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사회복지의 만다라 치유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시론적 연구

        권경임 ( Kwon Kyung - 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현대에 와서 만다라 그리기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미술치료로서 심리치료나 상담프로그램의 치료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만다라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면서 미술치료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불교에서 만다라는 깨달음을 위한 수행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서구에서 만다라는 미술치료를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접근방법에 차이가 있다. 그 이유는 불교에서 만다라는 수행의 방편으로 깨달음을 성취하는데 목적이 있지만, 미술치료에서 만다라는 심리적 안정이나 스트레스 해소,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심리치료에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만다라가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심리치료에만 국한되어있는 현상을 극복하고, 불교사회복지에서 수행과 치유의 기능을 포함한 심리·사회적 통합치유 프로그램으로서의 만다라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연구 내용으로는 불교와 심리치료에서 만다라의 의미와 목적을 알아보고, 만다라 미술치료의 연구경향과 그 치유 효과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불교에서 수행의 방편으로서의 만다라와 미술치료에서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로서의 만다라에 관해 비교 고찰해 보았다. 또한 불교사회복지에서 심리·사회적 통합치유프로그램으로 만다라 치유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사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만다라 치유프로그램의 활용에 관해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dentity of Buddhist social welfare by developing Buddhist spirituality by applying mandala drawing experience as a spiritual healing program of Buddhist social welfare. And the availability of a mandala program to improve both performance and healing. Buddhism approaches the mandala as a means to gain enlightenment, but in the West, the approach is different because the mandala is used as a psychological healing tool for art therapy. Buddhist mandala is intended to gain enlightenment as a result, but mandala aims at psychological healing in order to relax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ension and to increase concentration. Currently, mandala art therapy is a field of art therapy. It is used as a healing tool i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programs, and the research of mandala psychotherapy is increas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meaning and purpose of mandala in Buddhism and psychotherapy, and to discuss the research trends and effects of mandala art therapy. and I compared Mandala as a performance in Buddhism and Mandala as a tool for psychotherapy in art therapy.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development and use of mandala, which can bring both effects of performance and healing, as a spirituality experience program of Buddhist social welfare. For example, the Mandala Art Meditation Healing(MAMH) program and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MGAT) Program are used to help individuals and social interactions. Mandala - Art(MA) is an application that helps people realize their goals in reality with the Mandala style of ideas.

      • 소도체 품질 판정을 위한 RGB 영상처리 기술의 적용 가능성 연구

        권경도 ( Kyung-do Kwon ),모창연 ( Changyeun Mo ),임종국 ( Jongguk Lim ),김기영 ( Giyoung Kim ),강정숙 ( Jungsook Kang ),이영주 ( Youngju Lee ),조병관 ( Byoung-kwan Cho ),이왕희 ( Wanghee Lee ),양승환 ( Seunghwan Y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국내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인력(판정사)에 의해 소고기의 품질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각 나라마다 등급 판정 절차는 상이하지만, 판정 인자는 등급판정부위(국내에서는 좌도체 흉추와 제1 요추 사이의 등심 쪽 절단면)의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등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판정 과정에서 숙련된 판정사일지라도 주관적인 판단이 포함된다. 이를 해결하고 더 객관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와 분석 방법들을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 적용은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의 시각을 대체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Computer vision 장치와 영상처리를 이용한 소고기 품질 평가에 활용될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소고기는 실제 판정에 사용되는 등급판정부위를 등급별(1++, 1+, 1 2, 3 등급)로 준비하였다. 각 시료마다 RGB 영상을 획득하고, 품질 판정을 위해 이 영상들을 이용하였다. 영상처리를 위해 왜곡 및 색상 보정, 배경 제거, 관심영역 추출, 고기와 지방 부위 분할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등급 판정에 주요인자인 근내지방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기초 단계로의 활용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 이를 중점적으로 다뤄 최종 목표인 자동 품질 판정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상담자 요구를 중심으로

