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정여원(Jeong Yeowon),금창민(Keum Cha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 변인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동향은 1993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52편 중 효과크기의 분석이 가능한 42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동향은 연도별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 변인의 게재현황은 2000년 이전 2편이었으며 2000년에서 2009년 사이에 19편이던 것이 2010년에서 2019년에는 31편으로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였다. 메타분석은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한 결과 전체 상관관계 효과크기는 .0549(p<.001)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였다. 결론 범주별로 긍정 원가족 역동 .15(p<.001), 부정 원가족 역동 -.11(p<.001), 긍정 정서 .22(p<.001), 부정 인지형성 .14(p<.01), 긍정 대인관계 .1(p<.001) 변인이 이성커플 갈등해결 변인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모두 작은 효과크기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related to the conflict of opposite romantic couples in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the conflict-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For research trends, a total of 52 domestic master 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dissertations conducted from 1993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publication status by year and source, research content trends, and research method trends. Among them, 42 pieces that can analyze the effect size were selected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irst of all, the number of papers on conflict in the opposite romantic couple of college students by year was published in 2 papers before 2000, and then has steadily increased from 19 between 2000 and 2009 to 31 between 2010 and 2019. Seco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nflict in the opposite romantic couple were found to be personal psychological, cognition, emotion, original famil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ception.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wireless effect model to find out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in the opposite romantic couple between college students, the overall correlation effect size was .0549 (p<.001), showing a small effect size,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y category, positive original family .15 (p<.001), negative original family -.11 (p<.001), positive sentiment emotion .22 (p<.001), negative perception .14 (p<.01),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perception .1 (p<.001) variable wa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pposite romantic conflict variable, but all showed only a small effect size.

      • KCI등재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자기 삶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chanisms linking income and happiness, focusing on how Korean individuals' self-evaluation of their lives and stress levels influence this relationship among various other variables. Methods To this end, we used the 2022 data from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Institute's ‘Korean Happiness Survey’ to determine how stress regulates the impact of income level and life evaluation on happiness, and 12,998 people were surveyed, excluding those without personal incom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responses.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and all direct effects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income level and overall happiness, we confirmed through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est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life evaluation is moderated by stress. As a resul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stress level. Conclusion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목적 본 연구는 돈과 행복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에서 한국인의 자기 삶에 대한 평가와 스트레스 변인을 중심으로 소득과 행복 간의 관계 사이의 메커니즘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국회 미래연구원의 ‘한국인의 행복 조사’ 데이터 중 2022년 자료를 활용하여 소득수준과 삶에 대한 평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스트레스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인소득이 없는 대상을 제외한 12,998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잠재 변인 간 직접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전반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삶에 대한 평가의 간접효과가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조건부 간접효과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관계 없이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동일(Dongil Kim),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박알뜨리(Altteuri Park),오지원(Jiwon O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chool violence exposure types includ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dual experience.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2012)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1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6 who reported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exposed to school violence at 3 time points (2012, 2014, and 2016), it was found for all types of violence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the previous time point showed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me variable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previous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t the next time p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victimization group, but not for the bullying or dual experience groups. Third, considering the opposite path from resilience to social support, resilienc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t the next time point for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groups. This result is new an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tudies so far using a longitudi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ullying and victimized students who are relatively more resilient are less likely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resilient. Finally, we discus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은실 ( Eunsil Lee ),정주연 ( Juyeon Jeong ),금창민 ( Changmin Keu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국 지자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189부의 응답자료 중 184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0을 활용했으며, bootstrap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마음챙김,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마음챙김에 부적 영향을, 그리고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마음챙김을 매개하여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스레스로 인해 소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데에 마음챙김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공무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elfare officials working i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data from 184 copies out of 18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PROCESS Macro Model 4.0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hecked using bootstrap.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mindfulness, and burnout. The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indfulness an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Also,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by mediating mindfulness was verified. Finally, it was mentioned that burnout can occur due to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that mindfulness can help reduce these negative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supporting a mindfulnes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discussed.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 다양성 지표 개발 연구

