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평가와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to help learners in Yeoncheon area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exploration, creativity,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and valu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was selected for research and the operation case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the program on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based o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hich was implemented as part of the Gyeonggi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plann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s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Yeoncheon area has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operational method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of Yeoncheon. This study approach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evaluating the program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and participating learners, and analyzing the effect. In this study, effectiveness, relevance, responsiveness, and suitability were set as analysis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for case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 of direct outcomes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through the factors including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self-direction through self-inquiry, creativity and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relationship investigation, sugges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were presented.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in 2020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Yeoncheon area, and the evaluated program was presented as an analysis subjec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of the Yeoncheon-gun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increased the fidelity by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ies and foster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of learner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ng learners and professional artists, centered on the self-examination of local learners. Second,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shown to have high suitability in a situation where the planning conditions were relatively poor. In this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e PM, who operated <Gyeonggi School of Dreams>, was found to be actively operating various art media by discussing ways to deal with the situation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operate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ird,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cusing on achieving both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program expected by the participants through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various artistic media and programs such as physical activity and art par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directly help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ourth,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s on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had been playing important role with plann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by sharing self-directed ability process, sense of commun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self-exploration of participating learners and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by greatly hel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new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hidden in the Yeoncheon region. Fifth, considering that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still lacks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re are possibilities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Yeoncheon area to develop through the further participation of local learners in this program and by teaching the knowled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to those who have alread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is found that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as form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s a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elping participating learners to engage in and experienc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togeth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of participating learner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xpand and operate programs that can recognize the fus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Secon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as a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troduce it as a sustainabl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ir fields of interest should be actively accepte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by inducing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questionnaires or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can find the interests and aptitudes of participating learners, preparing a plan to reflect the interests of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be providing high satisfaction to the program by well understanding the needs, preferences and value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A strategy should be prepared to accommodate and improve the complaints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with immediate feedback, and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instructors and the participating learners to obtain more valuable results through the meeting. Four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classes were conducted appropriately through a meeting of participating learners, operating instructors, and exper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for more subdivided and diverse programs for appropriate class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and operating instructors. Fif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had improved their self-direction ability while recognizing, explor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 progra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positive thinking and healthy mentality of participatory learners. Six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imagination and creativity by inducing various expressions of participants through various art media.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to generate their own ideas so that they can develop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ideas, as well as rich imagination and creativity. Seven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improv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skill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Considering that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affect the social interact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igh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make the participants recogniz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Yeoncheon area,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erefore, a system for diversify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it into experiential activities and regional cultural experiences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연천지역 학습자들에게 자아탐구, 창의력과 상상력, 공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와 가치의 소중함을 깨닫 게 하는 경기도 교육청 꿈의 학교 프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을 연구 선정하여 운영사례를 질적 연구 방 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교육청에서 기획한 경기 꿈의 학교 프 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프로그램을 연천지역에서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획과 실행과정을 근거로 지역문화예 술교육과 지역문화 발전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천군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 필요한 운영 방법을 이해하여, 문화예술교육 과 연천군의 지역문화유산 진흥 강화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 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평가하 고 효과를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위해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 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의 과정 분석은 효과성, 적절성, 대응성, 적합성을 분석기 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문화예술교육프로 그램의 인식, 자아탐구를 통한 자기주도능력과 자기표현, 창의력과 상상력, 공 