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해방 직후 자기비판소설의 윤리성과 정치성

        구재진 한국비교문학회 2009 比較文學 Vol.0 No.4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ethics and politics in the novels of self-criticism jus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Especial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ree novels that are represent the types of self-criticism, Lee, Tae-Jun's Hae-Bang-Jeon-Hoo(해방전후), Chae, Man-Sik's Min-Jog-Ey-Joe-In(민족의 죄인) and Ji, Ha-Ryun's Do-Jeong(도정) . These novels are analyzed focusing on criterion of ethics and result of criticism. Hae-Bang-Jeon-Hoo(해방전후) and Min-Jog-Ey-Joe-In(민족의 죄인) reveal same critierion of ethics that discern virtue and vice based on nation. But ethical contents of these novels are totally different. In Hae-Bang-Jeon-Hoo(해방전후) , the main character betrays the nation in colonial period for the nation after liberation. So the logic in this novel seems to be very paradoxical. In that point, it can be said that this novel represents politics of self-criticism. In Min-Jog-Ey-Joe-In(민족의 죄인), the main character reveals two kinds of escapes, escape from the consciousness of guilt to blame the nation and escape to the consciousness of gulit to blame his nature. And then he makes up his guilt original sin. As a consequence, the guilty conscious of main character is vanished and his self-respect is recovered. This novel represents ethics of nation and self-criticism without real ethics. Do-Jeong(도정) shows the ethics of freedom and responsibility beyond ethics of nation.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introspects his behavior in colonial period and renovates himself. But this novel is also political in that his introspection and self-renovation is a process to affiliate himself with the Communist Party. This novel represents the connection between ethics and politics harmonious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ethics and politics in the novels of self-criticism jus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Especial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ree novels that are represent the types of self-criticism, Lee, Tae-Jun's Hae-Bang-Jeon-Hoo(해방전후), Chae, Man-Sik's Min-Jog-Ey-Joe-In(민족의 죄인) and Ji, Ha-Ryun's Do-Jeong(도정) . These novels are analyzed focusing on criterion of ethics and result of criticism. Hae-Bang-Jeon-Hoo(해방전후) and Min-Jog-Ey-Joe-In(민족의 죄인) reveal same critierion of ethics that discern virtue and vice based on nation. But ethical contents of these novels are totally different. In Hae-Bang-Jeon-Hoo(해방전후) , the main character betrays the nation in colonial period for the nation after liberation. So the logic in this novel seems to be very paradoxical. In that point, it can be said that this novel represents politics of self-criticism. In Min-Jog-Ey-Joe-In(민족의 죄인), the main character reveals two kinds of escapes, escape from the consciousness of guilt to blame the nation and escape to the consciousness of gulit to blame his nature. And then he makes up his guilt original sin. As a consequence, the guilty conscious of main character is vanished and his self-respect is recovered. This novel represents ethics of nation and self-criticism without real ethics. Do-Jeong(도정) shows the ethics of freedom and responsibility beyond ethics of nation.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introspects his behavior in colonial period and renovates himself. But this novel is also political in that his introspection and self-renovation is a process to affiliate himself with the Communist Party. This novel represents the connection between ethics and politics harmoniously.

