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정환의 번역 양상과 내러티브 변형의 특징 -「산드룡의 유리 구두」를 중심으로-

        지신영 ( Ji Sin-yeong )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방정환이 번역한 「산드룡의 유리 구두」를 통해 그의 번역 양상과 내러티브 변형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 관해서 많은 논자는 방정환의 번역 양상을 일본어판의 중역이라는 범주 안에서 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정환의 「산드룡의 유리 구두」 번역이 먼저 그가 일본 동경 유학 시절에 경험한 엄청난 독서 체험의 결과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2000년대 초 방정환의 중본 발굴로 인해 방정환의 번역이 일본 아동문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기존의 ‘이식론의 관점’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한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방정환의 번역양상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산드룡의 유리 구두」에 나타난 방정환의 번역 양상과 내러티브 변형의 특징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페로 원본인 「상드리옹 혹은 작은 유리구두」와 방정환이 번역한 「산드룡의 유리 구두」의 서사 구조를 분석한 결과 도입부와 결론 그리고 이야기 말미의 교훈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입부와 결말부를 중심으로 방정환이 원본에 대한 의도적 변형을 통해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방정환이 도입부 변형을 통해 어머니를 잃은 산드룡과 조국을 잃은 조선인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고, 결말부 변형을 통해 암울한 조국의 현실을 타파하여 새 시대를 열 새 일꾼 어린이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정환은 식민지 조선의 아픈 현실을 겪고 있는 어린아이를 포함한 조선 백성들에게 위안을 주고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페로 버전의 「산드리옹 혹은 작은 유리구두」에 주목했다. 방정환의 번역본은 식민지 조선 백성들에게 타자의 고통을 인식하고 연대의식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작품이었다. 둘째, 방정환은 불쌍한 산드룡의 감정을 고조시키기 위해, 페로의 원작보다 ‘울음’을 다섯 번이나 더 묘사했다. 또 그는 「산드룡의 유리 구두」를 통해 ‘지상천국건설’을 주도할 ‘새 세상의 새 일꾼’이라는 어린이상을 제시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방정환 번역은 일제 강점기라는 제한된 문화 환경에서 ‘같이 울어 주는 문학’으로서의 독특한 글쓰기 지평을 보여주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산드룡의 유리 구두」가 페로 원작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방정환의 강한 주체적 의지, 즉 ‘민족의 계몽과 해방’의지를 주도적으로 투영한 작품임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ng Junghwan’s translation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modification, focusing on 「Sandryong yuligudu」(산드룡의 유리구두). This translated version has been discussed in the sense that his translation is a relay translation of the Japanese vers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Sandryong yuligudu」 was the result of the his extensive reading experience in Tokyo. In additi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due to the discovery of Bang Junghwan’s relay translated version in the early 2000s, the ‘transplant theory’ that Bang’s translation was influenced by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began to be questioned. Hence, It is essential to examine Bang Junghwan’s translation pattern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modification in 「Sandryong yuligudu」 from an independent persp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Perrault’s 「Cendrillon ou la petite pantoufleverre」(산드리옹 혹은 작은 유리구두) and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Sandryong yuligudu’,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beginning, ending, and lesson of the sto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ssage that Bang Junghwan would intentionally convey by modifying the original work, focusing on the beginning and ending part. In particula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e tried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Sandryong, who lost her mother, and Koreans who lost their nation, through modification of the beginning part.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he intended to present the image of children which is new workers who open a new era by overcoming the terrible reality of the natio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ending of the st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ng Junghwan paid attention to the Perrault’s version of 「Cendrillon ou la petite pantoufleverre」 in order to comfort and arouse sympathy for the people of Joseon, including children, who were experiencing the painful reality of colonial Joseon. His translation made the Joseon people feel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compassion for life. Also, this translation was suitable for recognizing the suffering of others and forming a sense of solidarity. In addition, he described five times more ‘crying’ than Perrault’s original work, increasing the sadness of Sandryong. In addition, he tried to suggest the concept of a child, which is ‘a new worker in the new world’ who will lead the ‘building of kingdom of heaven on earth’. Lastly, his translation opened a new horizon for the unique writing style of ‘literature that cries together’ in the limite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reveal that 「Sandryong yuligudu」 is a work that proactively projected Bang Junghwan’s strong will, that is,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of the nation’, which was beyond the limits of the original work.