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를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 확장 에 대한 직접적 결과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관계 규명을 통해 문화 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의 중 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2020년 운영 한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평가된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연천 군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참여자 9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인터 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이 프로그램은 지역 참여 학습자의 자아탐구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참여 학습자와 전문 예술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의 문 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육성과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충실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추진하고 있는 기획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경기 꿈의 학교>를 운영하던 PM이 지역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확산 및 진흥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상황 대처 방안을 논의하여 다양한 예술 매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목적에 적합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유산의 이해, 다양한 예술 매체 활용, 신체활동과 아트파티로 참여자 참 여한 인원들의 프로그램 목표와 취지에 모두 달성하도록 노력하였으며,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더 많이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으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 참여 학습자들의 자아탐구를 통해 자기 주도 적 능력 과정과 공동체 의식, 상상력과 창의성을 공유함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기획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연천지역의 숨어 있는 새로운 물적‧ 인 적자원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크게 도움이 되어 전문성 향상에 기 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아직은 학습자들의 참여가 부족하고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를 앞 으로 지역학습자들이 참여하여 연천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할 수 갈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참여하여 기존에 참여하 고 있던 인원들에게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이해에 대한 지식을 알고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서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참여 학습자들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 육을 함께 활동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이 참여 학습자들의 성장 향상을 위해서 지역의 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을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 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참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앞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 용하고 참여 학습자들의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설문 또는 체험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하여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최대한 반영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의 요구와 선호 그리고 가치를 잘 파악하여 프로그램의 높은 만족감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여 학습자들 의 불만 사항들을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수용하여 개선하고 운영 강사들과 참 여 학습자들이 회의를 통하여 더 가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과 운영 강사 그리고 전문가들의 회의를 통하여 적절하게 수 업이 진행되었지만, 참여 학습자와 운영 강사들의 적합한 수업을 위해서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전문가와 전문예술단체와 협업을 통한 수업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참여 학습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의 자아를 인지하고 탐구 하고 표현하면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자기 주도 능력이 향상되었다. 앞으 로 더 나아가 참여 학습자들의 참여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사고하고 건강한 정 신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여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향상시 킬 수 있었다. 참여 학습자들이 더 다양한 관점과 생각의 발상 그리고 풍부한 상 상력과 창의력 함양을 위해서 참여 학습자가 직접 아이디어를 낼 기회를 확대하 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일곱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이 소통과 이해 그리고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활동이 참여 학습자들의 사회적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여러 기관과 단체와 협력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연천지역의 문화유산을 인지하고 지식기반 확충과 지역문화유산의 중요 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문화유산을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체험활 동과 지역문화 체험으로 전개할 수 있는 다양화하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 친환경농.식품의 브랜드 및 제품요인이 소비자의 신뢰, 지각된가치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민서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problems related to unsafe food constantly arising as a health issue, consumers' concern with food safety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recent incidents with food additives has put environment-friendly food in greater demand. However, the demand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in Korea still has not been consistent or met supplies, causing an imbalance. This has posed such problems as distribution channels cannot secure to fill the orders, not being able to forecast the demand accurately, whereas the consumers have difficulty purchasing the products at the stores they want. Attempting to resolve these problems by increasing the demand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a body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otivational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product purchase. Focusing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se studies have suggested heightening the level of product trust and offering an affordable price to encourage more purchase. However, purchasing a product often involves not just distinctive product attributes but also the brand factor. This happens especially with a low involvement product or with the product of which the attributes are hard to grasp. From this perspective, there may be circumstances where the brand name affects the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since they are trust material, the attributes of which are hard to distinguish for consumers. In addition, distribution channels sometimes play as a product attribute. Product evaluation can be affected by not only the manufacturer but also the distribution channel that purchases the product. Especially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which have an exclusive outlet in a shop-in-shop form in big supermarkets along with a number of on- and off-line stores that sell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only, the types of distribution channels can make a differe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eviously researched purchase factor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long with the brand factor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trust, and future purchase intent.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WTP) by products and brands in order to suggest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price policies.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평가 물리학Ⅰ 문항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평가 비율 분석

        김민서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who have developed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In the science depart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were developed as core competencies of science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It is presented so that they can be cultivated, and in the case of the CSAT, which must evaluate whether the relevant curriculum has been faithfully completed, these core competencies must be evaluated evenly.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questions of Physics I of the CSAT conducted from the 2021 school year to the 2022 school year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nd and analyze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each question, and ask questions for the future CSAT exam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present evaluation questions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talent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A total of 40 questions were asked for 20 questions each for 2021 and 2022,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using Park Jang-hoon's (2019) science core competency analysis criteria to analyze science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each ques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expressing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he items of Physics I of the CSAT taken as a percentage, 'scientific thinking ability' (100%) > 'scientific inquiry ability' (85%) >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45 %) >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15%) >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0%). Based on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ll the CSAT question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at least two or more science core competencies, with an average of 2.45. This means that when solving questions, multiple science core competencies should be used in combination, rather than using only one science core competence or simply memorizing to solve problems.