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형과 고도굴곡형 치환물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의 술후 최대굴곡각 비교연구

        최충혁(Choong-Hyeok Choi),구민회(Min-Hoi Koo),박용욱(Yong-Wo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표준형과 고도굴곡형을 사용한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의 술후 최대 굴곡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81명 133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34명의 환자에게 일측에 표준형을, 반대측에 고도굴곡형 치환물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비교군으로 47명의 환자를 양측 모두 표준형, 양측 모두 고도굴곡형, 일측만 표준형, 그리고 일측만 고도굴곡형을 사용한 군으로 나누었고, 이에 대해 술전, 술후 1년 이상 경과 시 최대굴곡각, 슬관절점수, 그리고 기능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한 환자에 각각의 치환물을 사용한 34명의 환자에서 최대 굴곡각은 고도굴곡형에서 술후 평균 131.6±10.4°로, 표준형에서는 술후 131.6±9.5°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47명의 다른 군과 비교시에도 각 군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고도굴곡형 십자인대 대치형 치환물의 사용이 표준형과 비교하였을 때, 최대굴곡각의 증가를 초래하지 못한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maximal flexion angle (MFA) of standard Pel-substituting (PS) prosthesis with that of high-flexion PS prosthesi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1 patients (133 kne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ixty-eight primary bilateral TKAs were performed in 34 consecutive patients. The bilateral TKAs were performed in a staged sequential manner, with a standard PS prosthesis in one knee and a high-flexion PS prosthesis in the contralateral knee. W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another 47 patients as several control groups, and this consisted of standard or high-flexion PS total knee prostheses in the bilateral TKAs, and standard or high-flexion PS total knee prostheses in the unilateral TKAs. The patients were clinically assessed with the Knee Society scoring system and the MFA was measured with a goniometer.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the mean postoperative MFA of the 34 patients operated wit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prostheses was 131.6±10.4° for high-flexion prosthesis side and 131.6±9.5° for standard prosthesis side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the 47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postoperative MFA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flexion PS prosthesis and the standard PS prosthesis in the postoperative MFA.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발생한 연합건의 석회성 건염 - 증례보고 -

        이창훈,김성재,이승훈,구민회,이봉근,Lee, Chang-Hun,Kim, Sung-Jae,Lee, Seung-Hun,Koo, Min-Hoi,Lee, Bong-G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1

        석회성 건염은 건의 부착부 주변에 발생하는 병변으로 견관절에서는 주로 극상근의 대결절 부착 부위의 근위부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상완 이두근 단두건과 오구상완근의 연합건의 석회성 건염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Calcific tendinitis usually occurs within the area where tendon inserts to bone. In the shoulder joints, most cases occur within the supraspinatus tendon just proximal to the greater tuberosity. We report a rare case of calcific tendinitis occurred within the conjoined tendon of coracobrachialis and short head of biceps brachii in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diagnosed by means of ultrasonographic evalua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외측 슬개지대 이완술의 시행 기준 -관절막 단일봉합 기준에 의한-

        김종헌 ( Jong Heon Kim ),최충혁 ( Choong Hyeok Choi ),구민회 ( Min Hoi Koo ),최완선 ( Wan Sun Choi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슬개골의 적정궤도를 유지하면서도 외측 슬개지대 이완술의 빈도를 낮출 수 있는 이완술 시행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일측은 지혈대 압력하에서 슬개골이 부정궤적을 보였으나 지혈대 압력 제거하에서 양호한 슬개골 궤적을 보여 이완술을 시행하지 않았고, 반대측은 지혈대 압력하 및 압력 제거하 모두에서 슬개골이 부정궤적을 보였으나 지혈대 압력 제거하 관절막에 단일봉합 후 슬개골 궤적이 개선되어 이완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17명 환자의 술 후 1년째 슬개골 축면 방사선 사진상의 외측 슬개골 경사각을 계측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같은 기간 내에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된 환자에서 단계적 기준에 의한 외측 슬개지대 이완술의 빈도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1년의 축면 방사선 사진상 외측 슬개골 경사각은 지혈대 압력 제거하에서 슬개골 궤적이 개선된 경우는 평균 3.4±3.7°(평균±표준편차)였으며, 단일 봉합 후 슬개골 궤적이 개선됨을 확인한 경우는 평균 4.6±5.0°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37). 같은 기간 동안 시행된 225예의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한 분석결과, 외측 슬개지대 이완술이 필요하지 않았던 경우는 1) 지혈대 압력하 및 제거하에서 모두 양호한 슬개골 궤적을 보였던 19%, 2) 지혈대 압력하에서는 슬개골 부정궤적을 보였으나 압력제거하에서 슬개골 궤적이 개선된 58%, 3) 지혈대 압력하 및 제거하에서 모두 슬개골 부정궤적을 보였으나 지혈대 압력 제거하 관절막 단일 봉합 후 슬개골 궤적이 개선된 21%였다. 결과적으로, 지혈대 압력제거하 관절막 단일 봉합 후의 기준에 의거하여 외측 슬개지대 이완술이 필요한 경우는 단지 2%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시 지혈대 압력을 제거한 후 관절막 단일 봉합한 상태에서 슬개골 궤적을 평가하여 외측 슬개지대 이완술 시행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술 후 슬개골 적정궤적을 유지하면서도 슬개지대 이완술 시행 빈도를 2% 정도로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기준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new criteria for performing lateral retinacular release (LRR) without having a detrimental effect on patellar track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17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TKAs, LRR was not performed at one side (A) due to improvement of patellar tracking after deflation of tourniquet although maltracking existed with the inflation of tourniquet. At the other side (B), LRR was not performed either because patellar tracking improved with one stich method although maltracking existed regardless of tourniquet status. We measured the lateral patellar tilt angle (LPTA) of each side inthose 17 patients after 1 year after TKAs and compared them. We also surveyed the incidence of LRR in 225 primary TKAs with the staged method of patellar tracking evaluation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The average LPTA was 3.4° at side (A) and 4.6° at side (B)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PTA between side (A) and side (B) (p=0.337). From the survey for incidence of LRR in 225 primary TKAs during the same period, LRR was not required in 19% of patients showing good patellar tracking with inflation of tourniquet, 58% of patients showing improved patellar tracking after deflation of tourniquet and 21% of patients showing improved patellar tracking by one stitch method regardless of tourniquet status. Consequently, only 2% of patients required LRR in primary TKA. Conclusion: One stitch method under the deflation of tourniquet in evaluating process of patellar tracking during primary TKAs is supposed to be very effective and to reduce the incidence of LRR to only 2% without influencing the LPTA.

