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자연적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일본과 한국의 유아교사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권미량 ( Mee Ryang Kw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친자연적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일본과 한국의 유아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핵심 내용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을 지원할 프로그램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후쿠오카의 M유치원과 한국의 부산에 소재한 P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하여 각 만4세반 교사의 역할 수행과정을 분석하여 자연을 통한 교육적 관계짓기, 참여자로서 공동체적 관계갖기, 일상생활을 소재로 한 돌봄의 관계하기, 감각을 통해 세상을 보는 관계열기, 몸을 움직이고 느끼는 관계풀기, 의식주와 관련하여 관계맺기의 6가지 내용범주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친자연적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 내용을 중심으로 총30시간의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eacher education program with the analysis of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natural relationship in Korea and Jap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 Kindergarten` in Japan, and `P Nursery School` in Korea.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natural relationship showed the 6 categories that are the eductional relationship through nature, the relationship as participants, the relationship in care based on daily life, the relationship through senses, the relationship based on physical activites, and the relationship with regar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This research developed a program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natural relationship.

      • KCI등재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권미량(Kweon Mee R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현황과 요구에 근거하여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교사 면담을 통한 조사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생태유아 교사교육의 현황을 고찰하고, 현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조직원리에 근거한 구성준거를 설정하고, 초안을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타당도를 살폈다.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생태유아교사 2급, 생태유아교사 1급, 생태유아교사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모형으로 직급별 교육목표는 생태유아교사로서의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소양을 돌보는 지속적 과정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교과목 및 교육내용은 생명학의 이해, 생태적 삶, 생태유아교육학의 기초체계, 아동 본성의 이해,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 생태유아교육과정 실천과 운영,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제의 7가지 영역을 직급별로 심화ㆍ확장시켜나가도록 구성되었다. 교육방법 및 운영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운영의 틀을 가지고, 체험과 삶을 중시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that can produce well qualified teachers i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1) to study of the sit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2) to analyze of both the problems and demand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3) finally, to establish of the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irst,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er education, and through collecting data, the problems and needs of contemporary teacher education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tudied. Seco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of the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et, through an experts' advisory committee and the research of propriety. The model of teacher education is established as selected from various teacher education systems. This includes courses to produce experts in teaching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data. So, continu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폐교를 활용한 유아체험시설에 대한 인식 및 활용방안: (구)기장중 철마분교장을 중심으로

        권미량 ( Kweon Mee Ryang ),석선화 ( Suk Sunhwa ),하연희 ( Ha Yeon 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폐교의 활용성의 측면에서 폐교의 적절한 활용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고 (구)기장중 철마분교장을 효율성과 공공성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설문조사, 면담, 기타 현장자료 수집, 전문가 협의회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 교원 모두 폐교가 교육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시설 정비와 안전성 확보를 통해 유아체험시설로 활용되기를 요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체험시설의 브랜드화, 시설의 최적화 정비, 생태적 내용체제개발, 행정 및 운영의 효율화, 체험공동체 구축이라는 추진과제를 통하여 생태적 환경에 특화된 유아체험시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cognitions for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nd the state of it, and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how to make efficient use of Chulma Branch School of former Gijang Middl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as there is a need of utilizing closed schools that are increased in number. Various efforts were made from diverse angles by analyzing literatures, conducting a survey, having an interview, collecting field data and holding a conference with experts. As a result, both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who were investigated considered it necessary to utilize closed school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hey demanded that closed schools should be used as early childhood hands-on experience facilities after being repaired to ensure safety. As for this matter, there are several tasks to be solved including branding of these facilities, repair of closed schools, development of ecological contents, efficient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and building a hands-on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it`s suggested that the kind of early childhood hands-on experience facilities tailored to ecological environments should be prepared to solve the task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와 교사의 관계성 탐색