      • KCI등재

        <종군위안부>의 역사 전유와 향수

        구재진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1

        국민대학교 교양과정부 전임강사攀攀본고의 연구대상은 노라 옥자 켈러(Nora Okja Keller)의 <종군위안부 Comfort Woman>이다. 비록 <종군위안부>가 미국 땅에서 영어로 발표된 작품이기는 하지만 ‘한국인의 문학’으로서, 한국의 외부에 존재하는 한국 내부의 목소리로서 한국을 향하여 발언된 것이라는 점에서 한국문학의 일부라고 보고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의 관심은 <종군위안부>가 한국의 역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그리고 무엇을 중심으로 전유하고 있는가, 그리고 <종군위안부>에서 나타나는 향수가 역사의 전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트라우마적 기억이 소설 속에서 작동하는 방식과 그 결과에 주목하는 한 편 <종군위안부>에서 나타나는 역사 전유의 양상을 분석하였다.우선 <종군위안부>에서 종군위안부로서의 경험이 지닌 트라우마적 성격과 그것의 소설적 결과를 고찰하였다. 아키코의 종군위안부로서의 경험은 이 소설의 전체를 지배하고 있으며 아키코에게 트라우마적인 기억으로 각인되어 있어 실제와 환상 속에서 끝없이 반복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아키코에게 종군위안부로서의 경험 이후의 삶은 삶이 아닌 죽음의 지속으로 인식되고 아키코는 현실 너머에 있는 두 개의 세계 속에서 살게 된다. 그 세계는 어머니와 모국에 대한 향수로 대표되는 세계와 죽은 영혼과 귀신들을 만나는 기괴함의 세계이다. 이 두 세계는 지금 여기의 현실에서 분리되고 억압되어 있는 세계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 두 세계에 고착되어 있는 그녀는 상징계의 틈새에서 상징계의 부조리와 모순을 비추는 존재이다. 이것은 아키코라는 한 개인의 의미만이 아니라 종군위안부 자체의 의미이기도 하다.다음으로 <종군위안부>의 역사 전유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 과정에서 향수가 지니는 이중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종군위안부>는 남성 중심적이고 권력 중심적인, 공식적인 역사를 전유하여 역사 속에서 배제되어 타자화된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 쓰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종군위안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인 모국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는 모국 내부에 존재하는 불평등과 억압을 숨기는 결과를 초래하며 민족주의적인 담론에 종속될 위험성을 드러내고 있다. <종군위안부>에서 이산인, 경계인으로서 지니는 타자적인 시선과 모국과의 거리가 공식적인 남성 중심의 역사에 의하여 억압된 상처받은 여성의 역사를 복원하는 것을 가능케 했지만 바로 그 시선에 동반된 향수는 민족 내부의 억압과 분열을 볼 수 없게 만들고 민족을 절대화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이 점이 <종군위안부>가 이산문학으로서 지니는 의미이자 한계라고 할 수 있다. A Study on Trauma and Nostalgia in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 KCI등재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타자화 전력과 탈식민성 :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구재진 한중인문학회 2004 한중인문학연구 Vol.13 No.-

        최인훈의 소설은 〈광장〉에서부터 〈태풍〉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역사가 배태한 '근대성'과 '식민성'에 대한 집요한 탐구를 보여주었다. 그 가운데서도 〈총독의 소리〉연작은 '총독'이라는 가상적 인물의 방송을 통해서 한국의 문제를 파헤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총독의 소리〉연작을 고찰하였다. 〈총독의 소리〉는 가상적인 인물인 총독의 방송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한국 역사에서 나타나는 식민성의 문제를 타자화의 방법론으로 고찰하고 있는 소설이다. 즉 스스로를 타자화함으로써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는 식민성과 타자성, 그리고 위기의식을 짚어보는 방법론을 통하여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과 역사의 방향에 대한 모색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총독의 소리〉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은 '총독의 담화'라는 방식이다. 이것은 소설의 의미를 규정짓는 중요한 방법론을 내포하고 있는데, 그 방법론이란 식민지 지배체제의 우두머리인 총독의 시각에 의해서 스스로를 타자화시킴으로써 한국의 내부에 존재하는 식민성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의 내부에 존재하는 '타자성'과 '식민성을 드러내고 그에 대한 성찰과 비판을 단행함으로써 주체화를 모색하는 역설적인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 아래 총독의 목소리에 의하여 식민주의적 담론이 재현된다. 가장 먼저 제시되는 것은 우선 식민지 타율성에 대한 담론과 '반도인'의 열등한 민족성에 대한 담론이다. 그러한 담론은 본래 식민주의적 담론에서 지배 제국으로서의 일본의 우월성을 비추어주기 위한 거울의 역할을 했던 것이지만, 〈총독의 소리〉에서는 일본의 우월성을 비추어줌과 동시에 한국을 비추어 주는 거울로서 기능한다. 식민주의적 담론의 재현에서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은 식민지와 일본 제국과의 관계가 여성과 남성을 둘러싼 성적 은유로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은유는 결국 일본 제국의 한국에 대한 재식민화에 대한 열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귀결되는데 이를 타자화된 한국의 관점으로 보자면 그것은 일본에 의한 재식민지화의 위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제국의 열망의 근원에는 경제적 착취나 정치적 지배보다 오히려 '증오와 욕망'이라는 심리적인 문제가 존재하는 바, 그것이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적 은유로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총독의 소리〉는 총독의 목소리를 통해서 식민주의적인 담론을 재현해내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총독의 소리〉가 내세우고 있는 방향은 '민족'을 역사의 주체로 위치짓는 방향이다. 결국 〈총독의 소리〉의 귀결점은 '민족주의'이지만 '민족주의' 자체가 지배논리와 대항 논리라는 양가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총독의 소리〉가 가진 높이와 한계가 존재한다. 〈총독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적인 방향성이 한일협정을 전후로 한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때 〈총독의 소리〉의 높이와 한계는 1960년대 후반이라는 시대와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Choi, In-Hoon's Chong-Dok-Ye-So-Ri(The Voice of a governal-general,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is novel is intended to criticise 1960's Korea through the statements of a governor-general of the Japanese government on the radio. By making Korea the other on the gaze of a proconsul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novel seems to reveal the feature of the colonized nation and the otherness in 1960's Korea. This way seems to be paradoxical methodology in that the novel reflects and criticises the other-ness in internal part of 1960's Korea and then searches the way to make Korea the subject. Using this methodology, the colonial discourse is represented via the voice of the governor-general. He emphasizes the inferiority in Korean and the lack of anotomy in Korean history. The discourse of inferiority and heteronomy played a role in reflecting Japanese superiority in the colonized Korean period. But in the novel, this discourse played a role in reflecting not only Japanese superiority but also Korean complex in unconscious. Another interesting thing in this colonial discourse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y and empire is represented with sexual metaphor. This metaphor implies Japanese desire to recolonize Korea. That desire is related with psychological point like 'hatred and desire'. Finally, the concept of nation in this novel is the core of history in this novel. It is the point that this novel stands on. So the ideological goal to be achieved in this novel would be nationlism. But nationlism is the logic of control and the logic of resistance at the same time. This ambivalence of nationalism makes a dilemma. Thus we can find Chon-Dok-Ye-So-Ri's achievements and limits with regard to 1960's Korean condi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우정과 헌신, 조선 밖에서 조선 국민 되기 -주요섭의 미국 이주 서사 연구

