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ilander 벤치마크의 분석과 확장

        권성호(Sungho Kwon),김유진(Youjin Kim),김경태(Kyungtae Kim),표창우(Changwoo Pyo)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C

        2003년 Wilander와 Kamkar가 프로그램 방어 툴 평가에 사용한 모의 공격 프로그램은 다양한 버퍼 오버플로우 기법으로 코드 포인터를 조작해 공격코드로 제어가 이동하도록 시도한다. 본 논문은 Wilander 시험 프로그램 일부와 실제 사건과 관련되었던 악성 코드 사이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이 작업은 평가결과로부터 프로그램 방어 도구의 실효성 예측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이 시험 프로그램에 슬래퍼 웜이 사용하였던 공유 라이브러리 연결 테이블(GOT)을 공격하는 시험 프로그램을 추가하였다. 이와 같은 공격패턴의 다양화는 프로그램 방어 도구 평가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 통섭(統攝)의 관점에 따른 교육공학 접근 방법의 재조명

        권성호(Sungho Kwon),신종호(Jongho Shin),정태희(Taehee Chung),오현숙(Hyunsook Oh),문수진(Soojin Mo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7 학습과학연구 Vol.1 No.-

        통섭(統攝)은 진리를 향한 하나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각되면서 제학문의 연구에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통섭이라는 개념과 이에 근거한 방법론이 교육공학이라는 학문 연구에 의미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통섭의 관점은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은 단순한 학제간 (Inter-disciplinary) 연구를 뛰어 넘어 각 학문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학문의 개념과 방법론들이 녹아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범학문적 연구(trans-disciplinary study)를 지향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을 통섭적 개념에 근거하여 재탐색하였다. 교육공학이 타학문들과 적당한 수준에서 혼합 활용될 경우, 특히 문제해결 도구 및 기술로 인식될 때 교육공학은 학문으로서의 정체를 밝힐 수 없으며,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통섭적 관점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의 내부적 통섭과 외부적 통섭을 추구할 때 극복될 수 있다. 교육공학이라는 이론적?실천적 목적 해결을 위해서는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학문 영역의 본질적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주어진 연구문제를 파악해나가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분야에서의 영역 간의 상호보완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 즉, 외부적 그리고 내부적 통섭의 관점이 필요한 시기이다. As consilience emerges as a new method to seek after the truth, it draws considerable attentions for studying all related subjects. Then, what does the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 method based on this concept imply in te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concepts and there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at consilience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diversity. Thus,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heading to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 and concept of each discipline beyond simpl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which it should be intended to pursue trans-disciplinary study developing new ideas by blending them. Accordingly,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concep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from consilience perspective. Educational Technology cannot only establish its identity as the discipline, but also limit its development in case that Educational Technology is blended with other disciplines and applied just at the proper level and especially that it is considered as one of problem-solving tools and techniques. These problems will be resolved when Educational Technology expands a view from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perspective. To achieve theoretical and practical purpos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the time that externally need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als of various disciplines and grasp the research subjects and that internally needs experiments to support and comprehend boundaries in the same field. That is the perspectiv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 KCI등재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사역 역량에 관한 연구

        권성호(Sungho Kwon),김효숙(Hyosook Kim),정효정(Hyojung Ju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기독교교육정보 Vol.35 No.-

        교회의 교육사역자들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과 다음세대의 사고방식 및 행동문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점점 스마트해지는 환경은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고 교육사역자가 공동학습자가 되는 관계의 혁명을 초래하고 있다. 결국,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회교육은 교육사역자와 학생 간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토대로 한 새로운 역량 개발에 대한 논의로 귀결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회교육을 위해 교육사역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도출ㆍ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환경에서 자란 다음세대 및 교육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스마트 교육사역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일반교육 및 기독교교육에서 논의되어 온 교사 역량과 스마트 미디어 문화리터러시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역량 모델을 제시하였다.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교육사역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담과 교사 및 교역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스마트 교육사역 역량은 ‘영적 영역’(7개 역량), ‘교육적 영역’(10개 역량), ‘관계적 영역’(12개 역량)이며, 각 영역은 인식 차원의 ‘기초 역량’과 행동 차원의 ‘실천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변화하고 있는 시대 흐름을 주도하고 다음 세대와 수평적 파트너십을 이루는 미래지향적인 교육사역자의 역량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도출된 역량 모델은 교사 및 교역자의 역량을 진단하고, 필요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유러닝의 도전과제

