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현대 최초 백화문 아동잡지 『아동세계(兒童世界)』소고 정전둬(鄭振鐸) 주편 시기를 중심으로

        권애영 ( Kwon Aey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3 No.-

        중국에서는 5ㆍ4 신문화운동 때부터 독립된 아동문학이 등장했고, 이때부터 `아동문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5ㆍ4 신문화운동은 중국인의 전통적인 `아동관`을 변화시켰다. 신문화운동으로 `아동본위`의 아동관과 아동문학관이 널리 퍼졌다. 신문화 인사들은 백화문을 사용해 서구 경전동화의 번역과 아동취향의 시가와 동화를 실험하였다. 정전둬가 주편을 맡은 창간 초기 『아동세계』는 아동문학 운동의 일환으로 문학연구회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발간되었다. 『아동세계』는 1922년 1월부터 1941년 6월까지 발간되어 중화민국 당시 중국아동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아동 전문 잡지이다. 창간 당시 『아동세계』는 순문학 아동잡지였으나 제3권 이후부터는 종합 간행물로 바뀌었다. 『아동세계』는 아동이 주체가 되고, 아동의 흥미와 발달 단계에 부응하는 `아동 위주`의 잡지를 목표로 하였다. `아동 위주` 이념은 존 듀이의 `아동 중심주의` 학설을 수용한 것이었다. 『아동세계』는 아동 흥미와 기호를 반영한 다양한 장르를 수록하였다. 그리고 외국 작품 번역과 함께 동요와 시, 동화 창작에도 힘을 쏟았다. 『아동세계』는 `아동 위주`의 이념을 가지고 아동을 `독립된 인격으로 존중`한 아동 전문 잡지였다. Since the May 4th New Culture Movement, literature for children has been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genre and formally started to call as `children literature` in China. The movement changed Chinese traditional idea about children; it spreaded children-centric ideology and literature widely. In this period, some figures who devoted into the movement translated western children`s story and published children-preferred poems and other children literature using colloquial form of Chinese. The Literature Research Union, one of the group performed those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issued The World of Children led by the editor-in-chief, Zheng Zhenduo. The World of Children had been published from January 1922 to June 1941. It was pure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 when initially issued, however, it became the comprehensive publications after the third issue. The magazine was intended as childcentric magazine which suited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al stage, and its ideological foundation was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child-centered" approach by John Dewey. In addition, it published various literature genre,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and preference, and put an effort not only to translate foreign works but also to create songs, poems and stories for children. In sum, The World of Children was the `child-centered` children`s magazine which respected children`s personality `independently`.

      • KCI등재후보

        19세기 말 20세기 초 아시아 지역 「토끼의 재판」(ATU 155) 유형의 민담 고찰

        권애영 ( Kwon Aeyoung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근대 시기 ‘동화’는 민담과 창작동화를 아우르는 개념이었고, 당시에는 민속학과 인류학이 성행하였다. 비슷한 유형의 이야기가 세계 여러나라에서 발견됨으로 인해 이야기는 공간을 초과하여 이동·전파되었다는 이동론(혹은 전파론)과 인류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영감과 정신에서 발생했다는 다원(多元) 발생론의 두 학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토끼의 재판」 유형의 민담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무렵, 이미 전 세계에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수집되어 민속학자들에 의해 정리되었음에도 우리나라를 벗어나 국제적인 조류에서 바라본 민담의 유사성과 변이에 관한 연구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토끼의 재판」(ATU 155) 유형의 원형은 어떤 사람이 목숨이 위험한 동물을 구해주었으나, 은혜를 입은 동물이 오히려 목숨을 구해준 사람을 해하려 한다. 위험한 동물을 구한 사람은 이를 승복하지 못하고 다른 대상에게 도움을 청해 그들이 심판하는 대로 따르기로 한다. 최후 심판자는 은혜를 입은 동물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도록 조치한다. 본고에서 선정한 아시아 지역의 민담은 은혜를 베푼 자와 은혜를 저버린 동물과 심판자, 그리고 재판의 횟수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서사구조와 내용은 아주 유사하다. 이야기는 마치 살아서 꿈틀대며 움직이는 생명체와도 같다. 이처럼 전 세계에 걸쳐 존재하는 민담의 변이에 대해서, 이 민담이 어디에서 발생했으며, 어떻게 전파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본래 인류의 사상은 서로 통하며 신화를 비롯한 이야기들은 고대 혹은 원시 사람들의 습관과 신앙을 반영한 것이라는 인류학파의 시각을 참고할 수 있다. During the modern era, ‘fairy tales’ were the concepts that encompass folklore and creative fairy tales, and folklore and anthropology were prevalent at that time. Since the similar types of stories have been foun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refore it can be noted that the theory of movement (or propagation) that stories moves place to place and the theory of multiple occurrences that human beings share inspiration and spirit. However, although many similar stories have already been collected around the worl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is in Korea. The original type of "The Trial of the Rabbit" (ATU 155) discussed in this paper is that an animal intend to harm a person who saved its life. The person who saves the animal fails to accept this situation and asks for help from the other beings and follows the judgment. The final judge arranges for the animal received gra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The Asian folk tales selected by this paper are very similar to the narrative structure,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gracious people, ungrateful animals, judges, and trials. A story is like a living, wriggling creature. As to the variation of folk tales that exist throughout the world, it is not known where this folk tale originated and how it spread. However, the anthropology can refer to the view that the ideas of manki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at myths and other stories reflect the habits and beliefs of ancient or primitive people.