        구재진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s of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1930s by Joo Yo-sup, especially focused on features of narration of e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Little noti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s been taken of the literature on the Korean e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we need to re-evaluate the literature on the Korean e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at that times in that the literature became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point of view, two works by Joo Yo-sup in 1930s needs to be recognized. One is 「Extra-Record regarding staying in America」(1930), which described the life and work of a Korean student staying in America, and the other is 「to grasp at cloud」(1935), which was about the life of lower-class worker who died in America after going through Mexico in the Late Period of Choseon. While the novel might be novelistic in that the main character in it is a fictional one, the novel of 「Extra-Record regarding staying in America」(1930) is closer to a kind of travel notes. The novel depicts various lifes of lower-class workers from Choseon and shows us a custom and revolutionary atmosphere in western America. Another novel, 「to grasp at cloud」(1935), introduces us the stream of Korean emigrant to America who left Korea in 1899 and entered America via Mexico. This study examines the novel, focusing on labor, friendship, and dedication found among the characters. Also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novel presents the politics of friendship, emerging from Choseon/Asian lives of being exploited under massive capitalistic economy. In addition, this study is shown that the Choseon emigrants to America who had dreamed of return to Choseon decided to dedicate to their family and to the lost Korean race or the lost Korean country, due to the influenc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other novel by Joo Yosup, 「to grasp at cloud」(1935), depicts what the United States meant to the early Choseon emigrants to America and how the activists regarding independence movement affected Korean immigrants who vacillated between settlement in American and return to Chose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novel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the uniqueness of the e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Period of Choseon and Japanese Colonial era, successfully showing the identity-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Choseon emigrants as true ‘Choseon-Nation’ ironically after leaving Choseon. 본고는 1930년대에 발표된 주요섭의 미국이주서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도출해냄으로써 이 작품들이 디아스포라문학으로서 지니는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간 우리 문학사에서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조선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조선인들의 삶을 그린 미국 이주 문학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미국 이주 문학은 재미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기원으로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주요섭이 1930년대에 1930년대에 발표한 두 편의 작품을 고찰하였다. 미국 유학 조선인의 졸업 이후 노동과 생활을 그린 「유미외기(留米外記)」(1930)와 구한말에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건너가 거기서 생을 마친 조선인 노동자의 삶을 그린 『구름을 잡으려고』(1935)가 그 작품들이다. 「유미외기」는 허구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는 소설적이지만 소설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여행기에 가까운 작품으로서 미국 서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혁명의 분위기와 미국적인 풍속과 함께 조선인 하층 노동자의 다양한 노동의 양상들을 그리고 있다. 반면 『구름을 잡으려고』는 19세기의 마지막 해에 조선을 떠나 멕시코를 경유, 미국으로 가게 된 인물을 통하여 한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의 미국 이주 조선인의 궤적을 구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본고는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노동과 우정, 그리고 헌신의 양상들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이 작품이 당시 거대한 자본주의 경제 속에서 착취당하는 조선인-동양인 노동자의 삶을 통하여 착취의 경제와 그 속에서 태동하는 우정의 정치학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 조선으로의 귀환을 꿈꾸던 이주 노동자들이 한일합병 이후에는 독립운동의 영향을 받아 가족에 헌신하고 상실된 민족-국가에 헌신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1930년대 주요섭의 미국이주서사, 특히 『구름을 잡으려고』는 미국 이주 초기에 조선인에게 미국이 어떠한 모습이었는가를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환과 정착 사이에서 동요하던 이주 조선인들에게 독립운동가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조선을 떠난 이들이 미국에서 오히려 ‘조선 국민’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그림으로써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시기 미국 이주의 특수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시기 재미 디아스포라문학과는 다른, 이 작품만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2.6GHz 저잡음증폭기 설계