      • KCI등재후보

        ‘개벽청년’ 방정환 연구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및 청년회동경지회 활동을 중심으로-

        박길수 ( Park¸ Kil-su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방정환은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선구자, 아동문화운동가, 아동교육가, 소년운동가, 언론·출판인, 천도교청년운동가, 동화구연가, 민족운동가, 독립운동가 등의 다양한 정체성을 포괄하는 인물이다. 이에 따라 방정환에 대한 연구는 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하되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방정환과 천도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 성과를 남겼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사상적 배경으로는 동학 교조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 해월 최시형 선생의 어린이 존중사상, 의암 손병희의 인내천 사상 등이 주로 거론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배경으로 개벽 사상을 언급하는 연구도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동학의 개벽사상이 방정환 활동의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으로 보아야 한다고 제안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정환이 전개한 활동, 즉 어린이운동(동화구연과 어린이예술-공연 활동, 강연, 소년운동협회 등 조직 활동), 문학 활동(번안, 창작, 구연) 등이 모두 ‘다시개벽운동’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나는 방정환의 천도교 수련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시절의 수업 내용과, 또 본격적인 활동이 전개되는 토대를 마련하는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 시절의 천도교(청년) 활동, 그리고 어린이 부문 이외의 청년(민족) 운동의 이력을 종합하여, 방정환을 ‘개벽운동가로서의 방정환’ 또는 ‘개벽청년 방정환’이라고 정의하고 그의 활동을 재구성해 보았다. 이는 방정환을 ‘어린이운동가(문학가)’와 ‘천도교 활동가’로 이원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활동이 천도교 활동으로서, 그 핵심 철학이 ‘다시개벽’이었음을 밝히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방정환의 운동적 역량 강화에서 ‘김기전’에 국한되었던 영향의 자장을 박달성과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의 강사들에게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어린이 운동을 비롯한 방정환의 모든 활동이 천도교의 인내천주의의 시대적 표현인 ‘개벽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나는, 그런 점에서 방정환의 모든 활동을 ‘개벽운동’으로 정의하고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증했다. 이러한 관점의 연구로서는 이제 막 출발점에 선 셈이다. 이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할 과제와,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자료)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Bang Jung-Hwan is a pioneer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 child culture activist, a child educator, a activist for a boy and girl, a media publisher, a Young Men’s Cheondogyoian Association activist, a fairy tale storyteller, a national activist, and an independence activist. Accordingly, research on Bang Jung-Hwan has been conduct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various field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ng Jung-Hwan and Chondoism also left considerable results. As for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Bang Jung-Hwan’s children’s movement, the Sicheonju(侍天主) idea of Donghak teacher Suun Choi Je-woo, Hae-wol Choi Si-hyeong’s idea of respect for children, and Uiam Sohn Byeong-hee’s idea of Innaecheon are mainly mentioned. In particular, recently, research has been published that mentions the idea of Gaebyeok as the background of the Bang Jung-Hwan Children’s Movement.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Gaebyeok ideology of Donghak should be viewed as an in-depth and essential characteristic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and present the rationale. Activities that Bang Jung-Hwan developed, namely, children’s movements (storytelling, children’s art-performance activities, lectures, organized activities such as the Youth Movement Association) and literary activities (translation, creation, oral presentation) can all be redefined as ‘Dashi Gaebyeok Movement.’ The contents of the classes during the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where Bang Jung-Hwan’s training in Chondoism was intensive, and the Chondogyo (youth) activities during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Tokyo Branch’,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full-scale activities, and By synthesizing the history of the youth (national) movement, I defined Bang Jung-Hwan as ‘Bang Jung-Hwan as a Gaebyeok activist’ or ‘Gaebyeok youth Bang Jung-Hwan’ and reconstructed his activities. This is not to divide Bang Jung-Hwan into two categories: ‘Children’s activist (literary writer)’ and ‘Cheondogyo activist’, but revealing that all his activities were Chondogyo activities, and that his core philosophy was ‘Dashi Gaebyeok’. In this process, the field of influence, which had been limited to ‘Kim Ki-Jeon’ in the strengthening of Bang Jung-Hwan’s athletic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In this paper, I argued that all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including the children’s movement, were based on the ‘gaebyeok ideology’, an expression of time’s of Cheondogyo’s Innaecheonism. And I argued that in that respect, all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need to be defined and positioned as the ‘gaebyeok movement’. In this thesis, I mainly dealt with the period that provided the driving force and foundation for Bang Jung-Hwan’s activities, namely, the period when Bang Jung-Hwan formed his thoughts and ideas, the process of initiation to Cheondoism, the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and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Tokyo Branch. Research from this point of view is just beginning.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the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task to be further researched and the power (data) to continue the research.

