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芥川龍之介의『鼻』고찰 : ‘방관자의 에고이즘’을 중심으로

        김선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芥川龍之介は僅か35年と四ヶ月というごく短い生涯を生きた作家である。彼の文学的な活動は11年間(1916~1927)という短い期間であった。にもかかわらず、大正文學を代表する作家として、日本の近代文學史に殘した業績は實に大きい。 彼の作品は素材の新鮮さと洗練された技巧、そして形式的なバランスの美など、短編小説の條件を滿たしながら日本の近代短編小説を本格的な水準に引き上げた。 芥川は鋭い洞察力で人間心理のデリケートな部分、矛盾、醜さを見抜き、人間の内面に潜在するエゴイズムの正体を鋭く描き出した。その代表的な作品が『鼻』である。 芥川が一番愛讀したと言われる、古典の『今昔物語集』の「池尾禅珍内供鼻語」から素材を取って執筆した『鼻』は、当時、日本文壇の巨星である夏目漱石の激賞を受けて、彼の新進作家としての位置を確立する出世作となった。 当時、芥川は失戀の悲しみを忘れるために、現實から離れた、なるべく愉快な世界を小説の中に描き出そうとした。 彼は初戀の体驗を通して戀の中にもエゴイズムの存在があるということを知ると同時に、人間と人間との間にある、心の障壁を乘り越えられないという深刻な孤獨感を痛感した。また、彼は生きるということを肯定する限り、人の醜さも、人間存在の不條理も認めざるをえなかった。 このような暗い心境を『鼻』ではなるべく明るく、愉快に表現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 芥川は『鼻』で、古典を素材を取りながら、現代を、もしくは作家自身の問題を追求しようとした。このように芥川は日本の説話文學に特別な關心を持っていたのである。芥川が、説話と近代文學を組み合わせて、新しい形式の小説を創作したことは、歴史小説による日本の近代文學の重要な轉換点となった。 『鼻』の原話である『今昔物語集』の「池尾禅珍内供鼻語」は事件の外郭や人物の行動に焦点が置かれたのに對して、芥川の『鼻』は作家的な想像力で、『今昔物語集』に自分の關心事や自分に關する話を傍觀者の立場で投影しているのである。 すなわち、『鼻』は『今昔物語集』にはない傍觀者のエゴイズムに始まる人間の矛盾した感情を表現することにより、人間なら誰でも普遍的に共感できる、人間の心理的な状況を重点的に描寫しているという点で『今昔物語集』と差があるのである。 芥川は主人公の内供を鼻にコンプレックスを持っている人物として描寫することで、周りの人たちの視線によって傷つけられる人物として表現した。 このような内供の姿は作家自身の弱氣でありながら、繊細な性格を投影していると言えるだろう。 つまり、養家の人々の、戀に包まれたエゴイズムに振り回され、結局、初戀の人との愛を諦めざるをえない意氣地ない自分を內供の姿に表しているのである。 その自分のコンプレックスが內供の鼻を通して作品の中で表出されたと言えるではないだろうか。 しかし、このような内供の心理は、芥川だけでなく、現代人の心理にも共通される点がある。 人間が持っている傍観者のエゴイズムと、他人の視線によって揺れたり傷つけられたりする弱気な心理は、時代を越えて人間の内部に普遍的に共存する問題と言えるだろう。 芥川は『鼻』を通じて他人との関係の中から脱することのできない人間の孤独感․寂しさを描いたのである。

      • 도시 네트워크 기반 상호작용 지수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김선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택가격의 변화는 거시경제 전반에 큰 파급효과를 미치고, 주택가격의 급락은 대출 규모의 축소, 소비의 둔화, 경제성장률의 하락, 실업률의 상승 등으로 이어져 주택가격 안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조세·금융·주택시장 전반에 대한 수요억제정책과 공급확장정책을 발표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어 실효성 있는 주택정책 수립을 위한 새로운 관점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서울대도시권은 GTX 개발 계획 등 교통의 발달, 3기 신도시 개발, 지식기반산업의 발달로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이 강화되고, 도시 간 흐름 속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이 도시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대도시권 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아파트 주택가격에 도시의 상호협력적 활동의 크기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의 상호협력적 활동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상호작용 지수를 산출하고, 불균등하게 발생하는 도시 흐름의 크기와 방향을 파악하여 계층 구조를 구분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지수가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상호작용 지수는 Limtanakool(2009)이 개발한 상호작용 지표 중 하나인 비방향지배력지수(DIT)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해당 지수는 평균 1을 기준으로 높은 지숫값을 나타낼수록 다른 지역보다 더 큰 지배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호작용 지수를 통해 파악한 도시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살펴보면, 서울대도시권에서 서울시가 가장 높은 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기도, 인천광역시 순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배력을 가지는 지역들은 주요 고용중심지 이거나, 특정한 기능을 확보한 지역으로 잠재력과 지리적 접근성이 높은 지역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높은 지배력을 가진 지역들은 유입량과 유출량 모두 높은 양적 흐름을 가지고 있어, 양방향성 상호보완이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 도시이론에 근거하여 인구 차원에서 작은 규모라 할지라도 큰 지숫값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 지수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읍면동별 상호작용 지수가 주택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호작용 지수가 증가할수록 아파트 주택가격도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도시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작용 지수가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에 