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사학) : 18세기 김한철의 언론 활동

        김문식 ( Moon Sik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31 No.-

        金漢喆은 영조 대에 국왕에게 直言을 하고 당대의 是非를 가리는 언론 활동을 벌였다. 그의 언론 활동은 가문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었는데, 그의 고조부인 金弘郁은 언관가문의 전통을 확립했고, 부친 金龍慶도 강경한 언론을 전개했다. 김한철의 언론활동은 영조에게 권면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국왕에게 경연을 게을리 하지 말 것과 聖德을 연마할 것을 건의했다. 현실 문제에 있어서는 원론적인 건의가 많았는데, 1757년에 올린 시무책에서는 해안 경비를 위해 군사 거점에 있던 모든 선박을 검색할 것을 요구했다. 김한철은 黨人으로서의 언론에 가장 뚜렷한 행적을 보였다. 그는 영조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탕평파 인물을 지원하는 것을 반대하고 노론계로서의 정치적 입장을 분명히 하였는데, 남인계 조덕린이나 탕평파 元景夏를 공격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훗날 노론계 대신인 南有容과 金載瓚이 김한철 父子의 언론을 평가한 것은 그들의 정치적 입장을 분명하게 보였기 때문이다. Kim Han-cheol was the elite who spoke plainly to his lord, King Youngjo. Speaking plainly was his family tradition. For example, Kim Hong-uk, one of his forefather, had lost his life to outspoken advice to King Hyojong, and his father Kim Yong-kyung had lost his position many times because of speaking out. Most of Kim Han-cheol`s speech was to advise King Youngjo to study hard and work diligently. About actual problems, most of his speech was general and theoretical. But in the political report written in 1757, he asked to search every ships at the strategic harbor throughly. It was connected with the West Coast defence. Kim Han-cheol was most energetic in the political party speech. He approved Noron party, and criticized the royalists who King Youngjo supported. He attacked Cho Deok-rin and Won Kyung-ha several times, the former was the member of the Namin party, the latter was that of the royalist. After his death, Nam you-yong and Kim Jae-chan set high value on his father`s and his speech. It was because he and his father expressed their political opinion very strictly.