      • KCI등재후보

        소파 방정환의 삶과 동심

        안경식 ( An Gyeong-sik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2 No.-

        방정환의 어린이사상과 철학은 동심에서부터 시작한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출발점도 동심이다. 방정환의 문학과 예술, 교육도 동심을 이해하지 않으면 파악하기 어렵다. 동심에 대한 이해는 방정환의 삶을 이해하는 열쇠이자 방정환의 사상을 해석하는 관건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은 방정환의 동심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 논문의 제2장에서는 방정환의 마음에 대한 견해를 고찰했다. 방정환은 언제, 어떠한 계기로 마음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는지를 그가 남긴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방정환의 동심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였다. 그는 왜 동심에 주목했는지, 동심을 통하여 그가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동심과 예술의 관계를 서술하였다. 방정환이 예술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고찰하고, 동심이 아동예술의 본질임을 서술하였다. 결론에서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의 한국사회에서 동심을 소환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hildren’s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Bang Jung-hwan begin with childhood mind. The starting point of the children’s movement in Bang Jeong-hwan is also childhood mind. The literature, art and education of Bang Jeong-hwan are also difficult to grasp unless they understand childhood mind. Understanding childhood mind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life of Bang Jeong-hwan and the key to interpreting the ideas of Bang Jeong-hwan. In this point, this paper chose childhood mind of Bang Jung-hwan as the subject of study.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I examined the views on the mind of Bang Jung-hwan. I examined when and how he became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the mind through a poem left by Bang Jung-hwan. In the third chapter of the paper, I examined the views of Bang Jung-hwan’s childhood mind. I examined why he was interested in childhood mind and what message he was trying to convey through childhood mind. I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ind and art in chapter 4. After examining the reasons why Bang Jung-hwan became interested in the art movement, I explained that childhood mind was the essence of children’s art.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reason why childhood mind should be recalled again in Korean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후보

        『학생』지에 실린 방정환의 글 텍스트와 학생운동의 방향성 고찰

        장정희 ( Jang Jeung-hee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이 글은 1929년 3월 방정환이 창간한 『학생』지의 총 18개호를 대상으로 수록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검토하고, 방정환이 지향한 학생운동의 방향을 고찰한 논문이다. 『학생』지에 수록된 ‘권두언’ ‘논단’ ‘숙직실’에 포함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정리하였다. 또 논란이 되었던 ‘쌍S’ 필명과 관련하여 『학생』에 발표한 차상찬의 글 「조기 1년」을 주목했다. 이 글에 의하면 차상찬은 자신의 별호를 ‘송작’이라고 하고 있다. 본고는 『별건곤』에 실린 ‘송작’과 ‘쌍S’을 상호 견주어 봄으로써 ‘쌍S’가 차상찬의 필명임을 추적해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학생』지에 나타난 방정환의 학생운동 방향과 그 방법을 고찰했다. 첫째, 방정환은 ‘학생들’을 ‘어린이의 지도자’ ‘우리 사회의 준 지도자’로 인식했다. 둘째, 방정환은 ‘하기방학’ 동안 학생들이 ‘조선’ ‘민족의식’의 전파자가 될 수 있도록 『학생』지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 항목과 강습회 조직 방법, 한글 보급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셋째, 방정환의 ‘학생운동’은 그의 ‘어린이운동’에 뒤이은 자연스러운 순차적 운동 방향이었다. 총체적으로 본고는 방정환의 학생운동 방향을 3.1혁명 이후 제2의 민족적 독립운동을 준비하는 ‘총동원령’의 기초 운동으로 해석했다. 본 논의는 『학생』에 수록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방정환 작품을 조명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어린이운동 선구자’로만 평가되어 온 방정환이 ‘학생운동’을 통해 일제강점기 전민족적 운동을 조직적으로 실행해 간 점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text of Bang Jung-hwan’s writing in the magazine Student published by Bang Jung-hwan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ent movement he aims for. First, I investigated the text of Preface, Thesis, and Diligence Room. In particular, I conducted a study on the controversial nickname Double S and noted Cha Sang-chan’s < Wake up early 1Year > published in “Haksaeng(학생)”. In this article, Cha Sang-chan calls his nickname Songjak. I compared the writings of “Songjak(송작)” and “Double S” in “Byulgeongon(별건곤)” and said “Double S” was Cha Sang-chan’s nickname.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student movement of Bang Jung-hwan in the journal “Haksaeng(학생)”. First, Bang Jung-hwan recognized ‘students’ as ‘children’s leaders’ and ‘quasi-leaders of our society’. Second, Bang Jung-hwan appealed for specific implementation items, methods of organizing classes, and the need to distribute Hangeul(한글) through the “Haksaeng(학생)” magazine so that students can become propagators of “Josun(Korea)” and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Summer vacation.” Third, Bang jung-hwan’s “student movement” was a natural sequential movement direction following his “children’s movement.” Overall, this paper interpreted Bang jung-hwan’s direction of the student movement as the basic movem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decree” to prepare for the seco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1st Revolution. This discussion attempted to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works of Bang Jeong-hwan in the future by reviewing the text of Bang jung-hwan’s writing in Student overall. In addition,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Bang Jung-hwan, who has only been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children’s movement,”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 entire Japanese colonial era national movement through the “student movement.”

