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민 중심 지역문화축제와 주체성 변천과정 연구 :울산 주민 대표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종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경영·기술 Vol.3 No.2

        2014년 한국정부와 의회는 지역문화진흥법을 제정하며 지역문화에 관한 기존 문화·예술의 단편적 법령들을 넘어 보다 체계적 추진을 위한 법령을 만들었다. 지역별 주민이 자발적인 문화 활동을 통해 스스로 문화향유권을 신장하여, 지역의 현대적 공동체 형성은 물론 이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지역문화를 자원으로 삼아 지역경쟁력이라는 부가가치 발생까지 꾀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지역주민의 자발적이며 독창적인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법정문화도시 정책까지 도입되었으나, 현재에도 문화를 개인별 여가나 복지 또는 예술이나 산업의 관점으로 관광·체험상품과 같은 경제가치 창출 도구로서 문화정책 및 사업을 시도하는 움직임이 역력하다. 어느 쪽이든 행정이나 생산자·공급자만의 관점으로 주민은 소극적·피동적 대상이라 전제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지역문화가 지역 구성원이 스스로 형성·공유하는 삶의 양식이라는 기본을 놓치면서 결국 문화도시(화)를 주장하나 이에 역행하는 상태로 변질하고 있다. 지역문화진흥법은 물론 지방자치, 주민자치 본연의 목적 달성은커녕, 일방적이고 무리한 개입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도 있었을 가능성까지 해치는 악영향으로 왜곡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동체 단위에서 주민이 스스로 지역문화의 주체로서 지역의 고유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매개자로서 지역사회에 공유해나가는 과정 속의 지역문화콘텐츠,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지역축제를 사례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현재 대부분의 축제는 지자체나 이를 대행하는 전문가 또는 대행사 등 소수를 중심으로 기획해 주민을 이에 동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런 현상과 반대로 비교적 최근까지 공동체의 잔치로서 주민이 축제를 직접 만들어갔던 울산 주민 대표축제의 변천사를 다뤄보고자 한다. 현대에 새로 형성된 지역 '울산'이자 또 이 지역주민이 직접 꾸린 축제가 어떻게 이전의 전통적 축제와 같은 맥락에서 지역의 화합과 고유의 가치 창출이 가능했는지 조명해볼 것이다. In 2014, the Korean government and parliament enacted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creating a law to systematically promote local culture beyond the existing piecemeal laws on culture and arts. The purpose of the Act is to enhance the cultural enjoyment rights of local residents through voluntary cultural activities, thereby forming a modern community and creating added value for local competitiveness by using local culture as a resource. Even statutory cultural city policies based on the voluntary and original local culture of local residents have been introduced, but even now, there is a strong movement to try cultural policies and projects as economic value creation tools such as tourism and experience product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leisure and welfare or art and industry. Either way,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residents are passive and passive o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ministration or producers and suppliers, which misses the basic point that local culture is a way of life formed and shared by local members, and eventually turns into a state that claims to be a cultural city but goes against it. Not only does it not fulfill the purpose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nd local self-governance, but it is also distorted into an adverse effect that harms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have been formed naturally due to unilateral and unreasonabl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sharing local unique cultural resources with the community as a mediator as the main actors of local culture at the urban community level, and local festival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encountered, as a case study. Currently, most festivals are organized by a few people, such as the local government or an expert or agency working on their behalf, to mobiliz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In contrast to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Ulsan Residents' Representative Festival, which, until relatively recently, was organized by the residents themselves as a community feast.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how the festival, which was organized by the residents of Ulsan, a newly formed region in the modern era, was able to create regional harmony and unique values in the same context as the previous traditional festivals. This study examines the 57-year evolution of the newly created Ulsan Residents' Representative Festival in the modern era and the changes in the position of residents by system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festival. By examining how residents have created a relationship with the new area, we hope to draw out what the changes in residents' identity and agency mean for Korean society and the festival today. A community and organization starts with one person, and the character of a community depends on what kind of people it consists of, so as part of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we need to think together about how local festivals should be created and why and how residents should be reintroduced as subjects. This is because local cultural contents are rooted in local culture, and this uniqueness is accumulated and shared over time by voluntary actors.