      • KCI등재

        Dilemma in Severity Classification of Incongruent Hallux Valgus Deformity Using Radiological Measurements

        Il-Hoon Sung(성일훈),Kyung-Tai Lee(이경태),Ki-Won Young(양기원),Kuhn-Sung Whang(황건성),Choong-Hyeok Choi(최충혁),Jae-Hong Jung(정재홍),Min-Hoi Koo(구민회)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목적: 비상합성 무지 외반증의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해 기존에 사용되던 각도 계측에 의한 분류법의 유용성을 재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상합성 무지 외반증 257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무지 외반각과 제1-2 중족골간 각을 측정하였다. Mann에 의한 방사선적 계측에 따른 분류 방법으로 무지 외반각과 제1-2 중족골간 각 사이의 중증도를 비교하였고, 이들의 중증도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비상합성 변형의 분포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원위 중족 관절각 또한 계측하였다. 결과: 무지 외반각은 평균 36.1° (범위, 16-60°)이었으며 제1-2 중족골간 각은 평균 15.8° (범위, 5-30°)이었다. 무지 외반각과 제1-2 중족골간 각의 중증도가 서로 일치하는 예는 126예(49.1%)이었고 131예(50.9%)에서는 중증도가 일치하지 않았다. 원위 중족 관절각은 평균 15.6°(범위, 0-40°)이었으며 133예(51.8%)에서 정상치 이상(> 15°)을 보였다. 결론: 무지 외반각과 제1-2 중족골간 각의 중증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한계가 있으므로, 수술 방법 결정을 위한 지침으로써 방사선학적 분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분류 체계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무지 외반각은 제1 중족족지 관절 주변의 골성 변형이나 외측방 아탈구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무지 외반각에 영향을 마치는 이러한 요소들을 세분하고 이를 교정해야 할 대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study the availability of the radiological classification for incongruent hallux valgus deformities, which has been used as the key to the algorithm for selecting surgical options. Materials and Methods: To determine radiological severity, 257 cases of incongruent hallux valgus deformities were studied. The hallux valgus angle (HVA) and the 1/2 intermetatarsal angle (IMA) were measured in each case. Following Mann's radi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the HVA and IMA were compared to determine any similarity in severity. The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was also measured to observe the extent of its effect on the incongruent deformity. Results: The HVA was 36.1° on average (range, 16-60°) and the 1/2 IMA was 15.8° on average (range, 5-30°). In 126 cases (49.1%), the severity between the 1/2 IMA and HVA coincided with the index classification, whereas. 131 cases (50.9%) did not correspond. Overall, the severity of approximately half the cases, could not be graded. The DMAA was 15.6° on average (range, 0-40°) and 133 cases (51.8%) demonstrated a value above normal value (>15°). Conclusion: The radi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used as a guide for surgical decision-making needs to be revised, due to the overt limits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verity of the 1/2 IMA and HVA. Because the HVA would be influenced by both the lateral subluxation and bony deformity around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se factors on the HVA as elements to be corrected individually, instead of the HVA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