      • KCI등재후보

        방정환의 번역 양상과 내러티브 변형의 특징--「산드룡의 유리 구두」를 중심으로-

        지신영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방정환이 번역한 「산드룡의 유리 구두」를 통해 그의 번역 양상과 내 러티브 변형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 관해서 많은 논자는 방정환의 번역 양상을 일본어판의 중역이라는 범주 안에서 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정환의 「산 드룡의 유리 구두」 번역이 먼저 그가 일본 동경 유학 시절에 경험한 엄청난 독서 체험 의 결과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2000년대 초 방정환의 중본 발굴로 인해* 경희대 박사과정 수료, gsyong72@naver.com.66 8호방정환의 번역이 일본 아동문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기존의 ‘이식론의 관점’에 의 문이 제기되기 시작한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방정환의 번역양상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산드룡의 유리 구두」에 나타난 방정환의 번역 양상과 내러티브 변형의 특징 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페로 원본인 「상드리옹 혹은 작은 유리구두」와 방정환이 번역한 「산드룡 의 유리 구두」의 서사 구조를 분석한 결과 도입부와 결론 그리고 이야기 말미의 교훈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입부와 결말부를 중 심으로 방정환이 원본에 대한 의도적 변형을 통해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방정환이 도입부 변형을 통해 어머니를 잃은 산드룡과 조국 을 잃은 조선인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고, 결말부 변형을 통해 암울한 조국의 현실 을 타파하여 새 시대를 열 새 일꾼 어린이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정환은 식민지 조선의 아픈 현실을 겪고 있는 어린 아이를 포함한 조선 백성들에게 위안을 주고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페로 버전 의 「산드리옹 혹은 작은 유리구두」에 주목했다. 방정환의 번역본은 식민지 조선 백성들 에게 타자의 고통을 인식하고 연대의식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작품이었다. 둘째, 방정환 은 불쌍한 산드룡의 감정을 고조시키기 위해, 페로의 원작보다 ‘울음’을 다섯 번이나 더 묘사했다. 또 그는 「산드룡의 유리 구두」를 통해 ‘지상천국건설’을 주도할 ‘새 세상의 새 일꾼’이라는 어린이상을 제시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방정환 번역은 일제 강점기라 는 제한된 문화 환경에서 ‘같이 울어 주는 문학’으로서의 독특한 글쓰기 지평을 보여주 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산드룡의 유리 구두」가 페로 원작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방정환의 강한 주체적 의지, 즉 ‘민족의 계몽과 해방’의지를 주도적으로 투영한 작품임 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소파 방정환의 일본 유학 시기 활동