        권경인(Kwon, Kyoung-In),김지영(Kim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총 223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다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CQR-M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총 5개 영역, 21개 상위범주, 4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5개의 영역 중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된 요구에는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내용 일반’, ‘내담자 차원의 어려움 대처에 대한 교육’, ‘상담자 차원의 어려움 대처에 대한 교육’, ‘후기청소년특성의 어려움 대처에 대한 교육’이 있었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방법과 관련된 요구에는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 요구의 방법적 요소’가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살 및 자해 상담자 교육에 대한 함의 및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tent elements and method elements of a suicidal and self harm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required by counselors. Methods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shortcomings, 223 counselors were polled by a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were used by an online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QR-M) appropriate to confirm comprehensive and general results for multiple samples. Results As a result, 5 domains, 21 categories, and 45 sub-categories were revealed. Among the five domains, ‘Suicidal and Self Harm Counseling General Education Needs’, ‘Education on Dealing with Difficulties on the part of the Client’, ‘Education on Dealing with Difficulties on the part of the Counselor’, and ‘Education on dealing with difficult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ost-adolescents.’ correspond to training needs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The remaining domain, ‘Method Components of Suicidal and Self-Harm Counseling Training Needs’ refers to training needs in regards to learning method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 suicidal and self harm counseling education.

      • 불교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권경임(Kyung-Yim Kw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7 종교문화학보 Vol.4 No.-

        불교사회복지는 불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응용학문으로 불교에 의한 사회복지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사회복지의 이념이나 역사, 개념과 주체 및 대상, 그 사업이나 유형, 방법이나 대상 등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으로, 역사적으로 사회적인 변동이 있을 때마다 민간복지로서 불교사회복지가 실천해온 모든 활동에 대한 인과법칙을 알아내고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불교는 인간이 고통의 속박에서 해탈하는 데 목적을 두며, 사회복지는 인간이 처한 상황이나 생활상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행복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모든 인간은 생로병사의 한계와 그로 인해 개인적인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고, 착취와 억압, 불평등이나 소외와 같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서 사회적인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기도 한다. 인간은 이러한 고통으로부터 벗어나서 행복해지길 바라면서 다양한 제도와 이념, 과학적 기술들을 발전시켜왔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인간이 어떻게 하면 생로병사의 개인적 고통과 사회적인 고통에서 해탈하여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불교사회복지는 출발하고 있다. 불교사회복지가 정립되기 위해서는 불교와 사회복지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인식해야 하는데, 불교의 관점은 주관과 객관의 양극단을 초월한 중도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의 입장은 주객을 분리해서 주관과 객관을 대립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사실을 규명하려는 이분법적인 논리를 견지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불교사회복지는 불교의 사상을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응용 실천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불교의 측면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불교사회복지의 학관점이 부족하고 사회복지의 측면에서는 불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불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불교의 독자적인 해석이 전제되어야 하고 사회과학적이고 입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사회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천방법이 불교사회복지만의 독자적이며 일관성 있는 접근이 되어야 하며, 불교가 갖는 사회복지적 성격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자선구제사업에서 사회사업으로 현대의 사회복지사업으로 발전해 왔으며, 학문적으로도 처음에는 사회학의 한 분파로 시작해서 여러 학문을 수용하면서 오늘날의 전문화된 사회복지의 형태로 발전해왔지만 완전한 학문의 틀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며 지금도 학문적 진화를 계속해 가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인류의 보편적 복지로서 비젼을 담아내지 못하고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불교는 독자적인 불교사회복지체계가 확립될 수 있을 만큼 풍부한 사상을 가지고 있어서, 인류의 보편적인 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비젼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과 사회와 세계를 포함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편적인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종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논하고, 불교사회복지의 이념과 역사를 고찰하고, 불교사회복지의 실천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Buddhists regard desire and attachment, which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bring sufferings to human beings, as ignorance. When we adhere to materials and mind regarding them as real and eternal, repetition of a vicious circle of inequality of possession and confrontation occurs. People do not realize that every action occurs depending on causes, and their inverted thought to maintain their possession bring alienation and confrontation. Thus,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the moder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the Buddhist Welfare and to suggest its social role is being raised. All the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such as consumptionoriented life style, competitiveness, poverty in affluence, unemployment, human estrangement, lack of view of value, environment exploitation and destruction, and nuclear weapons seem to be the result of imprudence of science and ethics. The position of Buddhism is to understand the complex of existence and value in the modern sense and to show what they should be. According to this, the task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lies in overcoming the dual thought such as dividing mind and material, subject and object, in getting back human independence, and in accomplishing the commensal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society. In the thesis, I looked into the research method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 focused on the way to adapt the thought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ts way of practice to the modern society. And I considered the means to activate the Buddhist Social Welfare by constructing the system of practice for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ts supporting and transferring system.

