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용 스마트폰 선용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고성자,박순덕,홍성관,이송희,이화용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scale to diagnose middle school students' good use of smartphone. Also, it aim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evaluation scale. For doing this, the concept of ‘good usage of smartphone’ was defined. Evaluation scale for the good use of smartphone was composed of sub-factors through which items were selected in order to diagnose the good use of smartphone. 275 participants from 3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indings showed that a total of 12 item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ere found: two items for self–control, three items for expanding life experience, three items for control experience, and four items for constructive us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model was appropriate. Convergent validity was testified by more than 0.7 of a construct validity and a construct reliability, and more than 0.6 of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In terms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each sub–factor had a high correlation with entire scale for the good use of smartphone. and it was proved to be a valid tool as an independent sub–factor. This evaluation scale to diagnose the good use of smartphone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very helpfu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programs and to develop related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선용을 진단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선용의 개념을 정의하고 선용척도의 하위요인을구성하여 스마트폰 선용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문항을 선정하였다. 경기도 소재 3개교 중학생275명을 연구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력 2문항, 생활경험 확장 3문항, 통제력 경험 3문항, 발전적 사용 4문항, 총 4요인 12문항이 추출되었다. 확인요인분석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준화 적재치 0.6 이상으로 개념 타당성, 개념 신뢰도 0.7 이상, 분산추출지수 0.6 이상으로 수렴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판별타당도 분석결과각 하위요인은 스마트폰 선용 전체척도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하위요인으로서의 독립성을 가진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선용교육 집단선정에 도움이 되도록 T점수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선용 정도를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구성개념 타당도 및 신뢰도 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스마트폰 선용척도는 여러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및 관련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학교 화장실 만족도 척도 개발 - 서울시 화장실 보수공사 완료 학교를 중심으로 -

        고성자,Ko, Seong-Ja 한국교육시설학회 2017 敎育施設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atisfaction scale of school toilet that was completed repair work and examine its validity. In order to develop general and scientific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argeting 3,694 participants from seventy schools which we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improvement projects of school toilet in 2015 and 2016. Satisfaction scale of seventeen items was developed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tal Cronbach's ${\alpha}$ of seventeen items resulted in .950. Factor loading indicated over 0.6. Factor explanation of each item showed that was relatively high. This scale can be used to research unit school satisfaction and utilized for further research.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atisfaction of school toilet.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용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고성자 ( Seong Ja K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용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의거 휴대전화 의존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초등학교 5, 6학년 7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생활장애 7문항, 금단 6문항, 강박 4문항, 의존 3문항, 총 20문항의 진단척도가 개발되었다. 하위요인별 Cronbach`s a는 각각 .902, .890, .808, .786이고, 휴대전화 의존성 전체에 대한 Cronbach`s a는 .924로 내적 일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동전화 중독척도, 충동성, 외로움, 자기통제력, 사회적지지 변인들과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휴대전화 의존성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라고 할 수 있으며, 초등학생용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가 전무한 상태에서 휴대전화 중독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 선별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자기보고형 척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mobile phone dependence scale needs to be developed when considering diagnosing the dependence on mobile phones as a social pathology, such as internet or video game addiction. The data from 7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a self-reporting Likert 5-point scaled questionnaire containing 100 questions after minutely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and content validity of the first 123 questions selected. The final 20 questions of the diagnostic scale for mobile phone dependence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ur factor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the derived living disorder (7 questions), withdrawal (6 questions), obsessive (4 questions) and dependence (3 questions). These four factors are referred to as the central concep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living disorder, obsession, dependence and the model of withdrawal factor fitness were satisfactory, The sub factor of Cronbach`s a for the above were 0.786, 0.808, 0.890, 0.902 respectively, Moreover, Conbach`s a for the total Mobile Phone Dependence Diagnostic Scale was 0.924, which means it has an intrinsic association. The scale was found to have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the scale is self-reported. Overall, this scale will be a great help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obile phone dependence.

      • KCI등재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고성자 ( Seong Ja Ko ),이형화 ( Hyung Hwa Lee ),홍성관 ( Seong Kwan Hong ),이형갑 ( Hyeong Gab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을 구안하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0회기의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고등학생 14명을 대상으로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셀프리더십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 내에서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은 실험집단의 검사 시기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수준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집단과 검사 시기의 상호작용에서도 검사 시기와 집단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고 그 효과는 추후까지도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국내ㆍ외에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한 상황에서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elf-leadership program for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examin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elf-leadership program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esident researches. In order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fourteen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xperimental group and to the control group. Self-leadership program in totally ten sessions was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self-leadership, but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elf-leadership was interaction of group and time(pre-test, post-test, and later te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improved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lf-leadership program improves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time passes. Last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강영숙,고성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and peer relationship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at program. Positive self-concept formation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upper elementary school are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reafter, they affect one’s happiness, personality forma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Accordingly, a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reconstruction of art and moral subjects in an upper elementary school. And Then, it was applied to participants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was measured. Participants were 14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in the controlled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self-concepts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K-HTP and KSD evaluation showed that the overall picture's features, level of interaction, level of cooperation,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people in the participants’ drawing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and peer relationships. It seems important for future research to test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과 교우관계 경험은 이후 개인의 행복과 성격형성,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 미술 및 도덕교과를 재구성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경기도 소재 S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 중 자아개념 수준이 비슷한 14명을 선정한 후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15회기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개념과 교우관계에서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거두었다. K-HTP, KSD에서도 실험집단이 전체적인 그림의 특징, 상호작용수준, 협력수준, 얼굴표정 면에서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안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지역과 학년을 확대․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일반화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 KCI등재

        학교교실 학습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술기반 액티브 러닝 교실 수업운영시스템 개발

        강철준,고성자 한국정보교육학회 202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교 수업의 혁신을 위해 외국에서 성과가 입증된 기술기반 액티브 러닝(Technology-based Active Learning: TBAL) 교실을 국내 현실에 맞는 수업운영시스템으로 발전·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생주도를 전면적으로 확대한 수업방식 도입, 학교수업의 성과증대 방법개발, 교사들의 수업준비 부담 경감, 평가방식 다변화 및 투명화를 통한 공정성 욕구 충족 등 네 가지 설계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수업운영시스템은 메타인지 학습기술 배양을 주목적으로 모든 수업활동을 학습게임으로 편성, 다양한 학습조직 구성, 학습과정을 일관된 학습포인트로 측정, 단계적 학습과 개방형 운영체제라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TBAL교실 수업운영시스템을 학교 교실수업에 적용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활동 참여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성과를 높이고 나아가 교육당국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교육혁신 정책의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