        권성호(Sungho Kwon),이정은(Jeongeun Lee)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9 학습과학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의 본래적 속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 설계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를 확인하고 현재 구현 가능한 기술을 중심으로 유러닝의 도전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네가지 도전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 배치하여, 이것이 학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환경은 학습자에게 학습의 영감을 주고 학습자원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둘째,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와 학습을 통해 창출되는 지식은 다시 학습으로 연결되는 선순환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학습의 무대를 제공해야 한다.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식의 창출이고, 창출된 지식이 다시 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하는데,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은 이러한 순한을 위한 장치를 포함해야 한다. 셋째, 학습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학습시스템 및 인프라 요소의 관리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태도 및 체질개선 작업이 요구된다. 학습자는 각기 특징에 따라 학습에 각각 기여를 하게 되는데,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역할이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학습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산출물과 폐기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 설계에서는 다양한 기술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오히려 중세의 도제제도나 서당 등의 교육에서 시도한 교육 및 학습의 본래적 특성과 함께 학습생태계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nature of learning and to apply it for analyzing challenges of designing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 (i) to provide attractor for having effects on motivating learner to research and learning after a long enough time, (ii) to set up feedback loop from creating knowledge to cultivating knowledge for making knowledge and sharing the knowledge with learning community, (iii) not only to innovate learning system and infrastructures, but also improving learners’ attitude and behavior as learning community member. It needed to make careful preparations for ulearning how we design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권성호(Sungho Kwon),김성미(Sungmi Kim)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미디어와 교육 Vol.1 No.1

        젠킨스(Jenkins)는 미디어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미디어를 변형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추구하는 현상을 가리켜 컨버전스(Convergence)로 지칭하고, 미디어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상호작용적인 참여문화(Participatory Culture)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교수학습 현장에서 맥락, 연결,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문화, 사회의 역동적 관계를 다루는 젠킨스의 관점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소셜 미디어를 기반한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로 보고, 소셜 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새롭게 재개념화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표출하고 지식과 정보를 취사선택하고 재조합하는 창의력인 ‘구성력’, 상호작용, 공유 및 협업을 통하여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소통하고 결과를 사회적 수준으로 확산시키는 능력인 ‘파급력’, 정보 원천의 신뢰성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과 공동체에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인 ‘성찰력’이라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nceptualize digital literacy in the Social media era. According to Jenkins, based on two keywords-Convergence and Participatory culture, this research suggests a new digital literacy in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based on Social Media which has expansion of context,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Finally, it consists of three sub factors: ‘construction skill’ the ability to identify themselves and appropri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luence skill’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and to diffuse the results throughout society, and ‘reflection skill’ the ability to analyze the credibility of reference source and suggest critical alternatives in problem-solving for themselves and their community.

      • 중 · 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권성호(Kwon, Sungho),현승혜(Hyun, Seunghye)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e-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탐색하여 e-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수용능력과 이용능력 그리고 활용능력으로 구분하여 40-50대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20-30대 젊은층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비교하였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촉진 및 저해 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셋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라 e-러닝 과정에서 정보 및 지식 공유 그리고 창조적 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e-러닝 경험이 있는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연구전문기관에서 개발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지’를 재구조화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젊은층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비교하였을 때 수용능력 및 이용능력은 유의미하였으나 활용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촉진요인으로 ‘업무에 필요해서’가 가장 많았고, 저해요인으로는 ‘인터넷 활동을 하는데 지장이 없어서’가 가장 많았다. 셋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라 e-러닝 과정에서 정보 및 지식 공유 그리고 창조적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규명한 결과, 이용능력 및 활용능력에서는 유의미하였으나 수용능력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러닝과정에서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e-러닝 교수-학습 설계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puting technology has impacted on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 Now people can learn anything, anytime, anywhere with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 Galaxy Tab, I-pad, and so on. These changes also have impacted on ways of using the internet contents or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cent study, many young people create and share media contents they produced. However, these changes might not be easier for the middle aged people to access, use, and produce the internet contents or information with the digital devices comparing to young people. Therefore, the middle aged people should need abilities of digital devices. Digital literacy is a necessary ability of middle aged adults for continuous social activities and lifelong learning in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such as aging society, low birth rate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media surge, and so 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through previous studies of the middle aged adults for analysis and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which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We also investigated how participants share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with other participants during e-learning courses through the questionnaire. Finally,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between the digital literacy skills and e-learning after conducting the online survey to 500 participants. The result of survey showed that middle aged adults have higher capabilities of digital literacy than 20s and 30s people. As a result of comparing of digital literacy skills by ag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but productivity of digital literacy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measuring of middle aged adults’ participation during e-learning, usability and Productivity of digital literacy have shown significant but accessibility i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analysis and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abilities and quality of online learning and to design of assessment tools and evaluation systems which can properly measure and evaluate leaning contents and learning curriculums of lifelong learning. In addition, the value of this study would be a way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adults’ learning styles with digital literacy.