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was very low. The reason is that, except for 'use of scientific terminology' among the sub-element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most of them express their thoughts to others in various ways such as writing and drawing, such as 'using scientific illustration' and 'using scientific argumen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verify in multiple-choice questions such as the CSAT. In addition, in order to evaluat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activities that suggest social issues should be included.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에서는 교과적 특징을 고려하여 과학과 핵심역량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을 제시하여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해당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였는지 평가해야하는 수능의 경우 이러한 핵심 역량을 골고루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제된 2021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실시된 대학수학능력평가 물리학Ⅰ의 문항을 분석하여 각 문항별로 연관이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찾아 분석하고 앞으로 치러질 수능 시험 문항을 출제할 때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를 판별하기에 걸맞은 평가 문항을 출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진행되는 시점까지 치러진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물리학Ⅰ은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각 20문항씩 총 40문항이 출제되었으며 각 문항과 관련이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박장훈(2019)의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기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치러진 수능 물리학Ⅰ의 문항과 관련이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비율로 나타낸 결과 '과학적 사고력'(100%) > '과학적 탐구 능력'(85%) > '과학적 문제 해결력'(45%)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15%) >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0%) 순서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모든 수능 문항은 최소 2개 이상 평균 2.45개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항을 해결할 때 한 가지의 과학과 핵심역량만을 이용하거나 단순히 암기하여 문제를 풀기보다 여러 과학과 핵심역량을 복합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며, 문항 또한 여러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해 복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에 대한 관련성은 매우 낮았다. 그 이유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요소 중 '과학적 용어 사용'을 제외하면 '과학적 도해 사용', '과학적 논증 사용' 등 자신의 생각을 글과 그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능과 같은 선다형 객관식 문항에서 검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문제를 제시하는 활동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일부 예시를 제시하는 문항은 있었지만 과학 기술의 사회적 문제를 제시한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 안토니 가우디 건축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김민서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안토니 가우디 건축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현대인들의 높아진 미적욕구는 단순히 미용의 목적을 넘어 예술성이 강조되는 헤어로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조형 예술 분야로 자리 잡고 있는 헤어아트는 회화나 조각, 건축 등 현대예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새롭고 독특한 미적 응용 분야로의 융합과 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헤어디자인과 건축디자인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미적 예술이면서 실용적이며 장식적인 요소를 갖춘 조형 예술이라는 맥락에서 구조적으로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에 좋은 아이디어의 원천이 된다. 본 논문은 스페인의 천재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건축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조형 예술로서의 헤어아트 디자인에 대한 예술적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 창의적인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우디 건축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된 특성을 토대로 헤어아트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안토니 가우디의 생애를 통해 가우디의 건축이 탄생한 배경을 고찰하고 가우디의 8개의 대표 작품 카사 비센스, 엘 카프리초, 카사 칼베트, 벨레스구아르드, 구엘 단지 지하 성당, 카사 바트요, 카사 밀라, 사그라다 파밀리아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가우디 작품의 특성을 형태적 특성, 장식적 특성, 소재적 특성, 색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형태적 특성은 기존 양식의 수용과 변형을 통한 기하학적 조형과 무데하르양식이며 독특한 구조 해석의 기법을 통해 자연의 역동적인 유기적 곡선을 표현하였다. 장식적 특성은 구조체와 하나로 된 유기체적 장식과 트렌카디스 공법을 적용한 도자 타일의 회화적 장식 사용, 철과 세라믹을 활용한 독창적 장식이 대표적이다. 소재적 특성에 있어서는 가공하지 않은 자연적 재료를 사용하고 색유리 세라믹 철, 돌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색채적 특성은 건축자재 원래의 색과 화려하고 강렬한 색상대비효과, 스테인드글라스의 환상적 색채감, 다채로운 색감으로 형태에 생명력을 부여하였다. 셋째, 작품 제작은 도출된 가우디 건축 작품의 조형적 특성 중 형태적 특성과 장식적, 색채적 특성을 응용한 작품 1 점, 형태적 특성과 색채적 특성을 응용한 작품 1 점, 형태적 특성과 소재적 특성을 함께 응용한 작품 1 점, 장식적 특성과 색채적 특성을 함께 응용한 작품 2 점, 장식적 특성과 소재적 특성을 응용한 작품 1 점, 장식적 특성을 응용한 작품 2 점 총 8점의 창의적인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전개를 통해 건축이 헤어아트 디자인의 아이디어 개발에 유용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우디 건축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에서는 자유로운 공간 구성과 형태, 실루엣, 패턴, 볼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고 그에 따른 디자인 전개 과정 제시가 가능하였다. 셋째, 가우디 건축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소재로 하여 헤어아트 디자인에 적용함에 있어 기하학적 표현과 유기적 구조에 이르는 표현 영역이 확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안토니 가우디 건축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창의적인 작품을 제시함으로써 건축의 조형적 특성이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아이디어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조형 예술로서의 헤어아트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고 표현 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미용 예술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Hair Art Appl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toni Gaudi's Architectural Works The heightened aesthetic desire of modern people goes beyond the simple purpose of beauty and continues to change to hair emphasizing artistry, and hair art, which is positioned as a creative formative art field, is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one another in various fields of contemporary art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is being converged and compounded into new and unique fields of aesthetic application. Hair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are structurally related in the context of plastic art with practical and decorative elements while being aesthetic art for humans, and they are a source of good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hair art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artistic expression area for hair art design as a plastic art by producing hair art works that app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works of the Spanish genius architect Antoni Gaudi, and to present infinite developmental possibilities of new creative designs. As a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on Gaudi's architecture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hair art work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Gaudi's architecture through the life of Antoni Gaudi, and selected and analyzed Gaudí's eight representative works including Casa Vissens, El Capriccio, Casa Calbet, Velesguard, Church of Colònia Güell, Casa Batllo, Casa Mila, and Sagrada Familia.