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구이동과 지역발전 : 한국에서의 인적자원 유출

        권상철(Sang Cheol Kwon) 한국도시지리학회 200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4 No.1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have taken divergent strategies to achiev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balanced development for the peripheral regions. Human capitals recently gain attention over previous emphasis on physical investment in the era of flexible production and knowledge based economy. However, the relatively mobile and socially selective character tends to bring biased regional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s. In particular, the geographic concentration of selective human capital in the capital region could bring wider center and peripheral regional differentiation termed internal brain drain mostly used for the ca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migra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o the capital region reveals that they are mostly economically active age group with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educational backgrounds moved for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jobs. It suggests that brain drain is involved in the inter regional migration flows widening the polarized spatial economy of Korea.

      • KCI등재

        인구이동과 인적자원 유출: 제주지역 유출 유입인구의 속성 비교

        권상철 ( Kwon Sang Cheol ) 한국도시지리학회 200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6 No.2

        Migration has often been considered as a geographic movement, but it necessarily involves selective nature of migrants’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selective labor market related migrants’ attributes are important to be considered to the recent notions of human capital base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is paper compares the migrants’ characteristics to and from Jeju using the 2 percent individual data sample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from 1980 to 2000. Results show that the migration of Jeju occurs mostly with the Capital region, revealing that migration shows social mobility more over geographic mobility. Out-migrants from Jeju compared to immigrants show higher ratios in studying, in paid workers, in college and over educational background, in professional and technical occupations; for the case of students, they are more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With respect to the recent emphasis on human capital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this study brings attention to the human capital expansion not in static such as nurturing them within regions, but in dynamic such as attracting them considering the higher migration tendencies of professional workers as well as constructing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hips in Jeju.

      • KCI등재

        창조도시의 지역적 변용: 제주 세계 평화의 섬과 평화 산업 사례

        권상철 ( Sang Cheol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2

        창조도시는 세계의 많은 도시에서 후기산업 시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새로운 발전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문화·예술 도시, 창조 인력 중심으로 전개되어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환경 악화 등의 위기 상황 대처에는 한계를 보인다. 이 글은 창조도시를 지역을 발전시키려는 창조적인 사고와 노력으로 확대하여 지역 경쟁력 제고를 통한 현재의 위기 극복을 넘어 미래의 가치까지 내포한 평화 도시를 한 변용으로 제언하며, 제주 세계 평화의 섬을 사례로 지방의 창조도시로 발전시킬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주는 현재 유명 관광지로 변모하였으나, 과거에는 척박한 환경의 변방 섬으로 일제강점기 군사 보루였으며, 4·3사건의 고난도 겪었었다. 최근에는 독특하고 잘 보전된 환경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인문, 자연적 특성은 세계 평화의 섬을 지향하는 제주를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자연간의 평화 추구와 이를 관광을 통해 확산시키며 지역 산업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제주의 평화의 섬 추구는 평화 관광을 통해 인류 보편적 평화의 가치를 확산시키고 동시에 평화 산업을 통해 지역 번영을 가능하게 하는 지방 창조도시의 한 전략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Creative city has become a new urban development paradigm pursued by numerous local governments in post-industrial era wherein culture, art and the creative class centered strategies reveal limits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deepen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This paper considers creative city not as a fixed norm or form but as a process divergent to restore regional competence, and suggests a peace city adding peace to regional development for harmonious and sustainable future. Jeju is the famous tourism destination while the peripheral island has harsh environment, was once being the strategic military bas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suffered the victims of April 3 incident. In 2005, Korean government declared Jeju, Island of World Peace based on the geopolitical location and resolution of the past sufferings. Recently the unique, conserved nature became the UNESCO designated World Natural Heritage site. The peace island and natural heritage provide a foundation for peace tourism learning peace between humans and human-nature interactions, and the peace tourism would be further extended to peace industry. Jeju Island of World Peace could be a context-specific creativity of promoting peace as well as increasing reg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해외자원활동과 글로벌교육의 방향 모색