        성강현 ( Sung¸ Kang-hyun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방정환은 1920년 9월부터 1923년 9월까지 만 3년간 일본에서 활동하였다. 지금까지 방정환의 일본 활동은 도요대학의 유학 생활로 알려졌지만 이는 방정환의 3년간의 일본 생활의 일부분이었다. 방정환은 기본적으로 개벽사 동경특파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3년간의 일본 생활을 통해 본명과 필명으로 21회에 걸쳐 11편의 글을 『개벽』에 발표하였다. 천도교청년회 창립의 중심 멤버였던 방정환은 동경에 도착한 직후부터 천도교 유학생을 모아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를 조직하고 초대 지회장을 맡았다. 그는 자신의 하숙집인 계림사에서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의 준비모임과 종교행사를 거행하며 1921년 2월부터 동경지회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천도교의 최고기념일인 4월 5일의 천일기념일에 발회식을 가졌다. 동경지회장으로 활동하던 방정환은 1923년 어린이 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지회장에서 물러났다. 방정환은 1921년 동경연수영어학교를 다니면서 정식으로 일본의 대학에 입학하려 하였지만 민원식 살해사건으로 20여 일간 구금되어 조사를 받았다. 이 여파로 방정환은 도요대학 문화학과의 청강생으로 입학하여 조선인 유학생들과 친분을 맺고, 이들과 함께하기 방학을 맞아 국내에 순회 강연대를 조직하여 유학생으로서 학문에만 전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계몽에도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방정환은 1922년 3월 30일 도요대학을 자퇴함에 따라서 그의 유학 생활은 1년이었다. 그의 자퇴 이유 역시 어린이 운동에 전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정환은 일본에서 아동문학에 관해 관심을 갖고 당시 일본의 아동문학과 세계의 동화를 공부하였다. 그 결과 1921년 말에 세계의 동화를 선정해 번안한 『사랑의 선물』을 탈고하였고, 1922년 7월 국내에서 발행하였다. 『사랑의 선물』 출판은 방정환이 아동문학가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방정환은 1921년 5월 1일 천도교청년회에서 분립한 천도교소년회를 중심으로 김기전과 함께 어린이운동에 매진하였다. 또 방정환은 일본에 있으면서 색동회를 조직해 어린이 운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였다. 방정환은 어린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하고 어린이날을 제정해 어린이 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1923년에 들어와서는 『어린이』의 발간과 색동회 활동에 전념했다. 방정환은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을 계기로 국내에 정착하였다. 그는 3년간 일본에서 활동했지만 1/3인 12개월 가량은 국내에서 활동하였다. 3년간 방정환은 국내와 일본을 오가며 개벽사 특파원으로, 천도교동경지회의 지회장으로, 천도교소년회의 핵심 지도자로 어린이날과 『어린이』를 창간하고, 색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방정환은 일본 활동 시기를 통해 자신의 활동 방향을 어린이 운동으로 정립하였다는 점이 가장 큰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Bang Jung-Hwan was active in Japan for three years from September 1920 to September 1923. Until now, Bang Jung-Hwan’s activities in Japan were known as studying abroad at Toyo University, but this was a part of Bang Jung-Hwan’s three-year life in Japan. Bang Jung-Hwan basically worked as a Tokyo correspondent for Gaebyeoksa. Through his three years of living in Japan, he published 11 articles in ‘Gaebyeok’, 21 times under his real name and pseudonym. Bang Jung-Hwan, who was a central member of the founding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gathered Chondoist international students right after arriving in Tokyo to organize the Tokyo Branch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and served as the first branch president. He held preparatory meetings and religious events for the Tokyo Branch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at his boarding house, Gyerimsa, and conducted the activities of the Tokyo Branch from February 1921. Bang Jung-Hwan resigned from the branch president in 1923 to focus on the children’s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1920, while attending the Donggyeong Language Training School, Bang Jung-Hwan tried to formally enter a Japanese university, but was rescued for 20 days due to Min Won-Sik’s murder case and was investigated. In the aftermath of this, Bang Jung-Hwan entered the Department of Culture at Toyo University as an audit student and became close with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took the lead As Bang Jung-Hwan dropped out of Toyo University on March 30, 1920, his study abroad life was one year. His reason for dropping out was to devote himself to the children’s movement. Bang jung-hwan was interested in children’s literature in Japan and studied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world fairy tales at the time. As a result, at the end of 1921, he published ‘The Gift of Love’, which was adapted by selecting fairy tales from around the world, and was published in Korea in June 1922. The publication of ‘The Gift of Love’ made Bang Jung-Hwan recognized as a children’s writer. Bang Jung-Hwan devoted himself to the children’s movement together with Kim Ki-Jeon, centering on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which was spun off from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on May 1, 1921. In addition, while in Japan, Bang Jung-Hwan organized the Saekdong Association to foster talents who could support the children’s movement. Bang Jung-Hwan popularized the term children and established Children’s Day, leading the children’s movement. In 1923, he devoted himself to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the activities of the Saekdonghoe. Bang Jung-Hwan settled in Korea in the wake of the Great Kwandong Earthquake on September 1, 1923. He was active in Japan for three years, but he was active in Korea for about one-third (12 months). For three years, Bang Jung-Hwan traveled back and forth between Korea and Japan, serving as a correspondent for Gaebyeoksa, as the branch president of the Chondogyo Tokyo branch, and as the core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he founded Children’s Day and ‘Children’ and worked as a member of the Saekdonghoe. It can be said that Bang Jung-Hwan’s greatest achievement is that he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his activities as a children’s movement through his Japanese career.