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audí's work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such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ecorative characteristics,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olo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ynamic organic curves of nature are expressed through geometrical modeling through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existing styles and the unique structural analysis technique of Mudéjar style. In terms of the decorative characteristics, the organic decoration united with the structure, the pictorial decoration of porcelain tiles applying the Trenkadis method, and the original decoration using iron and ceramics are representative. In term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unprocessed natural materials were used, and colored glass, ceramic iron, and stone were actively used. In relation to the color characteristics, life was given to the form with the original color of the building material, the splendid and intense color contrast effect, the fantastic color sense of the stained glass, and the colorful color impression. Third, we produced a total of eight creative hair art works such as a work that appl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ecorative and color characteristics amo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Gaudi’s architectural works, a work that applies morphological and color characteristics, a work that applies both morphologic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two works that apply both decorative and color characteristics, a work that applies decorativ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wo works that apply decorative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work produc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hair art design appl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t was confirmed that architecture can be a useful material for developing ideas for hair art design. Second, in the hair art design that appli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audi's architectural works, it was possible to create a variety of designs using free space composition, shapes, silhouettes, patterns, and volumes, and present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ly. Third,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audí's architectural works as a material, it was found that when applied to hair art design, it could be extended to expression areas ranging from geometric expressions to organic structures. Through this study, by presenting creative works util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toni Gaudi's architectural works, we attempt to prove tha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can be a material for idea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hair art design, and furthermore, to increase the artistic value of hair art as a formative art, to expand the field of expression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auty art culture.

      •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민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pecific career information through verifying empirically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using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physical educa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basis for future educational policy. The survey to achieve the goal was conducted for 564 students chosen among those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learning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using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e survey consists of 6 questions on population census variance, 30 question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18 questions on career decision making; each question used 5 stage Likert scale so that there would be response to each question.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urvey displays high Cronbach's α = .898. Using SPSS Window Version 150 program,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n population census varianc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using academic credit bank system display partia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goal, school life and education facility were revealed, and,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future path decision, the level of future path conviction and the level of needing help revealed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and the level of future path indecision revealed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age, and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vealed between groups in the sub-factors of future path decision level of future path decision level, future path indecision level and needing help level, and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revealed to be higher as the age was higher. As for the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according to last academic background, those who received above bachelor's degree and university drop-out were high. As for the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according to registered semester, they revealed to be higher as they approached closer to receiving degrees. As for the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having a job,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for the students without a job than those with a job, and, on the other h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revealed to be higher for the students with a job than those without a job. Secondly,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of the learners in physical education system of credit bank system as its coefficient of correlation (r) was .210, and supports the study hypothesis. In the factors except for the education goal among the five sub-factors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goal, teacher/instructor, school life, education facility and education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partial correlation in the sub-factors of future path decision level of future path conviction level, future path indecision level and needing help level. Thirdly,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using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ffects career decision making. Education performance factor, one of five subfactor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teachers factor has negative impact on degree of aid demand.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respectively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future path decision level, an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uture path decision level.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education result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has a static effect on the future path decision level than other factors. It can be known from this that education result factor has more effect in future path decision level, and that the direction on one's future path is clear as higher education result factor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future path decision.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진로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이에 대한 교육적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부설 평생(사회)교육원에서 체육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습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564명을 표집 추출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변인 6문항, 교육만족도에 대한 30문항,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1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마다 5단계 Likert 척도로 구성하여 각각의 문항에서 제시하는 내용에 응답하도록 설정하였다. 이러한 설문지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 .898로 나타나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1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 목적에 따라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육목표, 학교생활, 교육시설에서만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로확신수준과 도움필요수준은 남가자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진로미결정수준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교육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결정수준, 진로미결정수준, 도움필요수준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체로 연령이 높을 수록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은 학사학위 취득자 이상과 대학(교) 중퇴자가 높게 나타났다. 등록학기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은 학위취득에 가까워질 수록 높게 나타났다. 직업유무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은 직업이 없는 학생들이 직업이 있는 학생들보다 교육만족도가 높았고, 반면 직업이 있는 학생들이 직업이 없는 학생들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간의 상관계수(r)는 .210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교육만족도의 5개 하위요인인 교육목표, 교·강사. 학교생활, 교육시설, 교육성과 중 교육목표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서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확신수준, 진로미결정수준, 도움필요수준에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육만족도의 5개 하위요인인 교육목표, 교·강사, 학교생활, 교육시설, 교육성과 중 교육성과요인은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확신수준, 진로미결정수준, 도움필요수준 모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강사요인은 도움필요수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간에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육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육성과요인이 나머지 요인들보다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교육성과요인이 진로결정수준에 있어서 더 많은 작용을 하고, 교육성과요인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에 있어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진로에 대한 방향이 뚜렷함을 알 수 있다.