      • 중국 초등학교의 경전(고전)읽기 교육 현황

        권애영 ( Kwon Ae Young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최근 중국에서는 ‘경전(고전)읽기 교육’ 열기가 아주 뜨겁다. 경전읽기는 원래 중국 고대 학습의 형태인데, 오늘날 유구한 중화의 전통문화 계승·인문학적 소양 배양·지적 능력 향상과 더불어 도덕교육 효과를 내세우며 전통적인 고전학습 부활을 크게 부르짖고 있다. 2000년 이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경전읽기는 민족정신과 우수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아끼며, 중화문명을 널리 알리고 민족적 자부심과 문화의 자신감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전교육의 역사를 살펴보면, 중국에서는 서한(西漢) 이후부터 청말(淸末)까지 전반적으로 꾸준히 유가 위주의 교육을 실시해 왔다. 유가경전 교육이 오랫동안 그 전통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전읽기 교육의 기본적인 방법은 ‘송독(誦讀)’으로 ‘낭송을 위주로 하고 이해는 보조’로 하는 방법인데 이는 결국 숙독을 향한 과정이다. 경전읽기 교육은 90년대 초부터 산발적으로 진행되다가, 제 8차 교육과정(2011)에서는 어문교육 과정 속에 고시 75편을 선정하여 반드시 암송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본 위에 학교 교육과정의 10%―25%범위 내에서 재량시간을 확보하여 국학·전통문화 등의 교과를 개설하였다. 교재는 중앙에서 지원하는 연구단체나 중점 대학에서 발행한 단일한 교재를 사용하거나 자체 교재를 편찬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각자 가정에서 구입한 교재를 사용하기도 하고, 교재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경전읽기 학습을 평가에 반영 혹은 제외하는 학교도 있어 그 운영 형태는 아주 다양하다. 한편 경전읽기 교육의 폐해를 주장하며 반대하는 의견도 있기는 하나 전반적으로는 경전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앞으로 고등학교와 대학입시 시험과목에 전통문화 관련 내용의 비중을 높일 것을 검토하고 있기에 경전교육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우리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과는 앞으로도 더욱 인적·물적 교류가 늘어날 것이므로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이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바탕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늘날 중국 전 사회에서 광풍이 일듯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는 중국의 ‘경전읽기 교육’에 대한 고찰은 중국인들의 밑바탕에 깔린 기본 사상을 이해하는 좋은 지표가 될 것이다.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reading classic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Reading classics was an ancient way of learning in China; however, it has been revived for its effects on the inheritance of Chinese tradition,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ability, and the cultivation of moral virtues. Historically, the education of reading classics had been based on Confucianism from the West-Han dynasty until the last stage of the Qing dynasty. The education of Confucian classics had lasted for ages due to its close relation to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The basic methods in the education are ‘recitation’ and ‘close reading.’ The first is composed of orally reading the words with a complimentary understanding of the book, while the latter calls for a deeper understanding through repeated reading. The education of reading classics had been carried out sporadically since the early 90’s, however it was made a requirement by linguistic education course of the 8th National Curriculum of Education (2011) which stated that students should recite all 75 specified classic poems. Moreover, the curriculum designated an extra 10-25% time out of the basic curriculum for the national heritage and traditions courses. The textbook used could be published by an institution, a University or the school itself. It could also be selected by individual families and even in some cases not necessary. Furthermore, the individual school could decide whether the course is used to assess students therefore its administration is widely varied. Despite oppositions arguing against its adverse effects, the education of reading classics is generally being strengthened, especially due to the prospect of its inclusion in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Our deep relation with China and an increasing personal and physical exchange means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ir background for smooth communica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of the phenomenal education of reading classics in recent China would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Chinese fundamental ideology.

      • KCI등재후보

        저우쭤런(周作人)의 안데르센 동화인식과 중국 현대 아동문학

        권애영(Kwon Ae-You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동서인문 Vol.0 No.12

        안데르센은 창작문학의 기틀을 잡은 아동문학의 거장이다. 중국에 안데르센을 가장 먼저 소개한 사람은 쑨위슈(孫毓修)이지만, 관심을 받지 못했다. 후에 저우쭤런(周作人)이 안데르센을 소개하고 그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중국에 안데르센이 분명하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저우쭤런이 가장 먼저 번역한 안데르센 작품은 『역외소설집(域外小說集)』 제2집(1909. 7)에 발표한 「벌거벗은 임금님(皇帝的新衣)」이다. 그러나 이 작품도 당시에는 호응을 받지 못하다가 이후 신문화운동에 힘입어 1919년에 『신청년(新青年)』 제6권 제1호에 「성냥팔이 소녀(賣火柴的女兒)」를 발표하면서 많은 이들이 안데르센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 「성냥팔이 소녀」는 구어체 문장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완전하게 안데르센의 작품을 번역한 것으로, 아동문학의 특색을 지닌 최초의 안데르센 동화 번역 작품으로 이후 많은 지식인들이 안데르센 작품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저우쭤런은 안데르센 작품의 특징을 어린이들의 언어를 사용하여 원시인류의 속성을 지닌 풍부한 상상과 교훈을 드러내지 않은 문학성으로 보았다. 이것은 성인들의 필요가 아닌 아동의 요구에 맞는 ‘아동위주’의 작품이었다. 이러한 특성은 당시 신문화 운동의 목표에 부합하였기에 많은 지식인들이 안데르센 작품을 번역하여 소개하였다. 저우쭤런은 안데르센을 통해 중국 현대아동문학이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즉 안데르센 동화는 전통적인 아동에 대한 생각을 바꾸고, 새로운 창작동화를 탄생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Andersen is a master of children"s literature who laid the foundation for creative literature. Although Sun Yushu was the first person to introduce Andersen to China, he didn"t receive attention. Later, as Zhou Zuoren introduced Andersen and translated his work, Andersen began to be clearly known in China. Zhou Zuoren"s first translation of Andersen"s work is “The Naked King,” published in the second volume of The Book of Extraterrestrial Novels (1909.7). Zhou Zuoren perceived the features of Andersen"s work as a rich imagination and non-lesson-oriented literary value with primitive human characteristics using children"s language. It was a work of ‘child-oriented’ that met the needs of children, not the needs of adults.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nsistent with the aims of the New Culture Movement at the time, therefore many intellectuals translated and introduced Andersen"s works. Zhou Zuor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China"s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take a new path through Andersen. In other words, Andersen"s fairy tale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changing traditional thoughts regarding children and giving birth to new creative fairy tales.