따라 주택공급 정책 수립 시, 연구에서 산출한 상호작용 지수를 통해 상호보완적 흐름이 강한 지역을 고려한 주택공급 확대는 주택가격 안정화를 도모하는 데 더욱 중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hanges in housing prices have a large ripple effect on the overall macro economy, and a sharp decline in housing prices leads to a decrease in loan size, slowing consumption, a decrease in economic growth rate, and an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for housing price stabilization. necessary. However,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to curb demand across the financial, tax, and housing markets and announce supply expansion policies, housing prices continue to rise, so it is time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for establishing effective housing policies. Recently,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strengthened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 areas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such as the GTX development plan, the development of the 3rd new town, a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the interaction that occurs in the flow of the city is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ity. becoming a factor.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size of the city's cooperative activities on the apartment housing price by referring to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that occurs in the flow between citie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this end, the interaction index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city's cooperative activities,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was divided by identifying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unevenly occurring urban flow.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interaction index affects house pric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non-directional dominance index (DIT), one of the interaction indexes developed by Limtanakool (2009). The higher the index value based on the average of 1, the greater the dominance of the index compared to other regions. Looking at the city network hierarchical structure identified through this interaction index, Seoul has the highest domina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llowed by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as with high dominance were identified as areas with high potential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as major employment centers or areas with specific funct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regions with high dominance have high quantitative flows for both inflow and outflow, which can be interpreted as regions where two-way complementarity takes place. In addition, based on the network city theory, it is confirmed that even a small scale can have a large exponential value in terms of popu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se interaction indexes on house pr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index by eup, myeon and do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ouse price.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interaction index, the higher the apartment house price. Therefore, as the interaction index based on the city network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housing prices, when establishing housing supply policies,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considering regions with strong complementary flows through the interaction index calculated in the study is suggest that it may be more important in promoting stabilization.

