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모성경험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미(Sungmi Kim),심인선(Insun Sh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여성연구 Vol.72 No.-

        이 연구는 여성장애인 모성경험의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언어장애를 가진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여성장애인의 모성보호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주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장애인 155명을 조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의 모성경험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는 수준이었고, 장애유형에 따른 모성경험만족도는 시각장애, 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청각장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 만족도는 그리 높다고 볼 수는 없었고, 경제적인 면에서 특히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도 삶의 질 만족도에 차이가 났는데, 무학이나 초등졸 학력을 가진 여성장애인 보다 대졸학력을 가진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에 따른 삶의 질 만족도 차이는 청각여성장애인이 시각여성장애인이나 지체여성장애인 보다 삶의 질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급에 따른 삶의 질 만족도는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월소득 정도에 따른 삶의 질 만족도 차이는 매우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성경험과 월소득, 즉 경제적 여건이었다. 여성에게 있어 모성경험은 단지 임신, 출산, 수유와 같은 생물학적 경험의 범위를 넘어 그간 여성으로서의 역할부여 없이 살아온 여성장애인에게 어머니’로서의 새 역할이 부여되고, 인권의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 하나의 인간으로서의 경험이자, 사회문화적 의미를 학습하고, 존재의미를 새롭게 깨달을 수 있는 매우 중대한 경험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maternity experiences to quality of life to 155 women, who live in Jeju, with disability such as mental retardation, brain impairment, sight disorder, and hearing-language disorder. They satisfy their maternity experiences generally. The level of satisfaction shows in order of sight disorder women, mental retardation women, brain impairment women and hearing-language disorder women. Their satisfaction of quality of life does not high, especially about economical situation.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College graduates’ level is higher than uneducated person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There is a differences about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rade of disability. The higher grade of disability shows lower level of the satisfaction of quality of life. The disabled women who has higher income marks higher satisfaction of quality of lif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are maternity experience and income. The maternity experience is not only biological ones such as pregnancy, child birth, or nursing but also a new role, ‘motherhood’, to them who do not have a role as a woman. It can also be a human right. The experience is a experience as a human and a chance to understand their existence.

      • KCI등재

        또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만2세 영아의 수학적 경험

        김성미(Sungmi Kim),김희태(Wheetai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실내 자유놀이 시간의 쌓기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만 2세 영아들의 수학적 경험이 또래 간 상호작용의 어떤 맥락에서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의 숲속어린이집 초롱반 영아 7명을 대상으로 약 8개월 동안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아들의 수학적 경험이 나타나는 또래 상호작용의 맥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는 수학적 경험, 둘째, 또래와의 경쟁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학적 경험, 셋째, 수학적 정보 제공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학적 경험, 넷째, 일상의 언어를 통한 수학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들의 수학적 경험이 일상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맥락임을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가 수학적 경험을 일상에서 풍부하게 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고 또한 영아들의 수학적 경험이 일상에서 풍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제공의 필요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ontext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s experiences with peers during block play activities at the classroom in a child care center. Seven two-year-old infants were observed for eight months in their classroom. This study found several findings of infants’ mathematics experiences with peers during their free play activities as follows: first, interests in peer play set off the mathematics experience of infants during free play, second, infants with competition during play with peers connected to the mathematics experiences, third, peers’ various information on mathematics during play made the infants mathematics experience during play, and forth, infants’ everyday conversation with peers was an important context to get any mathematics experienc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making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teachers to interact with infants on mathematics communication and experiences with peers. Also this study will be a great help for supplying teachers for infants to interact with peers on mathematics experiences.

      • KCI등재

        무속의례에서 연희되는 보법 비교 연구

        김성미(Kim Sungmi)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7

        본 연구는 한국 경기도당굿, 중국 나희, 일본 가구라, 인도 떼이얌 의례를 진행하면서 추는 춤동작들 중 보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네 나라는 해안을 따라서 발달한 무속문화로서 각 나라의 무속의례 속에서 보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사방치기, 중국의 강보, 일본의 헨베, 인도의 바닥치기 동작들은 각 나라마다 동작의 특이성은 있지만, 악귀들을 물러나게 해 정화되는 주술적인 의미는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보법 한 동작 한 동작에도 각 나라별 정서와 정신세계가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속에서 춤은 보법과 무술(巫術), 주술(呪術)등이 서로 결합하는 보충구조를 통하여 그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춤 속에 가장 기본이 되는 보법은 무속의례를 연희하는 데 엄숙함과 경건함을 더해주며, 각 나라의 문화와 사회의 차이와는 상관없이 주요한 춤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Step movement is the most basic component of any forms of dance as it is the key to accumulate kinetic energy of a body, allowing free and artistic movements of hands and various parts of upper-body. Korean Foot Reaching Steps, Chinese Gangbo, Japanese Henbe, and Indian Flapping the Surface movements are unique and distinguishable in their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all similarly represent shamanistic objective to cleanse and withdraw evil spirits from the world. Step movements are the fundamentals of a dance performance and by such; the performance can flow with meaningful variations and even a single variation of movements can demonstrate different mentality and customs of many countries. Therefore, in shamanist customs, a dance illustrates its own strong individual characteristic by collaboration of step movements, shamanistic practices, and sorcery. Among these various components of shamanist customs, the most primary component, step movements amplify devoutness and sacredness of shamanistic performances and despite considerable dissimilarities respective to different social and ethnic backgrounds it is situated in the centre of a whole concept of dance.