      • 신문화 운동 시기 중국의 안데르센 동화 번역 현황

        권애영(Kwon, Aeyoung)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경영·기술 Vol.1 No.1

        5·4 신문화 운동 시기 전통적 아동에 대한 관념을 변화시키는 데는 안데르센의 동화가 큰 작용을 하였다. 안데르센의 동화가 본격적으로 소개된 신문화 운동 시기 가장 중요한 아동문학 활동의 하나가 안데르센 동화번역이었고, 이는 중국 최초 창작동화 탄생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안데르센의 동화는 독창적인 문체와 특유의 입말체, 낭독 화법, 익살스러운 구어체, 세부 묘사 등이 특징이다. 안데르센의 동화는 형식이나 내용면에서 ‘아동성’을 지녔고 이것이 곧 ‘아동본위’의 동의어가 되면서 당시 아동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던 시대상황과 잘 맞았다. 5·4 신문화 운동 시기 신문화를 주도한 지식인들은 안데르센 동화를 통해 아동을 주체적인 하나의 인격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창구로 삼았다. 이 때문에 안데르센 번역 열기가 당시 중국 문단을 휩쓸었다. 이처럼 안데르센 동화는 중국에서 현대적이고 새로운 아동인식을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기에 신문화시기의 아동관과 아동문화를 살피는데 있어서 안데르센 동화 연구가 갖는 의미는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During the May 4th New Culture Movement, Andersen s fairy tale played a major role in chang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children. One of the most important children s literature activities during the new cultural movement, when Andersen s fairy tale was introduced in earnest, was the Andersen fairy tale translation, which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birth of China s first creative fairy tale. Andersen s fairy tal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original style, unique mouth style, reading style, humorous colloquial style, and detailed descriptions. Andersen s fairy tale had childhood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and this soon became a synonym for childhood standard, which fits well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he paid attention to child issues at the time. The intellectuals who led the newspaper during the May 4th New Culture Movement used Andersen s fairy tales as a window to recognize children as one independent personality. For this reason, Andersen s enthusiasm for translation swept through Chinese literary circles at the time. As such, Andersen fairy ta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modern and new child perceptions in China, so it can be seen that Andersen s fairy tale research has a great significance in examining children s views and children s culture during the new culture period.

      • KCI등재

        『兒童世界』 鄭振鐸의 번역 작품 고찰

        권애영(Kwon Aeyo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6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9

        It was the period of the May 4th New Culture Movement when children literature established independent genre apart from general adult literature in China.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movement was ‘discovery of human’, there was effort to transform Chinese traditional idea into modern new concept to accept new ideology from outside of China. During this period, various western theories, trends and literature works were introduced in China, and this phenomenon motivated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and works of Andersen and the brothers Grimm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Literature Research Union which was the first literature association in modern times after disbandment of Sin Chunyeun [New Youth], influenced much for development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It promoted ‘children’s literature’s activity’ and also issued pure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 Adong Segye [The World of Children], which used colloquial form primarily in modern times in China. Zheng Zhenduo, who led the children’s literature’s activity through launching Adong Segye and serving as a editor-in-chief, translated many children’s literature and published them on the magazine. Especially some of works which had symbolic meaning of New Culture Movement such as Thumbelina (Hans Andersen), The Peasant’s Clever Daughter (the brothers Grimm) and The Happy Prince (Oscar Wilde) were translated with the measure of ‘retold’. Since he understood ‘retold’ as not only translation but reinvention, he translated literature creatively within the limit of ideology of original works, considering children’s sentiment and educational effect. Zheng Zhenduo was the writer who attempted to integrate translation and cre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his heritage Adong Segye was a landmark magazine which treated Chinese children as subject, not object.