      • 코다이 교수법 기반 집단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선정 서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다이 접근의 교수법을 통한 집단음악활동이 7세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표집된 유아들은 A시의 D 유치원 7세반 유아 61명과 H 유치원 7세반 유아 60명으로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유아들만을 대상으로 D 유치원 유아를 실험집단에, H 유치원 유아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시켰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용 창의적 특성검사(K-CTC)와 유아용 사회성 발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있어서는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코다이교수법에 기반한 집단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유아의 창의성 전체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 하위영역인 인지적 요인에서 가장 두드러진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정의적 요인인 탈고정관념/독자성, 호기심/모험성, 다양성, 민감성, 유머감각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개별성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 이것은 아마 유아들의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서로의 수용과 상호교류로 인한 화합이 도모되어 혼자서 보내는 시간과 놀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유추된다. 유아의 사회성 또한 하위영역인 협동성, 조망수용능력, 자주성, 상호작용의 전체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 협동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코다이 교수법 기반의 집단음악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group music activities through the Kodaly Teaching Method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of infant. In this study, the selected infants are 61 seven-year-olds of D kindergarten in A city and 60 seven-year-olds of H kindergarten whose parents agreed to participate this study. The infants of D kindergarten a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H kindergarten a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t random. The K-CTC and the tool of measuring for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are used as the research tools. The data analysis is processed by SPSS 21.0 program. To prove the effect of group music activities based on Kodaly Teaching Method on the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of infant, ANCOVA is carried out to see the differencies between two groups in the post-study tests and used the pre-study tests as the common variable. In the result of study, the overall creativity of infants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and the cognitive part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 Also, the dis-sterotype/ identity, curiosity/adventurous spirit, diversity/sensitivity, sense of humor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but individualty didn't show the meaningful effect. Maybe, it is thought that it didn't effect on the individual time and play, because of promoting the harmony based on mutual acceptance and exchange through the group music activity programs. In addition, the meaningful effect is showed in the social skills that includes cooperation,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dependence, interaction and the most remarkable effect is showed in cooperation. As a result, in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group music activities based on Kodaly Teaching Method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development in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of infants.

      • 燕巖小說에 나타난 諷刺性 硏究

        김선정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연암소설에 나타난 풍자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럼에 있어서 먼저 풍자의 개념과 풍자소설의 전통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연암소설에 풍자가 발생하게 된 배경을 작가 개인적 상황과 시대적 상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을 바탕으로 연암의 대표적 한문소설 작품 3편을 선정하여 그 속에 나타난 풍자의 양상을 작품의 구조분석과 풍자에 쓰인 표현기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자란 당대의 사회나 인간의 모순·결함·부조리·어리석음 등을 지적하고 조소하여 골계적 효과를 산출하는 문예의 한 방법으로서, 그 이면에는 반드시 시정을 바라는 작가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2) 풍자소설의 전통성은 寓話, 假傳體 등으로부터 시작하여 壬·丙 兩亂을 계기로 활기를 띠게 되고 연암소설에 이르기까지 한국적 풍자의 특성이 전승되어 오고 있다. (3) 연암소설에 풍자가 나타나게 된 개인적 상황은 연암이 어려서부터 가난하게 생활하면서 당시 모순된 사회상을 보고 實學에 관심을 두게 된 것, 중국여행으로 실질적이고 폭넓은 견문의 체험을 한 것, 晩年의 관직에서 外職의 잦은 이동으로 여러 문학적 체험을 쌓은 것, 특히 당쟁에 휩쓸리지 않는 非黨人意識을 가지게 된 점등이다. (4) 연암소설에 풍자가 나타나게 된 시대적 상황은 영·정조 시대가 새로운 질서가 싹트기 시작한 시대로, 신분질서의 동요와 실학의 발생, 자본주의 발생에 따른 서민경제의 발전 등의 변화가 있었고 이는 곧 평민문학의 발달로 이어졌으며 사실적이고 풍자적인 산문문학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점 등이다. (5) 「虎叱」은 범의 叱責을 통해 위선적인 道德君子의 이중성과 더 나아가 인간세계의 추악함을 풍자한 작품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은 아이러니와 풍자의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② 「호질」에서는 자연의 일반에서 벗어난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태도의 