      • 일본어 어휘 학습을 위한 코퍼스 기반 연어 고찰

        김민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line with the emphasi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need for systematic and well organized teaching methodology is increasing. Particularly, Japanese learners have a lot of trouble communicating without understanding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Japanese words exist on the basis of collocation. Many agree with the necessity to establish an extensive information database of collocation in that collocation-based words are so plentiful in Japanese and not a few learners are finding it hard to learn and use the collocations. This research includes 1)nouns combining with a verb, 2)a list of most frequently used collocations, 3)learning programs in stages, and 4)suggestions on compiling a dictionary of collocations. This research is mainly performed by analyzing the 2008 official data of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in the name of the KOTONOHA project. As Corpus amounts to approximately 7,600 million vocabularies and consists of a variety of genres, it is assumed that this data analysis is worth our attention. Among basic vocabulary, 'Toru' was chosen as the target item due to its numerous meaning categories and 'Dong-a Prime Japanese-Korean Dictionary' which is most popular in Korea was used as criteria for classifying its meanings. Plus, for this study, the nouns going with postposition 'Wo' in the collocations having 'Toru'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otal of collocations of and its nouns going with postposition 'Wo' amounted to 9,598 'Toru' cases and this study offers a collocation list from 8,819 examples in real life, where 'Toru' combines with common nouns, not with postpositions, proper nouns and pronouns. In this analysis, 49 nouns of high frequency are chosen in the Corpus and their meaning category is presented by using the Word List by Semantic Principles. From the extracted examples, this study shows an analysis of the meaning relationship with the verb 'Toru' and several lists of the collocations including the verb 'Toru', such as the combined collocations of high frequency, idiomatic expressions, and collocations of compound verb, with which figures out co-occurrence of each vocabulary. Plus, the frequency at which nouns going with postposition 'Wo' appears in each genre and the actual usages of the collocations were investigated. From this research, it could attain objectivity of collocation frequency used in real life as well as various and extensive lexical information through the massive Corpus. Also, semantic categorization of nouns with Word List by Semantic Principles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systematic and subdivided learning of Japanese vocabulary. Checking whether the collocations are concluded in the existing dictionaries and analyzing the actual frequency of them in real life, we point out that the existing dictionaries quite often deal not with essential collocations but with unimportant or unnecessary ones. In this regard, a need for the compilation of new and practical dictionary is argued. In conclusion, great exertion to truly understand the various functions of Corpus and make its appropriate interpretation is needed to not only the production of a practical learners’ collocation dictionary but the specific learning plan of collocation education.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방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휘의 상당수가 다른 어휘와 짝을 이루는 연어 표현이며, 이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정확한 의사소통을 하기 어렵다. 언어 자체에 연어를 이루는 어휘가 많다는 점과 외국어 교육에 있어 연어 학습의 어려움이 지적되면서 방대한 연어 정보를 구축할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언어 자료인 코퍼스를 이용한 고빈도 연어를 조사하고 단계별 학습 방안과 연어 사전 편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사용된 코퍼스는 일본 국립국어연구소의 KOTONOHA 계획에 의한 현대 일본어 균형코퍼스(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로써 2008년도 공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7,600만 단어에 달하는 방대한 양과 다양한 장르로 구성되어 있어 현대 일본어를 분석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 조사 대상어로는 기본 어휘 중 「取る」를 선정하고 학습자들의 사용률이 높은 『동아 프라임 일한사전』을 의미 분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取る」에서 가장 큰 빈도를 차지하는 「を」격 명사를 그 대상으로 삼아 고찰하였다. 전체 「を」격 명사와 「取る」의 용례는 총 9,598개로 조사, 고유명사, 대명사 등을 제외한 순수 명사와의 결합을 보이는 8,819개의 실제 용례를 바탕으로 연어 목록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빈도 명사 49가지를 선정하였으며, 분류어휘표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의미 카테고리를 제시하였다. 