      • KCI등재

        중국 그림책의 출발 『아동세계(兒童世界)』 - 정진탁(鄭振鐸)의 작품을 중심으로 -

        권애영 ( Kwon Aey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중국에서 그림책이 등장한 시점을 아동문학 연구자들은 1922년 『아동세계』로 삼는다. 이 아동전문 잡지는 5·4 신문화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동세계』는 글과 그림과의 관계가 서로 보완적이면서 내용이 더 풍부해지는 단계로 들어섰기에 그림책의 출발로도 삼는다.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지나치게 교훈적이고 이성적인 내용을 강조하여 유희정신의 발달이 어려웠다. 『아동세계』창간자이며 초대 편집장이었던 鄭振鐸은 그 동안 엄숙하고 교육적 목적이 중심이던 아동도서에서 벗어난 『아동세계』에 유머형그림고사를 여러 편 발표하였다. 이는 당시 아동에 대한 인식을 획기적으로 전환한 것이었다. 본고는 鄭振鐸의 유머형 그림고사 중 「두 원숭이의 모험기(兩個小猴子的冒險記)」 와 「하마 유치원(河馬幼稚園)」, 「시냇가에서 생긴 일(溪旁發生的故事)」 3편을 앙리 베르그송의 희극성 유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鄭振鐸의 그림고사는 현재의 그림책 기준에서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목적을 가지고 아동을 계도하지 않고 재미와 웃음을 선사한 점에서 선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곧 鄭振鐸의 유머형 그림고사는 엄숙하고 전통적인 유가의 아동관에서 벗어나 근대적인 시각으로 아동을 바라본 창작 작품의 시도라 할 수 있겠다. The year 1922, when The World of Children was published, has been considered as the beginning of picture book in China by scholars who have studied children’s literature. This is due to the reason that not only the illustrations are complementary to the literary works in the magazine but also those contents are richer than the past literature. This specialized children’smagazine is closely related to May 4th New Culture Movement. In Chinese tradition, it was difficult to develop pleasure since instructive and rational stories were excessively emphasized. Zheng Zhenduo, the founder and first editor of The World of Children, did not follow this tradition but published several humorous illustration-stories which switched perspectives on children dramatically. This study describes three illustration-stories of Zheng Zhenduo; The Adventure of Two Monkeys, Hippo Kindergarten, Happening Beside A Stream through the theory of the comic of Henri Bergson. Although there are still critical points in comparison with today's picture books, Zheng Zhenduo's illustration-stories can be evaluated as pioneer works since they do not guide children on purpose but give them fun and laughter. Moreover, those creative stories stemmed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reflect modern point of view.

      • KCI등재

        1930년대 중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프롤레타리아 아동의 형상

        권애영 ( Kwon Aey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1930년 3월, 중국에는 좌익작가연맹이 결성되면서 혁명문학의 한 축으로 아동문학이 중시를 받게 되었다. 좌련의 작가들은 아동문학을 무기로 삼아 국민당과 제국주의를 공격하였다. 이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아동을 소재로 하고 리얼리즘이 반영된 러시아의 작품들이 중국의 아동문학 이론과 창작에 큰 영향을 끼쳤다. 좌련의 주요 회원이면서 문학계의 대표적 인물인 루쉰은 1935년에 러시아 판테레이예프(Leonid Panteleev)의 소설 『금시계(錶)』를 통해 중국 아동문학에 큰 변화를 주었다. 루쉰의 번역작 발표 이후 창작된 수췬(舒群)의 「조국이 없는 아이(沒有祖國的孩子)」, 마오둔의 「‘큰 코’의 이야기(大鼻子的故事)」, 장톈이(張天翼)의 「이상한 지방(奇怪的地方)」은 프롤레타리아 아동의 힘겨운 생활을 묘사하여 중국 아동문학사에서 그 성과를 인정받는 아동소설이다. 먼저 좌익작가 연맹의 일원인 수췬의 「조국이 없는 아이」는 일본의 동북 침략을 배경으로 하여 조국을 잃은 조선아이 궈리가 이국에서 멸시와 조롱을 겪으며 ‘망국노’로서의 처지를 거부하는 불굴의 애국정신을 그렸다. 다음으로 좌련 작가로서 영향력이 컸던 마오둔의「‘큰 코’의 이야기」는 상해를 떠돌아다니는 ‘큰 코’로 불리는 부랑아의 이야기다. ‘큰 코’는 윤봉길이 폭탄을 던진 1932년 4월 이후 고아가 되어 유기견처럼 비참하게 살다가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행진대에 합류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아동문학의 발전기를 대표하는 장톈이의 「이상한 지방」은 농촌아이가 노동자인 아버지를 따라 도시에서 생활하며 느끼는 일들을 통해 상류사회와 하층 노동자 간의 계급대립을 드러내면서 이에 저항하는 꼬마전사를 형상화하였다.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에 강조된 리얼리즘 경향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1949) 이후에도 꾸준히 이어졌다. 즉 1960, 70년대의 아동소설 역시 프롤레타리아 계급문학이 모범으로 여겨지다가 1978년 이후에야 이러한 경향이 점점 퇴색하였다. 최근 중국의 아동문학 작품은 시장경제와 국제화를 반영한 모습으로 점차 변모해 가고 있다. In March 1930, with the formation of the “Left-wing Writers” Union’ in China, children's literature became a centerpiece of revolutionary literature. Authors of the “Left-wing Writers' Union” used children's literature as weapons to attack the Nationalist Party and imperialism. For this reason, Russian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proletarian children and reflected realis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ory and creation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The novel “Gold Clock” written by Leonid Panteleev in Russia, translated by Lu Xun, a major member of the “Left-wing Writers' Union” and a leading figure in the literary world, was a major change in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in 1935. Shu Qun's “Child Without Fatherland” Mao Dun's “The Story of Big Nose” and Zhang Tenyi's “Strange Province” have been recognized in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by describing the difficult lives of proletarian children, created after publication of Lu Xun's translation work. First of all, “Children Without Fatherland” by Shu Qun, a member of the Left-wing Writers' Union, depicts the patriotic spirit of Guoli, a Korean child who lost his fatherland because of Japanese invasion, who was despised and ridiculed in a foreign country. Next, “The Story of ‘Big Nose’” by Mao Dun who was influential as a left-wing writer, is the story of a tramp called “Big Nose” wandering around Shanghai. After April 1932, when Yoon Bong-gil had thrown a bomb, Big Nose became an orphan and lived as miserable as an abandoned dog and joined the march to resist imperialism. Finally, Zhang Tenyi, who represents the development period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wrote “Strange Province”, which embodies a little warrior who resists the contradiction of class confrontation between upper class society and lower-class workers through what a rural child feels while living in the city with his father, a worker. The trend of realism emphasized in the children's literature of the proletariat continued steadi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In other words, children's novels of the 1960s and 1970s were also regarded as exemplary in proletarian literature, but this trend began to fade after 1978. And recently,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is gradually changing to reflect the market economy and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후보