      • 트랜스 아이덴티티를 통한 중국 TV 드라마의 여성 캐릭터 재현 : <겨우,서른(三十而已)>을 중심으로

        초원원(XIAO YUANYUAN)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경영·기술 Vol.1 No.2

        여성의 지위와 신분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여성 장르를 중심으로 한 TV 드라마,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등이 쏟아져 나오면서 여성 문화(文化) , 여성 예능(综艺) 등의 단어들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중국 TV 드라마 속 여성들은 결혼 재촉, 고부갈등 등 외부 요인들을 겪은 후, 화제는 여성 자신에 대한 성격 형상화로 전이하기 시작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TV 드라마 <겨우, 서른>의 주요 등장인물인 구자(顾佳), 왕만니(王漫妮), 중샤오친(钟小琴)을 트랜스 아이덴티티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겨우, 서른>은 여성의 관점으로 본 작품이고, 세 여성이 각자의 생활, 직장, 결혼을 통해 현대 여성들의 입장과 시각을 나타낸다. 또한 캐릭터의 이미지가 풍성하고 스토리가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여성 정체성 형성 과정을 통해 현대 여성의 보편적인 불안감을 정교하고 깊이 있게 표현해 시청자의 공감을 일으킨다. The phrases “women’s culture” and “women’s entertainment” are appearing jointly as the call for emphasizing women’s status in society grows. In addition, a slew of TV dramas, reality programs, and entertainment shows centered on women’s issues are debuting due to the influence. Currently, female characters in Chinese domestic TV dramas struggle with issues including pressure to get married early and conflict with their in-laws,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have started to influence the personality of the women watching the drama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s of the TV drama Nothing But Thirty through a trans identity, focusing on the characters Gujia, Wang Manni, and Zhong Xiaoqin. This TV drama is viewed from a woman’ s perspective, the three characters reflect modern women’s positions and perspectives in their own respective lives, work environment, and marriage life. The image of the characters in this TV drama is rich, the story closely relates to daily life, and viewers can sympathize with it.

      •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책의 집단주의 문화와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성

        조은아(Eunah Cho)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2022 문화·경영·기술 Vol.2 No.2

        ‘일대일로(一帶一路)’는 시진핑 정권이 내세우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이라는 ‘중국몽(中國夢)’의 구체적이며 장기적인 실현 방안이다. 중국은 일대일로를 통해 참여국들과 함께 세계평화와 발전에 이바지하며 각국의 협력과 상생을통해 공동번영의 길로 그리고 운명공동체로 나아갈 것임을 주장한다. 여기서 중국몽은 중국의 인민들에게 희망을 제시하고 그를 중심으로 단결을 이루기 위한 정책으로 집단주의적 성향이 매우 강하다. 또한, 중국몽을 실현시키기 위한 방안인 일대일로의 정책은 주변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전제하는 것으로 이 역시 강력한 집단주의 문화를 바탕에 두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일까? 본 논문은 이에 대한 해답으로 공공외교를 제시하며, 공공외교의 방향은 중국과의 지속적인 문화교류를 통한 그들의 체면문화 활용과 일대일로가 직면한 문제 중 하나인 환경문제와 인권문제에 대한 적극적 공공외교 수행으로 정리하였다. ‘One Belt, One Road’ is a concrete and long-term realization plan of the ‘China Dream’ which is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promoted by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China asserts that the plan will contribute to world peace and development together with participating countries, and advance toward a common prosperity and a community of destiny through cooperation and coexistence of e ach country. T he C hinese d ream i s a policy t o b ring h ope to t he C hinese p eople and to achieve unity around it, having a very strong collectivism. In addition,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which is a plan to realize the Chinese dream, presupposes close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is is also based on a strong collectivist culture. So, how should we respond to China's One Belt, One Road policy? This paper presents public diplomacy as the answer to this. And the direction of public diplomacy is summarized as using their face culture through continuous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nd actively conducting public diplomacy on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issues, which are one of the problems faced by the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