        구재진,오성민,임종식,안달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5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1 No.2

        A 2.6GHz low noise amplifier (LNA) having 0.8dB of noise figure (NF), 13dB of gain and 10% of bandwidth is designed and measured using low noise HEMT (high election mobility transistor). The parasitic source inductance sue to the via-hole and its series feedback effects on performances and stability are considered. The measurement shows that fabricated LNA has 1.25dB of NF, 17.dB of gain, -6.46dB of input reflection coefficientm, and –19.65dB of output matching performances at 2,6GHz

      • KCI등재

        ‘사물’로서의 이웃과 결혼이주여성의 목소리 - 『쓰엉』과 『카니발』을 중심으로

        구재진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Southeast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reproduced in the novels and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voice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ethics of listening. The reproductions of Southeast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with facial heterogeneity and language heterogeneity raise the problem of "neighborhood" surrounding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 problem of their untranslatable voices. In order to consider these problems, the works that this paper studied are Kang Hee-jin's Carnival, which depicts married migrant Filipino women, and Seo Sung-ran's Thuong, which depicts married migrant Vietnamese women. The two novels deal with the problem of marriage migrant women not only in the family-family framework but also in the rural village-community dimension, suggesting the existence of marriage migrant women as "neighbors." In the two novels, marriage migrant women exist in the ambiguity of "the middle ground between comrades and enemies" and appear as shocking intruders and neighbors as "things" that break the balance. However, on the other hand, marriage migrant women are shown as "desire subjects" rather than just being targeted as "neighbors." On the surface, even though they seems to be resigned and obedient as a wife and daughter-in-law of a family, they are subjective appearances of choosing their own lifes and moving toward their desires. However, it was the hatred and violence of the husband and village-community that returned to them who wanted to realize their own desires, and the final result that the women faced was death. And the death, symbolically or physically, appears to be impossibility of mourning The two novels show the awareness of marriage migrant women's speech, which is rejected to be heard, whether spoken in poor Korean or in the language of their hometown. Therefore, their voices in the works are just as "sounds" or "mumbles" that cannot be translated, not as segmented language with meaning.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meant to be talking beings, but only to be beings who play the roles of wives and mothers required by the patriarchal marriage system. In the work, the voice of married migrant women can become meaningful when the voices are listened by whom recognizes and loves them. Through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ethics of listening, marriage migrant women change as new subjects or the life of marriage migrant women is reinterpreted. This is where the meaning of these novels is appreciated. These novels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ethics of listening to their voices, placing marriage migrant women into village-community framework, not into family-family framework.