풍자를 보이고 있다. ③ 이 작품은 단순히 北郭先生이나 東里子의 속물근성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지니는 위선과 이중성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다. (6) 「兩班傳」은 무위도식하는 양반계급의 형식적이고 위선적인 생활의 모습을 통해 양반의 무능력과 부패를 해학적으로 비판 풍자한 작품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은 抑揚과 對照의 반복, 肯定과 否定이 교차시키는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② 賤富를 풍자의 주체로 내세워 당시 부정적인 鄕班들의 모습을 풍자하고있다. ③ 이 작품은 조선후기 신분질서 동요를 풍자했다. (7) 「許生」은 실천적 지성인인 ‘許生’을 통하여 당대 사회의 전반적인 면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면서, 연암의 실학사상을 나타낸 대표작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의 풍자는 몇 단계를 달리하는 다른 톤을 갖고 있다. ② ‘허생’의 상행위를 통해 買占에 의한 폭리가 가능했던 현실을 비판하면서 교통기관의 발달과 외국과의 무역을 주장하는 등 경제문제를 풍자했다. ③ ‘허생’과 北伐論의 상징인 ‘李浣大將’과의 문답을 통해, 인재 등용의 모순과 북벌론의 허구성 비판 등 정치문제를 풍자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satire in Yeon-am's novels. First, I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satire and the tradition of satire novels, researched the motivation and the reason to emerge the satire novels in his own life and the social situation of that age. I selected the three works of the Yeon-am's novels for this study. By analyzing the plot and using expressional technique, I attempted to discover the aspects of the satire.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1) The satire is the method and art of literature to output humorous effects by indicating and laughing at the contradiction·absurdity·stupidity in human beings or the social situation of the same time. An author's intention to reform them certainly is included in them. (2)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satire novels had formed from fables, Gajonche("an old narrative") etc., and is flourished with two Wars against Japan and Chung China. It is succeeded in the property of Korean traditional satire in his novels. (3) The individual and conditional motivation express the satire in his novels is that he interested in Silhak, the Practical science. Living poor in childhood he had seen the phase of the contradictory society. At those days, traveling China, he gained much experience. Frequently being moved in his official position he builded up various literary ability, especially he became the neutral in the result. (4) The social situation of the motivation expressed in his satirical novels is formed because a new spirit was budded from King of the Yoengjo and Joengjo Dynasty, the hierarchy status started to fall down and raised Silhak. Capitalism appearing, the people's economic life was changed. Thus, all of theses were reason for connecti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opular literature, and the realistic and prosaic literature took place. (5) Through a Tiger's rebuke he satirized the moral aristocratic's duality and hypocrisies, furthermore the vices of human beings in Hojil. There is satirical property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① It used expressional method of the irony and satire ② His critical and negative attitude of satire showed up, because he express the irrational man to deviate from general human beings. ③ This work is showed simply not only snobbery of Pukguak or Tongryja but also the hypocrisy and the duality man have. These are regarded as the targets of satire. (6) Yangban-jon is a story to satirize and criticize the aristocratic's by emphasizing their idle, formalistic and hypocritical life. Its satirical property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① The using expression technique is to repeat the intonation and the contradiction,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method. ② The negative aristocratic's reality is figured by satirizing the overnight millionaire. ③ Breaking the hierarchy of the classes is represented at the post Chosun Dynasty. (7) The general situation of that time is expressed satirically in Huhsang-jon, by showing the sophisticate person Huhsang, who is practice. The novel is revealed Yean-am's Silhak, the practical science of spirit. Its satirical property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① There is the various tone of the satire, according to the phases. ② Through the Huhsang's commercial business, he criticized the economic issues, which was facts of the social condition that monopoly was possible, and persisted the transportation and the trade system to progress. ③ Yoen-am satirized the political problem by the dialogue between Huhsang and the General Yiwan, that is to say, the inconsistency of enlisting the officials and the impossibility to conquer The Chung China.

