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창지역 섬진강 지류별 토양유실량 산정과 하상퇴적물의 주공급원에 관한 고찰

        곽재호,양동윤,이현구,김주용,이승구,Kwak Jae-Ho,Yang Dong-Yoon,Lee Hyun-Koo,Kim Ju-Yong,Lee Seong-G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6

        하상퇴적물의 공급원을 규명하고자 전라남북도의 경계부근에 위치하는 섬진강 본류와 그 지류들을 포함하는 유역에서 발생하는 하상퇴적물의 희토류원소 분포양상과 토양유실량을 결석하였다. 연구지역 수계는 섬진강 본류를 비롯하여 순창읍을 관통하는 경천, 옥과면의 옥과천, 입면의 창정천과 입천이면, 각 수계에 직${\cdot}$간접적으로 퇴적물을 공급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10개 유역을 대상으로 토양유실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유실량 예측공식인 RUSLE 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토지이용도, 지형도, 토양도 등의 자료를 사용하었고, grid 기반의 10m 셀의 격자형 데이터로 구축한 RUSLE 인자들의 중첩분석을 통하여 연간 토양유실량을 예측하였다. 당위면적당 토양유실량은 밭(53,140.94 tons/ha/year), 과수원(25,063.38 tons/ha/year), 논(6,506.7 tons/ha/year), 산림 (6,074.36 tons/ha/year) 지역 순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식위험지역으로 분석된 지역은 대부분 밭 지역 내에 분포하였다. 토양유실은 하천을 따라 분포하는 근원암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토양유실량, 침식위험지역 분포, 하상퇴적물과의 희토류원소 분포양상에 있어서의 상관관계 등을 고려해볼 때, 경천은 순창엽리상화강암, 옥과천은 대강엽리상화강암, 입천은 설옥리층의 퇴적물이 하천에 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여러 암종이 넓은 면적에 분포하고 있는 옥과천의 경우, 하싱퇴적물, 기반암 및 토양의 희토류원소 분포양상과 토양유실량 분석결과를 함께 활용함으로써 더욱 신뢰도 높은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where the soil loss was mainly occurred, .and to verify how riverbed sediments in the tributaries of the Seomjin River were related to their source rocks distributed in Sunchang area. The study area including the Seomjin River with 4 tributaries of Kyeongcheon, Okgwacheon, Changjeong-cheon and Ipcheon was divided into 10 watershed. The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as estimated for all the grids (10 m cells) in the corresponding watershed. The amount of soil loss per unit area was calculated as follows: dry fold (53,140.94 tons/ha/year), orchard (25,063.38 tons/ha/year), paddy field (6,506.7 tons/ha/year) and Idlest (6,074.36 tons/ha/year). The differences of soil loss per unit area appear to be depends on areas described earlier. Soil erosion hazard zones were generally distributed within dry fields. Several thematic maps such as land use maps, topographical maps and soil maps were used as a data to generate the RUSLE factors. The amount of soil loss, computed by using the RUSLE, showed that soil loss mainly occurred at the regions where possible source rocks were distributed along the stream. Based on the this study on soil loss and soil erosion hazard zone together with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that were previously analyzed in same study area, a closed relationship between riverbed sediments and possible source rocks is formed. Especially in the Okgwacheon that are widely distributed by various rocks,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 derived from the riverbed sediments, source rock and soil is expected to have a closed relationship with the distribution of soil loss.