      • KCI등재후보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 프로젝트 Ⅱ -덴마크-독일-오스트리아 방정환 탄생 120주년 기념 행사-

        송영숙 ( Song¸ Young-sook ) 방정환연구소 2020 방정환연구 Vol.3 No.-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 프로젝트 Ⅱ(2019.11.4.∼11.11.)는 2018년도 아테네한글학교에서 시작된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에 이어, 2019년 덴마크-독일-오스트리아에 걸친 3국 문화 교류단의 활동으로 기획된 특별 행사이다. 특히 2019년은 방정환 선생 탄생 120주년이 되는 해로, 마침 탄신일인 ‘11월 9일’에 맞춰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기념행사를 치른 최초의 일이기에 남다른 역사적 감회가 있다. ‘2019년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 프로젝트’의 행사는 크게 3부로 이루어졌다. 먼저, 안데르센의 묘역과 생가, 기념관을 답사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맞춰 기획 출간한 『방정환이 뽑은 안데르센 동화』(해설 장정희)를 안데르센 묘에 헌정하고, 동 책을 안데르센 기념관에 기증하였다. 11월 9일 방정환 선생 탄생일에는 비엔나한글학교에서 1교시 ‘한글학교 책 수업’으로 11명의 작가가 참여하였다. 2교시부터 서울독서교육연구회 책고리공연단이 마련한 방정환 이야기마당극 <토끼의 재판>을 공연하였고, 이어서 참가 작가 23명과 서울독서교육연구회가 마련한 <방정환과 한국 아동문학전 120>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방정환 탄생 120주년 기념을 최초로 유럽에서 가졌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또 한국 방정환을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한국 어린이운동과 아동문학의 선구자 방정환 선생의 정신이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전해질 수 있도록 이 프로젝트를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Bang, Jung-hwan Globalization ProjectⅡ(2019.11.4∼11.11) to inform Bang Jung-hwan’s world is a special event organized by the activities of the trilateral cultural exchange group across Denmark, Germany and Austria in 2019 after the Bang Jung-hwan globalization event that began at the Athens Korean Language School in 2018. In particular, 2019 marked the 120th anniversary of Bang Jung-hwan’s birth. It is the first time to hold a commemorative event overseas, not at home, in time for its birth date, “Nov. 9,” so there is a special historical feeling. The first event of the “2019 Project to Announce to the World of Bang Jung-hwan” was to visit Andersen’s grave, birthplace and memorial. We dedicated “The Andersen Fairy Tale selected by Bang Jung-hwan” (interpretation Jang Jeung-hee) to Andersen’s tomb and donated it to the Andersen Memorial Hall. The Vienna Korean Language School event consisted largely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eriod, 11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participated in the “Hangeul School Book Class.” From the second period, the ceremony was held in the auditorium to mark the 120th anniversary of Bang Jung-hwan’s birth. The participants performed Bang Jung-hwan’s “토끼의 재판(judgment of rabbit)” The third part held the “Bang Jung-hwan and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Exhibition 120” at the Hangeul School Gallery. The event has a historical meaning that it was the first time in Europe to celebrate the 120th anniversary of Bang Jung-hwan’s birth.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promote the Korean equation to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project so that the spirit of Bang Jung-hwan, a pioneer in the Korean children’s movement and children’s literature, can be passed on to children around the world.