      • 남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기정서인식·표현능력 및 공감능력의 관계

        김선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남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기정서인식 ․ 표현능력 및 공감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5~6학년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12부(남 155, 여 125)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민혜영(1990)이 번안한 Barnes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측정도구(PACI: 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 중 청소년 자녀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척도(IRI: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의 측정도구로는 Penza-Clyve과 Zeman(2002)이 개발한 아동용 정서표현 척도(EESC: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를 최은실(200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공감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공감능력의 관계에서는 남, 여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남, 여 간에 차이를 보였다. 여자 집단에서는 부모와 자녀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의 모든 요소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에 반해 남자 집단에서는 부모와 자녀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공감능력과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의 관계에서 남자집단에서는 정서적 공감과 자기정서인식(r=.161, p<.05), 여자집단에서는 정서적 공감과 정서표현(r=.160, p<.05)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른 하위 요인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에 따른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공감능력,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의 상관관계를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에 아동이 적절한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능력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인의 정서에 공감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모가 자녀와 개방적인 태도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and empathic abilities perceived by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school.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45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used 312 questionnaires(boys: 155, girls: 125) in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ones containing insincere answers.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parent-child communication methods was the 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PACI) for adolescent children developed by Barnes and Olson(1982) and translated by Min Hye-yeong(1990). Empathic abilities were measured with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by Davis(1980) and the Empathic Abilities Inventory developed by Park Seong-hee(1997) by translating,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Empathic Awakening Inventory of Bryant(1982).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were measured with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EESC) developed by Penza-Clyve and Zeman(2002) and translated by Choi Eun-shil(2009).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from collected data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and empathic abilit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p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mpathic abilities both in boys and girls. Open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and cognitive empathy of empathic abiliti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r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between boys and girl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p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ll the elements of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in girls, n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m in boys. Finally, as for relations between empathic abilities and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emotion awareness(r=.161, p<.05) in boys and also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emotion expression(r=.160, p<.05) in girls with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other subfactors. The present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by shedding light on correlation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empathic abilities, and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between boys and girls. The findings raise a need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an open attitude so that children can acquire proper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bilities and improve their abilities to empathize with others based on them.

      • 정조대 사도세자의 추존과 현륭원

        김선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King Jeongjo who saw death of his father at age 11 made every effort to restore status of crown prince Sado for the entire period of his reign(24years). When King Jeongjo first ascended the throne, he focused on scolding the persons related to Imohwabyeon(壬午禍變) severely. At the same time, he punished the persons who submit writing about restoration of crown prince Sado's status to him hard. But King Jeongjo was considerate of the persons who protected crown prince Sado of the persons related to restoration of the status in the Year of the Horse. Consideration for them was also shown in movement of the grave to Hyeonryungwon. Because King Jeongjo fundamentally want to restore status of crown prince Sado. Therefore, King Jeongjo's punishment on the persons who submit writing about restoration of crown prince Sado's status in the thirteen year of King Jeongjo also was opposingly changed in comparison with his first ascending the throne. On the other hand, King Jeongjo usually enhanced crown prince Sado's position by raising the eulogistic posthumous title of