      • 조선본 『주자어류(朱子語類)』의 간행과 활용

        김문식 ( Moon Sik Kim ) 단국사학회 2011 史學志 Vol.43 No.-

        조선에서 주자학 연구가 발달한 배경에는 중국에서 관련 서적을 수입하여 조선본으로 간행 보급하는 과정이 있었다. 조선에 보급된 주자학 관련 서적에는 『朱子文集大全』(『朱子大全』이라 약칭함)과 『朱子語類大全』(『朱子語類』라 약칭함)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15~16세기에 明나라 판본을 수입하여 조선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본고는 조선본 『주자어류』가 보급된 이후 조선학계에 나타난 변화를 검토했다. 『주자어류』 140권은 1270년(咸淳6) 南宋의 黎靖德이 편집한 朱熹의 語錄이다. 명대에 『주자어류』는 여러 번 重刊되었는데, 1473년(成化9)에 간행된 成化本과 1604년(萬曆32)에 간행된 萬曆本이 유명하다. 조선에 성화본이 도입된 시기는 1476년(성종 7)과 1481년(성종 12)이다. 조선본 『주자어류』에는 중종대의 활자본(1516, 1544), 선조대의 활자본(1575)과 이를 飜刻한 목판본(1587), 영조대의 목판본(1771)이 있다. 선조대의 활자본은 柳希春이 校勘한것으로 26행 22자이며, 영조대의 목판본은 洪啓禧가 교감한 것으로 20행 22자이다. 영조대의 목판본은 선조대의 활자본을 저본으로 하면서 중국에서 구입한 10여 종의 판본과 국내의 판본들을 모두 대조하여 교감하였고, 각 권의 卷末에는 교정한 내용을 기록한 ‘考異’를 붙여두었다. 조선본 『주자어류』가 보급된 이후에는 그 핵심을 간추린 選本과 주석을 붙인 연구서가 나타났다. 『주자어류』 선본에는 宋時烈의 『朱子語類抄』, 安鼎福의 『朱子語類節要』가 있고, 연구서에는 송시열과 그 문인이 작성한 『朱子語類小分』과 李宜哲이 작성한 『朱子語類古文解義』가 있다. 『주자어류소분』은 원문을 교감하고 중복되는 내용을 刪削한 다음 본문을 재분류한 책이고, 『주자어류고문해의』는 『주자어류』의 주석서이면서 홍계희의 考異에 나타나는 오류를 수정하고 보완한 책이다. 조선본 『주자어류』의 보급은 조선학자들이 주자학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이는 『주자어류』의 선본과 연구서의 편찬으로 나타났다. 조선학자들은 20세기 초까지 『주자어류』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The reason why the study of Jujahak, School of Zhu Xi, was highly advanced in Joseon Dynasty is that the Korean version texts related with jujahak were widely diffused. In this paper, I examine the Joseon academia`s change after the Korean version Zhuzi yulei being propagated. The original Zhuzi yulei was edited by Li Jingde in 1270. The most famous Chinese version of this book is Chenghua version(1473) and Wanli version(1604). The Chenghua version was imported into Korea in 1476 and 1481. The Korean version Zhuzi yulei is the metal type printed book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1516, 1544), the metal type printed book and the block printed book in the reign of King Seonjo(1575, 1587), the block printed book in the reign of King Yeongjo(1771). Yu Huichun proofread the metal type printed book in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Hong Gyehee did the book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Especially Hong compared many Korean versions and Chinese versions on the basis of the book in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adhered the review at the end of the each volume. After diffusion of the Korean version Zhuzi yulei, the abridgements and the studies of the book were appeared in Joseon Dynasty. Song Siyeol and An Jeongbok each compiled the abridgements of Zhuzi yulei, Song`s pupils and Lee Uicheol progressed the study of Zhuzi yule. Song and his pupils proofread the texts and removed overlapping contents. Lee Uicheol footnoted the texts and corrected the Hong Gyehee`s work. Korean Confucians were interested in the Zhuzi yulei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세기 국왕의 왕실자료 편찬과 봉모당

        김문식(Kim, Moon-si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이 글은 18세기에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한 숙종, 경종, 영조, 정조가 편찬한 왕실자료와 정조가 규장각에 봉모당을 건설한 후 이들 왕실자료를 보관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새 국왕이 즉위하면 기왕에 간행된 『列聖御製』와 『列聖御筆』에 돌아가신 국왕의 어제와 어필을 덧붙여 간행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영조는 자신의 어제를 모은 어제집을 여러 번 편찬하였고, 자신의 어제를 독립된 책자를 만든 어제책을 수십 종이나 간행하였다. 정조는 봉모당을 건설한 이후 역대 국왕의 어제와 어필을 집중적으로 보관하였다. 정조가 봉모당을 건설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나라 황제가 조선 국왕에게 내린 大寶를 보관하면서 명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정통성을 상징하였다. 둘째, 역대 국왕의 유물을 일괄적으로 보관하면서 선왕들의 행적을 중시하고 계승하였다. 셋째, 정조가 본받아야 할 영조의 법과 정치가 기록된 어제를 집중적으로 보관하였다. 정조가 건설한 봉모당에 보관된 물품의 대부분은 영조의 어제였다. 넷째, 영조가 사도세자와 정조의 정통성을 인정한 물품을 보관하였다.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내린 훈유에서 효성을 이루라고 당부하였고, 정조에게 내린 은인과 유서에서는 효성을 이루었다고 인정하였다. 봉모당에 보관된 사도세자의 물품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지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봉보당은 정조가 이처럼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건설한 규장각의 부속 건물이었다. This paper examined royal documents compiled by King Sukjong, King Gyeongjo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who wielded strong leadership in the 18th century and the process of storing these royal documents after King Jeongjo built the Bongmodang at Kyujanggak, the royal library.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the new king took office, it has become common to publish previously published royal writings with the addition of the late king’s writings. In particular, King Yeongjo compiled his own writings several times, and published dozens of separate books on his writing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Bongmodang, King Jeongjo has kept the writings of all kings.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Bongmodang by King Jeongjo was as follows. First, it symbolized the legitimacy of the Ming Dynasty to Joseon, keeping the seal of state that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bdicated to the king of Joseon. Second, keeping the remains of the former kings in bulk, King Jeongjo valued and succeeded the achievements of his predecessors. Third, King Yeongjo’s laws and politics that should be imitated by King Jeongjo were kept intensively. Most of the items stored in the Bongmodang were the King Yeongjo’s writings. Fourth, King Jeongjo kept items that King Yeongjo recognized the legitimacy of Crown Prince Sado and King Jeongjo. King Yeongjo asked the Crown Prince to perform his filial duty in the lecture to the Crown and acknowledged that King Jeongjo was the filial grandson on the silver stamp and the lecture given to the King. Crown Prince Sado’s items stored in the Bongmodang served as a basis for King Jeongjo’s strengthening of the status of the Crown. Bongmodang was an annex to Kyujanggak built by King Jeongjo with such diverse purposes.