추출된 용례를 바탕으로 「取る」와의 의미관계를 분석하고 높은 결합 빈도를 나타내는 연어 목록, 관용 표현의 연어 목록, 복합동사와의 결합을 보이는 연어 목록 등을 제시하여 단어의 공기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장르에 따른 「を」격 명사의 빈도를 조사하여 실제 사용되고 있는 표현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연어 빈도의 객관성과 대규모 코퍼스를 통한 다방면의 방대한 연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분류어휘표를 이용한 의미적 카테고리의 분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어휘 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기존 연어 사전의 수록 여부와 코퍼스에서 추출한 실제 빈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제 사용 빈도가 낮은 표현이 수록되어 있거나 실제 사용 빈도가 높은 표현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고빈도 연어 수록을 통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학습용 연어 사전 편찬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코퍼스의 여러 가지 기능과 이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연어 교육의 학습 방안 및 향후 학습용 연어 사전 편찬의 구축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소득이 식생활 소비양식에 미치는 영향 : 문화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서 세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소비양식에 미치는 소득의 효과와 문화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소비양식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들은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계급에 따른 불평등이 소비양식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동일한 경제자본에서의 식생활 소비양식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는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을 구분하기보다는 상호효과로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식생활 소비양식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시각과 선행연구에서 파생된 변수들이 현재 식생활 소비양식에서도 여전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을 비교적 식생활 소비가 자유로운 성인으로 하였고, 더불어 문화자본의 향유가 쉽다고 판단되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57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변량분산분석 등의 실증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이 식생활 소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식생활 소비양식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4개 요인 중 내식과 외식 시 ‘건강, 안정성, 질의 추구’와 내식 시 ‘감각적인 멋과 맛’ 3개 요인에 소득이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소득과 상속문화자본이 식생활 소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식생활 소비양식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4개 요인 중 내식과 외식 시 ‘건강, 안정성, 질의 추구’와 내식 시 ‘감각적인 멋과 맛’ 3개 요인에 소득과 상속문화자본이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소득과 획득문화자본이 식생활 소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식생활 소비양식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4개 요인 중 내식과 외식 시 ‘건강, 안정성, 질의 추구’ 2요인에 소득과 획득문화자본이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식생활 소비양식에 미치는 영향은 상속문화자본의 조절효과가 가장 크고, 획득문화자본의 조절효과, 소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문화자본은 식생활 소비양식 중 ‘건강, 안정성, 질의 추구’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감각적인 멋과 맛’요인은 다른 요인에 비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소유에 따른 계급격차가 소비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당연시 여기던 기존의 시각에서 현재 한국사회에서 식생활 소비영역에 두 요인이 실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come on dietary lifesty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capital. Empirical studies on food consumption patterns have found that inequalities i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are potential causes of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However, in order to explain the patterns of dietary consumption given similar economic capit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joint effects rather tha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individually. In this line of reasoning,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new perspectives affecting the dietary consumption and the variables derived from extant studies are still valid in explaining the current dietary lifestyl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October 2017 to 257 adul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ere decisions on dietary consumption is relatively flexible. Empirical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Analytic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effect of income on dietary lifestyle shows that among the four factors constituting the dietary lifestyle, income is a significant antecedent in three factors of seeking health, stability, and quality, when eating home and out, and two factors of sensory taste and taste when eating home.   Second,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come and inheritance cultural capital on the dietary lifestyle shows that among the four factors that constitute the dietary pattern of consumption style, health, stability, quality, and seeking are affected when eating home and out and sensory taste and taste when eating home.    Third, findings indicate the effects of income and acquired cultural capital on the dietary lifestyle. It is found that among the four factors constituting the dietary lifestyle, income and acquired cultural capital are related to two factors of health and stability and quality when eating home.   Lastly, regarding the magnitudes, the moderating effect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wa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moderating effect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and then income.   The effects of income and cultural capital on the factors of health, stability and quality of dietary patterns of consumption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sensory taste and taste factors were not affected.   From the existing viewpoint that class divide in lifestyle exists according to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this study extends a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two factors on dietary consumption in the Korean society.