the king. King Jeongjo raised the eulogistic posthumous title of crown prince Sado to ‘JangHeon’ right after he ascended the throne and then did it to ‘SooDeokDonKyeong’ and ‘HongInKyeongJi’. Two characters were increased to four ones and then the eulogistic posthumous title of the king with eight characters ‘JangRyunYungBeomGiMyeongJangHyu’ which were only allowed to kings were given to crown prince Sado after opening Geumdeung(King Yeongjo's writing about his son, crown prince Sado). Also, King Jeongjo promoted the grave of crown prince Sado to the higher rank of ‘Yeongwuwon’ and his shrine to the higher rank of Gyeongmogung. The grave of crown prince Sado did not formally reach Neungmyo(the tomb) but it came close to it by reorganization of GungJe(宮制) in the third year of King Jeongjo and movement of the grave to Hyenryungwon in the thirteen year of King Jeongjo. King Jeongjo promoted business related to crown prince Sado while he bounced off of Noron. But he showed his strong will after opening Geumdeung in the Seventh year of King Jeongjo. He promoted raising the eulogistic posthumous title of crown prince Sado to eight characters strongly and completed building the castle of Hwaseong around people close to him amid opposition. The plan of 1804 that he set building the castle of Hwaseong could not be realized due to death of King Jeongjo. But King Jeongjo tried to retrospect crown prince Sado even to a King by proceeding step by step for the entire period of his reign. Crown prince Sado was retrospected as the King in the 36th year of King Gojong by these efforts of King Jeongjo and could be again retrospected as the Emperor three month later. Key Words : Crown Prince Sado, Hyeonryungwon, Retrospection, Imohwabyeon, Geumdeung

      •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레스토랑 속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의 인지된 진정성의 매개효과

        김선정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fierce brand competition environment, ingredient branding which brands the core ingredients has been expanding its use as a new branding strategy across the industrial boundaries. As such,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also launching products to capture the attention of customers and recognizing the need for branding strategies. Furthermore, in the recent food service industry, the authenticity of the brand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branding factor in response to excessive information and exaggerated advertisement.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gredient branding awareness, restaurant attributes with ingredient branding, perceived brand authenticity, behavior intention, and the restaurant use according to the consumers’ awareness of the core food ingredients to verify the effect of ingredient branding of food service brand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that the restaurant’s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 menu attribute, and promotion attribute have on behavior intention when a food service brand applies ingredient branding, as well as the mediated effect that authenticity as perceived by the customer. Through the analyses of attribute branding effec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offer realistic branding guidelines for increasing the consumers’ awareness of the authenticity of food service brands and suggested methods that will develop the quality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of café usage, the study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usage time and the importance of food ingredients. As for the usage time, the differences in the menu attribute and the promotion attribute were at .05 of significance level, while the difference in behavior intention was at .01 of significance level. As for the importance of food ingredients, the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 was at .01 of significance level, and the menu attribute, the promotion attribute, authenticity, and behavior intention were at .001 of significance level in terms of differenc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ood ingredient,’ which is the core constituent of food service brands, has significant effects in the customers’ experience of the restaurant and the attitude towards the brand. The greate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behavior inten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the core food ingredient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behavior intention in the case of food service brands that target consumers wh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od ingredients. Second, in the case of restaurant attributes of a food service brand using ingredient branding, all of the attributes had a positive (+) effect in the perceived authenticity. When the effect relations by factor are examined, the menu attribute (t=12.879, p<0.001), the promotion attribute (t=7.922, p<0.001),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ion (t=2.565, p<0.01) had the highest effects in the given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nu attribute is the attribute that can most effectively show the ‘food ingredients’ that are the core of food service ingredient branding.