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Oily Wastewater Treatment by Ceramic Membrane: A Review

        곽연수,라즈쿠마 파텔,Kwak, Yeonsoo,Rajkumar, Patel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2022 멤브레인 Vol.32 No.5

        Separation of oily wastewater, which is a byproduct of various industries such as petroleum refineries, is essential to not exceed the tolerance limit of wastewater streams. Ceramic membranes show potential in oily wastewater separation, due to their excellent oil removal efficiency, good chemical, thermal, and mechanical stability, and simple operation. However, widespread application of ceramic membranes is limited due to high material cost of alumina, silica, and other ceramic based materials used to fabricate them. Recent efforts to reduce material cost have been made, using fly ash and clay. This review examines the fabrication and efficiency of ceramic membranes in oily wastewater separation according to material: silica, alumina, and waste ash.

      • 묘목류 수입검역과정에서 검출된 해충 동향 분석

        곽연수,김진석,이용봉,정영채,박성우,남봉우,최병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재식용식물은 국제적으로 병해충 유입 및 확산 고위험품목으로 규정되고 있으며, 현장 검역과정에서 재식용식물의병해충 검출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과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는 이미 재식용식물에 대한 위험분석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로 수입된 묘목류는 약 10만건(화물 수입건 기준)이며, 수입 묘목류 전체 해충검출건수는 약 1만건(600여종 이상), 규제․잠정규제해충 검출건수는 약 7천건(400여종 이상)이다. 연도별 묘목류 해충검출건수는 ‘12년부터 ‘16년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해외병해충의 유입 또한 크게 우려되고 있다. 수입 묘목류 중 해충검출이 많은 품목으로는 드라세나, 고무나무, 폴리시아스등이 있으며 검출 빈도가 높은 해충으로 긴꼬리가루깍지벌레(Psuedococcus longispinus), 검정날개버섯파리과(Sciaridae),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 등이 있다. 이처럼 고위험 품목인 수입 묘목류를 통한 해외 병해충의 국내유입 방지를 위해 생산지에서부터 병해충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품목별 위험분석을 통한 위험관리방안 적용이필요하다.

      • 파일롯 규모 수소첨가 촉매공정 기반 바이오항공유 제조시스템 장기운전 특성 연구

        곽연수,장정희,안민회,한기보,정병훈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항공 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탄소중립성을 지닌 바이오항공유가 대두되고 있다. 향후 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RFS)의 항공 부문 확대에 대비한 바이오항공유 대량생산 및 상용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롯 규모의 수첨 탈산소, 수첨 업그레이딩 및 분별증류 시스템을 연계하여 식물성 오일로부터 바이오항공유를 제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첨 탈산소 및 수첨 업그레이딩 공정의 장기 연속운전으로 제조되는 노말 파라핀계 탄화수소 및 이소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조성과 탄소수 분포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FID) 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기 공정이 장기 운전되었을 때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 KCI등재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대한 배 검은별무늬병균 Venturia nashicola 의 저항성과 β-Tubulin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관계

        곽연수,민지영,송장훈,김명수,이한찬,김흥태,Kwak, Yeonsoo,Min, Jiyoung,Song, Janghoon,Kim, Myeongsoo,Lee, Hanchan,Kim, Heung Tae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2

        Benzimidazole계 살균제 저항성을 모니터링하면서, 저항성과 ${\beta}$-tubulin 유전자의 198번째 코돈의 돌연변이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Venturia nashicola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대한 반응은 $0.16{\mu}g/ml$ carbendazim 배지에서 전혀 생장하지 못하는 감수성과 $4.0{\mu}g/ml$ 배지에서 생장이 안 되는 저저항성, $100{\mu}g/ml$에서조차 생장이 가능한 고저항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국내 3개 지역의 과원에서 채집한 30균주의 V. nashicola는 carbendazim에 대해서 모두 고저항성이었다. V. nashicola의 ${\beta}$-tu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저저항성 균주에서는 감수성 균주와 염기서열에 차이가 없었지만, 고저항성 균주는 GAG인 glutamic acid가 GCG인 alanine으로 치환되어 있었다. 옥천의 과원에서 분리한 10균주 중에서 5균주는 GGG인 glycine으로 치환되어 있었다. 특히 glycine으로 치환될 경우 carbendazim에 대해서 저항성이 되면서 carbendazim과 diethofencarb 혼합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더 커졌다. 결국 ${\beta}$-tubulin의 198번째 코돈의 돌연변이 E198A와 E198G는 V. nashicola가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대해서 저항성이 되는 중요한 기작임을 알 수 있었다. Pear scab caused by Venturia nashicola has been reported as an important disease of pear resulting in lowering the quality of pear fruits.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of V. nashicola and mutation of ${\beta}$-tubulin gene and the fungicide resistance in field isolate group in benzimidazole fungicides. Responce of V. nashicola to carbendazim could be classified into 3 groups as sensitive that does not grow at all on PDA amended with $0.16{\mu}g/ml$ of carbendazim, low resistance that could not grow in $4.0{\mu}g/ml$ medium, and high resistance that can grow even at $100{\mu}g/ml$. Thirty isolates of V. nashicola collected from 3 regions as Wonju, Naju, and Okcheon were highly resistant to carbendazim. Analysi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beta}$-tubulin gene of V. nashicola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cleotide sequence between the sensitive and the low-resistant isolate, but GAG at codon 198 (glutamic acid) was replaced with GCG (alanine) in the high-resistant isolate. Among 10 isolates obtained from the Okcheon, 5 isolates showed the substitution of glycine for glutamic acid, which were resistant to carbendazim, but more sensitive to the mixture of carbendazim and diethofencarb than others. Through these results, all isolates of V. nashicola isolated in pear orchard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benzimidazoles. Also, mutants E198A and E198G at ${\beta}$-tubulin were found to be important mechanisms of V. nashicola resistance against benzimidazole fungicides.

