, and that social support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sequentia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graduate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us,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graduates' perceived social suppor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ut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the dual mediation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proces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revealed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at work directly and indirectly in rela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provide career guidanc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that can improve them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identified the need to develop various effective and practical programs that can help students overcome various negative situations and tak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s well as activities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대학 졸업예정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지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불안정한 사회현상과 급변하는 직업세계 등, 다양한 원인으로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실업상태로 정체되어 있는 비율은 급증하고 있 다.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청년층을 비롯한 대학생들의 자립과 구직을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영역을 확인하여, 진로준비과정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대학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간에 그릿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 졸업예정자 24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그 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82문항의 자기보고식 질 문지를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Statistics 22.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Model 6 이중매개모델을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가 그릿과 진로결정자기효능 감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주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졸업예정자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는 그릿과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진 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졸업예정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진 로결정자기효능감은 각각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은 매개변인인 그릿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간 접효과를 미치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졸업 예정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순차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이로써 대학 졸업예정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 동에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으며, 그릿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 로 진행되었을 때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그릿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입증하였고, 진로준비행동과 관련하여 직ㆍ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사회적 지지와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 감의 중요성을 밝혀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을 고려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지도를 비롯한, 진로교육, 진로상담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한 다양한 부정적 상황에 직면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진로준비행동을 취 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릿 및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의 필요성을 확인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사회적 지지,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종의 분자적 동정 및 iNOS 유전자 연구

        김선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종의 동정을 위해 당 발효 특성 조사와 분자적 분석법인 RAPD-PCR을 실시하였다. 당 발효 실험 결과, 분리 균주 1B12는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KCTC 3722(이하 KCTC 3722)와 가깝게 나타났다. 또한 분리한 균주 2A9는 Leu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KCTC 3530(이하 KCTC 3530)의 당 발효 패턴과 매우 유사하였다. 그리고 분리한 균주 1B3, 2A5L, 2B12는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KCTC 3505(이하 KCTC 3505)와 KCTC 3722의 결과와 거의 같았고, 3A15, 3A20, 3B19도 역시 그러하였다. 그러나 같은 종인 KCTC 3505와 KCTC 3722는 이당류인 cellobiose와 lactose를 발효하는데서 차이를 보였으며 복합당인 amygdalin을 이용함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RAPD-PCR 결과, 1B3, 2A5L, 2B12는 primer 152에서 같은 밴드패턴을 보였으며, primer 157에서는 KCTC 3722와 같은 패턴을, primer 158에서는 KCTC 3505와 같은 패턴을 보였다. 분리균주 3A15, 3A20, 3B19는 당 발효 특성에서는 거의 같은 패턴을 보였지만 유전적 기법인 RAPD-PCR결과에서는 3A15는 3A20, 3B19와 상이한 PCR 밴드 패턴을 보였다. 그리고 3A20, 3B19는 사용한 모든 primer에서 정확히 DNA 밴드 패턴이 일치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NTSYS-PC2.1을 이용하여 공시균주와 분리균주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phylogenetic tree로 결정하였다. 당 발효 특성조사와 RAPD-PCR 분석기법을 통해서 분리한 2A9는 Leu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에 가까운 새로운 균주라 분류할 수 있었고, 1B3, 2A5L, 2B12는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에 가까운 종이라 분류되었다. 당발효 결과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판명된 1B12는 RAPD 분석 결과로도 같은 균주에 속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3A15, 3A20, 3B19의 경우, 3A20과 3B19는 RAPD-PCR 결과 정확히 같은 균으로 판명되었으며 3A15와 함께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에 가까운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분리 유산균주(1B12와 2A9)의 항암효과를 세포배양을 통하여 알아본 결과, 돼지 신장 상피세포(PK-15)와 인간 대장암 상피세포(SNU-C4)에서 LCE 처리시 LCE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20 ㎎/㎖, 40 ㎎/㎖, 100 ㎎/㎖) 이들 세포의 세포사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국인의 대상으로 한 iNOS 유전자 연구 결과, 한국인은 임상적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단지 4개의 AAAT tandem repeat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의 백인의 연구보고와 비교하여 볼 때 한 개의 tandem repeat가 많으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는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전자 차원에서의 연구와 세포 수준에서의 상호작용을 병행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ecies from Leuconostoc isolated from kimchi were characterized by carbohydrate fermentation ability and a molecular method called RAPD-PCR. From the results of carbohydrate fermentation, isolated strain 1B12 was very close to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KCTC 3722. Another isolated strain 2A9 was close to Leu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KCTC 3530. Isolate strains such as 1B3, 2A5L and 2B12 were similar to KCTC 3722. And 3A15, 3A20 and 3B19 were similar to KCTC 3722, too. Differences was come from cellobiose and lactose between KCTC 3505 and KCTC 3722 