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엄마의 쇼핑: 아이를 위한 구매시 느끼는 감정에 대한 연구

        김나민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2

        This study deals with mothers, special case of ‘others’ in choices made for others research. Mothers are different from ordinary others because they are making choices for their children whom they feel extremely close and responsible. Also, they go through radical transition from established consumers who have been consumers for a long time to new consumers who have to purchase new products with new standards and a new process. To understand these important consumer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emotions felt during purchase. More specifically, guilt and sense of control were introduced and investigated how these two emotions influence PAD(Pleasure-Arousal-Dominance). The age of children was also taken into account. Respondent pool of one of the biggest internet research companies was used and total 400 responses were gather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others feel less guilt when they purchase for their children compared to when they purchase for themselves. Also, the less they feel guilt, the more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they feel during purchase. However, sense of control was not different in case of purchase for children and purchase for themselves. Age of children does not have any effect on the sense of control mothers feel. Th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much implications for both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본 연구는 타인을 위한 구매 행동의 일종이면서 일반적인 타인과는 차별적인 엄마의 아이를 위한 구매를 다루고 있다. 또한 엄마가 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소비자로서 많은 시간을 보내왔으나 아이의 탄생과 함께 삶의 전환과 소비자로서의 전환을 맞게 되는 소비자 집단이기 때문에 다른 소비자 집단과는 매우 다른 형태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시 느끼는 두 가지 감정인 죄책감과 통제감을 중심으로 이 두 감정이 PAD(즐거움-환기-지배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아이의 연령이 통제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았다. 국내 인터넷 조사 회사에 등록되어 있는 응답자 풀(pool) 중아 자녀가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40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엄마 본인을 위한 구매를 할 때 보다 아이를 위해 구매할 때 엄마들은 죄책감을 적게 느끼며, 죄책감을 적게 느낄수록 즐거움, 환기, 지배력 등을 더욱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엄마 본인을 위한 구매와 아이를 위한 구매에서 느끼는 통제감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통제감을 많이 느낄수록 즐거움, 환기, 지배력을 높게 경험한다. 또한 아이의 연령은 구매시 느끼는 통제감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소비자 집단이 엄마들을 이해하는데 실무적으로 학문적으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업의 비윤리적 행동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 행동유형, 제품유형,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김나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3

        Consumers think and say that they would not buy the products from unethical firms, but they tend to easily purchase ones in reality. The present study tries to understand why consumers keep purchasing products from unethical firm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unethical behaviors, the type of product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experiment and internet survey was executed.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unethical behaviors relevant to products influence consumers more negatively than behaviors irrelevant to products. Also, moral intensity of unethical behaviors was an important influencer. In case of product characteristics, the main benefit of the product(“soft” vs. “hard”) has an impact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Consumers have lower attitude toward the firm which has the product whose core benefit is soft. Online survey revealed that consumers who try not to purchase products from unethical firms are more altruistic, have more perceived effectiveness, are opinion leaders, and are younger than consumers who do not try not to purchase. 기업의 비윤리적인 행동에 대해 소비자들은 분노하고 해당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지 않겠다고 하나, 현실을 보면 기업의 행동과 상관없이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비윤리적인 행동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계속해서 해당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비윤리적 행동이 제품과의 관련성, 해당 행동의 도덕적 강도와 같은 비윤리적 행동의 유형과 해당 기업의 제품이 제공하는 주된 속성과 같은 제품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어떤 특징을 가진 소비자들이 기업의 비윤리적인 행동에도 구매/비구매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개의 독립적인 연구가 실시되었다. 실험 연구를 통하여 제품과 관련된 비윤리적 행동에 대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 의도가 더 많이 하락하며 도덕적 강도가 높은 행동에 대하여 기업에대한 태도가 낮아진다. 또한 부드러운 속성을 주 속성으로 가진 제품을 소유한 기업의 비윤리적인 행동에 대해 더 낮은 태도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의 하락은 주로 기업에 대한 태도이지 제품에 대한 태도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기업의 비윤리적행동 이후에 해당 제품을 구매한 응답자들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이타주의적 성향, 자기효능감, 의견 선도성이 낮았으며, 연령도 높은 편이었다.