        권상철(Sang cheol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4

        최근 확대되는 해외자원활동은 대학생들이 주류 참여자로, 방학기간을 이용해 단기로 이루어진다. 이 활동은 대다수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으나 현지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고 개발협력이나 빈곤문제에 대한 이해와 참여를 높이는 교육적 효과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 해외자원활동을 국제개발협력과 연계시키며 현지에서의 봉사활동에 지역이해를 위한 조사 활동을 더해 빈곤과 불평등 상황을 일부나마 경험하며 글로벌교육의 기회로 확대해보려는 시도로 제주대학교 해외봉사활동의 사례를 소개한다. 해외자원활동은 봉사활동과 더불어 지역조사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에서 교류와 협력을 강조하는 최근의 변화와 연계되며 참여자는 개발도상국에서의 빈곤과 불평등을 경험하며 정의적 측면의 성찰과 참여를 강조하는 글로벌교육의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volunteering has been largely support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ir activities have been appraised successful. However, such appraisal is limited since it does not consider the recipients’ priority and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be achievable from global poverty and development issues. This study introduces the international volunteering experienc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which incorporates fieldwork interviewing with local residents while in part recognizing the conditions of poverty and inequality. These efforts along with classroom activities would put the international volunteering to be evolved with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increase volunteers’ global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would have an opportunity for global education based on the reflection of and participation in global poverty and justice.

      • KCI등재

        논문 : 한국 대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지리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찰

        권상철 ( Sang Cheol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3 No.3

        최근 들어 인구이동은 도시간 이동이 주류를 이루며 대도시는 주요 유입지와 유출지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인구이동은 지리적 이동이며 선별적 인구의 사회적 이동임을 고려해 대도시 유입과 유출인구의 이동 방향과 영역 그리고 이들의 사회경제적 속성 비교를 통해 인구이동에서 나타나는 대도시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지리적 측면에서 광범위한 지역에서 인구를 유입하여 한정된 인근 또는 수도권으로 인구를 유출하는 유형, 유입과 유출지역이 유사한 유형, 그리고 인근 지역으로부터 인구를 유입하여 서울을 위시한 수도권으로 인구를 유출하는 유형이 구분된다. 이러한 지리적 이동을 사회적 이동으로 보면 서울은 유출인구에서, 다른 대도시들은 유입인구에서 높은 자가주택 점유율을 보여 주거기능의 역할 차이를 보이며, 취업기능면에서는 서울, 부산, 대구는 고학력, 전문인력이 생산자서비스업에 유입인구가 다수 종사하는 반면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은 고등학교 학력의 제조업, 기능·기술직을 다수 유입하여 대도시간 대조적 양상을 보인다. 이는 지리적 인구이동이 선별적 인구집단의 사회적 이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대도시는 취업과 주거 기회를 선별적 유입·유출인구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주자들은 대도시를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상승의 기회로 고려하여 지리적 이동을 추구한 것으로 인구이동을 고려해 볼 수 있다. Recently, migration has occurred more in urban-to-urban in which large cities have been important as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these migrants. This paper explores the migration flows to and from large cities by examining the spatial pattern of geographic movement and comparing the in- and out-migra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spatial pattern of migration is disclosed in three types: receiving migrants from diverse areas and sending them to a few nearby and the capital area, receiving and sending migrants to and from similar areas, and receiving migrants from nearby areas and sending them to Seoul and other capital areas. To these migrants, Seoul shows lower ratio whereas all other large cities show higher ratios in owner-occupied housing. Seoul, Busan, Daegu receive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producer service workers while send out high school educated skilled workers in manufacturing sector. Other large cities such as Inchon, Gwangju, Ulsan are in contrary to them, receiving high school educated skilled workers in manufacturing sector while sending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workers in producer service sector. These findings provide an understanding the role of large cities in migration with respect to the population redistribution in geographic flow which are associated with social mobi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안 공동체 경제 논의와 제주지역 사례: 마을 공동어장과 이시돌 목장