as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This discrepancy was also appeared in amygdalin fermentation. From the result of RAPD-PCR, the isolates 1B3, 2A5L and 2B12 showed same RAPD band patterns with primer 152. The 3A15, 3A20 and 3B19 revealed different DNA band patterns although they showed same results of carbohydrate fermentation. Interestingly, 3A20 and 3B19 showed exactly same RAPD band patterns through all tested primers. With these RAPD DNA band results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etween the isolates and type strains by using NTSYS-pc2.1 in order to determine their genetic relationships. As a result, 2A9 was turned out to be close to Leu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the isolates 1B3, 2A5L and 2B12 were related to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The 1B12 was regarded as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by RAPD-PCR and carbohydrate fermentation tests. The 3A15, 3A20 and 3B19 were same as Leu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In addition, the isolated Leuconostoc strains (1B12 and 2A9) can cause cell apoptosis in the culture of swine kidney epithelial cell (PK-15) and human colon carcinoma (SNU-C4) cell line upon adding its LCE. The effects were turned out to be more additive by increment of the LCE concentration such as 20 ㎎/㎖, 40 ㎎/㎖ and 100 ㎎/㎖. According to the study on iNOS gene in Korean genome, we have found only 4 tandem repeat of AAAT polymorphism.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ports on western populations indicating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 음악을 통한 창의적 체험 활동에 관한 고찰 : 중학생을 대상으로

        김선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예전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더 살기 좋은 사회가 되었다. 국민들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서양문화들이 우리나라에서도 가까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중 음악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갖게 되면서 일상생활에서도 음악을 가까이 접 할 수 있게 되었다. 일상생활에서 가깝게 여겨지고 있는 음악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는 어떻게 접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순천의 한 중학교에서 음악관련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활동, 실 태조사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서 보다 더 나은 음악활동 수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이론을 통해 고찰하였고, 순천시의 한 중학교 여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음악관련 활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관련 창의적 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정서 함양을 위한 수단으로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시키는 교육이 수반되어져야한다. 둘째, 음악 감상을 위한 전문성 확보와 우수한 시설을 제공하여야한다. 셋째,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체험활동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 능력에 맞춘 만족도 높은 체험활동을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의 지속적인 자기 계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음악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다른 학과목과 연계되어 성취도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음악 체험활동은 사회성과 도덕성을 향상시킨다. 결론에 의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체험 활동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발전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하고, 모든 장르가 포함된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한다. 둘째, 교사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재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방법과 시간제공으로 균형 잡힌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수가 조절되어야하고, 학생과 교사, 학부모 간의 피드백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창의적 체험 활동에 참여한 교사에게 인정하는 창의적 체험 활동 교사 자격증을 발급하되, 전문 과정을 통해서 취득할 수 있도록 공식적인 기관이 설치되기를 바란다. <Abstract> Times, we are living in, are changing rapidly, and the standard of living has been elevated fast. So, the environment gets better and livable.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been elevated, it gets easier for everyone to interact with Western culture than ever. Especially, people began to pay attention to music and literally became breath with music in our daily life. In this study, you will see how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act with music at school and how close they feel about music. An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better way to provide students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rogrammes at one of the middle schools in Suncheon. The study methods are looking into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theory and doing a survey examined girl students who attended in the musical activities at one middle school in Suncheon.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is nee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 which has to be creative and the means of cultivation. Second, it is needed to provide professional instruction and better facility for listening music. Third, it is need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music in student’s free time. Fourth,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of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 teachers need to improve themselves and study how to create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 which angled towards students. Fifth, it can be learnt that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s promot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ther subjects apart from music. Sixth, the musical activities improves the sociality and the moralit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proposal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more creative activities which involves the musical experience and to provide different kinds of musical and educational programmes. Second, the re-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periodicall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 Third, there should be many opportunities for those students who can’t participate in any musical activity programme. Fourth, the optimum number of students should be retained and there should be smooth feedback going 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 and teachers and school parents. Fifth, there should be the certification for teachers who attend in the creative musical activities to prove their ability, and there should be the formal institution where issues this certification and manages the musical activity programme.