      • KCI등재
      • CNN 모델을 활용한 작물, 잡초 인식 알고리즘 연구

        권경도 ( Kyung-do Kwon ),김조철 ( Jocheol Kim ),신나리 ( Nari Sin ),최우주 ( Woo-joo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잡초 제거는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과 수확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농작업 중 하나로 수시로 잡초 제거가 진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잡초 제거 시 예초기 및 농기구 사용 미숙에 따른 사고, 근골격계 질환, 농약에 중독되는 등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와 투입되는 노동력 감소를 위해 자동화 및 무인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밭에서 발견되는 잡초를 작물과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스마트 농업기술 발전에 활용하고자 했다. 재배 중인 콩(전라남도 나주)과 콩 주위의 잡초를 함께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했다. 출현기부터 1주일 간격으로 7주 동안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인식 모델 개발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구축했다. 작물과 잡초의 인식을 위해 CNN 기반의 모델을 활용했다. 인식 모델의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Accuracy와 loss가 일정 값에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학습 모델의 깊이와 학습 수를 설정했다. 작물과 잡초의 인식 결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식 모델을 활용하면 선택적 잡초 제거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추후 연구에서 데이터 다양성 확보, 대상 작물 확대 및 인식 알고리즘 최적화를 통해 인식 정확도를 높일 예정이다.

      •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적소 의미적 로킹 기법

        권경인(Kyoung-In Kwon),문송천(Songchun Moon)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3

        실행 시간이 긴 장기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새로운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을 위한 동시성 제어 기법은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동시성 정도를 높여야 한다. 그라나 상용으로 나와있는 OODBMS들은 객체지향 데이타 모델의 풍부한 의미를 활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동시성 제어 기법들을 사용하고 있어서 동시성 정도를 높아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동시성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메쏘드(method)의 의미 정보를 활용하는 적소 의미적 로킹(In-place Semantic Locking: ISL) 이라고 명명한, OODBMS를 위한 동시성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적소 의미적 로킹 기법은 내포 트랜잭션 모델에 바탕을 두어 메쏘드의 교환성을 이용하며, 부객체를 공유하는 복합 객체들이 존재하는 실질적인 OODBMS에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적소 의미적 로킹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Concurrency control schemes for OODBMSs used in new applications with long-lived transactions should increase the degree of concurrency in order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However, most commercially available OODBMSs use conventional concurrency control schemes which never exploit the rich semantics of object-oriented data model, so that they fail to enhance the degree of concurrenc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currency control scheme for OODBMSs, called ISL, that exploits semantics regarding methods to enhance the concurrency degree. ISL scheme utilizes commutativity of methods based on the nested transaction model, and applicable for realistic OODBMSs in the presence of complex objects with shared subobjects. Lastly,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SL scheme by using a simulation.

      • KCI등재

        학교 문법의 내용 선정과 기술에 대한 제안 -탐구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권경일 ( Kyung Il Kwo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have to be constituted on the education procedure that intend on the understanding grammar principles and the procedure of inquiry. These are realized by contenet of textbook, so textbook needs to have systematic ways of explaining grammar principles. This paper has researched the content and problems of school grammar focusing on the procedure inquiry of <Reading and GrammarⅠ>.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content of textbook and inquiry works must have mutual association (2) The contents of school grammar must be carefully selected. Main themes of theoretical grammar is not related directly on the school grammar. (3) The proper procedure must be presented for attaining goals of inquiry. (4) The explanation of grammar and tasks of inquiry must be constituted by co-relations. So Knowledge of grammar has organic intergration.

