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한제국기 務安監理 秦尙彦의 반침략 외교활동

        민회 호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7 No.-

        秦尙彦은 일찍이 중인 집안 출신으로 譯科를 거쳐 出仕하였다. 그는 1880년대에 개화정책 수행을 위한 청국 시찰단인 領選使行에 선발된 뒤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主事로 임명되어 근대적 외교인력의 풀로 활동하였다. 주로 監理와 군수 등 지방관직을 주로 역임하며 아주 고위관직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1897년 목포 개항과 더불어 務安監理로 임명되어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제적 침탈에 대응하는 최일선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취임 일성으로 이전에 개항장에서 관직들을 역임하며 문제의식을 느꼈던 것으로 추정되는 외국인 토지매매와 관련된 규정을 제정하였고, 三鶴島 사건이나 租界地 내 공사에 대한 외국인의 방해 시도 등에 있어서 분명한 한계 속에서도 시종일관 한국인의 편에서 사건을 처리하려 노력하였다. 1897년에 러시아가 木浦 영사관 부지 매입 과정에서 高下島 구입을 시도하자 그는 조계 밖 10리 이내라도 바다로 둘러싸인 곳은 외국인에게 매매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고 처음에는 중앙의 外部에서도 이에 호응하였다. 그러나 애초에 조약에 해당 조항이 없어서 불리한 입장이었던 한국 정부는 러시아 측의 집요한 요구에 결국 굴복하였다. 이후 러시아 측이 섬의 일부 토지를 매입한 뒤 그에 대한 地契 인증을 요청하자 마찬가지로 진상언은 거부했다, 하지만 매매 과정에서 석연찮은 부분이 있음에도 정부의 입장은 이미 허가해주는 쪽으로 바뀌어 있었다. 이에 진상언은 자신의 관할구역이 아니라는 다소 억지 논리로 지계 발급을 거부했으나 러시아 측의 계속되는 압박과 외부의 힐책으로 점차 고립되어 갔다. 한편 일본도 러시아에 자극받아 고하도 매입을 추진했는데, 먼저 李允用 명의로 구매한 뒤 일본인에게 넘기는 형태로 은밀하게 진행하였다. 결국 임대의 형태로 계약을 체결한 뒤 고종의 허락을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상언에게 이 사실을 공개하며 인증을 요구했으나 그는 영사관의 공문 수령 자체를 거부하며 강경하게 나왔다. 이에 일본 측에서 강력하게 항의하며 진상언의 처벌을 요구하였고, 또다시 방문한 러시아 관원의 지계 발급 요청을 마찬가지로 ‘관할 논리’로서 거부한 그에 대해 러시아에서도 강력히 항의하여 罰俸 처분을 받기에 이른다. 이후 그는 러시아 측이 지계 발급을 위해 고하도를 방문했을 때에도 부지의 면적 문제로 대립하다가 결국 면직 처리되고 말았다. 그의 행위는 당시 기준으로 볼 때는 자신의 관할을 남에게 미루는 직무유기였지만, 한국을 둘러싼 러·일간의 치열한 제국주의 쟁탈전이라는 당시 상황을 놓고 생각하면, 중앙정부가 도와주지 않는 상황에서 나름 자신의 관점에 따라 국가의 미래를 바라보며 외국의 토지침탈을 저지하려는 행동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Jin Sang-Eon(秦尙彦), belonging to Jung-in(中人) class, entered government service through Yeok-Gwa(譯科; civil service examinations for the interpreters). He was selected as a member of the Youngseon-Sa(領選使; delegation sent to China for learing technology of modern weapons), and after that appointed as Jusa(主事) of Tongni-Gyosep-Tongsang-Samuamun(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1880s, meaning his activity in the field of the modern diplomacy of Korea. He mainly served as local governors like Gamri(監理; Superintendent of the treaty ports and open markets) and Gunsoo(郡守; a county headman), and could not reach the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central government. But he was on the forefront of counteracting imperial economic invasion as Gamri of Mu-an(務安) port at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97. He made the regulation to restrict the landholding by foreigners, maybe originated from his awareness of the problem made during his public service at the other treaty ports like Incheon. And he tried to handle every criminal and civil disputes on the side of Koreans under obvious limitation. When Russia tried to buy Goha-do(高下島; Island of Goha) in the course of purchasing the land for Consulate at Mok-po(木浦) in 1897, Jin Sang-Eon refused it on the ground that the place surrounded by seas could not be sold to foreigners, even though located within 10-ri(里) from a foreign concession. And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lso supported him at first. But the exceptive clause for 10-ri limit had not been stipulated in the treaties, meaning the position of Korean government to foreign countries was disadvantageous, finally making it yield to the tenacious requests of Russia. After that, Russian Legation of Korea purchased some part of the island and demanded the approval of the contract note. Jin Sang-Eon refused it again, but this time Korean Government ordered him to approve it despite the doubt of that deal. Then he insisted to refuse on the ground of being beyond his jurisdiction. gradually isolated by continuous pressure of Russia and rebuke from Korean Foreign Ministry. Japan also pushed ahead with purchasing the island, stimulated by Russia. The deal was made confidentially, in the dual form of first purchase in the name of Yi Yoon-yong(李允用) and second nominal transfer to Japanese. The contract was made in the form of 30-year rent, and permitted by Emperor Gojong. So Japanese Consul requested the approval of their ownership for the island to Jinsang-Eon, but he didn’t agree on it and refused to accept Japanese official document itself. At this Japanese Legation protested to Korean Government and demanded to punish him, while Russia requested same one because Jin Sang-Eon refused to issue the certificate of land ownership for Russia under the same ground of jurisdiction again. These finally made his docking of salary as a penalty. Hereafter he stood up to Russian once more from the matter of the land dimensions, which ultimately caused his dismissal. His act is of course dereliction of duties, but from a different standpoint also an action of blocking the foreign disseisin under his own thinking about the future of his country without its ai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갑오개혁기 개항장 監理署 일시 폐지의 배경