        김동일(Dongil Kim),안예지(Yeji An),금창민(Changmin Keum),임희진(Heejin Im),곽다은(Daeun Kwa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Diversity is an important value in the knowledge-based and globalized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diversity indicator to contribute to the acceptance and enhancement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a diversity framework and its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garding university and diversity related indicators. The indicator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and thre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indicator, which consists of 14 evaluation areas and 34 specific indicators, was finalized. Indicators are both descriptive and normative in a way that they objectify and quantify the social phenomenon, and also show changes in them. This diversity indicator will offer an abundancy of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be needed to maintain education quality and help set university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a time of change.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 글로벌 사회에서 교육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장애, 성, 문화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성 지표를 개발하여 기관의 다양성 수용 및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표의 틀과 문항을 구성하였고,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설문조사와 3차례에 걸친 집단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총 14개의 평가영역과 34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된 다양성 지표가 확정되었다. 지표는 현상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기술적 성격과 변화를 나타내는 규범적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양성 지표가 대학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학의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의 흐림 속에 대학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학생의 친구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의존도와 삶의 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

        김정숙(Kim Jung-suk),이주선(Lee Ju-seon),금창민(Keum Cha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 1학년 친구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종단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스마트폰 의존도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2,590명의 자료에서 자기소유의 스마트폰이 없거나 무응답을 한 자료 222부를 제외하고 총 2,36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의 친구관계는 스마트폰 의존도, 삶의 만족도, 2차년도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1차년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삶의 만족도는 2차년도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친구관계가 2차년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에 이중 매개하여 더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학생의 우울에는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삶의 만족도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중학생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형성하도록 하고,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depression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path. Methods For this study, data for two years from 2018 to 2019, data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 total of 2,368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222 copies of data that did not have their own smartphone or did not respond from the data of 2,590 people.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hrough AMOS 21,0. Results First, the peer relation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second year. Second, peer relationship, smartphone 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n effect on depression in the second year.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appeared in the order of peer relationship, life satisfaction, and smartphone dependence. Third, in the effect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 on depression in the second year, it was found that it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by double mediating. Conclusions Peer relationship, smartphone 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all affect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lower the depress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form positive friendships and to find appropriate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reducing dependence on smartphones.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소진과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지윤(Ji-yoon Park), 최민지(Min-ji Choi), 김명찬(Myung-chan Kim), 금창민(Changmin K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심상담자들의 소진과 회복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방법 본 연구는 참여자 개개인의 상황적 독특성과 시간적 맥락, 개별적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맥락 속에 있는 초심상담자들의 소진과 회복 경험을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적 표현 그대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심상담자들 중에 소진과 회복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261개의 의미 단위를 분석하여 15개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했고. 초심상담자들의 소진과 회복경험을 살펴본 결과 ‘소진을 알아차리게 되는 순간’, ‘소진으로 인해 달라진 나를 발견’, ‘무기력으로 인해 상담과 일상을 회피하게 됨’, ‘소진을 회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 ‘소진으로부터 회복한 나를 경험함’, ‘소진과 회복경험을 통해 발견한 의미’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결론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소진을 처음부터 알아차리기 어려워했다. 소진을 알아차린 참여자들은 상담과 일상에서 무기력하고 회피하는 대처를 취하지만, 적극적인 자기 돌봄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력, 지지적인 관계를 통해 회복을 경험했다. 자신의 소진과 회복 경험을 통해 더 이상 소진을 두려워하지 않고 성장의 기회로 인식했으며, 상담자로서 보다 성숙해진 자신을 만난다. 또한 예전보다 소진을 적극적으로 알아차리고자 노력 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 of novice counselors and its meaning. Methods This study us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can examine the situational uniqueness, temporal context, and individual structure of each participant. Through this, we tried to reflect the exhaustion and recovery experience of novice counselors in the social context as it is in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argeting those who experienced burnout and recovery among beginner counselors. Results As a result, 261 semantic units were analyzed to derive 15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A look at the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of novice counselors: ‘the moment I noticed burnout’, ‘discovering myself changed due to burnout’, ‘avoiding counseling and daily life due to lethargy’, ‘active endeavor to recover burnout’, ‘experiencing me recovering from burnout’ and ‘meaning discovered through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 Conclusion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difficult to notice burnout from the beginning. Participants who noticed burnout took a lethargic and evasive attitude in counseling and daily life, but they experienced recovery through active self-care, efforts to strengthen expertise, and suppor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ir experience of burnout and recovery, they no longer fears burnout and recognizes it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and meets a more mature self as a counselor. Also, they tried to notice burnout more actively than before.