        권미량 ( Mee Ryang Kweon ),하연희 ( Yeon Hee 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와 교사의 관계성을 부모와 교사가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W시의 유아교육기관 7개소에서 교사8인, 부모10인을 선정하여 면담 및 개인저널을 포함하여 탐색하였다, 그 결과 부모는 교사와의 관계를 다섯 가지 측면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부모는 유아교사를 예쁘고 싹싹한 이미지로 기대하고, 이런 기초 인식에 따라 교사와의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인성을 관계에 있어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세심한 관심과 소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불안이 관계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다양한 훈육관으로 교사의 훈육방법을 걱정하며 관계를 힘들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는 부모와의 관계를 다음의 다섯 가지 접근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첫째, 부모는 시어머니같은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신뢰가 교사를 웃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의 없는 종속관계라는 느낌을 받을 때 피곤해하며 관계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넷째, 교사는 부모와의 소통이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로는 함께 돌보는 부모의 참여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이러한 참여가 있을 때 관계가 발전될 수 있다고 인식함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부모와 유아교사가 모두 소통을 요구하고 있으나 관계성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부모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이나 인성적 측면이 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유아교사는 부모의 교사에 대한 태도나 참여의 보완 등을 통한 관계성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well known and, most certainly. easy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early childhood , (EC) teachers of their children is integral to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 but it is also well-known, that positive, produc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re difficult to achieve. In an effort to know the reason for this common situation, using interviews and personal journals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en parents and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v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W city. Our findings reveal that parents understand and categorize five elements of a parent/teacher relationship. 1) Parents have an expectation that EC teachers will be pretty and mild in manner and parents enter the relationship with this assumption. 2) Parents recogniz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human nature. 3) Parents are aware of the need for good communication regarding concerns related to their children` s development. 4) They are cognizant that a sense of uneasiness could de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5) Indeed, in cases where parents are concern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a teaching method, they find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to be very strained. Teachers also had five elements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1) They often likened the parent/teacher conference to a visit with one` s mother-in-law. 2) Not surprisingly then, the confidence of parents could produce a smiling teacher. 3) Conversely, when parents treated teachers as subordinates, teachers felt fatigue and any relationship spirals negatively down. 4) Teachers recognize that the natur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always difficult. 5) Nonetheless, teachers recognize that the common bond of caring for the children should drive their efforts to build posi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s. Noting that both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the value of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workshops aimed at building trus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in providing parents and teachers with the tools they need to build trus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되어감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권미량 ( Mee Ryang Kw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4년제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가 학년에 따라 어떤 관심사 변화를 가지며, 교육적 요구를 하는가를 사례를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A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각 학년별 10명씩 총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년에 따라서 다음의 4단계로 나타났다. 1단계는 적응과 혼란이 양존하는 시기이며, 2단계는 기대와 좌절이 있는 시기이고, 3단계는 실천과 압박을 경험하며, 4단계는 안정과 미래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4년제 유아교육과라는 특정 사례를 중심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관심사 발달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원양성과정의 구성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hanges in concerns 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has and what educational dem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makes according to a school year in a four-year-course teacher training institute with focus on cases. This study set a total of the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University, with 20 persons by each school year as it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according to a school year. It was found that Stage 1 marked the period of subjects` adjustment and confusion; Stage 2 marked the period of subjects` expectations and frustration; Stage 3 marked the period of subjects experience practice and pressure, and Stage 4 marked the period of stability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ment in concerns with focus on a specific case of the four-year-course department of early d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ects that this research could provide the basid materials for composition of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r for program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기독교 유아교육의 의미와 방향

        권미량 ( Mee-ryang Kweon ),하연희 ( Yeon-hee Ha ),계영희 ( Young-hee Kye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유아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와 부모를 사례로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B시에 있는 교사와 부모 각 2인과 미국의 M주에 있는 교사와 부모 각 2인씩 총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 B시에 소재한 2개 유아교육기관과 미국 M주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2곳의 교육관련 문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면담자료와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상호분석하는 자료원 삼각측정(data triangulation)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유아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분석하여 특수한 영역으로의 접근과 보편적 영역으로의 접근, 기관중심의 실천 요구와 가정중심의 실천요구, 예배중심의 교육과 영성중심의 교육, 문화와 다른 독립적 구성과 문화와 연계된 일상적 구성, 시급한 변화의 요구와 느긋하고 안일한 인식으로 그 현상적 실제가 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ar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 and South Kore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2 parents and 2 teachers from South Korea, and 2parents and 2 teachers from the United States. Each of them was interviewed in depth to gather data of opinions, and 4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elected to gather data of activ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t was analyzed using data source triangle measur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pecial approach and the general approach, the demand about practices based institutions and the necessary about practices based families, the education focused worship and the education focused spirit, The curriculum separated with the culture and the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e, the urgent need for changes and easygoing attitude for chang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아동의 전통놀이에 내재된 수학의 개념 분석

        계영희,하연희,권미량,Kye, Young Hee,Ha, Yeon Hee,Kweon, Mee Ryang 한국수학사학회 2018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31 No.2

        In Nuri curriculum,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presented by 'Our country's plays and arts'. Games in the traditional play culture for children include ones such as tangram, top-spinning game, game of slap-match, sabangchigi. In this paper, we analyse concepts of mathematics in Korean childhood traditional plays. In detail, we show that number concepts, geometric space sense, measure calcul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through 15 Korean traditional g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