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중독과 회복과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사회적 낙인과 지지를 중심으로

        김정숙(Kim Jungsuk),전아영(Jeon A yeong),김정희(Kim Junghee),김계순(Kim Gyesoon),김명찬(Kim Myeongchan),금창민(Keum Changm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연구는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알코올 사용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경험한 중독과정과 알코올 중독자임을 인정하고 단주생활로 새로운 삶을 만들어 가는 회복과정의 경험을 세밀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이 제안한 삼차원적 내러티브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참여자의 알코올 중독이전의 경험, 중독과정의 경험, 회복과정의 경험에서 사회적 낙인과 지지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가 연구의 퍼즐이었다. 이를 위해 2021년 4월에서 5월까지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회복과정에 있는 알코올 중독 경험 여성 4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러티브의 삼차원적 탐구 공간에서 공통경험은 중독이전 경험, 중독과정 경험, 회복과정 경험의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시간성의 차원에서의 경험은‘억압받는 나’,‘자기 연민과 무력감’,‘자기인식과 자기사랑’ 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차원에서의 경험은‘돌봄 받지 못한 방임상태’,‘스스로 수치심을 느끼는 고립된 삶’,‘관계 회복을 위한 결단’ 이었다. 셋째, 상황 차원에서의 경험은‘알코올 중독 가정 내의 성장’,‘사회적 고립’,‘단주모임 참여’로 도출되었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의 변화 과정경험은‘알코올 중독자인 나’,‘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는 멤버’의 외재적 부분과‘수치스럽고 초라한 나’에서‘스스로를 사랑하는 나’의 내재적 부분의 주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detailed recovery experiences of female alcoholics who once lost control of drinking alcohol, then acknowledged their addictions, and have been carving out new lives sober. The researchers used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methodology of Claninin and Connelly (2000). The inquiry puzzle discovered how social stigma and support affect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were in pre-addiction, addiction, and recovery processes. The researchers ha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recovered female alcoholics who resided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 from April to May 2021. The common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a) a self-repression, b) self-pity and helplessness, and c) self-awareness and self-love in the continuity dimension. Secondly, in terms of situational dimension there were a) a growing-up in an alcoholic family, b) social isolation, and c) attending AA (Alcohol Anonymous) meetings. Thirdly, there were a) feelings of abandonment without sufficient care, b) isolation due to feelings of shame, and c) a decision to recovering some relationships. Lastly, positive experiences by overcoming the social stigma with help of social support are described as both external and internal as follows. In the external aspect, the experiences from perceiving self as an alcoholic to the AA meeting members with the social support. And, internally, the experiences of moving away from feelings of ‘meaningless and shameful self’ to feeling ‘self-love’ were observed and confirmed.

      • KCI등재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겪은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경험

        김영진(Yeongjin Kim),김명찬(Myeo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연구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하는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학위논문을 작성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2개의 하위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연구에 대해 알지 못해 막막함을 느낌>, <학교에서 연구와 관련된 구체적인 도움을 받지 못함>, <연구방법에 대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 과정에서 내적 위기감을 느낌>, <연구에 대한 내적 동기로 인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하게 됨>, <지지와 격려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됨>, <연구를 위한 공부를 스스로 함>, <주변 사람들에게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한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대학원에서 연구와 관련된 교육이나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에게 연구 경험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혼란과 불안을 견딜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의의를 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research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studying counseling in the master’s course, To this end, eight participants who majored in counseling and wrote their dissertations at graduate schools were interviewed in depth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2 subcomponents and 8 components were generated. The result of study are defined as <Feeling hopeless because you don’t know what to do with the research>, <Not getting substantive help for the research at school>,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with research methods>, <Feeling a sense of inner crisis in the course of the study>, <I Internal motivation to keep going and not giving up>,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support and encouragement>, <Self-directed studying for research>, <Get practical help from people around for research>. The study is meaningful in learning about th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or support related to research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n research experience to help them overcome confusion and anxiety. Lastly, suggestions were made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국내 상담학 분야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동향

        김수안(Suan Kim),김명찬(Myeo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4

        본 연구는 국내 상담학 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총 107편의 학위논문(44편) 및 학술지 논문(63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연구참여자, 연구주제, 연구유형, 글쓰기 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 분석방법, 연구 타당도, 연구 윤리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21년 9월까지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상담학 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 연구 대상은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연구의 주요 주제는 연구자의 회복과 성장 경험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방법적 엄밀성과 연구 윤리 실천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활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담학 분야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상담학 분야 자문화기술지 연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an analysis on a total of 107 thesis (44 degree thesis and 63 academic journal thesi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domestic counseling, using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The main target of the analysis included participants, research topic, research type, writing type,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s, research validity, and research eth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autoethnography from 2015 to September 2021 showed that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ostly on the researcher’s personal(private experience) area, and the main topic of the study was the researcher’s recovery and growth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methodological thoroughness and research ethics while various strategies were us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 KCI등재