      • KCI등재

        한국인 및 자국민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가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아영(Jeon A Yeong),조채연(Cho Chae-yeon),금창민(Keum Cha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한국인 및 자국민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소재 베트남 유학생 211명의 자료를 활용해 한국인 친구와 자국민 친구, 두 집단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와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한국인 친구의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 전반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것에 반해 자국민 친구의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모두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지지의 경우 교우관계를 넘어 기관차원의 여러 가지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학과, 대학, 국가 차원의 중장기적 관점의 유학생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하며, 특히 현지인 친구인 한국인 재학생과의 교우관계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university adaptation for Vietnamese students, mainly in Busan, Ulsan, and South-Gyeongsang provin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rom the two groups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using data from 211 Vietnamese students. While examining the effects, we differentiated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friends and Vietnamese friend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pport from the Korean friends was significant in the overall adjustment in college life whereas the support from the Vietnamese friends was not meaningful. The result from both groups showed the social support did not influence emotional adaptation. Therefore, we need to work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tackle the emotional support, while providing various psychological supporting program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we need to create a policy for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a dimension of a department office, a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to raise the level of adjustment. It also implies the necessity of diversified methods to stimulate friendships with Koreans who are nativ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중독과 회복과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사회적 낙인과 지지를 중심으로

        김정숙(Kim Jungsuk),전아영(Jeon A yeong),김정희(Kim Junghee),김계순(Kim Gyesoon),김명찬(Kim Myeongchan),금창민(Keum Changm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연구는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알코올 사용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경험한 중독과정과 알코올 중독자임을 인정하고 단주생활로 새로운 삶을 만들어 가는 회복과정의 경험을 세밀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이 제안한 삼차원적 내러티브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참여자의 알코올 중독이전의 경험, 중독과정의 경험, 회복과정의 경험에서 사회적 낙인과 지지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가 연구의 퍼즐이었다. 이를 위해 2021년 4월에서 5월까지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회복과정에 있는 알코올 중독 경험 여성 4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러티브의 삼차원적 탐구 공간에서 공통경험은 중독이전 경험, 중독과정 경험, 회복과정 경험의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시간성의 차원에서의 경험은‘억압받는 나’,‘자기 연민과 무력감’,‘자기인식과 자기사랑’ 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차원에서의 경험은‘돌봄 받지 못한 방임상태’,‘스스로 수치심을 느끼는 고립된 삶’,‘관계 회복을 위한 결단’ 이었다. 셋째, 상황 차원에서의 경험은‘알코올 중독 가정 내의 성장’,‘사회적 고립’,‘단주모임 참여’로 도출되었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의 변화 과정경험은‘알코올 중독자인 나’,‘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는 멤버’의 외재적 부분과‘수치스럽고 초라한 나’에서‘스스로를 사랑하는 나’의 내재적 부분의 주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detailed recovery experiences of female alcoholics who once lost control of drinking alcohol, then acknowledged their addictions, and have been carving out new lives sober. The researchers used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methodology of Claninin and Connelly (2000). The inquiry puzzle discovered how social stigma and support affect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were in pre-addiction, addiction, and recovery processes. The researchers ha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recovered female alcoholics who resided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 from April to May 2021. The common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a) a self-repression, b) self-pity and helplessness, and c) self-awareness and self-love in the continuity dimension. Secondly, in terms of situational dimension there were a) a growing-up in an alcoholic family, b) social isolation, and c) attending AA (Alcohol Anonymous) meetings. Thirdly, there were a) feelings of abandonment without sufficient care, b) isolation due to feelings of shame, and c) a decision to recovering some relationships. Lastly, positive experiences by overcoming the social stigma with help of social support are described as both external and internal as follows. In the external aspect, the experiences from perceiving self as an alcoholic to the AA meeting members with the social support. And, internally, the experiences of moving away from feelings of ‘meaningless and shameful self’ to feeling ‘self-love’ were observed and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