      • KCI등재

        1930년대 ‘집 나간 여성’의 계급 횡단과 여성 해방의 (불)가능성 -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고향』을 중심으로

        구재진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9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literary representations of 'woman who left home' in the 1930s in terms of the "(im)possibility" of women’s liber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Chae Man-Sik’s Coming out of the doll house and Lee Ki-Young’s Hometown. The two work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women’s liberation by recreating the life of a 'women who left home' to escape patriarchal oppression. Comparing the works with the reenactment of 'women who left home' in the eyes of superior men, such as Kim Dong-In’s The Wife of an Incompetent, is enough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works. The narratives of Coming out of the doll house and Hometown are the narratives of women escaping from patriarchal oppression and striving to realize freedom. In particular, the works present the class-crossing, solidarity of friendship, labor, and struggle of 'women who left home'. Based on the reviews of these works,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formation of 'women who left home' into a laboring and fighting subject in the 1930s. As a result, the two works revealed that labor is the foundation for the independence and discipline of 'women who left home', and that struggle can be the basis for the liberation of these women workers. In this way, the works represent a new way for 'women who left home' through the image of a woman who does not fall into a abyss of degradation but develops a new path through labor. This distinguishes it from 'the narrative of fall', which recreates 'women who left home' in the 1930s,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1920s novel, in which the life of the 'women who left home', resulted in death. 본고는 ‘여성 해방의 (불)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1930년대 ‘집나간 여성’의 문학적 재현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본고는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이기영의 『고향』을 고찰하였다. 두 작품은 가부장적인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집을 나간 여성의 삶을 재현하여 그 해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김동인의 「무능자의 아내」와 같이 우월적 남성의 시선에서 ‘집 나간 여성’을 재현하는 작품과의 비교만으로도 이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의의는 충분히 드러난다.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고향』, 두 작품들의 서사는 여성들이 가부장적인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쟁취하기 위한 탈출의 서사임과 동시에 그러한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분투의 서사이다. 특히 두 작품들은 ‘집 나간 여성’의 노동자화 과정의 ‘계급 횡단’과 우정의 연대, 그리고 노동과 투쟁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집 나간 여성’의 계급 횡단과 우정의 연대를 고찰하고 그러한 고찰을 토대로 1930년대 ‘집 나간 여성’이 노동하고 투쟁하는 주체로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동이 ‘집 나간 여성’들의 자립과 단련의 토대가 되고, 투쟁이 이 여성 노동자들의 해방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이렇게 이 두 작품은 타락의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고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여성의 모습을 통해 ‘집 나간 여성’의 새로운 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점이 1930년대 ‘집 나간 여성’ 을 재현하는 ‘타락의 서사’와 구별되는 지점이며 동시에 ‘집 나간 여성’의 삶이 죽음으로 귀결되는 1920년대 소설과도 구별되는 지점이다.

      • KCI등재후보

        저항이라는 윤리-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 연구

        구재진 이상문학회 2021 이상리뷰 Vol.- No.17

        본고는 정치권력에 대한 저항이라는 관점에서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를 고찰하여 이 작품이 중국의 반우파투쟁과 대약진 운동이라는 개별성과 특수성의 역사로부터 국가 권력에 대한 순응와 저항이라는 보편성의 차원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0세기의 신화’라는 제목이 나치스의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와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고 모택동의 개인숭배 체제의 메커니즘이 정치권력의 이데올로기적 호명과 주체의 응답을 통한 이데올로기적 동일화라는 것을 밝혔다. 아울러 작품에서 모택동 공산당의 정치권력이 행한 반우파투쟁, 대약진운동 등에 대한 분노와 비판이 어떻게 정치권력에 대한 저항으로까지 이어지게 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의에 대한 분노의 정동, 공산주의자들의 우정, 그리고 진정한 공산주의자에 대한 이상과 공산주의자의 윤리라는 보편성이 ‘사이비공산주의자’를 비판하는 거울이 되고 수동성을 넘어서서 저항으로 나아가는 등불이 되었음을 밝혔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본고는 이 작품에 대한 이제까지의 평가가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20세기의 신화>는 단지 모택동의 개인숭배에 대한 비판, 반우파투쟁과 대약진운동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는 데에 머무는 작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의 역사라는 개별성의 차원에서 볼 때 이 작품은 중국 역사에 대한 비판적 기록이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큰 의의는 중국 현대사라는 개별성을 넘어서는 보편성의 차원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20세기의 신화>는 권력의 이데올로기적 지배의 메커니즘과 그에 대응하는 국민/인민의 수동성과 저항의 문제를 제시함으로써 알랭 바디우가 말한 ‘내재적 예외’의 보편적 지점을 드러낸 작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