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노지재배 감귤원 내 귤굴나방 월동태 구명

        권순화,신기혜,문영일,김동순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4

        귤굴나방은 제주도 감귤원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이지만, 상대적으로 월동생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귤굴나방이 월동과 관련하여 다음 해 초기개체군 발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발육단계별 저온 실내실험과 야외실험 및 노지 감귤원 포장조사를 통하여 구명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저온 조건에서 귤굴나방의 발육단계에 따라 생존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충이 번데기보다 더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귤굴 나방 성충과 번데기를 야외 감귤원에 접종한 후 생존기간을 평가한 결과, 서귀포지역에서 성충은 다음 해 3월 24일까지 생존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서귀포지역의 봄순 발아가 3월 중순에 시작된다는 사실을 고려했을 때 성충태로 월동한 귤굴나방이 다음 해 초기개체군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번데기의 경우 제주시와 서귀포에서 1월을 넘기지 못하고 모두 사망하였다. 또한, 노지 감귤원 내 귤굴나방 발육단계별 밀도조사에서 다음 해 봄까지 노지 감귤원에서 생존한 번데기는 없었던 반면 성충은 모든 과원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해 볼 때, 제주도의 노지 감귤원에서 귤굴나방은 성충태로 월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번데기의 경우 신초에 형성된 용방에서만 생존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겨울철 동해 피해를 받기 쉬운 신초에서 월동 후 다음 해 초기개체군 형성에 기여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Citrus leafminer (Phyllocnistis citrella)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est in citrus orcha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ver-wintering stage of P. citrella through experiments on the survival rate of P. citrella at low temperatures and field investigations during the winter sea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period depending upon the over-wintering stage of P. citrella at low temperatures, and the adults survived longer than the pupae. Evaluation of the survival period after inoculating citrus orchards with P. citrella adults and pupae showed that only the adults survived until mid-March of the following year, but all pupae died in January. This suggests tha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germination of spring shoots in Jeju generally begins in mid-March, over-wintering adults are likely to form an early population the next year. However, pupae may no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initial population in the early season after wintering in fall shoots that are prone to freezing damage in winter because P. citrella could only survive in pupal chambers formed in fall shoot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citrella adults that emerge in late autumn can over-winter in citrus orchards in Jeju, Korea.

      • RCP 8.5 기상 시나리오에 따른 진딧물 5종의 포괄적 적합도 평가

        권순화,박정훈,오성오,김태옥,고경훈,고명수,안문일,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국내 농작물의 중요 해충인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무테두리진딧물, 콩진딧물 등 5종에 대하여 향후 RCP 8.5 기상시나리오에 따른 포괄적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진딧물 내적자연증가율(r)과 온도와의 관계는 곤충발육율 모형의 하나인 Lactin-모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내적자연증가율은 기존 보고된 자료와 국내 개체군 실험자료를 종합하여 이용하였다. 서식처 온도와 각 진딧물 최적온도와의 차이를 포괄적 적합도로 취급하였는데, 이를 TSM(thermal safety margin)으로 정의 하였다. TSM이 ‘0’에 가까울수록 포괄적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내적자연증가율이 최고가 되는 온도를 추정하여 해당 진딧물의 최적온도로 이용하였다. 추정된 최적온도는 상기 5종에 대하여 각각 28.1, 25.1, 27.9, 28.9, 26.3℃ 이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1k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RCP 8.5 기상시나리오에 따라 10년 단위 계절별 TSM 값을 계산하였다. 각 TSM 값을 10등급으로 세분화하여 포괄적 적합도의 변화를 GIS 지도에 표출시켰으며, 년도 및 계절별 포괄적 적합도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 공간에 의한 청소년의 피해-가해 중첩(overlapping) 행동에 관한 연구