      • 1P-651 항공용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탈산소 공정 특성 연구

        곽연수,장정희,안민회,김성탁,한기보,한정식,정병훈,박노국,최민기,박천규,서영웅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항공 연료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세에 있으며 바이오 항공유 생산은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고 탄소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해당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원천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HEFA(Hydroprocessed Esters and Fatty Acids) 공정은 바이오 항공유 생산 공정 중 하나이며, 수첨 탈산소 및 크래킹/업그레이딩 공정이 연계되어 있다. 이중 수첨 탈산소 반응은 외부 수소 공급원이 다량 필요하므로 운전 조건에 따른 반응물 공급량의 최적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벤치 규모 탈산소 촉매 반응공정을 바탕으로 노말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생산하였다. 연속 공정으로 운전하며 촉매 충진양, 반응 온도, 반응물 공급량과 같은 운전조건의 영향과 촉매별 운전상의 차이를 확인하여 벤치 스케일 공정의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며, 랩 스케일 공정과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스케일-업 인자를 도출하여 향후 파일롯 스케일의 탈산소 공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 파일롯 규모 분별 증류에 의한 식물성 오일 유래 바이오항공유 제조 연구

        곽연수,장정희,안민회,김성탁,한기보,정병훈,한정식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바이오항공유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HEFA 공정은 식물성 오일의 탈산소 공정과 수소첨가 업그레이딩 공정을 연계하여 진행된다. 수소첨가 업그레이딩 공정의 생성물인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 화합물을 분별 증류하여 C8-C16 범위의 탄소수를 주로 갖는 바이오항공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롯 규모 분별 증류탑을 이용하여 식물성 오일 유래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로부터 바이오 항공유 (100%) 를 제조하였다. 밀도, 어는점, 인화점, 증류성상, 전산가, 열산화안정도 등의 항목에서 항공유의 요구물성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증류 생성물의 탄소 수 분포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FID)를 이용해 분석하여 증류 효율을 높이는 운전조건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대한 배 검은별무늬병균 Venturia nashicola 의 저항성과 β-Tubulin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관계

        곽연수,민지영,송장훈,김명수,이한찬,김흥태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2

        Pear scab caused by Venturia nashicola has been reported as an important disease of pear resulting in lowering the quality of pear fruits.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of V. nashicola and mutation of β-tubulin gene and the fungicide resistance in field isolate group in benzimidazole fungicides. Responce of V. nashicola to carbendazim could be classified into 3 groups as sensitive that does not grow at all on PDA amended with 0.16 μg/ml of carbendazim, low resistance that could not grow in 4.0 μg/ml medium, and high resistance that can grow even at 100 μg/ml. Thirty isolates of V. nashicola collected from 3 regions as Wonju, Naju, and Okcheon were highly resistant to carbendazim. Analysi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β-tubulin gene of V. nashicola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cleotide sequence between the sensitive and the lowresistant isolate, but GAG at codon 198 (glutamic acid) was replaced with GCG (alanine) in the highresistant isolate. Among 10 isolates obtained from the Okcheon, 5 isolates showed the substitution of glycine for glutamic acid, which were resistant to carbendazim, but more sensitive to the mixture of carbendazim and diethofencarb than others. Through these results, all isolates of V. nashicola isolated in pear orchard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benzimidazoles. Also, mutants E198A and E198G at β-tubulin were found to be important mechanisms of V. nashicola resistance against benzimidazole fungicides. Benzimidazole계 살균제 저항성을 모니터링하면서, 저항성과 β-tubulin 유전자의 198번째 코돈의 돌연변이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Venturia nashicola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대한 반응은 0.16 μg/ml carbendazim 배지에서 전혀 생장하지 못하는 감수성과 4.0 μg/ml 배지에서 생장이 안 되는저저항성, 100 μg/ml에서조차 생장이 가능한 고저항성으로구분할 수 있었다. 국내 3개 지역의 과원에서 채집한 30균주의 V. nashicola는 carbendazim에 대해서 모두 고저항성이었다. V. nashicola의 β-tu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저저항성 균주에서는 감수성 균주와 염기서열에 차이가없었지만, 고저항성 균주는 GAG인 glutamic acid가 GCG인alanine으로 치환되어 있었다. 옥천의 과원에서 분리한 10균 주 중에서 5균주는 GGG인 glycine으로 치환되어 있었다. 특히 glycine으로 치환될 경우 carbendazim에 대해서 저항성이되면서 carbendazim과 diethofencarb 혼합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더 커졌다. 결국 β-tubulin의 198번째 코돈의 돌연변이 E198A와 E198G는 V. nashicola가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대해서 저항성이 되는 중요한 기작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