      • 성인 우울증 환자에서 약효군별 항우울제 사용이 뇌출혈 발생에 미치는 영향

        김선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Th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as 4.4% (approximately 322 million people) worldwide in 2015.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lso increased rapidly.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pharmacological drugs among psychotropic drugs. It has been suggested that blocking serotonin reuptake reduces platelet aggregation and activity, thus increasing the risk of brain hemorrhage. Until recently, studies have produced controversial results regarding whether using antidepressants increased the risk of intracranial hemorrhage. Importantly, not only SSRI but also other antidepressants have serotonin reuptake inhib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antidepressants and the risk of brain hemorrhage through various research designs which were signal detection, systematic review and case-crossover study. Methods: In the signal detection, we detected signals of brain hemorrhage risk associated with antidepressants using the 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KAERS) database. We included causality assessments that were reported as higher than possib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isproportionality analysis. Reporting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In the systematic review, we identified relevant articles from the databases (MEDLINE, EMBASE, CINAHL and PsycINFO), and keyword search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ICOT-SD. Observational studies comparing SSRI therapy with nonuse and non-SSRI use. Outcome was defined brain hemorrhage. The relative risks or odds ratios and 95% CIs were calculated by random effect model. In the case-crossover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patients who diagnosed brain hemorrhage from January 2009 to July 2017 using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HIRA) database. We excluded patients with diagnosis of brain hemorrhage and ischemic stroke in 2009, and head injury. Patients without antidepressants prescriptions within index period before brain hemorrhage were also excluded. Exposure drugs were TCA, SSRI, SNRI and Others. Hazard period and control period were defined 14 days. One hazard period and four control periods were matched individually. Sensitivity analysis for 7 days and 28 days in hazard period and control period was conducted. The odds ratios and 95% CIs were estimated by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e also conducted case-time-time-control study, which adjusted the time trend due to the increased use of antidepressants, to confirm the consistency of the results. Results: In the signal detection study, the reports related to TCAs were the most frequent. The signal for brain hemorrhage at all ages were 1.81 (95% CI 1.03-3.16) in TCAs compared to other antidepressants. According to the therapeutic class, imipramine had a higher reporting odds ratio than other antidepressants. In elderly patients, the most common reports were TC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herapeutic class, imipramine and fluoxetine had higher reporting odds ratios than other antidepressants. Fifteen relevant articles were ultimately selected in the systematic review. Regarding SSRI use compared to nonuse, brain hemorrh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djusted risk ratio (aRR) 1.43, 95% CI 1.09-1.88). When the comparison group was set to TCA, the aRR of brain hemorrhage was 1.17 (95% CI 1.02-1.34) for SSRI use. We selected 3,502 patients in the case-crossover study. After adjustment, use of antidepressants was associated with a 1.45 increased the risk of brain hemorrhage (95% CI 1.29-1.63). In a stratified analysis, the