      •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직접투자 결정요인 방식에 관한 연구

        김민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은 1978년 외부와 단절된 '죽의 장막'을 걷어내고 본격적인 개혁과 대외개방을 시작하면서 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시작하였다. 1991년 중국과의 수교이후 중국이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과거 '세계의 공장'이란 이미지에서 이제는 세계경제의 가장 핵심적인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우리나라도 과거 미국, 일본 중심의 대외교역 패턴에서 중국위주로 바뀌면서 다른 교역대상국보다 큰 의미를 갖게 되었다. 전 세계 유수의 기업들은 세계 경제의 새로운 주역인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전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외직접투자(FDI)의 상당 부분이 중국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중국시장의 성장가능성이 그 어느 투자대상국보다 크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는 1980년 이후 매우 빠른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기업의 국제화가 다른 어느 나라보다 필수적이고 시급한 과제였다.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경제의 국제화 과정에서의 가장 강력하고 유효한 전략이라는 점에서 선호되었다. 특히 1989년부터 시작된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직접투자의 경우 2001년에 중국이 한국의 최대 해외직접투자 대상국으로 등장한 이후 2008년에 비로서 투자건수 및 금액규모면에 있어서 중국이 1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는 외국인투자기업 우대정책의 부작용을 지적하는 여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중국 정부의 정책도 외국인 투자유치에 대해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이는 외국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축소, 이전가격 정책 등 세부조사를 강화하였고, 외국기업의 투자조건 및 기업인수에 대한 규제강화, 노사관계법령 정비 등의 정책변화로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중국 진출초기에 가졌던 기업들의 기대와 희망은 세계경제의 침체와 더불어 중국정부의 해외의 투자기업에 대한 정책 변화에 의해서 매우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중국은 거대한 시장과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세계적인 기준에 미흡한 제도와 법 체제의 불투명성 등으로 인하여 국내기업이 중국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는 데에 커다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경제의 성장과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경제적 교류 확대를 고려할 때 관련 문제에 대한 많은 체계적인 분석 및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 기업이 중국에 직접 진출하여 투자하는 것은 상품을 국내에서 생산하여 수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복잡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 이미 진출한 기업이나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들의 환경변화에 따른 위협과 기회요인을 중장기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기업이 중국에 투자하는 규모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비 절감을 위한 생산시설의 이전을 통한 비용절감 차원의 투자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중국은 우리나라의 지리적 근접성이 높고 산업발전단계 측면에서도 상호 보완성이 강하여 정보, 자금, 기술 등의 능력 면에서 다소 부족한 중소기업의 투자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둘째, 한국의 직접투자가 제조업위주로 편중되었다는 사실이다.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는 업종 구성면에서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조업의 투자편중 현상은 한국기업들이 중국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한국의 사양 산업 위주로 중국진출을 도모하였고 중국정부도 개방초기 단계에 고용유발 효과가 높은 제조업에 대한 투자를 적극 수용하였다는데 가장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유통업, 서비스업 등의 인허가 절차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것도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실증분석 결과 사회기반시설 및 시장크기가 클수록 직접투자를 선호한 결과 우리의 대중국 투자는 북경을 중심으로 한 환발해권, 청도를 중심으로 한 산둥반도 지역, 강소성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화동지방 등 3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넷째, 향후 중국투자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현지인처럼 생각하고, 글로벌적으로 경영활동을 하는 전략이다. 그동안 외국기업들이 경제적 이익만을 추구하면서 중국정부나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여 중국 현지 문화와 규범을 존중하면서(Think Local) 경영에 있어 서는 글로벌 규칙에 맞는 투명한 준법경영(Act Global)의 전략이 필요하다. 제조업에 지나치게 편중된 진출분야를 성장 잠재력이 큰 유통과 서비스 분야로 확대하고 동시에 업종별로 진출지역을 다변화 및 세분화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국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지시장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 많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현지 기업의 자원능력과 인적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합작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한 선택이 되겠다. 합작투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는 것은 유능한 합작 대상자의 선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합작 대상기업이 어떠한 목표와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각별히 조사하여 판단해야 한다. 합작대상자가 추구하는 목표가 서로 이질적인 경우 합작투자는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는 것이다. In 1978 when China pulled the "Bamboo Curtain" down that isolated it from outside, China put active efforts to attract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as it began its full scale reformation and open-door policy. After the normalization of Korea-China relations in 1991, the economic weight that China took up has been growing ever since, and it became one of core nation with a great deal of importance in the global economy now, getting out of its past image as " The Global Factory". Korea also put much larger significance on China than other trade partner countries with its directional change from overseas trade pattern focused on USA and Japan. Efforts are made by prominent enterprises worldwide to enter into the Chinese market that is emerged as new leading part of global economy, in particular, a considerable por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which is undertaken worldwide is targeting China. This may be because Chinese market has the biggest growth potentiality among another other investment target countries. China has enormous market size and growth potentiality, nonetheless, its institutional flaws unsatisfactory to the global standards and its obscure legal system act as huge risk factors in successful advancement of domestic enterprises into China. recently, in China, the public opinions began to be formed indicating the adverse effect of China's foreign investor enterprise favored policy, together with Chinese government turned its policy direction towards reinforcement the regulatory action on attracting the foreign investment. These changes of policies by the government of China on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made the time more difficult for the business companies who considered their expectations and hopes as promising in the early days of entering into Chinese market, in addition to the depression of global economy.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economy of China in connection to the expansion of econo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t requires much more systematic analysis and researches on the concerning issues. Also In case of direct investment to China by Korean enterprises, it should take the fact into accounts that more complicated factors exist than the case of exporting merchandise domestically manufactured or produced. In this study, analysis is made on the threat and opportunity factors merged in accordance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for the corporations who had advanced already or are planning to their advancement into China in mid and long term view point. First, the study presented that the scale of investment made by Korean enterprises to China is comparatively small.