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적 성찰에 기초한 순환적 자기수업컨설팅 모형 개발

        김미화 ( Mihwa Kim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이 연구는 실천적 성찰에 기초하여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을 분석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교수자 스스로가 지속적으로 수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자기수업컨설팅 단계를 도식화하여 모형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수업 성찰, 자기수업컨설팅의 특징과 절차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자기수업컨설팅을 심도있게 경험한 현장교사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실천적 성찰에 기초한 순환적 자기수업컨설팅 모형(이하 SELF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 초안은 전문가 5인에게 2차례에 거쳐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이를 통해 모형의 절차적 표현이 재도식화 되고 세부 단계의 용어와 전략이 수정 보완되었다. 이같은 내적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된 SELF 모형은 교육현장의 실제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교사 5인을 대상으로 외적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내·외적 타당도 검증을 통해 완성된 SELF 모형은 ‘Start instruction(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할 수업 시작하기)’, ‘Explore instructional system(체계적으로 수업분석하기)’, ‘Look into problems(수업문제 들여다보기)’, ‘Find solutions(개선안 탐색하기)’의 주요 단계와, ‘수업 준비’, ‘수업 실행’, ‘성찰적 수업 관찰’, ‘체제적 수업분석’, ‘문제 발견’, ‘개선할 문제 선정’, ‘개선안 탐색’, ‘개선안 실천’의 세부 단계로 최종 확정되었다. 아울러 단계들 간의 순환적인 구조 특징과 실천적 성찰의 중요성을 표현하기 위해 SELF 모형의 전체적인 형태는 바람개비를 메타포로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메타포를 활용하여 제시한 모형의 이점, 수업문제 발견을 위한 단계적 절차의 시기, 평생교육과 기업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자기수업분석도구 개발의 필요성, 자기수업컨설팅을 위하여 요구되는 요인이나 역량 도출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cyclical self-consultation model of instruction based on practical reflection, allowing instructors to improve their own classes continuously through an analytical process of identifying and solving problems.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relevant evidence, such as instructors’ reflections on a class, the reflec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a self-consultation model of instruction, was reviewed.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the field and experts with experience of self-consultation in instruction. On account of this, a draft cyclical self-consultation model of instruction based on practical reflection(the SELF model) was validated twice by five experts. The procedural expression of the model and its stages were revised in light of their feedback. The validated model was then implemented by five instructors in the field to externally verify its practical us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ELF model consisting of four main steps(‘Start instruction’, ‘Explore instructional system’, ‘Look into problems’, and ‘Find solutions’) was developed.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SELF model was presented using a pinwheel as a metaphor to express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tages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reflection. Finally, the advantages of the model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use of metaphors, the timing of the problem identification stage, the applicability to lifelong and corporate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self-consultation analysis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self-consultation in instruction.

      • KCI등재

        선별이적처리를 통한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 정비방안 연구

        김동오(Kim Dongoh),김태경(Kim Taekyoung),김미화(Kim Mihwa),김문일(Kim Moonil)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의 안정화 정도를 평가하고 안정화되지 않은 사용종료 매립지의 재정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안정화 정도는 기존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 21개소의 매립폐기물 시료를 채취하여 그 성상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물리적 성상으로는 토사, 유기물, 가연성 및 불연성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립폐기물 시료를 채취한 9개소의 비위생매립지는 사용종료 후 10년 이상 경과되었음에도 완전한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의 재정비가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비위생매립지의 물리적 성상중 토사 함량이 높았으며 가장 높은 함량은 89.96%이었다. 이와는 달리 위생매립지의 경우는 9.89~11.12%로 토사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선별이적처리에 의해 회수된 토사는 재정비를 해야하는 비위생매립지의 복토재나 건설재료로의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an evaluation of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stabilization degree and a determination of its an optimal reclamation method. In order to evaluate the stabilization degree, physical compositions of landfill wastes in 21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were analyzed. There were 4 major items such as cover soils, organics, combustibles and incombustibles. With respect to the results of physical composit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waste in 9 sampling sites of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after 10years of the relief time was not fully stabilized. The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must be reclaimed as soon as possible. The main material in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was cover soils and the highest content was 89.96%. Otherwise, the contents in sanitary landfills was small and 9.89~11.12%. Therefore, it was evaluated that the recovered soil by sorting transfer treatment could be reused as on-site cover soils of the reclamating non-sanitary landfills and/or constructing materials.