        저우쭤런(周作人)의 동화와 아동연구에 관한 견해

        권애영 ( Kwon Ae-young ) 방정환연구소 2020 방정환연구 Vol.3 No.-

        저우쭤런(周作人)은 중국의 현대 저명한 산문가·문학이론가·평론가·시인·번역가·사상가·중국 민속학의 개척자이면서 신문화 운동의 대표자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의 형 루쉰(魯迅)이 중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진보적인 지식인으로서 우리나라에 널리 연구된 반면, 저우쭤런은 그의 역할에 비해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루쉰은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찬양을 받고 있는데 반해, 저우쭤런은 중일전쟁(中日戰爭) 때 왕정위(汪精衛) 정권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일본 침략자에 부역한 친일파로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1970년대에 들어서서야 비로소 학술계에서 저우쭤런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 말부터는 소품 산문의 유행으로 문단에 그에 대한 열기가 조성되긴 하였으나, 아직도 그를 둘러싼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저우쭤런의 아동 및 아동문학 관련에 관한 문장은 주로 1913년부터 1923년에 집중되어 있다. 1913년에 「동화연구(童話硏究)」와 「동화약론(童話略論)」·「아동연구 도언(兒童硏究導言)」·「덴마크 시인 안데르센전(丹麦詩人安兑尔然傳)」을, 다음 해 1914년 4월과 6월에 「고동화석의(古童話釋義)」와 「동화석의(童話釋義)」를 발표하였다. 이어 1917년에는 「외국의 동화(外國的童話)」와 「안데르센전(安兑兒傳)」을, 1920년에 「아동의 문학(兒童的文學)」, 1922년에는 「동화의 토론(童話的討論)」을, 1923년에는「아동극(兒童劇)」·「장난감(玩具)」·「아동의 책(兒童的書)」에 관한 글들을 발표하였다. 이 시기는 바로 유학을 마치고 고향인 소흥(紹興)으로 돌아와 교육활동을 하던 때로 주로 교육문제와 아동문제·아동문학·동요에 관한 연구와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저우쭤런의 아동문학과 아동문학 관련 연구의 본격적인 시작은 1906년 일본 유학시절부터로 보고 있다. 『지당회상록(知堂回想錄)』에서 저우쭤런은 “다카시마 헤이쟈부로우(高島平三郞)가 펴낸 「아동 문학을 노래하다(歌詠兒童的文學)」 및 저서 『아동연구(兒童硏究)』를 손에 넣고...이 시기 일본은 아동학이 막 발전하기 시작했다.”고 적고 있다. 당시 일본은 명치유신 이후 서방 근대학술 문화사조가 물밀듯이 밀려오던 시절이었다. 그의 아동과 아동문학에 대한 사상은 서구의 신화학·문화인류학·아동학·인본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저우쭤런은 프로이드의 이론과 생물진화론을 결합하여 아동은 생리적·심리적으로는 비록 어른과 다른 점이 있지만, 완전한 개인이며 자신들만의 외·내면의 생활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처럼 저우쭤런에 의한 ‘아동의 발견’은 5·4시기에 그가 제기한 「인간문학(人的文學)」의 사상 원류이며, 중국 현대사상사와 문학사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저우쭤런의 아동문학 연구의 동력은 ‘국민성’ 비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일본 유학 기간 많은 해외 서적을 통해 어린이에 대한 동정을 갖게 되면서 아동문제와 여성문제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가 1912년에 쓴 「아동문제의 초보적 이해(兒童問題之初解)」는 바로 그의 ‘국민성’ 비판을 드러낸 것이었다. 저우쭤런은 “나의 아동학 관련 문제에 대한 흥미는 인류학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는 저우쭤런이 일본에 유학하던 시절 일본에 성행한 아동학의 영향 때문이기도 eCheck 하였다. 저우쭤런이 신화·동화·민속연구에 심취하였는데 동화세계에서 그는 사람들의 어린시절에 자주 볼 수 있는 인성의 역량을 발견하였을 뿐 아니라 그것을 문화인류학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면서 지속적인 관찰을 계속하였다. 그는 『아동문학 소론서(兒童文學小論序)』에서 아동문학 연구를 대대적으로 제창하면서 이것으로 유가경전 중심의 비인도적 교육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신화와 동화가 인간의 심성을 도야시킬 수 있는 첩경이라고 인식하였다. 이것은 그의 미적 취향하고도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저우쭤런은 인류학파인 앤드류 랑(Andrew Lang)을 추앙했고, 엘리스(Henry Havelock Ellis)의 성 심리학을 중시했으며, 일본의 우끼요에(浮世繪)를 매우 좋아한 것 등은 모두 그의 사회의식 및 심미의식과 관련이 있다. 저우쭤런은 인류학파로부터 도입한 신화학 이론으로 동화와 모든 아동문학 학술사상을 고찰하고 해석하였는데, 이 이론을 이용하여 동화의 본질도 해석하였다. 여기에 실은 「아동연구 도언(兒童硏究導言)」에서도 그는 명확하게 태아는 생물사적 재연이며, 아동기는 인류사의 재연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인류학’과 ‘아동학’이 같이 합쳐져서 인류학의 원시 동화 연구로 오늘날의 아동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마찬가지로 아동문학 가운데 성인들이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은 인류학으로부터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방법으로 안데르센을 연구하여, 안데르센 동화의 특색을 ‘어린이다운 문장과 원시인과 같은 사상’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들을 옛 동화와 고대 가요 연구에도 적용하여 아동의 놀이·아동의 싸움·동요의 작용·아동 장난감의 의의 등과 아동의 특징에 적용하였다. 저우쭤런은 자신의 인류학에 대한 관심이 공부를 위해서가 아닌 인간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아동학의 기준을 가지고 아동기는 통상 25세까지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당시 아동 인류학의 사고를 반영한 것이다. 국제법에서는 유년기를 0세에서 18세 사이로 정의하고 있지만, 유년기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은 어린이는 보편적인 개념이 아니며, 각 사회의 내부적 관점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고 강조한다. 영국의 초창기 인류학자들(에드워드 타일러, 존 러벅, C·스태니랜드 웨이크)은 인간 사회의 본성과 인류의 진보를 탐구하기 위해 유년기를 연구했다. 이들은 북미 유럽의 성인 남성을 이성적인 인간으로 여기고 그 반대 지점에 원시인이나 야만인 또는 어린이를 두었다. 