risks were 1.76(95% CI 1.25-2.46) in SNRIs, 1.59(95% CI 1.33-1.89) in Others, 1.55(95% CI 1.31-1.83) in SSRIs, and 1.23(95% CI 1.02-1.48) in TCAs. After adjustment exposure-time trends led to nonsignificant results. However in case of incident users adjusted OR was 3.15 (95% CI 2.34-4.24) in antidepressants. Conclusions: Using incident antidepressant users increase the risk of brain hemorrhage. In particularly, SSRIs, SNRIs, Others, which were recently marketed, are more increased the risk than TCAs. The study result suggests a close monitoring is recommended when new antidepressants use in depressive patients, particularly patients having high risk of brain hemorrhage. 서론: 우울증은 2015년 전세계 인구 중 약 3억 2천만명이 가지고 있으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질병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 항우울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항우울제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SSRIs는 혈액응고 기능을 저해시켜 뇌출혈 발생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표된 문헌 중 대부분은 통계적 검정력이 부족하며,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왔다. 또한 세로토닌은 SSRIs뿐만 아니라 TCAs, SNRIs, 기타 다른 항우울제의 주요 조절인자로도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항우울제가 뇌출혈의 위험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우울제의 사용으로 인한 뇌출혈 발생을 실마리정보 검색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환자-교차연구의 다양한 연구 설계를 통해 인과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실마리정보 검색 연구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자발적부작용보고자료원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기준은 인과성평가에서 possible이상인 보고를 포함하여 불균형분석의 지표인 보고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PubMed, Embase, CINAHAL, PsycINFO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 키워드 검색은 PICOT-SD의 원칙에 따라 검색을 시행하였다. 평가 대상 실험군 및 비교군의 정의는 nonuse 또는 항우울제간 비교연구를 모두 포함하였다. 연구문헌 선정기준은 항우울제와 뇌출혈 위험의 관련성에 대한 관찰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결과변수에 대해 rate ratio와 95% 신뢰구간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환자-교차연구의 연구대상자는 2009년 1월 1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8년 6개월 동안 뇌출혈을 진단받은 환자 중 첫 해인 2009년은 screening 기간으로 하여 뇌출혈 유병환자와 2009년에 허혈성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 뇌손상으로 1번 이상 진단받은 환자, event발생일 이전 index period안에 항우울제를 처방받지 않은 환자를 제외하였다. 노출변수는 항우울제로서 TCAs, SSRIs, SNRIs, Others군으로 분류하였다. 위험기간과, 대조기간은 각각 14일로 정의하며, 1:4매칭을 시행하였다. 위험기간과 대조기간을 7일, 28일로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우울제의 사용량 증가로 time trend를 보정한 환자-환자시간대조군연구를 추가로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환자-교차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조건부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실마리정보 검색 연구에는 TCAs와 관련된 보고가 가장 많았다. 전연령에서 뇌출혈에 대한 실마리정보는 다른 항우울제와 비교했을 때 TCAs에서 1.81(95% CI 1.03-3.16)로 검색되었다. 성분별로 확인한 결과 항우울제 다른 성분들에 비해 imipramine이 보고오즈비가 높게 확인됐다. 노인 환자에서 데이터마이닝 결과는 TCAs와 관련된 보고가 가장 많았다. 노인 환자에서 뇌출혈에 대한 실마리정보는 검색되지 않았다. 약물별로 확인한 결과 항우울제 다른 성분들에 비해 imipramine과 fluoxetine이 뇌출혈에서 보고오즈비가 높게 확인됐다. 기존의 관찰연구들을 검토하여 SSRIs와 뇌출혈 발생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는 총 15편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SSRIs 사용군과 비사용군 간의 비교는 교란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SSRIs의 사용이 뇌출혈 발생위험을 1.43배(95% CI 1.09-1.88) 높였다. SSRIs 사용군과 TCAs 사용군 간의 비교는 교란변수 보정 후 SSRIs의 사용이 뇌출혈 발생위험을 1.17배(95% CI 1.02-1.34) 증가시켰다. 환자-교차연구에는 3,502명이 포함되었으며, 교란변수를 보정한 이후 항우울제 사용에 따른 뇌출혈 발생 대응위험도는 1.45(95% CI 1.29-1.63)로 유의하였다. 항우울제 약효군별 뇌출혈 발생위험도는 SNRIs 1.76(95% CI 1.25-2.46), Others 1.59(95% CI 1.33-1.89), SSRIs 1.55(95% CI 1.31-1.83), TCAs 1.23(95% CI 1.02-1.4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하게 뇌출혈의 발생위험을 높였다. 환자-환자시간대조군연구를 적용한 결과, 노출의 경향성을 보정한 결과 항우울제는 뇌출혈과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새롭게 항우울제를 처방받은 환자군에서 보정대응위험도가 3.15 (95% CI 2.34-4.24)로 여전히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우울증 환자에서 새롭게 항우울제 복용하는 것은 뇌출혈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의 전통적인 약물인 TCAs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근에 시판된 SSRIs, SNRIs, Others에서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 필요에 의해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경우 항우울제를 신규로 사용할 때, 출혈의 위험이 높은 환자일 경우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약효군의 처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위험도가 높은 약물의 처방이 불가피할 경우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석회암 지역의 규조 군집을 통한 육수학적 연구

