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적 심상이 뇌파와 사격수행에 미치는 영향

        권명화 ( Myung Hwa Kwon ),김성운 ( Sung Woon Kim ),전현정 ( Hyeon Jeong Jeon ),이건영 ( Gun Young Lee ),김진구 ( Jin Gu Kim ),우민정 ( Min Jung W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 시각적 심상이 대뇌활성화와 사격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2) 심상시에 유도된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사격 경험이 없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남녀 대학생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의 연령은 18세에서 28세이고 평균연령은 21.3세이며,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이들은 시각적 심상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 되었다. 뇌파분석을 위해서 시각적 심상집단의 경우 1분씩 총 3회 심상동안의 EEG(electroencephalography)가, 통제집단의 경우 1분씩 총 3회 휴식을 하는 동안에 측정된 EEG 가 분석되었다. 집단별 뇌파(세타, 알파, 베타파) 파워 값의 차이와 사격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 시각적 심상시에 측정된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각 주파수 대역의 파워값과 분단별 사격수행 점수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심상 집단은 무심상 집단보다 대뇌활성화의 효율성(neural cortical efficiency)이 컸고, 심상 후 습득단계와 파지단계 모두에서 사격점수가 높았다. 또 심상 시의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상관분석은 심상시의 세타파가 높을수록 사격점수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어 심상으로 인해 유도된 뇌파가 사격수행을 중재할 수도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effects of visual imagery on cerebral cortical activity and rifle shooting performance and 2) correlation between imagery-induced EEG activity and shooting performance. Twenty-four participants who had no previous experience on rifle shooting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8 years (M=21.3 year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1) Visual imagery group (n=12), (2) Control group (n=12). Participants performed 40 acquisition trials, followed by 20 retention trials. Repeated two way ANOVAs have been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1) powers of alpha, beta, and theta band at Fz, T3 & T4 electrode sites and 2) shooting performance during 4 acquisition blocks and 2 retention blocks. Correlation between power values of each frequency bands at each electrode sites and shooting scores have been analyzed. As the result, visual imagery increases psycho-motor efficiency by elevating theta power at task-irrelevant region (T3). Shooting score was higher in visual imagery group relative to control group. Addition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has been observed between theta power at T3 and T4 during visual imagery and shooting scores. This result implies that visual-imagery induced-theta power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mediate the shooting performance.

      • KCI등재

        20개 향료 항원의 첩포 검사 결과에 대한 연구

        은선 ( Eun Sun Kwon ),명화 ( Myung Hwa Kim ),최혜영 ( Hae Young Choi ),명기범 ( Ki Bum Myung ),정승현 ( Seung Hyun Cheong ) 대한피부과학회 201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4 No.8

        Background: The TRUE test and Korean standard series are frequently used to determine the cause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lthough the TRUE test and Korean standard series have some fragrance antigens, they do not include all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labeled fragrances. Moreover, there is no report regarding the patch test result of the KFDA-labeled fragrances in Korea.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positive patch test reactions to the KFDA-labeled fragrances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e TRUE test or Korean standard series. Methods: The patch test was conducted on patients with suspect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fragrances or cosmetics. The fragrance ingredients patch test comprised 20 KFDA-labeled fragrance antigens including fragrance mix (FM)1, FM2, etc. We reviewed the clinical information of patients using the MOAHLFA index. Results: Of 237 patch-tested patients, 21 (8.9%) showed at least 1 positive reaction and 13 (5.5%) showed 2 or more positive rea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AHLFA index were not related to fragrance allergy. Eleven (4.5%) revealed a disagreement in the patch tests of FM and FM1 ingredients. Of 21 patients with fragrance allergy, 3 (14.3%) reacted solely to FM2. Cinnamyl alcohol and cinnamyl were the most common fragrance allergens. Conclusion: If the TRUE test or Korean standard series is solely employed to determine fragrance allergy, false negative cases and patients with contact allergy to fragrance ingredients not included in the FM1 fragrance can be missed.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test the FM and fragrance ingredient antigens simultaneously. (Korean J Dermatol 2016;54(8):622∼627)