        권상철 ( Sang Cheol Kwon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4

        최근 자본주의의 신자유주의적 확대에 따른 문제 극복을 위해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등이 대안으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들은 지역에 기초한 공동체 경제를 공통적으로 강조하는데, 대다수 국가들은 자신들의 상황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 자원에 기반한 경제 활동을 발전시켜온 경험과 제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한국에서의 대안 경제 논의는 경제 위기 대응책으로 서구의 경험과 제도에 치중하고 있어, 국내의 소지역 경험을 세계다른 지역의 보편적 원리와 더불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제주는 공동체 경제 사례로 마을 공동어장을 공유재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공동체 경제 이시돌 목장을 생산과 복지를 포괄하는 협동조합형 지역발전 경험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지역 공동체 경제 사례를 외국의 경험과 더불어 찾아보는 노력은 대안 경제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도모하고 실천적으로 다른 지역에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며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Diverse alternative economies have been discussed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the globalizing neoliberal capitalism. Social economy and cooperatives are those focusing on the community economies; most countries have local economy-society based on mutual aid and common properties. Various experiences and institutions across local areas have been evolved to keep using their local resources in sustainable way. While recent social economy discussions in Korea are mostly in relation to economic crisis and focus on the Western experiences and institutions, the local area experiences in Korea are similar to the rules universal across countries along with particulars developed from local circumstances. Jeju has maintained village common fishing ground and Isidore farm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n innovative type of cooperatives. These cases help to find community economies in practices and studying local experiences would enhance the opportunity to succeed in finding and practicing real alternative community economies in other local areas.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ODA)의 지리: 공여국과 수원국에서의 검토와 한국의 경험

        권상철(Kwon Sang-Cheol),이정호(Lee Ju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1

        해외원조는 제2차 대전 이후 복구 지원으로 시작해 OECD DAC의 개발도상국 빈곤 해소와 발전 문제를 지원하는 목적의 공적개발원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선진 공여국이 저개발/소득국을 지원하는 자선적 원조는 여러 방식을 취해오다 1990년대 비서구 신흥 공여국들이 등장하며 개발협력의 호혜적 접근이 확대되고 있다. 신흥 공여국의 새로운 호혜-협력적 접근은 선진 공여국들이 강조하던 인도적 원조에도 영향을 미쳐 실리를 추구하는 모습이 보편화되고 있다. DAC 공여국의 개발원조는 저소득과 중소득으로 양분되어 나타나며, 빈곤국 우선 지원은 국가별로 다양한 지리적 양상을 보인다. 수원국에서는 분쟁국 등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두드러지며 소득수준으로 양분된 모습도 확인된다. 지원은 사회와 경제 분야에 집중하는데 국가별로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난다. 공적개발원조는 수원국 소득 수준 그리고 지원 분야에서 양자적인 모습으로 인도적 그리고 실리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공여국 원조가 실리를 추구하는 모습은 개발도상국내 원조 사업이 수요인구 분포와는 다른 양상이고 다자기구 원조보다 수도에 집중한 것에서 확인 된다. 한국은 수원국에서 발전한 새로운 DAC 공여국으로 대안적 개발원조 방식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으나, 국익을 우선하고 근대주의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어 개선을 필요로 한다. Foreign aid began to recover the World War II ruins, and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has been established by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 countries as the mainstream aid to reduce poverty and development problems in developing countries. There has been a continuous change in aid modalities from modernization to neoliberalism, and since the 1990s non-DAC countries join in a mutually beneficial way different from unilateral top-down assistance. DAC assists low- as well as middle-income countries while the combination is diverse across donors. From the recipients’ side, the ODA goes to fragile states and its sectoral distribution reveals the social and economic focus in which the economic sector is more important among middle-income recipients. The dualistic distribution of ODA across recipients’ income and sector reflects donors’ altruism as well as national interests. The pursuit of national interests is revealed in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 projects within developing countries; bi-lateral project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a few areas in contrast to the wider distribution of multi-lateral ones. Korean ODA is expected to bring a new modality as a new DAC donor. The emphasis on development first needs to be balanced with assisting the poor, and the modernist approach needs to incorporat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