        민회 한국근현대사학회 2015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5 No.-

        During the period of ‘Reform of 1894’, J.Mcleavy Brown, who took the initiative in the Korean Customs amid competitions by the Great Powers surrounding the structure reform of the Korean Customs, claimed to abolish Gamriseo in order to get the right to manage customs revenue on imports and exports. Along with this, the reform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which aimed to cut budget, reduce the competence of the local government chief and seek after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was carried into effect on June, 1895. As a result, Gamriseo was abolished and its duties were taken over to the provincial governors(觀察使). This was what Japan also wanted because of having suffered from the anti-Japan attitude of the staff of Gamriseo during the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in 1894, and this Japanese hope is presumed to have affected the abolition of Gamriseo via Japanese councilors in Korean Government, who actually planned the 1895 reform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But this step was what didn’t fully reflected the reality at that time because the administration on the control over foreigners at the treaty ports and open markets suffered from lack of budget after the abolition of Gamriseo. A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mismatch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ors and the county headmen(郡守), both taking over the duties of the abolished Gamriseo, was an another problem.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when Gamriseo reopened in 1896, after the decline of the Japanese power from the Korean political world caused by Korean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俄館播遷; Agwan Pacheon).

      • KCI등재

        규장각 소장본으로 본 개항기 서양 국제법 서적의 수입과 간행

        민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규장각 Vol.47 No.-

        19세기 후반부터 동아시아에 서양의 국제법 관련 연구서들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 주재 선교사였던 마틴(W.A.P.Martin, 1827~1916)에 의해 주로 이 작업이 이루어졌다. 미국의 저명한 국제법학자 휘튼(Henry Wheaton‚ 1785~1848)의 책을 번역한 『萬國公法』(1864)을 필두로 『星軺指掌』(1876, 원저자; 마르텐스[Charles de Martens, 1790~1863]), 『公法便覽』(1877, 원저자; 울지[T.D.Woolsey, 1801~1889]), 『公法會通』(1880, 원저자; 블룬츨리[J.C.Bluntschli, 1808~1881]) 등이 차례로 漢譯되어 동아시아에 소개되었다. 이들의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및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 소장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항기 및 일제강점기 하에서 작성된 주요 서목들의 기재 상황 및 藏書印 등으로 미루어볼 때, 『공법편람』의 경우 경성제국대학 도서관 시절에 수집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성초지장』은 集玉齋 및 帝室圖書를 거쳐 조선총독부 取調局 → 參事官 分室 → 京城帝大 → 서울대 → 규장각의 전형적 코스를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만국공법』과 『공법회통』은 규장각 도서 총목록인 『帝室圖書目錄』(1909)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이들이 고종이나 순종의 개인 열람도서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마틴이 한역한 4종의 도서 중 유일하게 조선에서 간행된 『공법회통』은 현재 규장각 소장본의 입수 경로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여기서 당시 조선의 국제법 지식 습득의 통로가 『공법회통』으로 편중된 현상을 엿볼 수 있다. 이는 동아시아의 법전 편찬체계 및 ‘회통’이라는 書名이 주는 어감 등으로 인해 『공법회통』을 서양 국제법을 집대성한 책으로 인식함에서 유래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당시 만국공법적 국제질서의 냉엄한 약육강식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방해한 측면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을사늑약 이후 감리서(監理署)의 폐지와 부윤(府尹)의 외국인 업무 관할

