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안테나 그룹화와 빔 형성 사이의 모드 선택 기법

        김경철(Kyungchul Kim),이정우(Jungwoo Lee)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2A

        안테나 그룹화(antenna grouping)는 빔 형성(beamforming)과 공간 다중화 기법(spatial multiplexing)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안테나 그룹화는Nt 개의 송신 안테나를 Nr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 내에서는 빔 형성으로 하나의 데이터 정보를, 각 그룹 사이에서는 공간 다중화 기법으로, 전체 Nr 개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가정한다. 안테나 그룹화를 통하면 빔 형성을 통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공간 다중화 기법에 따른 다중화 이득을 통하여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통신 채널이 조건 나쁜(ill-conditioned) 행렬로 모델링 되거나, 안테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 그룹화의 BER 성능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전체 시스템에서 하나의 데이터 정보만 전송하는 빔 형성의 성능이 가장 좋다. 이 논문에서는 채널이 안테나 그룹화에 적합하면 안테나 그룹화 모드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빔 형성에 적합하면 빔 형성 모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간단한 모드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이 모드 선택 기법을 사용하면 매 시간동안 일정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채널 상태에 따른 BER 성능의 열화를 막고, 최적의 BER 성능을 얻을 수 있다. Antenna grouping algorithm is hybrid of beamforming and spatial multiplexing. In antenna grouping system, we partition Nt transmit antennas into Nr groups and use beamforming in a group, spatial multiplexing between groups. We can transmit Nr data streams in the Nt×Nr antenna grouping system. With antenna grouping, we can achieve diversity gain through beamforming, and high spectral efficiency through spatial multiplexing. But if channel is ill-conditioned or there are some correlations between antennas, the performance of antenna grouping is seriously degraded and in that case, beamforming is the best transmit strategy. By selecting the antenna grouping mode when channel is well-conditioned and by selecting the beamforming mode when channel is ill-conditioned, we can prevent serious fluctuation of BER performance caused by varying channel condition and achieve the best BER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mode selection algorithm which can select antenna grouping mode or beamforming mode. we also propose a simple mode selection criterion.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신체운동 관련 활동 분석

        김경철(Kim Kyungchul),최우수(Choi Woosoo),이성주(Lee Seo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신체운동 관련 활동을 분석하여 연령에 따른 누리과정의 교육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누리과정 개정 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7월 1주부터 약 3주 동안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에 수록된 전체 2,116개 활동 중 총 326개(15.41%)의 신체운동 관련 활동을 추출하고, 연령별, 생활주제별, 내용범주별, 타 영역간의 관련요소별, 활동 형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운동 관련 활동의 비중이 감소하였다. 또한 생활주제별, 내용범주별, 타 영역간의 관련요소별, 활동 형태별 신체운동 관련 활동을 분석한 결과 모두 어느 한 가지 특정 범주에 치우쳐 제시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추후 누리과정 개정 시 유아의 전인발달을 위해 신체운동 관련 활동 비중을 높이고 활동 요소들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보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exercise activity related to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in the Teachers’ guidebook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s ol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uri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ge,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extracted 326(15.41%) out of 2,116 activities in the 32 volumes teachers’ guidebook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s old. And analyzed by age, life theme, content category, related factors among other areas, and activity type during 3 weeks from 1 July 2017.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portion of physical exercise related activities decreased with age increased. And physical exercise related activities by age, life theme, content category, related factors among other areas, and activity type was biased in a specific categor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will improve the proportion of physical activity related activities for the whol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and improve all activity elements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they are evenly distributed.

      • KCI등재후보

        유아용 언어 수준 평가 준거 추출을 위한 기초 연구

        김경철(Kim Kyungchul),채미영(Che Miyoung),홍정선(Hong Jeung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추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언어 수준 평가 추출을 위해 우선, 언어발달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언어 수준을 나타낼 수 있는 범주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가 꾸민 이야기 227편을 수집하여 위의 범주(어휘 수준과 문장 수준)에 따라 분석하여, 구체적인 준거를 추출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언어 수준 평가 준거는 어휘 수준과 문장 수준이며, 각각 3 수준으로 설정되었다. This Study is base study to draw out criteria of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level assessment. To draw ou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level assessment criteria, First, decided criteria that appeared language development level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second, children's storytelling was analyzed with above criteria(a part of speech' level and sentence' level). After, drawn out concrete criteria. The result decided with each third level of a part of speech' level and sentence' level.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 교사 이야기