      • KCI등재

        서비스 실패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복구전략의 개발

        김나민,이문규,김해룡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7 마케팅관리연구 Vol.12 No.3

        Existing literature has dealt with two different concepts of service recovery strategies, i.e., recovery outcome and recovery process on the same dimension. However, these are two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separate constructs in the sense that the one is related with what to provide for consumers and the other, how to deliver it.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examine th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concepts of service recovery strategies. Recovery outcome includes redress, compensation, and apology, while recovery process consists of recovery provider and speed. Failure type was used 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f recovery outcome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recovery outcome and process on customers’ satisfaction.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or service marketers are discussed. 서비스 실패와 복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복구결과물과 복구과정의 두 가지 다른 차원의 복구전략을 동일한 차원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해보고자 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우선 서비스 실패시 소비자들은 특정 공정성(justice) 의식의 손상을 경험한다는 가정 하에 서비스 실패 상황을 절차적 실패(procedural failure), 분배적 실패(distributive failure), 상호작용 실패(interactional failure)등 세 가지 실패로 나누어, 재수행, 물질적 보상, 사과 등의 복구결과물이 각 실패 상황별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본다. 또한, 복구결과물을 전달하는 방법인 복구속도와 복구주체 등의 복구과정이 각 실패 상황에서 세 가지 복구결과물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 KCI등재

        기부보상물 vs. 자선단체제품 : 자선단체가 제공하는 제품의 특성과 기부수혜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김나민,이희정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1

        Charitable organizations employ diverse strategies to attract individual donors. One of the strategies they use is combination of products with donation. The combination can be either giving gifts to donation(donation with a gift) or donation through the purchase of a product(charitable purchases). These two types are similar in the sense that consumers can donate and have a product at the same time but consumers have very different perceptions since they have very different reference points. Donation with a gift is basically donation and consumers regard it as “other instances of donation” while charitable purchases are an economic act combined with donation and consumers regard them as “other instances of product purchases.” will bring different effect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product characteristics donors/ consumers will possess as a result of donation or purchases.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hedonic/utilitarian and public/private product characteristics are expected to influence donation and purchases intention differently. Also, beneficiaries of the donation(whether they are in-group or out-group) are expected to influence the donation/purchase inten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product type did not influence donors’ intention to donate in case of donation with a gift. However, consumers had higher purchase intention for hedonic and public products when they make charitable purchases. Als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beneficiary and product types have been found for charitable purchases. In-group beneficiaries increased purchase intention more than out-group beneficiaries when consumers make a charitable purchase of hedonic products and out-group beneficiaries increased purchase intention more than in-group beneficiaries when consumers make a purchase of public products. 자선단체들은 개인 기부자의 기부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기부에 대한 보상으로 선물을 증정하거나 자선단체에서 제작한 제품을 판매하여 판매 수익금을 기부하는 방법이다. 이 두 방법은 기부자의 입장에서 기부도 하고 제품도 소유하게 되기 때문에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맥락이 매우 다르다. 기부보상물은 기부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제품을 선물받는 것이고 자선단체제품 구매는 구매행위에 자선행위가 덧붙여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두 기부 형태 각각에 적합한 제품 특징과 기부 상황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쾌락적/실용적 특징과 공적/사적 특징이 기부(구매)의도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기부수혜 자가 외집단인지 내집단인지에 따라서는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기부보상물의 경우 제품 유형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선단체제품의 경우 쾌락적, 공적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실용적, 사적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자선단체제품의 경우 기부수혜자 유형과 제품유형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부수혜자가 내집단인 경우 외집단인 경우보다 쾌락적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았고 수혜자가 외집단인 경우 사적제품보다는 공적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 시사점 뿐만 아니라 제품 제공을 통해 기부를 유도하고자 하는 자선단체에게도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연예인 굿즈는 소유자의 행복을 증진시키는가?