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of investments was on cost-effectiveness level through the transfer of production facility to save the production cost, and more specifically, in case of China,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weight of investment b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ho have rather insufficient capacity in terms of information, funding and technology was relatively higher as China has high geographic proximity from Korea and at the same time it has strong mutual complementarity in the aspect of industrial development level. Secondly, it was noted that the direct investment of Korea was biased with manufacture oriented industry. In the investment to china by Korean enterprises, manufacturing industry takes up the largest proportion in terms of the business type composition. The investment bia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advancing into China was encouraged by the declining industry centered motivation of Korean enterprises in order to utilize the low wage labour force of China. Also the government of China actively welcomed the investment in manufacture industry which has high effects of job creation in the initial stage of opening doors. These are appeared as the most significant causes in addition to another cause was the troublesome procedure of getting approval and authorization on distribution business and service industry, etc. Thirdly,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larger the infrastructure and the market size are, the direct investment was preferred and as consequence, the Korean investment to China was concentrated to 3 regions such as the Bohai Round-sea Area centering Beijing, the Shandong Peninsula Area centering Qingdao, and the Huadong Region centering Shanghai and Jiangsu province. Forth, future investment to China requires new approaches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meaning a strategy to think like the local people yet to make the management in global style. Given the fact that so far, foreign enterprises could not gratify to the expectation of the government or the people of China while they pursued their own economic profits onl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respect the local culture and norms of China (Think Local) with transparent management in compliance with relevant laws satisfying the global rules (Act Global). It is indispensable to expand the advancement field from overly manufacture industry biased to distribution and service industry field that have large growth potentiality and at the same time, to make diversification and specification of the advancement area by business types. Conclusively,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enterprises whose goals are to pursue the local market, should be increased for successful direct investment to China, and in particular, the joint investment that can utilize the resource capacity and human resources of the local businesses will be more advantageous choic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joint investment above all is to select competent joint partner. For this purpose, a comprehensive and very careful survey for right decision on what kind of goal and capability the prospective joint partner business have, because if the goal of prospective joint partner is not consistent, the joint investment is more likely to fail.

      • 사계절 야생화 이미지를 활용한 헤어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연구

        김민서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ldflowers that unvaryingly represent the order and balance of the nature offer psychological comfort to the drained modern men and women. Wildflowers have unrefined and natural aesthetic values that emit a visual stability from their delicate colors. Without making excessive efforts, we expect to vitalize our body and mid and obtain new energy from the all-around and easily accessible wildflowers. Therefore, I selected Korea’s wildflowers that emanate natural warmth and comfort, visual stability from their delicate colors and beauty in their little flowers, as the motif of my design. By designing the robust life force and unique aesthetic values of wildflowers with modern sensibility, various hair designs are proposed that can raise the value through new ideas and artistic creation. In their routine lives, there are growing urges in modern men and women to express their own individuality. As a means to resolve such urge, this phenomenon of being able to introduce one’s own individuality in one’s own method is remarkable. By studying aesthetic values through the wildflowers that encompass the emotions of our people, I am able to provide motifs for hair designs and reinterpret them in a more modern sense to project their significance in modern hair up-styles. Moreover, its purpose is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viability of the modern hair up-styles. Consequently, in the course of planning and designing, I was able to the infinite artistic values and applications of wildflowers that are selected as subject matters in various fields of art. Furthermore, I plan to convey the lyrical images of wildflowers in the up hair designs and promote their beauty and artistry. 자연의 질서와 조화를 고스란히 대표하고 있는 우리의 야생화는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위안을 제공한다. 야생화는 가공하지 않은 조형미를 가지고 있으며 은은한 색채에서 느끼는 시각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애써 의도하지 않아도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물인 야생화를 통해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에 활력을 주고 새로운 에너지를 얻기를 기대해본다. 이에 본연구자는 야생화가 주는 자연의 따뜻함과 편안함, 은은한 색상에서 오는 시각적 안정감 등 작은 꽃 속의 아름다움을 지닌 한국의 야생화를 디자인의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야생화의 강인한 생명력과 독특한 조형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디자인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와 예술적 창출을 발전시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헤어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대인들은 일정하게 반복되는 생활 속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나만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는 헤어에서의 이 현상은 더 두드러진다. 우리 민족의 정서를 담고 있는 야생화를 통해 아름다운 조형미를 연구함으로써 헤어디자인의 모티브를 제공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헤어 업스타일에 그 의미를 투영하고자 한다. 나아가 현대적 헤어 업스타일의 나아갈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디자인을 기획하고 완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예술분야의 소재로 선택되고 있는 야생화의 무궁한 예술적 가치와 그 운용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아울러 야생화의 서정적 이미지를 업 헤어디자인에 옮겨 담아 그 아름다움과 예술성을 널리 알리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