      • KCI등재

        A Qualitative Analysis on Facilitating Factors and Conflicting Factors of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Park, Sunhee(박선희),Kim, Sungmi(김성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인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교교양 수업(2011년 2학기)과 전공 수업(2012년 1학기)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수업을 시행하였고, 수업은 강의와 그룹 발표가 있는 오프라인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온라인이 병행되는 블렌디드 학습으로 진행되었다. 성찰일지, 인터뷰, 참여관찰의 질적 분석으로 학습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 도출하였다. 소셜 미디어 활용의 촉진 요인은 즉시적인 연결 증대, 여러 학습 주체와 친밀감 확장, 멀티미디어 중심의 실제적 과제 제시, 단문 댓글 활동을 통한 브레인스토밍 기회 증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상호작용 유도, 신기술에 대한 호 기심 유발 등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습 저해 요인은 정보 검색, 업로드, 저장, 수정 시 불편함, 미디어간 연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정보 소음 증가, 타인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상호작용의 비활성화, 사생활 침해 불편, 책임 회피, 신기술에 대한 낯섦과 거부감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수업을 운영하고자 할 경우 학습의 촉 진 요인과 저해 요인을 고려하여 교수설계 전략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ing using Facebook, one of the social media. After designing and completing the liberal arts(2nd semester in 2011) and major courses(1st semester in 2012) in college using Facebook, the researcher derived the facilitating factors and conflicting factors through an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logs,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classroom observation The classes for the present research was proceeded as a type of blended learning, consisting of offline classroom learning with lectures and group presentations, and online learning using social media. In this research facilitating factors of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offers to increase immediate connection, to identify extended intimacy, to suggest multimedia based practical tasks, to provide more opportunity brain storming through text and feedback message, consistently to facilitate positive interaction, to stimulate curiosity about new technology. On the other hands, conflicting factors have included in inconvenience of searching, uploading, saving, and editing the information, increase in unnecessary information noise from linkage between media, deactivation in interaction with a lack of information of other person, a feeling of discomfort from privacy infringement, avoidance of responsibility, unfamiliarity and resistance toward the new techn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instructional design of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권성호(Sungho Kwon),김성미(Sungmi Kim)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미디어와 교육 Vol.1 No.1

        젠킨스(Jenkins)는 미디어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미디어를 변형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추구하는 현상을 가리켜 컨버전스(Convergence)로 지칭하고, 미디어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상호작용적인 참여문화(Participatory Culture)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교수학습 현장에서 맥락, 연결,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문화, 사회의 역동적 관계를 다루는 젠킨스의 관점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소셜 미디어를 기반한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로 보고, 소셜 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새롭게 재개념화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표출하고 지식과 정보를 취사선택하고 재조합하는 창의력인 ‘구성력’, 상호작용, 공유 및 협업을 통하여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소통하고 결과를 사회적 수준으로 확산시키는 능력인 ‘파급력’, 정보 원천의 신뢰성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과 공동체에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인 ‘성찰력’이라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nceptualize digital literacy in the Social media era. According to Jenkins, based on two keywords-Convergence and Participatory culture, this research suggests a new digital literacy in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based on Social Media which has expansion of context,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Finally, it consists of three sub factors: ‘construction skill’ the ability to identify themselves and appropri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luence skill’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and to diffuse the results throughout society, and ‘reflection skill’ the ability to analyze the credibility of reference source and suggest critical alternatives in problem-solving for themselves and their community.

      • 교육적 어포던스 증진을 위한 사용자 중심 설계 스마트 포트폴리오 프로토타입 개발

        황윤자(Hwang, Yun-Ja),김성미(Kim, Sungmi-Mi)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적 어포던스를 중진 시키기 위해서 사용자 중심 설계 과정에 스마트 포트폴리오 프로토타입(SPP: Smart Portfolio Prototype)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육적 어포던스는 스마트 포트폴리오라는 학습환경에서 제공하는 구성요소가 학습자들에게 자연스런 학습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 설계 과정에 따라 인터뷰를 통한 교육적 어포던스 요구 분석, 페르소나 기법 및 시나리오를 통한 과업 분석을 토대로 개념 및 정보 구조 설계를 통해 제시된 1차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전문가에게 사용성 평가를 받아 최종적으로 SPP이 개발하였다. 그 결과 SPP에서는 정보도구, 자원 도구, 표현 도구, 피드백 도구, 사회적 도구의 5가지 도구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공학교육은 물론 교육의 전 영역에서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맞는 새로운 차원의 스마트 포트폴리오가 개발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Smart Portfolio Prototype(SPP) as a new eportfolio through User Centered Design to improve educational affordance in mobile 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affordance is related to utility as a functional performance which helps learning resources ultimately able to reach learning goa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UCD process, which consists of needs analysis about educational affordance with interview, task analysis with persona method and scenario, and concept and information structure design, expert’s heuristic evaluation and then finally suggested final version of SPP.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s 5 toolsinformation, resources, representation, feedback and social tool of SPP. Furthermore, it can suggest an idea continuously to develop a new e-portfolio in smart media environment and to apply it for a whole educational area as well as engineer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