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

        김누리 ( Kim Noo Ree ),박현린 ( Park Hyun R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부진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상호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습부진 학생은 기초학력검사에서 국어, 영어 과목 중 1과목이라도 하위 20% 이하에 속한 학생 총 1,72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서는 무동기만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자기결정성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확인된 조절 및 내적 동기와 같은 자율동기와 외적동기 및 부과된 조절의 종단적 상호효과는 부적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of the academic motivations and achievement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Underachievement children was a total of 1,728 students, who were below 20 percentile of the level in the Korean Language and or English test. Our findings revealed that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motivation controlling for baseline achievement were found only for a motivation. Second, there are no effects for motivation from academic achievement. Thir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identified and external/integrate motivation were found negatively.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김누리(Kim Noo Ree),이희현(Lee Hee Hyun),효원(Kim Hyo 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맥락 중 학교의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KELS)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이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방식, 교사특성(교사지원, 교사열의, 성취압력), 수업분위기는 창의성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따라 교사의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은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특성 중 교사지원과 교사열의는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압력은 창의 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지원과 열의는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및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초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수-학습방법, 학급경영, 교실환경 조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lass environment of school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ontext affect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studies were identified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mediating a class atmosphere. As a result,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showed that only a direct impact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Teachers enthusiasm and teacher support g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In particular,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ppeared to affect creativity to mediate the class atmosphe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respect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누리과정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융합관련 요소 분석

        전경원(Kyung Won, Jeon),조현서(Hyeon Seo, Jo),김누리(Noo Ree,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3~5세의 누리과정 내에서 창의융합 교육활동이 전체 교육활동 중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용과 변화 가능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을 면밀하게 분석결과 창의융합 교육활동은 전체 2116개의 활동중 총 231(10.92%)개였고, 생활주제별로 살펴보면 ‘봄‧여름‧가을‧겨울’이 39(17.89%)개로 가장 많았으며, ‘교통기관’이 10(5.56%)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창의융합 활동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활동유형별 창의융합 활동을 살펴보면 3세와 5세는 자유선택활동, 4세는 대소집단 활동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창의융합 활동을 분석한 결과 예술경험과의 창의융합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에 신체‧운동 건강과 의사소통과의 창의융합 활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enter has performed an analytic study of creative convergence related factors reflected in the activity goal of the teacher's manual for 3-5 year's “Nuri Curriculum” as announced for 2011. It was the intent of this study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how much creative convergence related factors can be applied and put into practi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study, all activity objectives listed in book 32 of the Teacher's Manual for 3-5 year old “Nuri Curriculum” was selected for use as sampling.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nvolved creative convergence activities were full of activities, a total of 231 of 2116 (10.92%). And in the “Life Themes” ‘Spring Summer Autumn Winter' was the most activity with 39 (17.89%),’ ‘Transportation’ was the lowest in 10(5.56%) activities. And the more creative convergence activities were found to the elder years. In the activity types, free choice activities for 3 and 5 years the number of Large-small group activities were more. Creative convergence was the most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arts. Exercise health and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Finally, several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for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in Nuri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교와 가정의 사회 심리적 환경 변인이 저성취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현린 ( Hyun Rin Park ),김누리 ( Noo R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가정의 사회 심리적 환경 변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에서 2013년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초등학생 7,28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초학력평가 결과, 국어와 영어, 수학 과목 중 한 과목이라도 하위 10%에 속한 학생들을 ‘기초학력저하군’ 그 외의 학생을 ‘일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학교 사회심리적 변인에는 수업방식, 수업분위기, 교사특성, 교사와의 관계 항목을, 가정 사회심리적 변인에는 부모의 학업지원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변인에서 ‘기초학력저하군’에 비해 ‘일반집단’의 평균값이 높았으며 ‘성취압력’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수준에 따른 영향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기초학력 도달 여부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교사지원’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수업분위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학업지원은 학생들의 기초학력에 부정적인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각 변수를 측정하는 세부 항목들을 고려한 논의 및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School and Home factors influenced on the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Korean, English, students included one and neck, even in the lowest 10% in mathematics “low achievement group" the other was divided into “general group". This Study selected School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teaching methods``, ‘classroom atmosphere``, ‘teacher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Home sociopsychosocial variables chose ‘the academic support of the parent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findings from t-test analysis indicate that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showed the low level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School and Home.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pass or fail in achievement test. The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in the discussion section in detail.

      • KCI등재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분희 ( Bun Hee Park ),김누리 ( Noo R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기초조사, 면접조사, 내용타당도를 통해 기존의 탄력성의 개념과 학업탄력성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아동들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109개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또한 예비조사, 본조사의 문항분석 과정을 통해 최종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의 문항은 33개가 추출되었다. 본 조사는 서울, 경기, 전남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자료분석에는 472부가 이용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20개 문항이 도출되었고, 요인명은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습조절, 계획주도로 확인되었다.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에서는 ``주요 타인에 대한 도움과 지지``가 탄력성의 중요 구성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척도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내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여 요인별 단일 차원성을 확인하였으며, 검증모형에 대한 산출결과 역시 적합도의 지수들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학업탄력성의 영역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done pilot-test, and survey in order to develop and validate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e extracted 109 items that several statistical procedure are carried out. A survey of 448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Gyeonggi, Gwangju area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that 4 factors 20 items were extracted, and the names of extracted factors were the support of parent, the support of peer, the regulation of learning, the support of teacher.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hild`s academic resilience scale, the reliability test and the validity teat were taken. Foe the reliability, item internal consisitency coefficients were computed. For the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cross-validity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that the scale of empirical data supported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and the fit measures of model were all acceptable. In addition generalization of this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ross-validation testing which show that this model was fitted adequately in a cross validation sample.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업 자아개념, 학습동기 간의 관계