      • KCI등재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곽재호(Kwak Jaeho),이경화(Lee Kyunghwa)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 “Is the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and identifi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ree ordinary fourth-grade classes of a K-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y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group, a Havruta-style debate program was conducted over 12 sessions for 4 weeks. And assigning the traditional explanation class as the control group, the general debate class as the comparative group.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ocial studie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questions’ developed by Lee Jongyeon et al.(2007) which verified by the in-service teachers and experts. The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with ANOVA using SPSS WIN 24.0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higher score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the group who conducted the traditional explanation instruction or the general debate instru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idity, originality, elaboration except for fluency and flexibility in the sub-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depend on different teaching proces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eaching and debate methods.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유창성, 융통성, 타당성, 독창성, 정교성)을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K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59명이었다. 먼저 일반학급 3개 반을 무선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은 4주 동안 총 12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실험집단에는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비교집단에는 일반 토론수업을, 그리고 통제집단에 설 명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측정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는 이종연 외(2007)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일반 토론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이나 설명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에서는 타당성, 독창성, 정교성에 있어서는세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5). 유창성과 융통성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 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러나 토론수업의 효과는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토론식 수업이 의미가 있으며, 그중에서도 하브루타식의 토론수업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방식으로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제안한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프로세싱 언어와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차원의 전자방명록 구현

        곽재호(Kwak Jaeho),이승아(Lee Seungah),김회율(Kim Whoiyu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21세기 디지털 미디어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마련했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전자방명록은 그 이전 문자시대의 기록 문화의 대안적 역할 혹은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기록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기술과 콘텐츠를 접목하고 전자방명록의 형식을 차용한 미디어 아트 작품-Face Ball-의 제작과정을 분석하였다. 아티스트와 공학도의 협업을 통한 작업 콘텐츠 제작 및 기술적 구현과정을 통해 초기의 전자방명록의 형태가 단순하게 디지털 이미지나 개인정보와 관련한 데이터 기록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면 Face Ball은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하여 관람객의 얼굴을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전자방명록으로써의 기능에 충실함과 동시에 컴퓨터 비전 기술과 그래픽 기술을 활용한 보다 시각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미디어 아트 작품 차원의 레벨로 구현 되었다. 뿐만 아니라 검출된 관람객의 얼굴 이미지를 활용한 게임적인 요소를 더함으로써 관람객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본 작품이 전시되었던 서울시 한빛 미디어 갤러리에서 한 달의 전시기간을 통해 관람객의 다양한 인터랙션 방법과 과정들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었으며 그 이후 작품과 관람객 간의 상호간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기능적 접근에 대한 연구를 지속 중에 있다. Computers and the Internet as the digital media of 21st century provided a new paradigm shift and electronic guest book in the digital media era has suggested an alternative way of the recording -culture from the previously in text- or a new proposal to record as digital data. This paper shows the process of media art work-Face Ball by combining a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contents and borrowing the format of electronic guest book. If the purpose of the earliest electronic guest book is just gathering digital images and data record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by creating contents and technical collaboration of artist and engineering Face Ball was achieved completely as a electronic guest book through the record participant's face accurately with face detection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ique and it was also implemented as the same level of media art work via visual elements using graphics. Futhermore it derived participa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by game factors using face detection. This work has been observed and recorded diverse interactions of participants and processes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in Hanbit Media Gallery. We are further developing the interface design between media art and participants and functional approaches based on the customer's responses during the exhibition.

      • 공간적, 시간적 경계 정보를 이용한 이동 객체 윤곽선 검출 방법

        곽재호(Kwak Jae-Ho),김회율(Kim Whoi-Yul)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9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본 논문에서는 Spatial Edge와 Temporal Edge를 이용한 이동 객체의 윤곽선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영상에서 이동 객체의 윤곽선이 존재하는 후보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의 Temporal Edge를 제안한다. Temporal Edge를 통해 검출된 후보 영역을 중심으로 Spatial Edge를 구하고, 후처리 과정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이동 객체의 윤곽선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고, 배경 차 방법과 비교 하였다.

      • KCI등재
      • 메카트로닉 열차 연구동향

        곽재호(Kwak Jaeho),유원희(You Wonhee) 한국철도학회 200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paper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the concept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relating to the use of electronic and computer control for railway vehicles in the aspect of mechatronic design. It can provides the rail vehicles of tomorrow must be more cost effective, energy efficient, and dynamic performance. The main emphasis in this paper will be upon the use of active control for suspension and steering for new approaches of incorporation of sensors, controllers, and actuators. They can make vehicle designers to take advantages optimizing mechanics and electronics jointly which are not possible with a purely mechanical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