      • KCI등재

        플립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1

        이 연구는 교수자가 플립러닝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때 확인할 수 있는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플립러닝을 수행하려는 교수자가 자기 스스로 플립러닝 수업을 진단하거나, 수업컨설턴트가 플립러닝 수업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한 수업컨 설팅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립러닝을 위한 교수설계 및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과 전략에 관한 문헌들을 탐색하여 플립러닝의 수업 단계를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로 구분하고 각각의 수업 단계에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주요 수업 활동들을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문항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초안은 2차례에 거쳐 전문가 6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특히 2차 타당도 검증에서는 교수자가 플립러닝으로 수업을 운영하고자 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필수 문항들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검토 받는 과정이 추가되었다. 연구 결과 총 48개의 문항이 플립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문항들로 개발되었으며, 그 중 20개의 문항이 필수문항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끝으로, 플립러닝에서 수업 후 활동의 의미, 사전학습 자료와 수업 중 활동간의 연계성, 다양한 학습자 중심 활동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 상황에 따른 선택 문항과 필수 문항의 적절한 활용,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analysis tool that can be used when instructors design and implement their instructions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ors who want to perform the flipped learning in school setting diagnose and analyze their instructions by themselves or instructional consultants try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ous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developed a draft of the items by dividing the instructional phases of flipped learning into ‘pre-class’, ‘in-class’, and ‘after-class’. The draft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analysis items was validated twice by 6 experts in the field of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consultation. Especially, in the second validity verification, it was added to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essential items that can be considered when the instructors implement their instructions based on flipped learn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48 items were developed as the final version of the instructional analysis tool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21 of them were selected as essential items.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meaning of after-class activities in flipped learning, the connectivity between prior learning materials and in-class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items to evaluate various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appropriate use of the optional items and essential item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situation,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in various school settings.

      • KCI등재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이세현 ( Sehyu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일상 시대에 대학 교수자가 면대면 수업을 비대면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설계모형을 개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 수업설계모형과 전략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대학의 일반 교수자 5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나 전략들을 단계적으로 제시한 수업설계 모형 초안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초안은 2차례에 걸쳐 5인의 전문가들로부터 내적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코로나 대응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대학 교수 5인으로부터 사용성 평가를 통해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설계를 위한 모형은 ‘온라인 수업 분석 및 준비’, ‘온라인 수업 설계’, ‘온라인 수업 자료 개발’, ‘온라인 수업 운영’, ‘온라인 수업 평가 및 성찰’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평가 및 성찰’단계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 및 순환 가능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설계모형은 수업설계 각 단계에서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주요 활동 중심의 ‘절차모형’과, 주요 활동별로 수행해야 할 세부 활동 및 전략들이 제시된 ‘상세모형’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끝으로, 대학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을 통한 모형의 활용 가능성 탐색, 모형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실험이나 실습 등 실기 활동이 기반이 되는 실습수업을 고려한 추가적 모형 개발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and systematic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university professors can use in the transition from their face-to-face instruction to non face-to-face in the era with coron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literatures such as distance education, e-learning, onlin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rofessors. Based on these, a draft of an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presented step-by-ste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was developed. The draft of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twice by 5 experts, and the validated model was evaluated for usefulness by 5 university professors who experienced non face-to-face online lectures to encounter the corona era in 202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non face-to-face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nsisted of five steps(‘online instructional analysis and preparation’, ‘online instructional design’, ‘online instructional material and contents development’, ‘online implementation’, and ‘online instructional evaluation and reflection’) was developed. This model was characterized by repetitive and cyclic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nto a ‘procedure model’ including the main activities that the professors should perform at each stage of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a ‘detailed model’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or strategies for the main activities.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fiel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effective use of the model, an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class or practical class in university.

