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용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 사례연구

        곽윤정(Yun Jung Kwak),장선영(Seon young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운용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실재적 인 절차를 구조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대학교를 사례로 교육체계 수립하였다. 교육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첫 단계로 학교 인재상을 수립하였 다. 이를 위해 창학이념과 학훈을 분석하고, 학습자들의 학교에 기대하는 인식을 조 사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재상을 기반으로 대학교에서 양성 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핵심역량을 제시하기 위해 핵심역량 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분석틀을 개발한 후 분석틀을 활용하여 핵심역량 모형이 개발 되었으며, 개발된 1차 모형은 전문가 11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핵심역량모형을 참고하여 학교 및 학과별 교육목적 및 목표를 수립하였 고 해당 대학 내부전문가 20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 확정되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이 전 결과물들을 종합하여 교육체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역량 기반 교육과정 운용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 교육과정 운용 전략 등을 체계화하는 기 초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ize the process for developing educational systems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process was validated by applying it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ystems at S university. The first phase of the process was to develop the concept of talent for the university after analyses on the institutional philosophy, school precept, and expectations of learners. The second phase wa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that presented the competencies that were required for the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is pha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core competencies was developed, and this framework was reviewed and modified by 11 experts. The third phase was to establish educational purposes and objectiv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model. They were also reviewed and decided by 20 experts from the university. Finally, all the outcomes were integrated to develop educational systems. This case study provides foundational knowledge for developing educational systems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for systemizing strategies on manag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곽윤정(Yun Jung Kwak)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100명으로서 이 중 50명은 실험집단이며, 나머지 5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서관리 프로그램은 총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행복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로 활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행복 척도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복 척도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긍정정서, 자아통제 모두에서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검사의 경우 일부 하위 영역을 제외한 5개의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서관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유추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on adolesce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100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Half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an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8 weeks. All of the participa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or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re-test scores of both groups indicated that they were homogeneous. However, as for the post-test, the happiness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on six sub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뇌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곽윤정 ( Yun Jung Kwa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8 뇌교육연구 Vol.2 No.-

        본 연구는 뇌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뇌교육 프로그램은 최근 등장하여 주목받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뇌의 기능과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뇌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습장면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학습몰입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생 80명으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 뇌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몰입의 경우 사후 검사의 비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그러나, 학업성취의 경우 사후 검사의 비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rain Education on flow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Brain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for development of function and operation on brain. The subjects were 16-year-ol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ienced the education activities for 4 months. Significants effects was found on flow scor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but no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onsequently, the Brain Education Program can be said to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flow experience.

      • KCI등재

        조절초점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곽윤정(Yun Jung Kw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5

        의료 기술의 발달로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노년기에 어떻게 행복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연령대에 따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유형이나 행복에 대한 변인의 영향력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조절초점 중 ‘향상초점’을 활용하는 개인이 ‘방어초점’을 활용하는 개인보다 대체로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절초점의 영향이 사람의 전생애 동안 모든 연령대에 걸쳐서 유효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역과 연령대별로 성인 12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표집을 구성하고 연령이 조절초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해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향상초점과 연령은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가진것이 발견되었으나, 방어초점과 연령은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향상초점이 삶의 만족도와 정서균형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더 강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년기에 능동적으로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며 성취감을 느끼는 등 향상초점을 활용하는 것이 주관적 행복감을 경험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체제의 구축을 통해 노인의 향상 초점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한다. People’s interest in how to lead a happy life when they get older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extension of life span due to the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Factors that can affect happiness or the strength of the influence of those factors may vary according to age.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individuals with promotion focu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appiness than those with prevention focus. However, whether this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happiness is consistent regardless of age has not been sufficiently investigated. Therefore, 1,250 Korean adults from each age group and residence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samp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omotion focus and age hav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of prevention focus and age was not significant. More concretely, the positive effects of promotion focus on life satisfaction and affective balance grew stronger with increasing age. This finding implies that it is especially important for old adults to use promotion focus by actively setting challenging goals and motivating themselves to g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experience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social support is proposed as being especially important to activate their promotion focus.

      • 뇌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연구 - 뇌호흡을 중심으로 -

        곽윤정 ( Yun Jung Kwak ),조태임 ( Tae Im J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여 주목받고 있는 뇌발달 프로그램 중 뇌호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기는 뇌발달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이므로 유아기에 제공된 경험에 따라 인간의 다양한 능력이 계발될 수 있다. 특히,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은 인간 능력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개념으로서 인간의 뇌의 기능과 작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결정적 시기에 제공받는 경험에 따라 발달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뇌발달 프로그램의 다중지능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80명의 유아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게 뇌발달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음악 지능, 신체운동지능, 인간친화지능, 자성지능에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p < .01, .05), 공간지능, 자연지능에서는 두 집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rain development program(Brain Respiration program) on Multiple Intelligence(MI). Children who experienced many multifarious activities can develop different abilities because childhood is the critical period on brain development. The Brain development program was designed for improvement of function and operation on brain. The subjects were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program activities lasted for 5 months.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children`s MI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in some but not all areas of MI. Consequently, the Brain development program can be said to have partially effects on the advancement of children`s MI.

      • KCI등재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곽윤정(Yun-Jung Kwa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제작하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는 개발된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를 통하여 첫 번째 연구에서 개발한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다. 본 정서지능 개념 모형은 능력별 수준이 구분되는 각 구성 요소의 발달에 초점을 두었고, 정서지능 4영역 모형에 따라 정서조절을 상위의 능력으로 보고 정서조절 능력 행동을 죄종 목표로 하였다. 본 모형에 입각하여 정서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ㆍ개발하고 만 5세와 6세 유아 164명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실험에 사용한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designing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is model, an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on this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in an empirical research.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emotional intelligence. Sub-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extracted in this analysis. An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that is based on this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ssessed in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A total of 164 five and six year 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treatment consisted of 20 courses which were carried out during 10 weeks.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emotional regulation scores. This result proves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effect on develop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자유학기제의 학교생활만족감과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종단연구

        곽윤정(Yun Jung Kw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감과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효과가 종단적으로 지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도시에 거주 중인 중학생으로서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실험집단 451명과 자유학기제에 미참여한 통제집단 466명으로 자유학기제가 종료된 이후 매 년 3차년도까지 자료를 수집 · 분석하였다. 학교생활만족감의 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 경향은 2차년도까지 지속되었지만 3차년도에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 흥미 중 주지교과 수업의 분석 결과, 3년 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예체능 수업 흥미에 대한 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시행집단이 미 시행집단 보다 1차년도, 2차년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3차년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의 지속적 효과를 위하여 단기적 운영에서 벗어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제도 마련과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free semester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lasses and whether the effect persisted longitudinally.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located in large cities: 451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66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Only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The data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free semester for three yea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until the second year but not in the third year.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est in the main subject class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until the third year. Third, students’ interest in art and sports clas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until the second year but not in the third yea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ng-term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 rather than short-term introduction is required for the continuous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