        민회수 ( Min Hoi Soo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논총 Vol.55 No.-

        1904년 義州와 龍巖浦에 마지막으로 증설된 開港場·開市場 監理署는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인한 외교권 상실을 계기로 理事官을 수반으로 하는 통감부 휘하의 理事聽이 설치되자 그에 외국인 관련 업무를 인계하게 되었다. 그런데 관련규정이 명시되지 않아 인계 초반에 다소간의 혼란이 생겼다. 이사청의 감리 업무 인계는 지역에 따라 순탄하게 이루어진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들도 있었으며, 1906년 초반부터 각종 증빙 문서 발급과 토지 경매 및 護照 발급 등의 업무가 순차적으로 인계되었다. 그리고 인계 과정은 강제적이며 무법적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후 감리서는 1906년에 폐지되었고 감리서 소재 행정구역이 郡에서 府로 격상되었으며, 府尹이 해당 업무를 인계하였다. 부윤은 대부분 감리가 그대로 임명되었고 일본인과 관련하여 기존 감리가 수행하던 업무를 대부분 승계하였다. 그러나 그 대상은 어디까지나 일본인에 한정되었으며, 여타 외국인들 관련 업무는 관할하지 못했다. 이렇게 외국인 중 일본인 관련 업무만 부윤이 계속해서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은 일차적으로는 일본이 외교권 박탈에 대한 국제적인 시선을 의식해서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일본의 업무 부담 경감과 한국의 일본인에 대한 통제권 유지라는 상호 이해관계 또한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 부윤은 어디까지나 일본인에 한하여 기존 감리가 수행하던 업무들을 거의 그대로 수행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범죄, 경제 등 제반 문제에 관하여 일본 측 파트너인 이사관과 교섭한 양상이 기존의 감리-領事 관계와 거의 동일하였다. 아울러 개항장에서 자국민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노력 또한 매우 미약하나마 몇몇 사례들에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보호국으로서 외교권이 박탈된 현실에서 매우 제한적이었고 궁극적으로는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지만, 그와 같은 엄혹한 현실에서 그러한 노력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의 확인 자체가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With the deprivation of diplomatic rights by the forced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05(乙巳勒約), Gamriseo(監理署; The Superintendent Office) was abolished after the handover of its duties on foreigners to the Japanese prosecutors(理事官). But only the duties on Japanese at the treaty ports and open markets were conducted continuously by Bu-yoon(府尹; Head of the Prefecture) who succeeded Gamri(監理; the Superintendent). This might have been due to the consideration of the international opinion about the situation of the Korean deprivation of diplomatic rights by Japanese Government, along with the coincidence of interests between Korean and Japan, the maintenance of control over Japanese at the treaty ports and open markets for the former, the relief of business burden for the latter. Restricted to Japanese, Bu-yoon conducted alomost the same business as Gamri did, and he negotiated with the Japanese prosecutor in almost the same way as Gamri did with the Japanese consul on crimes, economy, and so on. And the efforts to try to save lives and properties of Korean people at the treaty ports and open markets are seen at a few cases. These were clearly restricted and doomed to failure, but also meaningful as their existence itself under the severe protectorate situation of Korea under Japan.

      • KCI등재후보

        조선-오스트리아 수호통상조약(朝墺修好通商條約) 체결의 정치적 의의

        민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규장각 Vol.35 No.-

        1892년에 이루어진 조선-오스트리아 간 수호통상조약(朝墺修好通商 條約)의 체결은, 反淸自主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위한 수단으로서 가능하면 여러 서양 제국들과 조약을 체결하려는 조선 측의 대외정책 기조와 더불어, 러시아에 대한 견제라는 오스트리아의 대외정책 기조가 상호 접점을 이루 고, 거기에 부수적으로 조선 내에서 활동하는 오스트리아 상인에 대한 배려 라는 목적 하에 추진되었다. 조약 체결의 교섭 과정은 청의 내정간섭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철저히 비밀리에 이루어졌는데, 막바지에 오스트리아 측에서 屬邦照會, 곧 ‘조선은 청의 屬邦이나 內治와 外交는 自主’라는 내용의 선언문 수령을 거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청측은 조약 협상의 파기를 무릅쓰 고라도 속방조회 수령을 관철시키라고 지시하였는데, 조선 측에서는 겉으로 는 청의 지시에 따르는 것처럼 하면서 실제로는 끝내 처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약의 비준 과정에서 오스트리아 측과 격식을 맞추기 위해 조 선 국왕의 稱帝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황제국의 격식에 맞 는 각종 용어들의 사용에서 그 흔적이 보인다. 이상에서 조선-오스트리아 간 통상조약의 체결은 1890년대 초반 조선이 추진한 反淸自主化 정책의 경향성을 짐작하게 해준다. 즉 이전 시기에 행했던 여러 차례의 직접적이고 공개적인 反淸政策이 모조리 청의 압력과 방해에 직면하여 실패하자, 보다 은밀하고 드러나지 않으며 간접적인 형태, 곧 청의 의심을 사지 않도록 행동하면서 가시적 성과의 규모는 매우 작지만 실리적인 저항을 시도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규장각 書目의 ‘記錄類’ 형성 과정