        김선지 인제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석회암이 발달해 있는 강원도 영월, 충북 단양에 남한강 상류 유역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기반암에 따른 수질, 이온특성을 해석하고, 부착규조의 군집규조를 수질과 이온특성간의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상관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COD와 DOC의 평균은 각각 2.5 ㎎/L, 1.55 ㎎/L이고 주천강에서 최대값을 나타냈다. TP은 평균 20.89 ㎍ P/L, SRP는 평균 8.3 ㎍ P/L이다. TN과 NO3-N의 평균은 각각 3.17 ㎎ N/L, 2.31 ㎎ N/L이고 NO2-N은 평균 61.03 ㎍ N/L, NH4는 평균 16.64 ㎍ N/L, SiO2는 평균 2.21 ㎎ Si/L이다. 음이온 농도의 합은 SO4 > Cl > NO3-N > F > PO4 > Br 순이고 양이온 농도의 합은 Ca > Mg > Na > K > Al > Ba 순으로 Ca와 Mg이 양이온중 83%을 차지한다. 부착규조의 보편종은 Achnanathes biasolettiana, A. convergens, A. minutissima, Cymbella delicatula, C. silesiaca 이 있다. 상관분석결과 수질항목, 부착규조, 이온, 생체량 중 수질과 생체량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요인분석결과 제 1요인의 기여율은 25.46%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보여주는 항목인 Alkalinity, Mg 및 질산염을 보면 석회암에서 용출되는 알칼리도의 탄산칼슘(CaCO3)과 Mg이 하천의 생태계에 많은 요인을 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고 하천의 주요 유입되는 영양염은 질소인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석회암지대에서 석회암에 의해 용출되는 Ca,와 Mg는 알칼리도와 상관관계가 높았지만, 부착규조의 종조성은 주로 질소와 같은 영양염과의 상관관계가 높아 지질에 따른 경향성을 크게 보여주지 못하였다.

      • 비일상을 통해 발현된 유토피아

        김선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술의 발달과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도시화와 문명화가 이루어지면서 인간사회는 삶의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오늘날 현대인은 도시문명을 중심으로 일상을 영위해 나간다. 세계와의 관계 안에서 인간의 삶은 지탱되므로 삶의 모습도 크게 변화되었고 그런 삶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는 또 다시 도시와 문명에 영향을 미쳤다. 이런 큰 변화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일관되게 추구해온 것이 있다. 그것은 반복적인 일상성과 문명의 인위성 속에서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희망의 발견, 내재된 ‘유토피아’의 추구이다. 유토피아는 이상적인 국가 또는 사회를 가상으로 설계한 것으로, 여기에는 주어진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이 투영되어 있다. 토마스 모어(Thomas More)를 비롯한 대부분의 문학 유토피아는 내적으로 주어진 현실에 대한 변화를 주장해왔다. 즉 주어진 현실과 대립되는 가상적인 상으로서 현실의 모순을 마주하게 만든다. 20세기에 이르러 유토피아는 문학적 장르를 넘어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유토피아의 요소들을 포괄하면서 이상 사회에 대한 보편적 사고로 발전하게 되었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유토피아의 개념은 자신의 삶의 현실과 떨어진 이상의 장소에서 “지금, 여기”라는 이곳에서 실현 가능한 것으로, 현실의 이상 세계에 대한 갈망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는 유토피아란 역사에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주어진 체제를 파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인간에게 “지금, 여기”에서 개방시킬 수 있는 역동적인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주장했다. 유토피아의 핵심은 희망이며, 유토피아란 인간의 품위를 지닌 희망의 내용으로 더 나은 삶에 관한 꿈이자 그것을 지향하는 인간의 자세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유토피아는 가상적이고 개연적이므로 그 자체로 명확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본인은 그러한 유토피아의 개념의 한계를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를 통해 보충하고자 했다. 헤테로토피아는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중첩되거나 위치하고 있어 이들 모두에게서 공통되는 위치를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한 공간, 즉 변화와 변동이 내재된 가능성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푸코의 철학은 다양성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의 유토피아를 개념화하는 데 적합할 것이다. 각자의 삶의 원리에서 도출된 현대인의 유토피아는 자신의 내적 상태를 해방시키고 현실의 긍정적 희망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하나의 유형으로 공통될 수 없으며 개인의 일상의 모습에서 비롯하여 다양하고 복합적인 모습으로 사회 속에 공존할 것이다. 