        초보수퍼바이저의 불안에 대한 자기성찰

        김수안(Suan Kim),김명찬(Myeo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는 연구자가 초보수퍼바이저로서 경험한 불안에 대한 자기성찰적 탐구이다. 연구는 연구자 자신을 연구대상으로 한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지도교수와의 인터뷰자료, 초기기억 자료, 부모에 관한 기억자료 등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수퍼바이저가 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경험한 불안 정서에 초점을 두는 감정코딩으로 분석되었다.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은 삼각검증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범주는 ‘통증(몸의신호)’, ‘어울리지 않는 옷(초보 수퍼바이저)’, ‘불안이 가리키다’, ‘초기 기억’, ‘기억의 그림자’, ‘욕망이 금지된 엄마와 기대를 갖지 못한 딸’, 그리고 ‘불안과 함께’로 도출 되었다. 이와 같이 초보수퍼바이저가 경험한 불안, 그리고 그 기저에 내재된 수치심에 대한 이해와 극복경험은 수치심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즉, 초보수퍼바이저의 개인적 자아는 전문적 자아와 분리되지 않으며 전문적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보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내재화를 위해 자기성찰 능력 함양에 초점을 둔교육과 훈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은 초보수퍼바이저의 개인 내적 경험을 다양한 개인 외적 맥락과 연결시킴으로써 자기성찰을 심화 및 확장시킬 수 있는 매개가 된다. This study is an self-reflective inquiry into the anxiety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as a novice supervisor.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having the researcher as the study subject, and interview data with the advisor, initial memory data, and memory data about parent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motion coding, focusing on the anxiety experienced from the time of becoming a supervisor. With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ecured via triangulation. The main categories defin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ain(body signal)’, ‘mismatched clothes(novice supervisor)’, ‘anxiety pointing to’, ‘initial memory’, ‘shadow of memory’, a mother with forbidden desires and a daughter with no expectation. As such, the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experiences of anxiety experienced by novice supervisors and the underlying shame contributed to hav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lients suffering from shame. This means the personal ego of the novice supervisor is not separated from the professional ego and affects the professional aspects

      • KCI등재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박경자(Kyung-Ja Park),김명찬(Myeo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4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help of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ree non-suicidal self-injur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er approach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by Smith et al.,(2009).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described in three individual case analyses and a collective case analysis. Thematic aggregation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themes: Thematic aggregation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themes: ‘uncontrollable death instinct,’ ‘painful choice to forget pain,’ ‘distorted methods of escape,’ ‘escape strategy as an outsider,’ ‘a look at the abyss of self-injury,’and ‘making wounds a muscle for life.’ The common themes can be recapitulated as a process of choosing self-injury to escape anxiety and engaging in self-recovery as a wounded individual after seeing the abyss of anxiety. In order to resolve this lack of support, the active role of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nstalled in each university is required.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s in a position to intervene in various problems faced by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outreach function of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s well as the personal know-how and techniques of counselors.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specific programs were suggested at the counseling level to prevent non-suicidal self-injury of college students and move toward recovery.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성찰적 글쓰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태화(Taihwa Park),김명찬(Myeo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초심상담자의 성찰적 글쓰기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초심상담자들의 글쓰기 성찰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Giorgi의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성찰적 글쓰기를 경험한 초심상담자 9명에게 심층 면접을 시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31개의 의미 단위, 15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최종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내면의 감정을 인식하고 스스로 위로하게 됨’, ‘더 깊어지는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됨’, ‘성숙한 삶과 전문적 성장을 추구하게 됨’, ‘더 선명해지고 변화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됨’, ‘통합되는 경험을 통해 통제감을 얻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심상담자의 성찰적 글쓰기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본질적 구조 및 과정을 밝혔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성찰적 글쓰기가 상담자 자기성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the reflection of novice counselors in the future by looking at the experiences of novice counselors’ reflective writings. For this purpose, nine interviewees who had experienced reflection writing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ere interviewed and analyzed. Data analysis showed 531 meaningful units, 15 subcomponents, and 5 final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cognize inner emotions and comfort oneself’, ‘Experience interactions with deeper relationships’, ‘Pursue mature life and professional growth’, ‘Seeing oneself’, and ‘Getting a feeling of control through integrated experience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meaningful to reveal the essential structure and process by studying introspective counselor’s experience of introspective writing in depth. It can also be expected that reflection writing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elf-reflection of a counselor and help to improve and promote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