        김경철(Kim Kyungchul),이민영(Lee M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에 근무 중인 교사의 유치원 교원능력 개발평가 참여경험에 따른 인식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교사들이 제안하는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현장안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도에 위치한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 담임교사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2018년 7월부터 관련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자료수집은 9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간 총 23회의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시간은 1회당 약 40-50분이 소요되었으며, 빈 교실이나 원무실 등 조용한 공간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면담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코딩-범주화-주제 도출’의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는 ‘평가참여자들의 동상이몽(同床異夢)’, ‘강요된 한단지보(邯鄲之步)’, ‘자강불식(自强不息)하는 소규모학급 교사들’의 모습으로 분석되었으며, 제도의 안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cause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while working in small clas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he stable measures on field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by looking at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by teachers. To achieve this goal, seven small class teac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G-do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related literature study from July, 2018,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23 individual interviews for about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The interview time was about 40-50 minutes per session, and it was conducted in a quiet space such as an empty classroom or a staffroom. And then after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 categorization – drawing a themes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was analyzed in forms of ‘Although they work together, they each have different thought(同床異夢) by participant’, ‘fored Handan’s step(邯鄲之步)-If a bird follows the stork, the crotch tears.’, ‘ceaseless endeavors(自强不息) of teachers in small clas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stabilize the system.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indergarten.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만 5세 유아교육과정 비교 연구: 메릴랜드 주를 중심으로

        김경철 ( Kim Kyungchul ),성영실 ( Sung Youngsi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메릴랜드 주의 만 5세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 개정과 발전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메릴랜드 주 몽고메리 카운티의 커리큘럼 2.0 교육과정중 초등통합교육과정(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ramework)이다. 분석준거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방향, 교육목적 및 목표, 영역별 내용범주와 세부내용, 교육과정 특징, 4가지로 설정한 후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된 내용을 사실적으로 번역, 기술하고 비교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누리과정 구성방향은 유아의 발달특성에 따른 능력과 태도를 중심으로, 커리큘럼 2.0은 비판적·창의적 사고와 학업성취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누리과정의 교육목적은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와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 커리큘럼 2.0은 미래 사회의 학업과 유능한 직업인으로서의 준비를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범주 및 세부내용은 유아의 능력이나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커리큘럼 2.0은 영역별로 독립된 구성과 다양한 내용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넷째, 양 교육과정 비교분석에서 나타난 교육과정의 특징은 유초 연계성, 교육과정 기술방법, 통합적 운영과 평가의 강조, 사회변화의 특성과 요구 반영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누리과정 개정과 발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Nuri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kindergarten curriculum in Maryland, USA.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ar direction of components, educational goals, and categories of contents and specific contents for 5 years old. For the goal of this research, Nuri curriculum, Curriculum 2.0, and related studies were reviewed for in-dep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direction for components of Nuri curriculum is described to be focused on young children``s abilities and aptitude a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hile Curriculum 2.0 is composed to be focused on obtaining skills for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academic success included the contents of Common Core State Standards. Second, the educational goal of Nuri curriculum encourages children to have proper growth and developmen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forming the basis for citizens. The goal of Curriculum 2.0 is built around developing children``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s well as essential academic success skills, which will lead to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in the 21st century. Third, the contents of Nuri curriculum consist of the abilities and experiences to achieve in daily life, while the contents of Curriculum 2.0 include more concrete and various contents and specific examples.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r are the articulation of curriculums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description method for curriculum, the emphasis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assessment for each areas, and the reflection for features and needs of social change.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김경철(Kim Kyungchul),김인애(Kim Inae),이인선(Lee I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생각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의미를 개선하며 지평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2월 1주부터 2월 4주까지 약 한 달에 거쳐 D시와 S시,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134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가 생각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공기와 산소처럼 필수적인 교육, 지구의 수호천사와 지구 대재앙의 유일한 예방책 등의 메타포를 반영한 인류의 변화를 위한 교육, 거울, 내리사랑 등의 메타포가 반영된 다음 세대를 위한 교육, 환경을 위한 교육, 환경, 경제, 사회가 균형을 맞춰 상호 보완하는 통합적인 교육, 개념이 어렵고 방향성이 모호한 불분명한 교육의 총 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onsidered by parents of preschool-age children, and to help them improve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it.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2 parents of preschool-age children living in D, S, and C cities. As a result, parents responses were combined into 6 categories as follows: (1) essential education such as air and oxygen, (2) education for change as parents used the Earth’s Guardian Angel and the only way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 Earth’s catastrophe as a metaphor, (3)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as they used mirrors and the elders’ love for the young as a metaphor, (4) environment-based education, (5) integrative education that balances the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6) difficult concept and unclear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2020년 원격수업의 교육적 의미