      • KCI등재후보

        방정환 구연 설화의 특성과 의미--온돌야화(1927), 조선민담집(1930) 수록본을 중심으로-

        박현숙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이글은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와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수록된 방정환 이 제보한 설화 6편의 특성과 의미를 분석한 연구이다. 방정환이 제보한 6편의 설화는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에 실린 <산과 강>, <어느 양반의 이야기>, <포도대장>, 온 돌야화에서 57편의 설화를 추가한 Folk Tales from Korea(1952)에 실려 있는 <호박 장군>,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실린 <개와 고양이의 구슬>, <수탉전설>이다. 먼저, 방정환의 설화 서사 구성 전략을 전통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 통적인 설화 구성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서두(序頭) 공식구’와 ‘용궁 노정’ 화소의 삽 입과 같은 ‘공식적 표현’의 활용이다. ② 대표적인 설화문법인 ‘대립과 과장 기법’의 사* 춘천교육대학교, piece71@hanmail.net98 8호용이다. ‘대립과 과장’은 <호박 장군>에서처럼 ‘식욕’과 ‘배출’의 상황적 대립과 과장, <산과 강>, <포도대장>에서처럼 거성(巨性)과 소성(小性)의 인물적 대립과 과장으로 드 러나는데 방정환은 이를 통해 설화다운 해학적이고 유쾌한 웃음의 미학을 완성한다. 개성적인 텍스트 구성의 변주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구전설화의 구성 요소를 당대 의 현실성과 민족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변주한다. ② 단일서사에 다른 서사를 결합하 는 방식의 ‘복합서사화’ 변주가 두드러진다. ‘복합서사화’는 핵심 단일서사의 조합, 여러 구전설화 에피소드에 창작 에피소드 병합으로 이루어진다. 방정환은 설화의 서사 구성 에서 여러 에피소드 병합의 변주를 통해 ‘인과응보’ 주제의식을 강화하여, 일제 식민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대중에게 희망을 제시하였다. ③ 설화의 서사 구성에 ‘미스터리 기 법’을 적용하고 있다. 방정환 구연 설화의 의의는 첫째, 기존의 아동문학으로 국한된 방정환의 연구 범위를 성인 향유 대상의 구술문학까지 확장하였다. 둘째, 설화 서사 구성의 변주 속에 방정환 동화에 주로 담긴 사회적 의미가 함의된 바, 방정환 구연 설화의 서사문법적 특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셋째, 방정환 구연 설화에 변주된 화소와 기법은 현대 동화 창작에서 활용적 가치가 크다.

      • KCI등재후보

        근대의 관점과 사진 매체 -방정환의 소년사진소설 「금시계」와 루쉰 역 「금시계」 함께 읽기-

        김아람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7 No.-

        이 글은 방정환의 사진소설 「영호의 사정」, 「금시계」에서 사진 매체가 보여 주는 근 대성과 현실주의, 대중성을 탐구한 논문이다. 먼저 방정환과 루쉰이 문학에 헌신하기까지 삶의 공통점을 살펴보고 특히 근대 매체 인 사진과의 관련성을 탐구했다. 제국주의와 봉건제도의 부조리 속에서 나아갈 길을 고 민하던 그들은, 환등기가 상징하는 근대적 시각으로 조국과 자신을 돌아보았다. 이후 그 들은 폐습에 물들지 않은 어린이와 청년에게 희망을 걸고 문학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키 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방정환 사진소설 두 편과 루쉰의 번역동화 「금시계」를 비교하였다. 루쉰의 「금시계」와 방정환의 「금시계」는 금시계와 기차라는 근대의 상징물과 도시 빈민 소년 주인공, 금시계 도난 사건을 공유하며 현실주의 어린이문학을 이끌었다. 그중 방정환 사 진소설은 사진의 재현성을 십분 활용하여 사회구조적 문제로 고통받는 어린이의 현실을 보여준다. 일제의 침탈과 근대 문물을 배경으로, 구시대의 어른에게 존중받지 못하는 어 린이, 초기 자본주의 경제를 보여주는 도시에서 사회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빈민 문제 를 반복하여 조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방정환 사진소설의 대중성을 탐구하였다. 어린이 독자 특성, 문맹률이 매 우 높았던 시대, 현실주의 경향 텍스트와 결부하여 특히 사진 매체가 어떤 역할을 하였 는지 살펴보았다. 서사의 재미를 끌어올리기 위해 방정환이 사용한 다양한 사진 활용 방 법을 분석하고, 글 서사의 발전과 발맞춰 사진 활용 기법 또한 심화시키려 하였던 점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방정환이 근대적 시각으로 조국을 돌아보며 갖게 된 사회에 대한 문제의 식과 희망을 어린이 독자에게도 조속히 전하고자, 사진소설이라는 장르를 만들고 반복 하여 발전시켰다고 보았다. 그 과정에서 사진 매체가 현실주의 서사의 사실성과 대중성 에 기여한 바를 살피고 현대 어린이를 위한 멀티미디어 서사 창작에도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방정환 구연 설화의 특성과 의미 -『온돌야화』(1927), 『조선민담집』(1930) 수록본을 중심으로-