        권순화,정채연,이현수,조은경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1

        This study is a theoretical literature study on youth bullying,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actual status of offline victimization-cyber offending overlapping and its mechanism of occurrence.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offline bullying victims had higher reactive aggression and self-control than offline bullies, but lower proactive aggression, and many of them were bullies in cyberspace. In other words, offline bullling victims who have become perpetrators of cyberbullying cannot express aggression in reality,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yberbullying was commit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online disinhibition and ease of expressing motivation due to the anonymity of cyberspace affect this phenomen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of occurrence of overlapping phenomena between offline bullying victim and cyberbullying. 이 연구는 청소년 불링에 대한 이론적 문헌 연구로서 국내외 연구를 검토하여 오프라인 피해-사이버 가해 중첩 현상의 실태와 그 발생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검토 결과, 오프라인 불링 피해자는 반응적 공격성과 자기 통제력은 불링 가해자보다 높았으나 선제적 공격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사이버 공간에서는 불링 가해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이버 불링의 가해자가 된 오프라인 불링 피해자들은 현실에서 공격성을 표출하지 못하지만 사이버 공간이 가진 특성으로 인해 사이버 불링 가해를 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에 따른 온라인 탈억제 효과, 동기 표출의 용이함 등이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오프라인 불링 피해와 사이버 불링 가해 간 중첩 현상의 발생 기제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국내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시기 예측모형 개발

        권순화,황록연,최철우,현재욱,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Hope(Coleoptera: Cerambycidae)는 소나무재선충병을 유발하는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주요 매개충으로 국내 소나무림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의효과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솔수염하늘소 월동유충의 우화시기예측 시스템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솔수염하늘소의 월동 후 발육단계별 온도발육 특성을 구명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우화시기 예측모형을 개발하여솔수염하늘소 성충의 발생시기를 예측함으로써, 솔수염하늘소의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시기 예측모형은 솔수염하늘소의 월동유충과 용의 온도의존적 발육실험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후, 2016년과 2017년의 솔수염하늘소 성충우화패턴과 비교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

        중년기 성인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다중매개효과

        권순화,김민경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5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의 다중매개를 검증하 여 우울의 감소를 위한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전국의 중년기 남녀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 으며, SPSS 21.0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애착안정은 우울에 부적 (-)인 영향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안정은 정서인 식명확성에 정적(+)인 영향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적(-)인 영향을, 애착안정은 정서표현양 가성에 부적(-)인 영향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정서표현양가성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성인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은 다중매개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ulti-mediation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middle age was verified to reduce depress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440 middle-aged men and women nationwid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stable attach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ve a positive(+) effect for depression. Second, stable attachment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v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stable attach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ird,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have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refor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적산온도 계산방법에 따른 페놀로지 모형 결과의 차이에 대한 고찰

        권순화,현승용,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현재 적산온도는 절지동물의 생물학적 현상(우화, 생식, 성장 등)의 발생시기를 추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많은 적산온도 계산법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적산온도 모형의 계산방법은 대부분 mean-minus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환경에서 적산온도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서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 곤충(솔수염하늘소, 진딧물, 가루깍지벌레 등)들을 대상으로 그 차이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mean-minus법을 기반으로 계산할 경우 국내 기상환경에서 특정한 시기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른 계산방법(sine wave method 등)이 대안으로서 활용 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The bimodal adult activity of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caught in pheromone traps in Jeju can be explained by the competitive attractiveness of dying pine trees

        권순화,고명수,박정훈,한태완,김경범,신창훈,김동순 한국곤충학회 2019 Entomological Research Vol.49 No.4

        The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Hope (Coleoptera: Cerambycidae), is known to be the primary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Nickle that causes pine wilt disease. Adult activity of M. alternatus caught in a pheromone trap on Jeju Island of Korea showed a bimodal form with the first peak in mid to late June and the second peak in mid to late September. The two peaks were separated between mid and late August, showing a valley. Accumulated degree‐days predicted that the emergence of the second generation adults could be possible just before the second peak. But actually no adults of the second generation occurred in the field development experiments of M. alternatus in 2016 and 2017. Pine trees without oleoresin flow (namely dying trees by the infection of pinewood nematode) were abundant during early July to early August. The bimodal adult activity pattern of M. alternatus could be partially explained by the competitive attractiveness of dying trees against pheromone traps, when we accepted the assumption that dying pine trees attract strongly M. alternatus.