        박분희 ( Bun Hee Park ),김누리 ( Noo R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아동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적 변인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의 관계를, 개인의 심리적 변인으로는 학습 상황에서의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개인의 사회적 변인과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어떤 구조적 관계를 이뤄 아동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교육적 함의도 제시해 줄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초등학생 4∼6학년 528명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업 자아개념 그리고 학습동기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요인들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효과분해 즉,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는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학업 자아개념과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업 자아개념 역시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학업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습동기에 부분 매개한 모형이 완전 매개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가정에서의 역할과 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s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528 subjects were surveyed be means of paper based questionnaires, in which were participation`s personal information, the children`s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scale, academic self-concept test, learning motivation test. In order to analysis the cause and effects amo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as well as, there were used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index by Bootstrapping to estimate the specific effects. All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n the cause and effects, the children`s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was predicted by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cause and effects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the model with academic self-concept as mediato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of family`s role and support.

      • 보건행정전공 대학생의 목표지향성, 학업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승(Lee, Hye Seung),김누리(Kim, Noo R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보건행정전공 학생들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를 위해 광주, 전남의 4년제 대학 보건행정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에게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스트레스, 학과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고 목표지향성을 중심으로 변인 간 차이검증 및 관계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행접근은 학업스트레스에 숙달접근은 전공만족도 중 ‘일반만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이 보건행정전공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결과 수행회피는 학업스트레스에,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은 전공만족도에, 숙달접근은 학업성취도에 11%, 24%, 9%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전공 학생들의 목표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들의 긍정적 학습과정 및 결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수행목표보다 숙달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nalyze empiricall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ajor in health adminstration as one of the efforts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college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health adminstration students in four-year college in Gwangju and Junranamdo. This study was measur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stress, major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lso it was confirmed difference and relationship focusing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s a resul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in performance approach in academic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in general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reported that Performance-avoidance influence of the academic stress was 11%,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was 24%, Mastery-approach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was 9%. Therefore, this study was empirically confirmed nursing student"s type of achievement goal and to be expected positive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should be discussed class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유아용 영재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송인섭(Song In sub),김누리(Kim Noo r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판별도구는 영재판별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논쟁을 최대한 고려하여 다단계적이고 다특성적인 접근을 통하여 영재판별을 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판별의 단계는 크게 3단계로 1단계에서는 중요타인을 통한 영재행동특성 평정척도가 실시되어 다양한 영역에서의 아동의 영재성을 알아볼 수 있고 여기서 부여한 정보를 통해 영재성의 가능성이 있는지 점검할 수 있다. 2단계에서는 사고력과정에 대한 수행학습검사로 사고과제에 대한 수행 평가를 통해 영재성을 검증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이 단계는 단순한 표준화된 검사에 의해여 실시되는 정보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고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일련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적능력과 정의적 특성의 비율적 합산 결과에 따른 영재성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로 최종 영재판별에서 많이 활용되는 지능검사와 정의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성격검사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영재판별에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더욱 높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개발된 유아용 판별도구는 D대도시의 영재성을 지닌 유아에게 실시되었으며, 1단계의 결과와 2~3단계의 결과 간에 일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검사를 실시한 유아의 세분화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영재로 확인된 유아의 경우 자신의 능력에 맞는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도움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fant gifted children distinguishable test and to validation it. The step of distinguishable test is three. One step is that significant others are to observe by through rating scale. Two step is that process of thinking gifted children was estimated by accomplishment test. That is what we wanted to get the most of giftedness. Lastly, three step is intelligence test and personality test. These test are to estimat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s of the gifted children. Accordingly we are obtained giftedness quotient by these test.<BR>  In order to validation this distinguishable test, in the D city"s 43 infant gifted children were utilized as exploratory sample. As a result, 43 infant gifted children were distinguish by this test. Judging from this, Validity of distinguishable test was supported. Futur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nfant gifted children distinguishable test and its valid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개념도를 통한 중등교사의 창의적 역량 탐색

        박분희(Park Bun Hee),김누리(Kim Noo R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개념도를 통해 확인하고 도출된 요인들에 대해 중요하게 지각되는 정도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13명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초점면접을 실시하여 중등교사의 창의적역량에 대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였고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척도와 위계적 군 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교사 학문적 전문성을 포함한 55개의 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과 관련된 진술문이 도출되었고, 이중 32개가 최종선정되었다. 둘째,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구조는 “학문적 전문능력 차원”, “창의적 교수학습 차원”, “관계 및 태도 차원”, “창의적 교사의 신념 차 원”으로 구분됨을 확인되었다. 셋째, 중등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으로 ‘지식에서의 개방성’, ‘태도에서의 개방성’, ‘변화 및 성장 지향성’, ‘ 교사효능감’, ‘교과 전문성’, ‘교수방법의다양성’, ‘지원 및 수용성’의 7개가 도출되었다. 이와 더불어 중등교사들에게 창의적 역량에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second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competencies using a concept- mapping. We conducted to focus interviews on the 13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goal and calculated the statements obtained in interviews, comprehensive, and classification and then applie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of creative competencies items 55 items were derived, 3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eco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creative competence of the teacher category to recognize the “academic expertise level”,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dimension,” “relationships and attitudes dimension”, “creative teachers of faith dimension”. Third, the creative competencies of the secondary teachers ‘openness in knowledge’, ‘openness in attitudes’, ‘change and growth orientation’, ‘teacher efficacy’, ‘school subject expertise,’ ‘the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supporting and acception’ was derived. Finally, we examined the importance and executed the creativ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