이들에게 어린이는 야만과 문명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존재였다. 저우쭤런은 아동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을 동화로 인식하였다. 그것은 민족의 사상 및 습관과도 서로 맞물려 있는 것으로서 동화에는 인류의 본원을 알려주는 그 무엇이 포함되어 있고, 이 영역과 관련된 동서양의 유산을 연구해보면 문화인류학 중에서도 상당히 의미 깊은 근본 구조를 발견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중국 동화연구의 첫 발을 내디딘 「동화약론(童話略論)」을 비롯한 「동화연구(童話硏究)」·「동화석의(童話釋義)」에서도 동화의 분류·기원·성질·특징·기능 등 다방면에서 동화의 의의를 살폈다. 즉 저우쭤런은 처음으로 동화를 문학적인 각도에서 정의하고 그 심미와 품격을 인정하여 인식면에서 비약을 꾀하였다. 여기에 소개하는 「동화약론(童話略論)」은 동화에 관한 이론 가운데 가장 먼저 발표한 글로 동화(marchen)와 신화(mythoe)·전설(saga)이 실제로는 하나라는 견해를 밝혔다. 상고시대는 종교의 맹아기로 사람들은 만물을 경배하였다. 그들은 천하 만물에 모두 생명이 있다고 믿었기에 하늘과 땅을 숭배하고 물건과 괴물·사람과 귀신 모두 각자 역할이 있으며 사람과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화는 주로 오락 위주로 당시에는 사람과 지명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내용 위주의 진기한 이야기인 점이 다르다고 하였다. 저우쭤런은 동화를 아동교육에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면서 이에 대한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동화는 원시인의 문학이며 그 개체 및 체계의 발생이 같아서 감정과 흥미 역시 대체로 상통하므로 자연과 아동의 성장과정에 순응하는 것이며 둘째, 동화는 특히 유아기(3-10세) 아동에게 적합하다는 것이다. 이 시기 아동은 상상이 풍부할 때이므로 동화는 상상력을 기르는데 아주 적합하고 훗날 학업의 기초를 다질 수 있다. 셋째, 동화는 사회생활의 대략을 간략하고 단순하게 서술하므로 아동이 이를 통해 사람들 간의 일을 대략 알게 되어 훗날 사회생활을 하는 자산이 되며 사물과 짐승, 초목 등의 여러 지식이 성장할 수 있다.고 서술하였다. 곧 아동들이 지닌 독특한 원시인의 심리를 파고들어 동화가 아동의 심리와 특징에 부합하고, 아동의 심리와 특징은 원시인에 가까움을 강조하였다. 그러기에 성인의 사유방식, 사상관념, 도덕수준을 사용하여 아동을 구속할 수 없다고 하였다. 동화에 대한 그의 생각은 이후 1922년 『신보부간(晨報副刊)』 지면에서 쟈오징선(趙景深)과 주고받은 공개적 서신 형태인 「동화 토론(童話的討論)」이라는 글을 보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저우쭤런은 ‘동화’라는 명칭은 일본으로부터 온 것이며, 이 동화의 원래 뜻은 ‘아동의 이야기’이었으나 점차 ‘민간고사’와 가까운 원시의 소설이라는 의미로 변했다고 하였다. 저우쭤런은 중국의 아동문학 이론의 기초를 확립했을 뿐 아니라 외국 아동작품 번역 활동도 활발하게 하였다. 1909년 형 루쉰과 함께 발간한 『역외소설집(域外小說集)』안에는 그가 번역한 중국 최초의 오스카 와일드 작품인 「행복한 왕자(安樂王子)」가 포함되어 있다. 저우쭤런은 원작의 언어의 묘미를 상실한 개역이나 번안을 비판하고, 임의로 고쳐서 번역한 작품을 다시 ‘직역’의 방법을 사용하여 아동의 입장에서 재번역 하였다. 이는 계몽운동의 면모에서 벗어나 아동의 심리와 흥미에 부합함으로써 아동문학이 본래의 면모를 되찾는 과정이었다. 또 1919년 1월 15일 『신청년』 제6권 제1호에 「성냥팔이 소녀(賣火柴的女兒)」를 발표하였는데 이것은 구어체(백화문)을 사용하여 완전하게 안데르센의 작품을 번역한 것으로, 아동문학의 특색을 지닌 중국 최초의 안데르센 동화 번역 작품이다. 이 밖에도 아동과 관련된 작품으로 러시아 표도르 솔로고프의 동화 「한 소년이 만든 기적(童子Lin之奇跡)」과 「굴렁쇠(鐵圈)」·쿠프린의 「황제의 공원(皇帝的公園)」·톨스토이의 동화 「빈 북(空大鼓)」과 일본의 에마 니카시(江馬修)의 「작은 한 사람(小小的一個人)」·쿠니키다독보(國木田獨步)의 「소년의 비애(少年的悲哀)」·센케모토마로(千家元磨)의 「심야의 나팔(深夜的喇叭)」을 『신청년』에 소개하였다. 또한 스즈키 미에키치(鈴木三重吉)의 「금붕어(金鱼)」 및 「그리스 신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愛麗絲漫遊奇境記)」·「이솝우언(伊索寓言)」·파브르의 「곤충기」·그림형제의 「큰 무」등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하였다. Zhou Zuore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Chinese New Culture Movement. However, while his brother Lu Xun has been widely studied in Korea as an advanced intellectual who represents modern Chinese literature, Zhou Zuoren has been not attracting much attention. His ideas about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were influenced by theory of new chemistry, cultural anthropology, pedology and anthropology in the West. Zhou Zuoren combined Freud's theory and evolution theory, concluding that children are completely individual and they have their own internal and external life, although they differ from adults i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terms. Zhou Zuoren considered and interpreted fairy tales and all theories of children's literature, applying theory of new chemistry introduced from anthropologists. Moreover, he interpreted the essence of fairy tales with this theory. Zhou Zuoren recognized that fairy tale has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children. Refer to his idea, the fairy tales are deeply related to the thoughts and customs of the people and contain something teaching us the origin of mankind. Zhou Zuoren insisted that fairy tales, myths, and legends are actually same through Children's Research which was the first presented article among theories of fairy tales. In addition, Zhou Zuoren actively translated foreign children's works.

