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동지역 봄·가을철 소나무림에서 강우 후 연료습도변화 비교 (지표연료 및 토양습도를 중심으로)

        권춘근,이시영,이해평,차주영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6

        The change in fuel moistur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days after rainfall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forest fire dangers and supporting forest fire rangers. Therefore, in order to clear up these forest fire occurrence conditions, forest fire danger levels for surface fuel 0.6 cm or lower, 0.6-3.0 cm, 3.0-6.0 cm, and 6.0 cm or above by fallen leaves layer, humus layer, soil layer,and diameter after rainfall of 5.0 mm and higher in accordance with tree forest density in 2008, 2009 Spring/Autumn Young Dong region have been analyzed. Research showed an approximate 17% fuel moisture which is a dangerous forest fire occurrence level after 4 days from rainfall in medium·dense-density areas and 3 days after rainfall in loose-density areas of Spring time in the fallen leaves layer. On the other hand, the humus layer showed a 40% or higher fuel moisture even after 6 days from rainfall regardless of the season, whil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oil layer had little change or no change at all. In loose-density areas with 0.6cm or less in Spring time, the fuel moisture displayed a dangerous level in fire forest occurrence after 2 days, and 3days in medium·dense-density areas, for loose-density areas with 0.6-3.0 cm in Spring time it showed a dangerous level in forest fire occurrence after 3 days, and for medium-density areas, 4 days. In Spring, loose-density areas of 3.0-6.0 cm showed a dangerous level in fuel moisture after 6 days from rainfall, and in the case of 6.0cm or higher, it showed 50% or higher fuel moisture even after 6 days from rainfall regardless of the season.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연료습도 변화는 산불위험도 예측과 산불감시원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산불발생위험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08, 2009년 봄·가을철 영동지역 소나무림에서 임분 밀도별로 5.0 mm 이상 강우 후 낙엽층, 부식층,토양층, 직경별 지표연료 0.6 cm 이하, 0.6-3.0 cm, 3.0-6.0 cm, 6.0 cm 이상에 대한 산불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봄철낙엽층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후부터, 중·밀임분 지역은 4일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인 17%정도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다. 반면, 부식층은 계절에 상관없이 6일이 경과 되어도 40% 이상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으나, 토양 상·하층은 약간의 변화 또는거의 변화가 없었다. 봄철 지표연료의 직경 0.6 cm 이하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2일후부터, 중·밀임분 지역은 3일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 연료습도를 나타냈고, 봄철 직경 0.6-3.0 cm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후부터, 중·밀임분 지역은 4일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의 연료습도를 나타냈다. 봄철 직경 3.0-6.0 cm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6일후에 산불발생 위험수준의 연료습도를나타냈으며, 직경 6.0cm 이상의 지표연료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6일이 경과 되어도 50%이상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다.

      • KCI등재

        영동지역 활엽수림에서의 강우 후 지표연료의 습도변화 분석

        권춘근,이시영,이해평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6 No.1

        The change in fuel moistur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days after rainfall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forest fire dangers and supporting forest fire rangers. Therefore, in order to clear up these forest fire occurrence conditions, forest fire danger levels for surface fuel 0.6 cm or lower,0.6~3.0 cm, 3.0~6.0 cm, and 6.0 cm or above by fallen leaves layer, humus layer, soil layer, and diameter after rainfall of 5.0 mm and higher in accordance with tree density in 2008, 2009 Spring/Autumn Young Dong region have been analyzed. Research showed an approximate 17 % fuel moisture which is a dangerous forest fire occurrence level after 5 days from rainfall in medium-density areas and 3days after rainfall in loose-density areas of Spring time in the fallen leaves layer. On the other hand,the humus layer showed a 40 % or higher fuel humidity even after 6 days from rainfall regardless of the season, whil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oil layer had a little change. In loose-density areas with 0.6 cm or less surface fuel per diameter in Spring time, the fuel humidity displayed a dangerous level in fire forest occurrence after 3 days, and 4days in medium-density areas, and for loose-density areas with 0.6~3.0 cm surface fuel per diameter in Autumn time it showed a dangerous level in forest fire occurrence after 3 days, and for medium-density areas, 5 days. In the case of 3.0~6.0 cm of fuel moisture per diameter in both Spring and Autumn times, even after 6 days, low and medium-density areas showed that they maintain fuel moisture and therefore the dangers of forest fires were very low,and in the case of 6.0 cm or higher, it showed 25 % or higher fuel moisture even after 6 days from rainfall regardless of the season.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연료습도 변화는 산불위험도 예측과 산불감시원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산불발생위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08, 2009년 봄·가을철 영동지역 활엽수림에서 임분 밀도별로 5.0 mm 이상 강우 후 낙엽층, 부식층, 토양층, 직경별 지표연료 0.6 cm 이하, 0.6~3.0 cm, 3.0~6.0 cm, 6.0 cm 이상에 대한 산불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봄철 낙엽층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후부터, 중·밀임분 지역은 5일 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인 17 % 정도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다. 반면,부식층은 계절에 상관없이 6일이 경과 되어도 40 % 이상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으나, 토양 상·하층은 미비한 변화가 있었다. 봄철 직경별 지표연료 0.6 cm 이하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 후부터, 중·밀임분지역은 4일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 연료습도를 나타냈고, 가을철 직경별 지표연료 0.6~3.0 cm의 소임분지역은 강우 3일 후부터, 중·밀임분 지역은 5일 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의 연료습도를 나타냈다. 봄·가을철 직경별 지표연료 3.0~6.0 cm의 경우 6일차가 되어도 소, 중, 밀임분 공히 높은 연료습도를 유지하고 있어 산불위험성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6.0 cm 이상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6일이 경과되어도 25 % 이상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다.

      • 산불방지 교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권춘근,이시영,염찬호,황영희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강원도, 경상북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산불방지 교육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산불방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산림 내 주요시설물 주변의 산불위험성 연구

        권춘근,이시영,염찬호,박흥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8

        본 연구에서는 산림 내 주요 시설물인 요양소, 펜션, 휴양림 주변의 산불위험인자 도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요시설물 주변 입지적인 여건, 임상여건 및 산림과의 이격거리, 산불방지 시설 여부, 숲 가꾸기 관련, 접근성 관련 등 총 5개 항목에 대해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물들이 주변임상의 수고가 10m 이하, 주변 임상이 침엽수림, 주요경급이 중경목 지역, 주변산림 밀도가 높고, 주변 산림과의 이격거리가 짧고, 산불방지 시설 미설치, 숲 가꾸기 미실시, 진화자원 진출입로의 개수가 1개이고 폭이 7m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어 산불발생 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this study, a fiel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5 categories including locational conditions, forest conditions and separation distances with forests, existence of forest fire prevention facilities, forest caring, and accessability related factors regarding facilities which is a key facility within forest areas in order to provide a forest fire safety diagnosis system and a basic resource of forest fire damage reducing technology regarding facilities which is a key facility within forest areas. Study results show that facilities with coniferous forests, medium hard wood areas, tree heights less than 10m, higher surrounding forest densities, shorter separation distance with surrounding forests, without forest fire prevention facilities, without forest care, and one entrance with width less than 7m for fire extinguishing support had a higher possibility of suffering damage in case of forest f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