        민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한국문화 Vol.70 No.-

        A new book cataloguing method was made for the books of Kyujanggak Archive by colonial Chosun Government-General in March 1912. It maintained traditional four division(四部) system[i.e., Classics(經), Histories(史), Philosophy(子) and Belles lettres(集)], and a new specific category of “genealogy and record(系譜․記錄類)” was set under that of Histories. This was for inserting the books on Chosun Dynasty and royal family[e.g. royal family record(璿源錄), record of royal protocols(Uigwe, 儀軌), and annals of dynasty(王朝實錄), etc.], traditionally excluded from catalogues of books, into four division system. Later the division system changed again, and as a result, the ‘category of genealogy and record’ was split into ‘category of genealogy’ and ‘category of record’, causing mix of the royal and ordinary books. This means dissolving the group of the books on Chosun Dynasty and royal family in book division system, implying a part of colonization through degrading Chosun Dynasty. And the category of record became too huge by combining official documents produced by Korean Empire, leaving the problem of imbalance in book division system of Kyujanggak Archive that has not been solved clearly yet.

      • KCI등재

        開港場 警察의 설치와 운영(1884∼1896)

        閔會修(MIN Hoi soo)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8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적 경찰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도 조선의 개항장·개시장에는 경찰제도가 존재하였다. 이 개항장의 ‘警察官’은 일본이 개항장에 이식한 경찰제도와 더불어 개화파들이 추진했던 근대적 경찰제도 도입 구상의 영향을 받아, 개항장 행정의 총책임자인 監理휘하에서 租界地의 순찰 등을 전담하기 위하여 1884년에 인천항에 처음 도입되었다. 그런데 초창기에는 애초의 도입 취지처럼 순찰 기능에 특화된 존재는 아니었고, 조계와 관련한 각종 사무 담당 및 각종 운송 업무를 위시한 감리서 관할 사무 보조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감리서의 역할이 증대하고 그 조직이 확장되면서 경찰 조직 또한 확장·독립의 과정을 밟게 되어 ‘警察署’가 분리되었고, 그에 수반하여 개항장 경찰의 관할 업무 역시 개항장에 출입하는 선박에 대한 감시와 상행위의 질서 유지 등을 위시한 각종 치안업무에 보다 특화되어, 점차 근대적 경찰조직의 그것과 성격이 유사해졌다. 그러던 중 1894년 갑오개혁기에 ‘警務廳官制’가 제정되면서 근대적인 경찰제도가 도입되자, 이 개항장의 경찰제도 역시 거기에 편입되었는데, 관제 제정시에 중앙의 경무청 산하로 들어가면서 기존의 감리서와의 지휘관계가 형식적으로는 단절되었으나 현실적으로는 지속되었다. 이후 1895년에 새로운 경무청관제가 제정되고 뒤에 지방제도의 개혁 및 감리서 폐지 등을 거치면서 개항장의 경찰 조직은 다시 지방행정조직의 편제하에 들어가게 되었고, 1896년 이후 감리서가 복설되자 갑오개혁 이전처럼 감리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살펴볼 때 개항장의 경찰제도가 1894년 이후의 근대적 경찰제도와 제도적으로는 완전히, 그리고 그 내용상으로도 일정 부분 연결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한국에 있어서 근대적 경찰제도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얻을 수 있다.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police system to Korea during the Reform in 1894, the police system had existed at the treaty ports and open markets in Korea. This ‘Policeman(警察官)’ was first introduced to Inch’on Port in 1884 for the duty of patrol around the settlement(租界) under the control of the Gamri(監理), the Superintendent of the treaty ports,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the police system that Japan had introduced to Korean treaty ports and the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police system made by the Enlightenment Party (開化派). His role was not specialized in the duty of patrol which had been the object for introduction at the beginning, and he accomplished various works on the settlement and assisted the busines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監理署), such as various transport services and so on. But as the role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grew larger and its constitution bigger, the police system also underwent the process of expansion and independence which resulted in the separation of the police station(警察署) from the Superintendent Office. And the duties of the policeman at the treaty ports also became more specialized in that of the public peace, such as the surveillance of the ships and maintaining the order of the commercial transaction, more similar to those of the modern police. When the Official Regulations for the Police Agency(警務廳官制) was made in 1894, which means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police system to Korea, the police system at the treaty ports also included in the new system. And its relationship of command and control with the Superintendent office disconnected formally as it became under the control of the Police Agency in Seoul, but continuing practically. Pass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fficial Regulations for the Police Agency, the reform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he abolition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in 1895, the police system at the treaty ports again went under the command of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ter being controlled by the Superintendent just like before 1894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in 1896. Checking on the process in the above mentioned, we can make sure that the police system at the treaty ports are connected to the modern police system after 1894, completely in form and partly in substance, getting a new clue for the beginning of the modern police system in Korea.