      • KCI등재

        노인의 외래본인부담제도에 따른 의료이용의 변화

        명화,순만,Kim, Myung-Hwa,Kwon, Soon-Man 대한예방의학회 201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3 No.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outpatient cost-sharing on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elderly. Methods: The data in this analysis was the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between July 1999 and December 2008 (114 months).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two age groups, namely 60-64 years old and 65-69 years old.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policy change on office visits, the office visits per person, and the percentage of the copayment-paid visits in total visits. Interrupted time series and segmented regression model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outpatient cost-sharing decreased office visits, but it also decreased the percentage of copayment-paid visits, implying that the intensity of care increas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results between the two age groups. Bu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insurance system for those patients under age 65, office visits and the percentage of copayment-paid visits decreased, and the 60-64 years old group had a larger decrease than the 65-69 years old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outpatient cost-sharing on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aged. Cost sharing of the elderly had little effect on controlling health care utilization.

      • KCI등재

        노인의 장기요양이용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명화 ( Myung Hwa Kim ),순만 ( Soon Man Kwon ),김홍수 ( Hong Soo Kim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3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장기요양이용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급성기병원이용과 요양병원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건강보험 청구자료이며,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이면서 2009, 2010년도 장기요양 인정 및 등급판정조사를 받은 23,269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Two-part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요양병원이용의 경우에는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이용한 IV-probit, 2SL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장기요양이용에 따라 급성기병원이용은 이용확률과 비용 모두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요양병원이용은 이용확률과 비용 모두 음(-)의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이용과 요양병원이용은 대체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장기요양비용이 1% 증가할 때 요양병원비용은 0.5%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장기요양이용과 의료이용 간의 관련성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elderly. The sample in this study includes 23,269 people older than 65 who are extracted from 2009-2010 long-term care insurance and health insurance claim data.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namely acute care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Two part model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instrumental variables analysis were used for controlling endogeneity in the group of long-term care hospitals.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long-term care costs on the probabil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experience and costs of health care util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n increase in long-term care cost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utilization of acute care hospitals, but it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When 1% increase in long-term care costs was associated with 0.5% decrease in costs of long-term care hospitals. On the basis of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long-term care utilization and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for older people are substitutes.

      • KCI등재

        아시아 국가의 기술혁신 환경요인이 R&D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철우(Chul Woo Baek),권명화(Myung Hwa Kwon),유승훈(Seong Hoon Yoo) 한국아시아학회 2009 아시아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싱가폴, 대만 등 아시아 5개국의 R&D 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토빗(Tobit) 모형을 통해 개방성, 지식재산권 보호정도, 반독점정책, 학연협력, 벤처캐피털 시장 발전정도 등의 기술혁신 환경요인이 아시아 국가의 R&D 효율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3년 이후 아시아 5개국의 R&D 효율성이 비아시아권의 선진국 수준으로 급성장하였으며, 2003년 이후 한국, 일본, 중국이 R&D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시아 5개 국가에 있어서는 기술혁신 환경이 다른 선진국과 다르게 R&D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비아시아 국가와는 달리 개방성과 지식재산권 보호가 강화될수록 아시아 국가의 효율성은 저하되며, 벤처캐 피털 시장의 발전도 R&D 효율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는 아시아 국가가 기존의 선진국의 논리에 함몰되기 보다는 각 국의 제도적·지리적·문화적 특성을 감안하여 기술혁신 환경을 구축할 것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measures R&D efficiency of five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China, Singapore and Taiwan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analyses the effect of innovation environment factors - opennes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co-research between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 and venture capital market- on R&D efficiency by using Tobit regression. Results shows that rapid increase in R&D efficiency of five Asian countries since 2003 is observed and Korea, Japan and China are evaluated as R&D efficient countries since 2003. Moreover, it is remarkable that innovation environment factors differently effected on R&D efficiency of Asian countries compared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Contrary to non-asia countries, the reinforcement of opennes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venture capital market caused decrease in R&D efficiency. This implies that Asian countries should improve their own environment factors for innovation considering institutional,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아로마 요법이 학업 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

