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의 감염병 대응 메타거버넌스 분석: 2015년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구주영 ( Koo Jooyoung ),나태준 ( T. J. Lah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2 No.3

        정부는 재난 초기상황에 효율적,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를 설계해야 하며, 재난대응과정 관리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또한, 재난 대응과정에서 형성된 거버넌스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응 행위자 간 신뢰형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메타거버넌스의 관점에서 2015년 우리나라에 창궐한 메르스 대응 과정을 중심으로 정부의 역할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메타거버넌스 분석을 위해서 제도적 설계, 대응과정 관리, 대응과정에의 참여를 분석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불확실성이 높은 메르스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가 현실 적합적으로 설계되지 못했고, 정부의 대응 과정 관리 는 정보 공유, 자원 지원, 협력적 측면이 부실하게 전개되었다. 또한 메르스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적이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정부가 다양한 대응 주체들을 통제·조정할 수 있는 역할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설계하고, 이를 관리·수행할 수 있는 역량 확보와 행위자들의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적극적인 참여 유인책의 제시가 필요하다.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which took place in South Korea in 2015, was a new kind of disaster that the government had not experienced. In the event of an uncertain disaster, such as MERS, various actors participated to form governance. However, the government failed to manage and coordinate governance to overcome the disaster situ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role of government regarding disaster response, This article utilized metagovernance framework to analyze the role of government in disaster situation. After defining the conception of metagovernance, this study reviews the failure of the initial response of 2015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The factor of analysis is defined as an institutional design, response process manage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overnment had to have an institutional design ability that enables the government to control and coordinate various response actors, the capability of the governance management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중앙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보상 인식과 직무만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성과관리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구주영 ( Koo Jooyou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중앙 및 지방공무원의 조직 및 인사관리, 성과관리 그리고 조직행태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 했을 때, 본 연구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간 관료제에 대한 비교 연구이고, 정부간 성과관리 역량의 비교 연구이며, 소속 유형에 따른 공무원 행태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이러한 비교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와 조직공정성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에 따라, 보수 및 직무만족 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모두 업무 및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직무만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성과관리와 조직공정성 변수는 중앙 및 지방공무원 여부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중앙공무원의 경우, 보수가 업무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과관리가 강화시켜주고 있었다. 또한,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성과관리가 감소시키고 있었다. 반면 지방공무원의 경우,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성과관리가 강화시켜 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조직공정성은 중앙공무원의 보수와 업무성과간 관계와 마찬가지로, 보수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조직공정성 인식이 강화시켜주고 있었으며,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조직공정성이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고려할 때, 공무원의 조직, 인사 그리고 성과관리는 중앙 및 지방정부의 보상체계, 직무운영체계가 연계될 수 있도록, 공공관리자와 담당부서의 전략적인 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and organizational behavioral factors related to national and local public offici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study compared national and local bureaucracie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civil servants’ behaviors by their affiliation. These comparisons were conducted by analyzing how public officials’ remuneration and job satisfaction affected their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negatively affected public officals’ work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le job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them. However, performan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produced different results for national and local officials. Performance management strengthened the impact of remuneration on national government officials’ work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performance management reduced the strength of the positiv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For local officials, performance management is strengthened the positiv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work performance. In addition, organizational fairness strengthened the positive impact of awareness of organizational fairness and reduced the positiv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work performance for national public officials. However, organizational fairness strengthened the positive impact of local public officials’ job satisfaction on their work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rganization, personnel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officials should be accompanied by strategic management to link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ompensation systems.

      • KCI등재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재난안전관리 분야 공무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구주영 ( Jooyoung Koo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0 行政論叢 Vol.58 No.1

        정부의 재난안전관리 분야 공무원에 대한 성과관리는 해당 분야 공무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재난관리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인적자원관리 수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난안전관리 분야 공무원에 대한 성과관리를 정부가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성과 지향적 조직문화가 조성되어야 하며,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이 높아야 한다. 또한, 성과관리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은 성과관리의 질적 관리와 수용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과 절차 공정성으로 구분하여 조절변수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공정성이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개인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은 조직문화가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강화하고 있었다. 반면, 절차 공정성은 직무몰입이 개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난 안전관리 분야 공무원의 성과관리 과정에서 조직공정성 요인의 전략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과 성과 지향적 조직문화의 조성 그리고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several purposes. First, it illustrate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ommitment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As part of efforts to respond to the uncertainty, complexity and breadth of disasters, the government's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officials 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is used as a strategic means for improving expertise. A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must be created in order for the government to operate performance management effectively, and the involv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needs to be high. Second, the recognition of fairness in performance management by organizational member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lead to quality management and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view of these factor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ask immersion on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used organizational fairness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process, dividing it into distributional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analyzed. Finally, distributional and procedural fairness reinforced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procedural fairness was able to confirm that task immersion reduced the positive impact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view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the strategic management of factors relating to organizational fairness, the creation of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concentration of job commitment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of public servants in the field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재난안전관리 공무원의 직무와 조직 인식 및 스트레스 관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구주영 ( Koo Jooyoung ),권오영 ( Kwon O Young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2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6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job demand, pressure, and role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official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risk.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job stress management policies and programs and official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m. Disaster safety management officials have complex and highly uncertain job environments and are likely to suffer from high levels of job-related stress. Their role 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is important, so if their job stress, satisfaction, and risk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ot properly managed, the government’s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effectiveness, and systems are more likely to be disrupted.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officials’ job demands, pressure, satisfaction, and risk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stress management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demands, risk, and pressur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job role percep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requirements affected the implementation of stress prevention programs, prevention activities, and diagnosis activiti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disaster safety management officials’ job requirements, pressures, and competition should be managed and ways of improving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중앙정부의 관여, 재정적 영향력, 그리고 인사교류에 관한 중앙 및 지방공무원 인식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구주영 ( Koo¸ Joo-yo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0 地方行政硏究 Vol.34 No.4

        지역주민의 행정수요에 대한 양적 증가와 질적 다양화, 사회적 난제의 출현,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 현재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와 협력이 정부간 권한과 책임의 문제를 넘어서, 실질적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지역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편익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호간 관계가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때, 정부간 관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를 수직적, 수평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부간 관계를 중앙과 지방의 관계로 한정하였으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방정부에 대한 관여, 재정적 지원 그리고 인사교류가 정부간 관계와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중앙과 지방공무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와 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앙정부의 관여, 재정적 영향 그리고 인사교류가 필요하며, 중앙 및 지방공무원 소속 여부에 따라, 정부간 관계와 협력 관계인식이 상이하므로 중앙정부의 관여, 재정적 관계 그리고 인사교류가 전략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the differences in how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perceive such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ere central participation, fiscal relationships, and personnel exchange programs. Analysis showed that central participation, fiscal relationships, and personnel exchange programs can impro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Thus, central participation, fiscal relationships, and personnel exchange programs should be strategically utilized to impro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