이러한 유토피아는 일종의 개념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현실의 세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 같지만 실상은 개인의 일상에 드러나지 않은 채 잠재되어 있다. 그것을 우리는 계속해서 들춰내고 확인해야만 한다. 본인은 그 접점을 일상에 대한 비일상적 틈새라고 가정하였다. 일관되고 반복되는 일상 속의 비일상적 순간이 만들어 놓은 틈새는 일상성의 질서를 해체하며 다른 가능성들의 의미를 일깨운다. 그 과정을 통해 우리의 일상은 같음 속에서 다름을 생산해내게 되고 이러한 차이를 산출하는 반복 속에서 삶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갖게 되고 삶의 긍정을 이루어낼 수 있다고 들뢰즈는 말하였다. 들뢰즈(Gilles Deleuze)가 언급한 차이와 반복은 우리 삶의 다양체, 내재성, 잠재성을 인식토록 한다. 그러한 잠재성이 확인되고 발현될 때 우리는 삶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잊고 있던 유토피아를 환기하게 된다. 본인의 일련의 작업들은 일상적 세계에서 흔히 접하는 자연 공간을 토대로 한다. 이는 익숙한 일상세계에 대한 대면으로, 도시를 구성하는 자연 공간의 도입은 친숙한 장면임에도 비일상적으로 읽히는 이중성을 가진다. 도심공간에서의 자연은 일상적이지만 동시에 낯설게 다가오는데, 현대인의 삶의 기반이 인위적으로 형성된 복잡한 도시공간이기 때문이다. 본인은 흑백 사진으로 자연 공간을 담아내는데, 사진에는 여러 무의식적 요소들이 결합되어 사진 이미지는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온다. 앞에서 적막감이 감도는 풍경 이미지를 제시함으로써 자연 공간의 비일상적 맥락을 더욱 강조한다. 그런 이미지 속에 잠재성의 세계의 한 요소로 일상적 의도로 사용되지 않은 수단들을 작품에 도입하여 일상의 간극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일상성을 파기하기 위한 수단으로 탈색, 물감 뿌리기, 스티커, 구멍 뚫기 등의 기법은 대립의 구조를 형성하며 비일상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각 기법은 흑백의 이미지에 가능성의 수단으로 투입되어 이미지를 새롭게 구성해 나간다. 일상은 모든 사유의 시초가 되는 출발점으로, 결국 일상의 재인식을 통한 유토피아의 발견이란 개인의 이상의 존재를 확인하고 현실을 직시하여 더 나은 상태의 일상을 되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적극적 자세와 개인과 개인을 둘러싼 세계와의 관계성을 긍정적으로 구축하고자 했다. Human societies have changed its course drastically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rise of capitalist economy that lead to the rise of civilization and urbanization. Today people live their everyday lives in urban civilization. The changes in the urban civilization have greatly influenced people’s lives and the changes in an individual life and values have in return influenced the urban civilization. Despite the unceasing changes that drive the world, there is one thing that people have collectively tried to achieve; the idea of utopia, a form of hope, or impetus, which helps individuals to live their lives positively despite the repetitive nature of daily life and artificial nature of human civilization. Utopia is a fictional concept of ideal nation or a society that is used as an implication to criticize the imperfectness in the real world. Many utopian ideas in fictional work, including that of Thomas More, have indirectly incited changes. In other words, utopia is used as a mirror to reflect the real world and to expose its defects. In the 20thcentury, the idea of utopia has overcome the fictional setting and encompassed all the elements of personal definition of perfect society and has become a general idea of an ideal society. With the societal changes the definition of utopia is no longer unattainable society but is though as reachable reality that relates to the sense of ‘here and now’; it now embodies the human lust for the perfect society. Ernst Bloch argued that utopia is used to demolish the establish system by affecting it directly and liberating individuals from ‘here and now’ through providing dynamic energy. The utopian essence lies in hope and utopia can be seen as content for humanly hope for better life and any attempt to achieve that life. However because the idea of utopia is fictitious and only conceptual, when applied to practical problems it has limitations. In this paper I will approach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s that utopia has using the concept of Michael Foucault’s heterotopia. Heterotopia refers to a space that has more than one layer that relates to each other in a way that makes it impossible to define a mutual area, defining it as a space of possibilities that embraces changes and alterations that may occur. Foucault’s idea of heterotopia therefore, is more applicable to people of today. Utopia can liberate one from his/her inner state and acts as a source of positive energy derived from hope. However it cannot be universally unified, and will coexist in a complex, individual form according to each and everyone’s daily life. The idea of utopia may seem to exist in conceptual form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Yet it is a latent force that is hidden in an individual’s everyday life. Therefore it should be continuously excavated and identified. I will call the point of contact, ‘the unusual gap.’ The unusual gap that breaks the established daily order enables otherness to take place. Gilles Deleuze stated that in the process our daily life creates difference from sameness and the repetition gives meaning to life and can establish positive lifestyle. Deleuze states that we are made award of the diversity, inherence and potential through difference and repetition. When the potential is identified and activated we can make new discoveries and thorough discoveries we can evoke utopia. I use natural surrounding as the base for my work. A natural space has a dual aspect, one as a familiar area to the majority and as a space for ‘the unusual gap’ to take place. Natural spaces in urban surroundings are familiar yet unfamiliar at the same time because today’s urban space is artificial in itself. I capture images using black and white monochrome photograph because it can bring out such subconscious elements in a different light. An image of lonely nature embodies unusual context. And as a way to underline the idea of possibility or unusualness I used things that are used in an unintended ways, such as bleaching, sprinkling paints, putting stickers, making holes. Each technique is added to monochromatic background to compose image. Daily life is the beginning of every cause. Thus discovery of utopia is achieved through making efforts to lead a better life through identification of personal ideals and facing the realities. Through the process we can build positive attitude towards individual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the society.

      • 모압 땅에서 가르친 노래 : ‘모세의 노래’(신명기 32장)의 역할과 성격

        김선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명기는 이제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이 주신 율법을 지켜 행할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신명기 32장의 모세의 노래는 이스라엘이 이를 지키지 못할 것을 전제로 하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르치는 노래다. 이에 본고는 모세의 노래를 중심으로 율법에의 순종을 강조하는 신명기의 주제와 이스라엘의 불순종에 대한 예언 사이의 긴장관계를 주목하고, 신명기 본문의 구조와 맥락을 통해 모세의 노래가 신명기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모세의 노래를 신명기의 텍스트 안에서 바라보는 공시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앞부분의 메시지와 충돌하는 모세의 노래가 어떤 배경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지고 기록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신명기 안에서 모세의 노래가 가진 의미와 역할을 설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고는 신명기 전체의 구조와 흐름을 통해 모세의 노래를 신명기 안에 자리 매김하고, 앞뒤 문맥에서 제시된 모세의 노래가 나오게 된 정황을 통해 모세의 노래가 신명기 내러티브 안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호렙산을 떠나 약속의 땅을 바라보며 계속해서 이동해 가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가르쳐진 모세의 노래는, 첫 째, 그들이 그들의 조상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을 배신할 것이 분명한 죄성을 가진 자들이라는 사실과, 하나님의 신실하신 은혜로 말미암은 구원은 그들의 힘으로 획득되거나 그들의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방해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거하는 증거의 노래이며, 둘째, 모세의 노래는 그들의 배신과 배역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구원이 취소되지 않음을 알려줌으로써 확신 가운데 그들의 남은 여정을 계속하도록 하는 든든한 안전망으로서 ‘소망의 노래’이다. 마지막으로 모세의 노래는 그들을 애굽에서 구원하여 낸 반석이신 하나님의 은혜에 믿음으로 인격적 반응을 요청하고 노래라는 형식의 장점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가르침의 노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세의 노래는 오늘날도 구원을 받았으나 구원의 온전한 성취를 바라고 계속해서 구원을 이루어가고 있는 모든 성도들에게 가르쳐야 할 노래이다.