        박현숙 ( Park Hyeonsuk )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이글은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와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수록된 방정환이 제보한 설화 6편의 특성과 의미를 분석한 연구이다. 방정환이 제보한 6편의 설화는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에 실린 <산과 강>, <어느 양반의 이야기>, <포도대장>, 『온돌야화』에서 57편의 설화를 추가한 『Folk Tales from Korea』(1952)에 실려 있는 <호박장군>,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실린 <개와 고양이의 구슬>, <수탉전설>이다. 먼저, 방정환의 설화 서사 구성 전략을 전통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설화 구성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서두(序頭) 공식구’와 ‘용궁 노정’ 화소의 삽입과 같은 ‘공식적 표현’의 활용이다. ② 대표적인 설화문법인 ‘대립과 과장 기법’의 사용이다. ‘대립과 과장’은 <호박 장군>에서처럼 ‘식욕’과 ‘배출’의 상황적 대립과 과장, <산과 강>, <포도대장>에서처럼 거성(巨性)과 소성(小性)의 인물적 대립과 과장으로 드러나는데 방정환은 이를 통해 설화다운 해학적이고 유쾌한 웃음의 미학을 완성한다. 개성적인 텍스트 구성의 변주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구전설화의 구성 요소를 당대의 현실성과 민족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변주한다. ② 단일서사에 다른 서사를 결합하는 방식의 ‘복합서사화’ 변주가 두드러진다. ‘복합서사화’는 핵심 단일서사의 조합, 여러 구전설화 에피소드에 창작 에피소드 병합으로 이루어진다. 방정환은 설화의 서사 구성에서 여러 에피소드 병합의 변주를 통해 ‘인과응보’ 주제의식을 강화하여, 일제 식민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대중에게 희망을 제시하였다. ③ 설화의 서사 구성에 ‘미스터리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방정환 구연 설화의 의의는 첫째, 기존의 아동문학으로 국한된 방정환의 연구 범위를 성인 향유 대상의 구술문학까지 확장하였다. 둘째, 설화 서사 구성의 변주 속에 방정환 동화에 주로 담긴 사회적 의미가 함의된 바, 방정환 구연 설화의 서사문법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방정환 구연 설화에 변주된 화소와 기법은 현대 동화 창작에서 활용적 가치가 크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ix folktales reported by Bang Jung-hwan, which are included in Jeong In-seop’s Ondolyahwa(1927) and Son Jin-tae’s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The six folktales reported by Bang Jung-hwan are as follows. < The Moutains and the Rivers >, < The Story of a Gentleman >, and < The Police Marshal > are included in Jeong In-seop’s Ondolyahwa(1927). < General Pumpkin > is included in Folk Tales from Korea(1952), which added 57 folktales to Ondolyahwa. In Son Jin-tae’s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 Dog and Cat’s Bead > and < Legend of the Rooster > are included. This paper examines the text composition strategy of folktales chosen by Bang Jung-hwan, focusing on the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folktale narrative composition. Bang Jung-hwan’s traditional composition strategy of folktale utilizes formulaic expressions,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insertion of the ‘introductory formula’ and ‘the palace of sea kings journey’ motif. He also uses folktale grammar of confrontation and exaggeration. In < The Moutains and the Rivers > and < The Police Marshal >, the humorous and hilarious aesthetics of laughter of folktales are completed through the confrontation and exaggeration of characters with giant and small characteristics. His strategy of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unique texts transform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oral folktales into ingredients that reinforce the reality and nationality of the time. In his folktales, a variation on making ‘multiple narrative’ of combining a single narrative with other narratives stands out. Making ‘multiple narrative’ is completed by combining a single core narrative and merging creative episodes into several oral folktale episodes. In the composition of the folktale’s text, Bang Jung-hwan strengthened the theme awareness of ‘punitive justice’ through variations of the merging of several episodes, and presented hope to the public in the dismal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He also applied the ‘mystery technique’ to the text of folktale. The first significance that can be found in Bang Jung-hwan’s folktales is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on Bang’s author theories and works, which were limited to children’s literature, to oral literature for adults to enjoy. Second, the social meaning mainly contained in Bang Jung-hwan’s fairy tales in the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folktale text, confirming the narrative grammar of Bang Jung-hwan. Finally, the motifs and techniques that are varied in the folktales of Bang have great utility value in the creation of modern fairy t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