      • KCI등재

        대학 플립러닝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 컨설팅 도구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가 플립러닝을 도입ㆍ운영한 수업에 대해 수업컨설턴트가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를 개발ㆍ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교수학습 전략과 적용 사례, 그리고 플립러닝 수업 컨설팅에 관한 주요 문헌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단계(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에 따라 확인해야 하는 사항은 분석문항으로, 분석문항을 활용하고자 할 때 점검해야 하는 부가설명들은 각 문항의 하단에 괄호로, 분석문항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참조해야 하는 자료목록은 해당 문항 옆에 분석대상 자료로 내용을 구성하여 대학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컨설팅 도구 초안은 2차례에 걸쳐 전문가 5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검증받은 분석도구가 실제 수업컨설팅 현장에서 적용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업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수업컨설턴트 5명을 대상으로 외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21개의 문항이 대학의 플립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분석 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 양식이 개발되었다. 결론적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의 활용 가능성, 분석하고자 하는 수업의 특성에 따른 수업컨설팅 도구의 융통적 활용,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위한 충분한 자료의 제공, 다양한 분석자료 활용의 필요성, 분석문항별 상세 안내를 위한 부가 설명의 적절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to support consultants to perform practical and systematic consulting on flipped learning instruction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niversity professors or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flipped learning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it was developed a draft of a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based on items that can analyze the instructional phases of flipped learning (pre-class, in-class, after-class), the additional guides for each items, and a list of materials to refer for confirming the conten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draft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was validated twice by 5 experts in the field of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in higher education. In addition, the external validity was implemented by 5 instructional consultants with experience i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to confirm whether this tool is applicable in the actual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inal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with 21 items for analyzing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as developed.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applicability as a tool for self-instructional consulting, the flexible use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s, providing various instructional resourc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necessity of using various list of materials, and the appropriateness of additional guides for detailed explanation of each item.

      • KCI등재

        국내 양돈장의 사육 온도와 밀사율이 구강액 채취율에 미치는 영향

        변현섭 ( Hyeon Seop Byeon ),김미화 ( Mihwa Kim ),권성애 ( Sungae Kwon ),한미나 ( Mina Han ),한성태 ( Sung Tae Han ),장래훈 ( Rae Hoon Jang ),정윤수 ( Yun-soo Chung ),김석현 ( Seokhyun Kim ),전보영 ( Bo-young Jeon ) 한국동물위생학회 2021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44 No.4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stock density on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in the pig farm in Korea. Three pig farms with similar bree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four pens of each farm (total 12 pens) were tested for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from pigs. Collection rate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when oral fluid was collected from 70% of pigs within a pen. In the case of growing pigs, when internal temperature of pig barn increased by one designated degree (5℃), the oral fluid collection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by 24.7% (P<0.05). The collection rate of oral fluid also decreased by 7.1% (P<0.05) as the density rate increase by one designated degree (12.5%). It was estimated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decreas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pig barn was 30℃ or higher, or barn density is higher 25% or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tall-housing sows, unlike growing pig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o oral fluid collection was considered to be efficient even in hot season.

      • KCI등재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신진주 ( Jinju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운영할 때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 전략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략들의 실제 활용현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과 상호작용 전략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I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86개 교과목에서 교수자들이 사용한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들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전략 초안은 2차례에 걸쳐 전문가 4인으로부터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전략에 대한수정 보완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총 27개 전략이 최종 확정되었으며, 이는 ‘교수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내용간 상호작용’,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의 네 가지 상호작용 유형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아울러, 개발된 온라인 상호작용 교수학습 전략의 활용현황을 탐색해 보기 위하여 I대학교에서 실제 개설, 운영된 76개 수업에서 교수자들이 사용한 116개의 상호작용 전략들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유형별, 계열별, 수업운영 방법별에 따른 상호작용 전략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professors can use their online classes for enhancing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distance education, e-learning, online classes, and interaction strategies was conducted. Additionally, 86 online courses offered at I university in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veloped a draft of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interaction of online class in higher education. The draft of the developed strategies for online interaction was validated twice by 4 experts with online class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27 strategies were developed as the final version for enhanc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 of university, and th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as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s interaction’, and ‘learner-inner intera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trategies, the frequencies of 116 interaction strategies used 76 online courses opened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1 at I university were analyzed by interaction type, university department, and online course typ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hanc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of universit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