        김나민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3

        Celebrity memorabilia market reached up to 100,000,000,000 Korean dollars in 2018 and keeps growing fast. However, few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on them. Most of the existing literature deals with either celebrity endorsement or the meaning transfer (from celebrity to brands).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tried to focus on celebrity memorabilia and investigated how consumers feel toward the memorabilia and how consumers’ feeling gets different by the product type and consumer motives to build relationship with the celebrity. For this purpose, one experiment using a questionnaire and one longitudinal survey have been executed. Result of the studies show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consumer felt happiness when they purchase and possess celebrity memorabilia. Second, their happiness was different by the product type. Consumers who have memorabilia with high level of hedonic quality felt happier than consumers who have memorabilia with high level of utilitarian quality. Finally, hedonic adapta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consumers’ motive to build relationship with the celebrity. Consumers who have aspiration motive (motive to resemble the celebrity) experienced less hedonic adaptation than consumer with playful motive (motive to be entertaine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from an academic as well as from a practical standpoint. 연예인 굿즈 시장은 2018년 기준 약 1000억원 규모를 가지고 있는 매우 큰 시장이며 그 성장세 또한 매우 빠르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연예인 굿즈 자체를 다루고 있는 연구는 거의 없으며, 비슷한 주제의 연구들은 대부분 연예인이 제품 광고에 출연하는 상황(celebrity endorsement)을 다루거나 연예인이 가지고 있는 의미나 이미지가 제품 혹은 브랜드에 전이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연예인 굿즈에 집중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예인 굿즈를 소비하는 소비자가 해당 제품으로부터 어떠한 감정을 느끼는지, 그리고 이들이 느끼는 감정이 굿즈 제품의 종류나 소비자가 연예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 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험과 종단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예인 굿즈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일반 제품 소비보다 더 많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행복감은 연예인 굿즈가 쾌락적 성질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대상에 대해 가지는 쾌락적 반응(본 연구에서는 행복감)이 줄어드는 쾌락 적응의 경우 연예인과 관계맺고자 하는 동기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연예인과 비슷해지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쾌락적응을 덜 경험하고, 따라서 더 오랫동안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 실무적으로 다양한 시사점을 가진다. 학문적으로는 연예인 관련 연구, 행복 관련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깊이를 더하면서 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고, 실무적으로는 연예인 기획사, 팬클럽 등 연예인 관련 산업에 구체적인 전략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그린제품 광고시 소구유형과 소비자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나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5 마케팅논집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그린제품 광고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소구유형을 찾기 위해 소구유형을 이타적/이 기적 소구와 향상초점/예방초점의 메시지 조절초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 때 소비자의 환경관 여도와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각 소구유형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메시지 조절초점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소구유형과 소비자 개인 변수와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이타적 소구보다는 이기적 소구가 브랜드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자기효능감이 낮은 소 비자나 환경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에게서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에는 이 기적 소구보다는 오히려 이타적 소구가 더 효과적이었고, 환경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에도 이타적 소구와 이기적 소구 간 효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제품 광고를 계획하고 있는 마케터들이 광고 제작시 표적고객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the effects of ad appeals differ accor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green product ads. Altruistic vs. egoistic appeals and promotion vs. prevention focused messages were used. Consumers’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has been sought as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 using print ads has been executed and the result revealed that two different message foci are not different in their effects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focu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does not exist. However, ad appeal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n An egoistic appeal is more effective than an altruistic appeal in general, but consumers who have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or perceived effectiveness have high brand attitude for an ad using an altruistic appeal.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수혜자 특성과 제시 형태가 기부자의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민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3

        내가 속한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유대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내집단 편향은 기부 행동에서도 나타나 내집단 수혜자와 외집단 수혜자 각각에 대해 기부자들은 태도와 인식을 다르게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혜자가 누구이냐는 기부행동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기부 수혜자가 각각 기부자의 내집단일 때와 외집단일 때 어떠한 방식으로 수혜자를 제시하는 것이 기부의도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기부 수혜자를 식별가능하게 제시 vs. 통계적으로 제시와 도움이 필요한 상태 제시 vs. 도움을 받은 상태 제시의 두 가지 제시 방법이 수혜자가 내집단일 때와 외집단일 때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321명의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집단 수혜자가 기부 대상자인 상황에서 기부자들은 식별이 가능한 수혜자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를 보여줄 때 기부의도가 가장 높았으며 외집단 수혜자가 기부 대상인 경우에는 도움을 받아 행복한상태의 소혜자를 여러 명 보여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캠페인을 집행하고자 하는 자선단체에게 매우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Motivational orientation for word-of-mouth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 messages

        김나민,Francis Ulgado 한국마케팅과학회 2014 마케팅과학연구 Vol.24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consumers’ motivation to spread messages via word-ofmouth(WOM) influences the content of the WOM messages. We classify consumers’motivation into two categories: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 Then we analyzehow each motivation affects the valence of the message (e.g., positive vs. negative)and the attributes that the consumers mention (e.g., hedonic vs. utilitarian). Using ascenario-based experiment, we found that the content of the messages was stronglyrelated to the motivation of the consumers. Consumers who are hedonically motivatedtend to mention hedonic attributes more, and consumers who are utilitarian-motivated arelikely to mention utilitarian attributes more. The valence of the message, however, is notaffected by consumers’ motivation.

      • KCI등재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남녀 주연배우가 관객의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민,정근미,이문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1 마케팅관리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서 두 주연 남녀 배우가 관객의 영화 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인지도, 연기력 등 배우의 개인적 특성 뿐 아니라 두 배우간 적합성(fit)까지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두 배우 이미지의 상호보완성, 여자 배우의 연기력, 남자 배우의 인지도, 두 배우 이미지의 유사성 등의 순으로 영화 과람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영화 출연 배우의 효과를 연구할 때 개인의 특성만이 아니라 출연 배우 간의 상호 작용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관객의 성별에 따라서도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남자 관객은 여자 배우 관련 요인들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반면 여성 관객들은 두 배우 간 상호보완성과 남자 배우 인지도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화배우 캐스팅 시 목표 고객을 염두에 두고 캐스팅을 전략적으로 수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tries to reveal the effects of the actor and the actress in romantic comedies. Romantic comedies are the type of movies where the storyline centers around an actor and an actress, and thus,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movie depend on how well the two movie stars fit or match.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movie stars' personal characteristics (i. e., acting skills and popular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ovie stars (i. e., similarity and complementarity) on the viewers' inten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viewer intention are: (a) the complementarity between the two stars, (b) the actresses' acting skills, (c) the actors' popularity, and (d)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stars.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viewers' gender.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