      • KCI등재후보

        중국 아동문학의 선구자 저우쭤런(周作人)의 아동에 관한 인식 -「아동극」·「장난감」·「아동의 책」을 중심으로-

        周作人,권애영 ( Kwon Ae-young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2 No.-

        저우쭤런(周作人)은 루쉰(魯迅 : 본명 周樹人)의 동생으로 중국 아동문학 연구의 선구자이면서 중요한 이론가로 지식인들 사이에서 영향력이 컸던 인물이다. 5·4 신문화 운동 이후 중국 아동문학의 탄생과 발전은 그의 이론 및 비평과 큰 관계가 있기에, 중국현대 아동문학을 얘기하려면 저우쭤런을 빼고 얘기할 수 없다. 5·4 신문화운동 당시 중국은 신문학 건설에 대한 열기가 높아서 그동안 사용하던 문언문을 버리고 백화문(구어체)을 사용하는 언어혁명을 부르짖었다. 그러면서 동시에 민간문학을 문학의 정통 위치에 올려놓는 것과 ‘아동’의 흥미에 부응하는 것 역시 중요한 목표 가운데 하나였다. 저우쭤런은 1906년부터 1911년까지 일본에서 공부하면서 당시 일본에서 성행하던 아동학을 접하면서 아동문학과 아동문학 관련 연구를 하였다, 저우쭤런의 아동과 아동문학 관련 이론과 문장은 주로 1913년부터 1923년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저우쭤런의 아동연구에 관한 관심은 본인의 육아 수요와 관련된 측면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12년 5월에 큰 아들이 태어났고, 육아 과정에서 일본을 통해 들여온 관련 자료를 참고했음이 그의 일기에 여러 차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우쭤런의 아동과 관련된 관심은 1920년대 중엽 이후부터 서서히 약해진다. 그는 복고주의로 돌아서서 산문도 갈수록 한적하고 고아한 격조로 가득 찼으며, 골동품에 심취하거나 고서를 베끼는 일에 탐닉하여 5·4시기 전투적이었던 기질을 버리게 된다. 5·4 신문화 운동을 전후해서는 이성적 목소리를 냈지만, 그 이후에는 점차 산문 창작에 몰두했다. 여기에 소개되는 「아동극(兒童劇)」·「장난감(玩具)」·「아동의 책(兒童的書)」은 『나의 정원(自己的院地)』에 실려 있는 글들이다. 『나의 정원』은 5·4시기 4대 부간지 중 하나였던 『신보부전(晨報副鐫)』에 1922년 1월 22일부터 자신의 전문 코너 『나의 정원』을 개설해 발표한 글들을 모아 1923년에 발간한 산문집이다. 이 산문집은 「나의 정원」·「오아시스」·「담소(茶話)」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 소개하는 글은 「오아시스(綠州)」 (총 15편) 에 실린 것으로 아동과 관련된 내용만 가려 뽑았다. 이들 세 편의 산문을 읽다보면 저우쭤런의 폭넓은 독서 지식과 함께 당시 중국 실상 및 일본 문화의 발달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중국의 사회에서 중시하지 않던 아동의 전반적인 문화생활에 대해 저우쭤런이 얼마나 많은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알 수 있다. 먼저 아동극(兒童劇)에서는 아동극의 필요성을 자신의 어린 시절 경험에 비추어 역설하면서, 작가는 동심이 있기만 하다면 크게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좋은 극본을 아동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작가는 사회에 영합하지 않아야 하지만 아동의 심리에는 영합하여 아동에게 문예작품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아동들에게 동요와 동화 외에도 아름답고 건전한 아동극본을 제공하여 아동들이 반드시 누려야 할 즐거움을 맛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둘째, 장난감(玩具)에서는 일반적으로 장난감은 아동의 전유물로 생각하고 있지만 어른들 역시 갖고 놀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현대 상황에 비춰보면 아주 선진적인 주장으로, 저우쭤런은 장난감이 아동을 위해 만들어지긴 했지만 만든 사람의 사상을 반영한 것이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아동이 장난감 병정을 늘어놓는 것은 마치 박물관에서 학예사가 조각상을 정리하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고 인식했다. 그리고 일본에 비해 중국에는 아동을 위한 장난감이 극히 부족한 면과 서양의 장난감을 배척하는 태도를 안타까워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책」은 저우쭤런의 아동문학 이론 가운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글로, 바로 그의 아동문학 이론의 핵심인 ‘아동본위(兒童本位)’가 등장한다. 물론 1914년에 이미 「학교성적전람회의견서」라는 글에서 ‘아동본위’를 말한 적이 있었다. 즉 아동들의 재능을 뽐내는 작품을 전시하는 과정에서 어른들 혹은 세속의 눈으로 평가하지 말고 아동을 중심에 놓아야 한다고 요구한 것이다. 그의 이런 관점은 아동문학에서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저우쭤런의 ‘아동본위’는 1920년대 ‘아동문학 운동’을 펼치던 문학연구회 동인들의 주장이 되었으며, 이후 30년대에 이르러서도 줄곧 영향을 미쳤다. 