      • KCI등재

        갑오개혁 이전 조선의 황제국 용어 사용

        민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5 No.-

        秦始皇이 처음 ‘皇帝’ 호칭을 사용하면서 동아시아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事大秩序는 皇帝國과 諸侯國 사이에 ‘황제’와 ‘國王’이라는 호칭 이외에도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朕’, ‘陛下’, ‘詔’, ‘勅’ 등의 용어를 두어, 격을 엄격하게 구별지어 놓았다. 고려시대에는 외부적으로 제후국체제를 따르면서 내부적으로 황제국 체제를 지향하는 ‘外王內帝’ 체제가 성립되기도 했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내부적으로도 제후국체제의 격식을 따르게 되었다. 그리하여 근대 이전 조선의 국왕은 중국과 일본 모두에서 ‘국왕’으로 호칭되었다. 개항 이후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조선 국왕에 대한 호칭으로 기존에는 호칭이 아니라 일반명사로 사용되던 ‘君主’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는 영국이 1842년에 청과 체결한 南京條約에서 황제-제후 관계와 무관한 명칭을 찾으면서 발견된 것이었다. 이후 1883년 영국과의 조약 체결을 계기로 ‘군주’ 앞에 ‘大’자가 추가되어 ‘大君主’라는 호칭이 탄생하였다. 이는 영국이 과거 중국과의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 과정에서 중국과 격을 맞추면서 만들어진 용어로 보이며, 동아시아에서는 전례가 없는 호칭이었다. 萬國公法 체제 하의 국가 간 조약은 1대 1이 원칙이므로, 영국과 격을 맞추기 위해 조선의 군주 또한 ‘대군주’로 표기되었고, 이후로 영국 이외의 여러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에서도 국왕 고종은 ‘대군주’로 지칭되어 이 명칭이 외교적으로 조선 국왕을 부르는 호칭으로 정착되었다. 한편 서구의 군주국들이 중국과 여러 조약들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사대질서하에서라면 황제국만 사용 가능한 ‘짐’, ‘조’, ‘칙’ 등의 용어들을 이들 또한 쓰게 되었고, 역시 조선과의 조약 협상 과정에서 사용되면서 조선도 격을 맞추기 위해 ‘칙’, ‘勅諭’ 등의 용어를 쓰기 시작하였다. 다만 처음에는 ‘짐’이나 ‘欽差’ 등의 표현은 사용을 삼갔는데, 갑신정변 이후 일본에 사과 사절을 보내는 과정에서 이들 역시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1888년부터 ‘대군주’ 뒤에 황제국 체제의 호칭인 ‘폐하’를 붙여 외국공관들에 보내는 외교문서에 쓰기 시작하였다, 이는 청의 내정간섭이 점증하면서 조선이 그 극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常駐使節 파견과 더불어 외국의 인정에 기반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으로 보이며, 청에게 비밀로 하며 시행된 ‘소극적인 반청자주 정책’의 성격을 지닌다. 먼저 미국․일본 등에게 제한적으로 사용하다가 1889년부터 그 대상이 대부분의 외국 공관에로 확장된 이 ‘大君主陛下’라는 표현은 외국 공관들과의 왕복 문서에서는 일상화되었고 海關에 대해서도 쓰였으며, 마침내 1893년에는 관찬 연대기류 사료에 등장하였다. 아울러 ‘짐’이나 ‘칙유’ 등의 여타 황제국 용어 및 표현들도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꾸준히 사용되어갔다. 그러던 중 1894년 이후 청․일전쟁으로 인한 국내외 정세 변동에 따라 청과의 관계 단절이 화두가 되면서 수면 아래에 있던 이 호칭이 전면으로 드러났고, 1895년부터 비단 외교뿐만 아니라 내정에서도 공식적인 호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