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 customers’ awareness of authenticity of a food service brand using ingredient branding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Consumers can better experience the authentic atmosphere through the restaurant’s environment, menu, and promotion that reflects the core food ingredients, which has an effect on the brand value as perceived by the customer as well as the behavior intention, and positive feeling of the customer. Fourth, except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 the restaurant attributes of a food service brand using ingredient branding have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s on the behavior intention. In particular, the menu attribute (t=11.846, p<0.001) and the promotion attribute (t=4.114, p<0.001) had the greatest effects. Thus, it suggested that developing a representative menu that actively reveals the core food ingredients and actively conducting promotions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attitude in the future and the behavior intention of consumers when applying ingredient branding. Fifth, in between the restaurant attributes using ingredient branding and the behavior intention, all attributes except the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on the mediated effect of authenticity. Menu using ingredient branding i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 direct effect on the awareness of authenticity and behavior intention. The promotion attribute using ingredient branding showed a complete mediated effect of authenticity, which verified that the authenticity recognition must be mediated. When promoting the food ingredients, authentic storytelling and advertisement and promotion copies must be used to lead a positive behavior intention of consumer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to reveal the correlations between restaurant attributes of food service brands using ingredient branding, the brand authenticity is perceived by the customers, and the following behavior intention of the customers. It also showed the effect that the restaurant attributes have on the brand authenticity and behavior intention, and it also revealed the mediated effect of authenticity between the restaurant attributes and behavior inten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food service brands can apply ingredient branding strategies to instill brand authenticity in consumers, provide valuable food service experiences, and developa competitive food service brand. 치열한 브랜드 경쟁 환경 속에서 핵심 성분을 브랜딩하는 성분 브랜딩은 산업계의 경계를 불문하고 새로운 브랜드 전략으로 다양한 산업계에서 그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외식업계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상품들을 런칭하고, 브랜딩 전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외식 산업계에서도 넘치는 정보와 과장 광고에 대응하는 진정성은 중요한 브랜딩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 브랜드의 성분 브랜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소비자의 핵심 식재료의 인지에 따른 성분 브랜딩 인지, 레스토랑 이용 행태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외식 브랜드가 성분 브랜딩을 적용했을 때,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 속성, 메뉴 속성, 프로모션 속성이 고객이 인지하는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6개월 이내의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해당 외식 브랜드의 업장 방문 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11월 8일부터 11월 13일까지 6일간 오프라인,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총 282부(97%)의 유효 표본으로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성분 브랜딩 효과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외식 브랜드 진정성과 인지를 높일 수 있는 실질적 브랜딩 가이드와 함께 외식 산업계의 질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카페 이용 특성은 이용시간과 식재료의 중요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용 시간은 메뉴 속성과 프로모션 속성은 유의수준 .05에서, 행동의도는 유의수준 .01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재료의 중요도에 따라서는 물리적 환경 속성이 유의수준 .01에서, 메뉴 속성, 프로모션 속성, 진정성, 행동의도는 유의수준 .001에서 차이가 있었다. 외식 브랜드에서의 핵심 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식재료’가 고객의 레스토랑 체험 경험과 향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행동의도에 가장 큰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식재료의 중요도가 높은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외식 브랜드의 경우, 핵심 식재료가 반영된 마케팅 전략은 고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둘째,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외식 브랜드의 레스토랑 속성은 모두 인지된 진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인별 영향관계 정도를 살펴보면, 메뉴 속성(t=12.879, p<0.001), 프로모션 속성(t=7.922, p<0.001), 물리적 환경 속성(t=2.565, p<0.01)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외식 성분 브랜딩의 핵심인 ‘식재료’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속성이 메뉴 속성임을 시사한다. 셋째,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외식 브랜드를 통해 인지된 고객의 진정성은 행동의도에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핵심 식재료가 반영된 레스토랑의 환경, 메뉴, 프로모션을 통해 진정성 있는 분위기를 더욱 잘 경험할 수 있고, 이는 고객의 행동의도와 긍정 감정 및 고객이 인지하는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외식 브랜드의 레스토랑 속성은 물리적 환경 속성을 제외하고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뉴 속성(t=11.846, p<0.001)과 프로모션 속성(t=4.114, p<0.001)이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분 브랜딩을 적용할 때, 핵심 식재료를 적극 드러내어 대표 메뉴로 개발하거나, 프로모션 활동을 적극 실행하면 향후 브랜드 태도와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레스토랑 속성과 행동의도 사이에서 진정성의 매개효과는 물리적 환경 속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메뉴는 진정성 인지와 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었다. 프로모션 속성은 진정성의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어, 핵심 식재료에 대한 진정성 인지가 필수적으로 매개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식재료 프로모션 시, 진정성 있는 스토리텔링과 광고 홍보 문구로 접근해야 고객의 행동의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분 브랜딩이 적용된 외식 브랜드의 레스토랑 속성이 고객의 인지된 브랜드 진정성과 행동의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레스토랑 속성이 인지된 브랜드 진정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진정성이 레스토랑 속성과 행동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밝혔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 브랜드들이 성분 브랜딩 전략을 적용하여 소비자들에게 가치 있는 외식 경험을 선사하고, 나아가 경쟁력 있는 외식 브랜드로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