        김우종 ( Woo Jong Kim ),미화 ( Mi Hwa Kwon ),권명화 ( Myung Hwa Kwon ),김진구 ( Jin Gu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5 감성과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로마 향이 학업 스트레스와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피험자는 뇌생리학적 실험에 참가한 경험이 없는 남자 중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아로마흡입 집단과 무향 통제집단에 무작위로 12명씩 할당되었다. 참가자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보영(2007)의 학업스트레스 수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뇌파측정은 국제 10/20 전극배치법에 따라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4개의 영역(Fp1, Fp2, F3, F4)을 측정하였다. 과제는 스트레스 검사지 작성 후 편안한 의자에 앉아 있는 3분 동안 아로마 냄새 맡고 다시 스트레스 검사지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 결과 아로마 흡입집단이 무향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으로 받은 스트레스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알파파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로마 향이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잠재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 oil on EEG and academic stress. Twenty four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mean age 15 year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assigned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1)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Lee Bo-young``s Academic stress level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 stress. WEEG-8 Channel(Laxtha Inc) was used to measure the EEG. Four different areas(Fp1, Fp2, Fp3, Fp4) related to stress were test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 The task was to complete the stress test, to inhale the aroma in a comfortable chair for 3 minutes and to complete the stress test, ag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roma inhalation reduced students`` academic stress. In addition, alpha wave was increased by inhaling the aroma.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romatherapy become a potential tool to reduce the level of stress.

      • KCI등재

        골프퍼팅에 대한 시각적 심상과 운동감각적 심상 시 뇌 활성화 차이

        김진구 ( Jin Gu Kim ),이건영 ( Gun Young Lee ),권명화 ( Myung Hwa Kwon ),은진 ( Eun Jin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3

        피험자들이 골프퍼팅 과제에 대해 운동감각적 심상과 시각적 심상을 하는 동안 기능성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뇌 활성을 측정하였다. 두 가지 심상 유형에 따른 뇌 활성 패턴은 시각적 심상 시 소뇌후엽과 전엽, 후두엽(BA 18, 19), 해마, 두정엽(BA 2, 7, 40), 방추상회(BA 37), 측두엽(BA 37, 39), 보조운동영역(SMA, BA 6), 내측전두이랑(BA 6), 그리고 중심전이랑(BA 6)에서 광범위한 활성을 보인 반면, 운동감각적 심상 시에는 전방대상피질(BA 32), 하두정소엽(BA 40), 중심후이랑(BA 2), 상측두이랑(BA 42), 그리고 전두엽(BA 6, 9, 10, 32)에서 활성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심상이 심상유형에 관계없이 정보를 통합하고, 움직임을 계획하는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전두영역의 활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심상은 후두영역과 소뇌영역 그리고 운동감각적 심상은 실제 수행과 관련된 체감각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심상의 유형에 따라 뇌 활성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A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fMRI) was conducted while the subjects were involved in kinesthetic and visual imagery regarding a golf putting task. Brain activ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imagery showed that the cerebellum (posterior lobe & anterior lobe), the occipital lobe (BA 18, 19), the hippocampus, the parietal lobe (BA 2, 7, 40), the fusiform gyrus (BA 37), the temporal lobe (BA 37, 39), supplemental motor cortex (SMA; BA 6), the medial frontal gyrus (BA 6), and precentral gyrus (BA 6) were activated during visual imagery, whereas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BA 32), the inferior parietal lobule (BA 40), the postcentral gyrus (BA 2), the superior temporal gyrus (BA 42), and the frontal lobe (BA 6, 9, 10, 32) were activated during kinesthetic imager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imagery activates frontal area which combines information and relates to cognitive function of planning motion regardless of types of imagery. It was noted that visual imagery especially activates the occipital area and the cerebellum while kinesthetic imagery activates somatosensory cortex which is involved in execu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brain activ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ma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