      • KCI등재

        운동선수의 ‘절실함’에 대한 개념 및 구조 탐색과 척도개발

        권성호 ( Sungho Kwon ),문민권 ( Minkwon Moon ),안효연 ( Hyoyeon Ah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5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athletes’ Julsil and to develop the scale of Julsil. Method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thletes’ Julsil,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9 national-level athletes in 10 sports. Preliminary questions for Athletes’ Julsil Scale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inductive contents analysis on the interview transcripts. To evaluate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survey of 464 athletes. Results: Using the inductive contents analysis on the in-depth interview, three sub-factors were classified such as expectation of success, self-control, and perseverance and overcoming. Also, results from factor analyses and correlation analysis defined total fifteen items for the Athletes’ Julsil Scale (five items for each factor), and identified internal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 KCI등재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 검증

        권성호 ( Sungho Kwon ),장도진 ( Dojin Jang ),이도흥 ( Doheung Lee ),이승주 ( Seungjoo Lee ),김태우 ( Taiwoo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429명의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418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절실함의 하위요인 중에서 인내와 극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선수의 절실함은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몰입 또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에서 운동몰입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동선수의 절실함이 높을수록 운동상황에 더 몰입하게 되어 자신의 경기력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of athlete Julsil,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athletes. Method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an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data of 418 athletes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Perseverance and overcoming, the sub-factor of Julsil, was identifi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sub-factors of Julsil. Second, Julsil of an athle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also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ulsil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flow was also noted. Conclusion: Julsil was a source of flow in the context of sport, and it could be a prior variable for peak performance.

      • 유러닝 학습자 정보관리 모델 개발

        권성호(Sungho Kwon),이정은(Jeong eun Lee)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0 학습과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러닝 환경 구현을 위해 관리되어야 하는 학습자 정보를 정의하고 유러닝 학습자 정보 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러닝은 기존 이러닝보다 학습에서의 이동성과 학습자의 학습상황에 맞는 진단 및 학습 처방이 강조된 학습환경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상황정보 수집과 이에 진단 및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유러닝 학습자 정보는 맞춤형·적응적 학습을 위한 진단 자료, 학습자의 단말기 고려, 정보관리 유형 다양화, 학습자 정보 표준화, 학습자 개인 정보 보호 강화 등 5 개 요소를 고려하여 수집 관리되어야 한다. 유러닝에 필요한 학습자 정보 모델은 6 개 항목 26 개 요소로 도출되었는데, 각기 중요도에 따라 필수 관리 요소와 선택요소로 구분하고 수집 및 관리방법을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유러닝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가 상세하게 수집 분석되어야 하나, 학습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학습자가 정보 수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er information model for u-learning. ULearning emphasizes a learner-centered adapted learning system.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u-learning and e-learning. We draw out the five design principles of learner profile for u-learning: information for adapt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nsidering the device of learners, diversifying the type of information management, standardizing learner information, and improving privacy. Finally, we developed the learner profile model of u-learning based. We validated the model by expert review and then elaborated u-learning learner profile elements and classified those into mandatory information and optional inform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llect variable and specific learner"s information for managing u-learning efficiently, but also the additional system needed to support the learner"s choice of whether they should give their private information or not.

      • 교육공학의 실천영역에서 효과성 연구에 대한 재조명

        권성호(Sungho Kwon),신상희(Sanghee Shin),진선미(Sunmi Jin),한승혜(Seunghye Hyun),정승환(Seunghwan Ju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7 학습과학연구 Vol.1 No.-

        최근 들어 교육공학의 제이론과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 개발, 도입된 교수-학습미디어들이 과연 실제 학습자의 창조적 사고와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교수-학습미디어 효과성 연구의 쟁점과 실제 연구 결과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 어떤 것인지 살펴보고, 새로운 교수-학습미디어 연구의 대안으로서 주어진 학습맥락 안에서 학습자와 교수-학습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최근에 모든 학문의 영역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생태학, 복잡계에 대한 논의와 이와 더불어 보다 포괄적인 분석의 틀로써 활동이론에 대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새로운 교수-학습미디어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educational media ? whether they can improve learners"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issues and current research framework abou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media. Furthermore, Ecology, Complex Systems, and Activity Theory are discussed as new perspectives and research framework for the effectiveness study of education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