      • KCI등재

        정약용의 『상서(尙書)』 백편 이해

        김문식 ( Moon Sik Kim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고는 정약용이 1834년에 작성한 『상서고훈(尙書古訓)』 「상서서(尙書序)」에 나타나는 『상서』 백편에 대한 이해 방식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약용의 『상서』 연구는 유배기와 해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유배기의 연구는 『매시서평(梅氏書平)』 『고훈수략(古訓蒐略)』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으로 나타나는데, 『상서』 백편의 서문인 「서서(書序)」에 대한 연구는 경문(經文)이 전해지는 58편의 서문과 고훈(古訓)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밝히는 수준이었다. 해배기의 연구는 『상서고훈』 「상서서」로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상서』 백편의 서문 전체와 그 고훈을 모았다. 정약용이 이용한 자료에는 유교 경전과 한대 학자인 정현(鄭玄)의 주석,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청대 학자인 모기령(毛奇齡)과 염약거(閻若據)의 연구와 자신의 저작인 『매씨서평』과 『상서지원록』의 성과가 반영되었다. 정약용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상서』 백편의 순서를 바로잡고, 매색(梅穡)을 비롯한 후대 학자들이 원문을 변개(變改)한 부분을 일일이 찾아서 논증했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를 통해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서서」의 원형을 복원하고, 고훈을 통해 그 의미를 밝히려 하였는데, 특히 옛 기록의 원형을 찾아 복원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의 목적을 옛 것을 제대로 알아 현실에 적용시키는데 두었는데,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유교 경전에 나타나는 경세학의 이념과 모범적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 방식이었다. 필자는 정약용이 「상서서」를 연구한 목적도 이와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Classic of History) 100 Chapters appeared in Shangshuguxun(Classic of History`s Old Commentary). Jeong`s research of Shangshu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one is the time he was exiled to Gangjin area,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Shangshu 58 chapters handed down until today and made a brief mentions of his opinion. The second one is the time after coming back to his hometown,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totally. His data came from Han and Tang Dynasty`s commentaries to Qing dynasty`s commentary and his own book. Jeong, Yakyong corrected the order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made clear the texts of preface one by one which were changed by the younger scholar like Meize. Jeong did his best to restore the original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reface. Jeong, Yakyong`s prospect of studying Shangshu was to know ancient system accurately and to apply the system to the real life. When Jeong studied the confucian classics, he made efforts to discover the idea or the solution which could solve the real problems. I think Jeong`s prospect of studying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was the sam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