      • KCI등재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production of sexual morphs of Aphis gossypii (Hemiptera: Aphididae) in Jeju, Korea

        권순화,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sexual morph of A. gossypii. Photoperiod and temperature unequivocally affected the production of sexual morphs of A. gossypii. The transition rate of A. gossypii to sexual morphs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day lengths. No gynoparae or males were induced in 13 h day length at temperatures between 15 and 24 °C. No sexual morphs were observed at temperature above 21 °C regardless of the day length.We have provided a predicted percentile curves of sexual morph occurrence in relation to photoperiod and temperature. Using this model, critical day lengths at 50% production rate of sexual morphs were calculated to be 12.34, 12.32 and 12.11 h at 14, 16 and 18 °C, respectively. The model output predicted well the first male occurrence in the field. Also, this density curve should be useful to understand population dynamics of holocyclic life cycle of A. gossypii in a changing environment.

      • 해충 개체군 모형의 응용: 곤충 휴면발육모형의 개발전략과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활용방안

        권순화,김정환,김태옥,오성오,박정훈,김수빈,현승용,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온대지역에 서식하는 곤충(해충)은 환경을 생육에 부적합한 극단적인 환경을 극복하기 위하여 휴면이라는 독특한 전략을 발달시켰다. 지금까지 휴면유기와 관련된 관심은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휴면타파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인 경우가 많았다. 기후변화는 생육기 해충의 발생양상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특히 휴면생태에 교란을 주어 다음년도 발생시기 변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휴면이 유기된 곤충이 휴면 후 발육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휴면타파의 과정이 필요한데 그 과정을 휴면발육이라고 정의했을 때, 휴면상태에 있는 곤충의 발육단계는 절대불응기, 휴면발육기, 휴면후발육기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월동기 일정간격으로 채집하여 가온사육한 결과(복숭아심식나방, 사과혹진딧물)를 바탕으로 각 발육 상태의 존재여부와 발육특성을 분석하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은 5~15℃ 범위에서 휴면발육(휴면타파)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최고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고, 절대불응기 없이 자발적으로 휴면발육단계로 이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과혹진딧물은 온도에 따라 복잡한 발육반응을 보였는데, 상대적으로 고온(19℃ 이상)에서는 절대불응기와 같은 반응을 보였으며, 19℃ 미만 온도에서는 휴면발육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모형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RCP 8.5 기상 시나리오 환경 하에서 내적자연증가율을 이용한 목화진딧물의 개체군 성장 적합도 평가

        권순화,김수빈,김태옥,오성오,김성기,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Hemiptera : Aphididae)은 채소나 화훼작물 뿐만 아니라 과수의 중요한 해충이다. 고온성 해충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향후 지 구온난화에 따라 다발생이 우려되는 해충이기도 하다. RCP 8.5 기상시나리오에 따라 국내 기상환경에서 목화진딧물의 기후적응능력을 평가하였다. 목화진딧물 내적자연증가율(r)과 온도와의 관계는 곤충발육율 모형의 하나인 Lactin-모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내적자연증가율은 전 세계적으로 기존 보고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후시나리오에 따라 내적자연증가율의 변화, 개체군 증가를 유인하는 서식처 온도증가 폭을 나타내는 TSM(thermal safety margin) 및 ETSM (extended TSM)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대 내적자연증가율을 나타내 는 온도는 28.1℃로 추정되었으며, 이를 최적온도(Topt)로 간주하였다. TSM은 서 식처온도와 Topt와의 차로 구하였고, ETSM은 서식처 온도와 이와 동일한 반대쪽 내적자연증가율과 대응하는 온도와 차이로 구하였다. 국내 76개 관측지점에서 여 름철(6~8월) 평균 목화진딧물 내적자연증가율은 2010년 0.3430에서 2050년 0.3493로 증가하였으나, 2100년에는 0.0417로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여름철 평균 TSM은 2010년 4.7℃에서 2.4℃로 변동하였으며, 2100년에는 -0.6℃로 감소하였 고; ETSM은 각각 7.7, 3.4, -0.6℃ 이었다. 즉 2050년까지는 증가추세를 보이나 그 후 감소하여 2100년경에는 현재보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