        김경철 ( Kim Kyungchul ),장예솔 ( Jang Yeso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2020년 유치원 원격교육을 실시한 교사들의 경험을 알아보고 그 의미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유아원격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원격교육을 실시한 D지역 공립유치원 교원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20년 원격교육은 대면교육의 역할을 다하기보다 교육의 공백을 채우기로서 기능하였다. 둘째, 원격교육경험을 통해서 교사들은 가정, 협력적 공동체, 주관부처의 지원이 교육에 필요한 요소임을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원격교육이 공백 채우기에서 참교육으로 가기 위해 대면 교육 확대, 교사 : 유아 비율감축 그리고 유아교육의 본류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원격수업을 통해 유치원 현장에서 필요한 요구와 유아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시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conducted distance classes in 2020 in order to derive their meanings and problems as well as explore the direction of kindergarten’s distance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four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in the D region who conducted distance education in 2020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 distance education served as a fill-in for education rather than fulfilling the role of face-to-face education in 2020. Second, through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s, teachers recognized that support from families, cooperative communities, and supervising ministries was necessary. Third, teachers organized the meaning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face-to-face education, reduce the percentage of teacher versus infants in class, and locate the mainstrea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ulfill the essential meaning of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needs at the kindergarten level as well as indicated a potential direction for the kindergarten’s distance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의 의미

        김경철(Kyungchul Kim),김은혜(Eunhye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수능력 향상을 돕고자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실시한 모의수업이 예비교사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H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67명으로 연구는 2016년 2월부터 6월까지 유아교육과 교과목으로 개설된 ‘교과 논리 및 논술’ 시간에 이루어졌다. 모의수업은 학습 소그룹 구성, 수업 계획, 소그룹 수업시연 연습, 모의수업, 수업 평가 및 분석, 수정 및 재수업, 포트폴리오 작성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모든 과정에 지도 교수 및 동료 예비유아교사간에 협의와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수업계획안과 평가 저널, 포트폴리오가 자료로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들의 반복적 읽기를 통해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나 주제, 용어 등을 찾아내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수업 계획부터 평가까지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준비하였으며, 피드백과 자기 반성을 통해 발전된 모습으로 다시 모의수업을 시연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을 통해 자신들이 발전하고 있음을 느끼며 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방안으로 모의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based on logical thinking to improve teach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ird grade at H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June, 2016 in Logic and essay writing which was opened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procedure of the stimulated instruction consisted of learning small group composition, lesson planning, small group demonstration practice, stimulated instruction, evaluation and analysis of class, revision and re-teaching, and portfolio making process. In all the courses, consultation and feedback were made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pe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sson plans, evaluation journals, and portfolio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meaning, theme, and terms implied in the data through repetitive reading of collected data by induc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antly worked and prepared everything from planning to evalua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positive about demonstrating the simulation instruction again with feedback and self-reflec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eel that they are developing through a systematic simulation instruction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instruction as a way to become a good teacher.

      • KCI등재

        혁신유치원의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 형성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경철 ( Kim Kyungchul ),오아름 ( Oh Ahreu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혁신유치원의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 형성 과정에 대한 교사의 경험을 통해 유치원의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 형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혁신유치원 업무담당 부장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 1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연구의 목적에 대해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그 결과 혁신유치원 업무담당 부장교사가 경험한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 형성 과정은 ‘첫째, 일단 모이고 싶게 만들자!, 둘째, 단 한 명도 소외되지 않게!, 셋째, 친밀감을 넘어서 각자 업무에 대한 이해와 배려로, 넷째, 선생님들의 의견에 맡기겠습니다’의 네 개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유치원의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 형성 과정은 구성원 모두가 소외되지 않으며 친밀감을 바탕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문화 조성을 통해 각자가 자신의 업무와 역할에 책무성을 가지고 유치원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in kindergartens. For data,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of in innovative kindergartens was observed. To this end, a researcher working as a head teacher in charge of the innovative kindergartens was selected as a participant, and the study was explored through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As a result, the process of forming a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experienced by the head teacher in charge of innovative kindergartens was found to be four. ‘First, let's make them want to get together! Second, not a single person is alienated! Third, with an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each person’s work in furtherance of personal affinity. Fourth, I'll leave it up to the teachers' opinions.’ Therefore, the process of forming a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in innovative kindergartens consists of none of the members being alienated, and through creating a culture that can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based on affinity, each person has an attitude of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work and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