      • 한국어 관용구의 어휘적 변이형에 관한 연구

        권경일(Kwon Kyung-Il) 돈암어문학회 2009 돈암어문학 Vol.- No.22

        관용구는 ‘고정성과 관용성을 가지는 복합 어휘 구성’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문장에서 하나의 어휘소처럼 기능한다. 또한 관용구는 일반적인 구 구성과는 구별되는 특수한 표현적 효과를 가지면서 쓰이거나 일정한 화행적 기능과 대응되어 쓰이기도 한다. 관용구는 흔히 고정된 형식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변이형을 가지고 문장에서 쓰인다. 이러한 관용구의 변이형은 어휘 요소의 변이로 인한 어휘적 변이형과 문법적 의미의 변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구조적 변이형이 있다. 어휘적 변이형은 체언이나 용언, 수식언 등의 구성요소 자체가 변이되거나, 일부가 생략되어 나타날 수 있다. 관용구가 변이형을 가지면서 나타나는 동기는 다양한데, 주로 이는 다양한 표현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또한 관용구의 변이형 실현은 관용구가 구성요소의 직설적 의미와의 상관성을 단절하지 않고 있다는 데에도 근거한다. 이러한 관용구의 변이형은 사전에 적절한 방법으로 반영되어, 해당 관용구의 어법을 학습자들이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어휘적 의미를 달리하는 관용구의 변형의 사례와 구분하여 관용구의 미묘한 어법의 이해를 도모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exical variation of Korean Idio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and investigate their features. Idioms can be defined as multiple word units that contain fixdeness and idiomaticity, such as idioms, idiomatic collocation, figurative expressions, proverbs, slogan or proper nouns. Idioms are usually known as fixed unit but they have variations to present with various expressive effects. The variation of idioms can be classified into lexical variation, systematic variation. The lexical variations has verb variations, noun variations, adjective, truncation etc. The reason of variation is expressive effectiveness of idioms. The variation of idioms has difference with modification of idioms whether they have the status of lexical items. The variation of idioms reflect relation of literal meaning of idioms. These feature of idoms must be presented in dictionary for learner to study usage of idioms.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analyze various characteristics of idioms that express and deliver ideas.

      • KCI등재

        디지털 기술의 이중성과 사라짐

        권경아 ( Kwon Kyoungah ),윤준성 ( Yoon Joons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의 이중성에 의해 변형되는 사라짐의 형식에 관한 고찰이다. 최근 사라짐의 방식은 기술에 의해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되고 있다. 이것은 비단 디지털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그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현상은 디지털 기술에 본질적으로 내포된 이중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숙고를 위해, 물질성에서 가상성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의 이중성이 어떻게 이런 사라짐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연적인 사라짐은 물질적으로 존재하는 대상에게서는 본질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디지털 데이터는 본질적으로 스스로 사라질 수 없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것은 디지털 데이터가 물질성에 기반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런 이유로 디지털 대상은 인간이나 시스템에게 특정한 사라짐의 방식을 요구하게 된다. 결국 디지털 데이터는 자연적 사라짐과는 다른 방식의 사라짐의 속성, 즉 “자기-사라짐의 부재(absence of self-disappearance)”를 드러낸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안에 장착된 전자 칩에 미리 세팅된 수명에 의해 물질적 붕괴와 무관하게 사라짐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런 계획화된 사라짐은 디지털 디바이스가 물질적 상태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적 사라짐과는 다른 방식의 사라짐의 조건, 즉 “속박된 사라짐(chained-disappearance)”의 형식으로 존재하게 한다. 기술에 의한 “속박된 사라짐”과 “자기-사라짐의 부재”는 기술적 대상에게서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현상들, 즉 기술 시대에 이러한 사라짐의 변형과 자기-사라짐의 부재는 기술의 이중성에 대한 질문과 함께 기술 시대에 본질적 사라짐이 무엇인지에 대한 숙고를 요청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form of disappearance that is transformed by the doubleness of digital technology. Recently, the way of disappearing has appeared in various forms by digital technology. It seems to be influenced not only in the digital domain, but also in humans being, and this phenomenon is believed to stem from the inherent doubleness in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appearance of the technology era and examines how the doubleness of technology between materiality and virtuality affects this disappearance. Digital data exists in a state where it can not disappear by itself essentially. This comes primarily from the fact that digital data is no based on materiality. And this reveals the "absence of self-disappearance" rather than a natural disappearance from the digital object. Digital devices are determined to decay at pre-set lifetimes in electronic chips mounted within the device, regardless of material collapse. Thus, digital devices also, even though they exist in a phys-ical state, have the disappearance condition of other way as in digital data. And this reveals as the form of the "chained disappearance." The absence of this disappearance calls for a reflection on what is the essence of dis-appearance in the technology age with the question about the doubleness of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