      • 한국 불교의 공생적 ESG 경영에 관한 연구

        김선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nagement principles that have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so far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symbiotic ESG management principles proposed in this paper.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practical examples accumulated over the past 2,600 years in Buddhism and the current challenges faced, symbiotic ESG management principles should be swiftly and broadly adopted. Effective utilization in Buddhist temples requires that head monks and administrators overseeing each temple enhance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act. Particularly, if the head monk exercises a receive(攝受) leadership approach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four winning modes(四攝法), symbiotic ESG management can be rapidly introduced into the Buddhist community. The adoption of symbiotic ESG management would enable the Buddhist community to- 164 uphold practical principles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doctrines while addressing contemporary issues in Korean society, eventually transforming Buddhism into a socially embraced religi This study investigates symbiotic ESG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contemporary issues that have recently garnered global attention, such as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governance for coexistence. Symbiotic ESG management encompasses the following management principles: symbiotic cause(共生因), which presents the symbiotic principles of Buddhism; symbiotic effect(共生緣), which practices social symbiosis; and symbiotic world(共生界), formed based on these principl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crisis with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by proposing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symbiotic ESG management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e specific objectives include conducting social practices through Buddhist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Bodhisattva practices and enhancing governance by promoting transparency in temple operation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current state of symbiotic ESG management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study also examines cases fromTaiwan's Tzu Chi Foundation and Fo Guang Shan Monastery as well as neighboring religions, such as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for comparison purposes. Currently, theoretical research on the symbiotic ESG management of the- 165 Buddhist community has not progressed systematically in academia. However,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uddhism has been ingrained with principles of symbiotic ESG management by teaching and conducting Bodhisattva practices for over 2,600 years, accumulatingawealthof experiencesas its substance. Analysis of practical examples of symbiotic ESG management in Buddhism by aspect revealed the following point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Buddhism, traditionally driven by the pursuit of a life to be content with less desire(少欲知足), naturally engag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Efforts to protect practice environments by temples have translated into activ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across the country. Furthermore, efforts to create a sustainable society are evident through the practice of Bodhisattva,which encourages equal treatment among all members of society and guides them toward improvement and happiness. Additionally, the Buddhist Karman(Sanskrit,羯磨法), and the great council(大衆共議) system can be understood as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governance and democratization. Based on these practice cases, the study analyzes and presents Buddha’s teachings applicable as principles for symbiotic ESG management by referring to various scriptures and research papers. To implement these principles aligned with modern perspectives, the study categorizes them into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166 aspects, each with evaluation categories and detailed criteria per category. In the environmental aspect, evaluation categories such as energy conservation, waste reduc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have been established,with 19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For the social aspect, three evaluation categories have been suggested, including rational management of social administration, strengthened ties within local communities, and promotion of a culture of sharing, together with 19 detailed criteria. For the governance aspect, three evaluation categories, including reinforcement of democratization, publicness, and ethicality have been introduced, alongwith 12 detailed criteria. Each detailed criterion has been divided into 2, 3, or 5 levels, and standardized byusing a 5-point interval scale to compare the average scores. 본 논문은 최근 세계적으로 초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기후 온난화 문제와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상생을 위한 지배구조 개선 등의 현안에 초점을 맞춘 대안적 모색으로서의 공생적 ESG 경영에 관한 연구이다. 공생적 ESG 경영은 불교의 공생적 원리를 제시하는 공생인(共生因)과 사회적 공생 환경을 실천하는 공생연(共生緣),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공생계(共生界)를 아우르는 경영원리이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한국 불교계의 공생적 ESG 경영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대만의 자제공덕회와 불광산사의 사례뿐만 아니라 이웃종교인 개신교와 가톨릭의 사례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실천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생적 ESG 경영의 원리로 활용될 수 있는 불교적 가르침을 각종 경전과 연구 문헌 등을 통해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를 현대적 관점에서 실천하기 위해 환경분야, 사회분야, 지배구조분야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야별로 평가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영역별 세부항목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공생적 ESG 경영 도입 과정을 통하여 불교계는 전통적 교리에 따른 실천 원리를 계승하면서도 현재 한국 사회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으로 포용되는 종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소셜 미디어 참여 혜택이 관광 정보 공감 및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미디어 이용자 성향을 중심으로

        김선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참여 혜택이 소셜 미디어 관광 정보 공감과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 성향에 따라 소셜 미디어 참여 혜택과 소셜 미디어 관광 정보 공감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소셜 미디어에서 관광 정보를 획득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3개의 표본은 확보하였으며, SPSS 28과 AMOS 2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소셜 미디어 참여 혜택은 소셜 미디어 관광 정보 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미디어 관광 정보 공감은 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 미디어 이용자 성향에 따라 소셜 미디어 참여 혜택과 소셜 미디어 관광 정보 공감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관광 소비자 행동에서 소셜 미디어 관광 정보 공감의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소셜 미디어 이용자 집단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소셜 미디어에서 관광 정보를 제공할 때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며, 이용자 집단에 따른 정보 제공 방향성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