저우쭤런은 아동의 책은 아동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해 주는 것인데, 그것은 분명하게 ‘이야기와 그림책’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림책의 중심은 바로 그림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아동문학은 지나치게 교육적이나 예술성에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하면서, 어른들이 아동의 도서에 너무 많은 교훈을 담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물론 저우쭤런이 아동문학의 교훈성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마치 과일 젤리처럼 교훈성이 내용에 잘 녹아들어서 무의미한 듯한 그 속에 의미가 자연스럽게 전달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이를 잘 표현한 동화작가로 안데르센을 꼽았다. 여기에서 저우쭤런이 극찬하는 ‘무의미의 의미’란 아동세계에 잘 접근하여 바로 아동을 중심에 놓는 ‘아동본위(以兒童爲本位)’임은 말할 것도 없다. Zhou Zhuren is a pioneer in the study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an influential theorist. Zhou Zhuren studied children’s literature while studying in Japan from 1906 to 1911. His theories and sentence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were mainly concentrated from 1913 to 1923. The prose collection My Garden consists of three parts: “My Garden,” “Oasis”, and “Chat”. The three articles; “Children’s Play”, “Toys” and “The book of children” which will be introduced in this thesis are from the “Oasis” (total 15 articles) of My Garden. Reading these three articles, one can guess the reality of China at the time and the extent of the development of Japanese culture, along with Zhou Zhuren’s extensive reading knowledge. And it can also be seen how much affection and attention Zhou Zhuren had in the overall cultural life of a child which was not valued in Chinese society at the time. First, “Children’s play” emphasizes that good script can be provided to children if a writer has innocence of childhood. Writers should not accommodate to society, but they should consider children’s psychology and provide literary works to children. Zhou Zhuren hoped to provide children with beautiful and sound children’s plays so that they could experience the pleasures they must enjoy. Second, in the article “Toys”, Zhou Zhuren explained that generally toys are considered as children’s exclusive property, but adults are also able to play with them. Although the toys were made for children, they reflect the thoughts of the makers. He argued that lining toy soldiers up by children is little different from arranging of the statue by curators at the museum. And he felt sorry for the lack of toys for children in China at the time and the attitude of exclusion against Western toys. Finally, “The book of children” contains Zhou Zhuren’s core theory of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centralism.” Zhou Zhuren said “The children’s book” provides what children need and should not be overly educational or artistic. Of course, Zhou Zhuren is not completely denying the moral nature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he insisted that the moral character should be well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