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연안역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

        고병설,이재학,홍재상,Koh, Byoung-Seol,Lee, Jae-Hac,Hong, Jae-Sang 한국해양학회 1997 바다 Vol.2 No.1

        인천 연안역을 중심으로 1994년 5월에서 1995년 2월까지의 4계절에 걸쳐 저서동물군집을 조사하고 저서동물의 종 조성에 따른 시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며, 생물분포에 관여한 다양한 환경요인의 측정과 함께 해양환경을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총 231종, 평균 455개체/$m^2$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이 중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Heter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Chaetozone setosa, Mediomastus sp., Glycinde sp., Glycera sp.와 Nephtys oligobranchia 등이었으며 조사시기별과 해역별로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종 조성에 따른 공간적 유사성에 있어선 크게 4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어 팔미도 외해역(I), 주 수로역과 시화방조제 부근 해역(II), 영종도 북동쪽 해역(III), 인천항과 소래 입구역(IV)으로 나뉘어 졌다. 이러한 구분은 저서동물의 분포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는 퇴적물의 입도 뿐만 아니라 중금속 농도 및 용존산소의 차이 등과 오염의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다모류와 연체동물의 출현비의 증가, 갑각류의 Phoxocephaiidae의 출현여부, 오염지시종의 증가 등은 정점군 I에서 정점군 IV로 갈수록 오염되어졌음을 잘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seasonally from May 1994 to February 1995, an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effect the temporal and the spatial changes of benthic species composition. In the present study, 231 species were collected with the average density of 455 ind./$m^2$. The dominant species were Heter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Chaetozone setosa, Mediomastus sp., Glycinde sp., Glycera sp. and Nephtys oligobranchia, which are in the polychaete group; abundance of these species showed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4 regions by cluster analysis such as outside area of Palmido (I), main channel region and adjacent are of Shihwa sea wall (II), north-eastern area of Youngjongdo (III), and the Inchon harbor and the mouth area of Sorae harbor (IV). The particle size of sediment which generally influences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community, the differences of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of the dissolved oxygen, the increase of the proportion of polychaetes and molluscs, the absence of the crustacean phoxocephalids, and the increase of the abundance of pollution indicator species,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 of the areas have been degrading gradually from Group I to Group IV.

      • KCI등재후보

        비인만 대형저서동물의 전 군집 공통 출현종에 관한 공간분포 특성

        고병설,최옥인,조영조,송재희,권대현,이창일,이동엽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비인만의 갯벌과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가 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종 조성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각기 다른 군집의 퇴적환경의 특성을 비교했다. 대형저서동물은 먼저 조위에 의해 4개의 군집으로 대별되었으며 그 가운데 3개의 군집은 퇴적환경의 특성에 따라 세부군집으로 나뉘어졌다. 모든 군집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종인 Nephtys californiensis Hartman 1938, Haploscoloplos elongatus Johnson 1901, Glycera sp., Heteromastus sp. Notomastus sp. Timarete amtarctica Monro 1930, Glysinde sp., Lumbrineris japonica Marenzeller 1879 에 대한 서식밀도의 높낮이는 서식지의 퇴적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통종 가운데 2종만이 일부 퇴적환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종의 시간에 따른 밀도변화는 4계절 조사로는 해석하기 힘들었으며 생활사의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좀 더 빈번한 조사가 필요했다.

      • KCI등재

        제주도 연안에서 해저 지하수 및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의 시간적 변화

        황동운,고병설,Hwang, Dong-Woon,Koh, Byoung-Seol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4

        해저지하수와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의 시간적 변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9월부터 2010년 9월까지 2-3개월 간격으로 제주도의 방두만에서 지하수의 유출속도와 영양염류 농도를 측정하였다. 해저지하수의 유출속도는 0~330 cm/day(평균 약 170 cm/day)였으며 조석주기 동안 육상 지하수면과 해수면사이의 수리학적 압력경사의 변화로 인해 고조에서 저조로 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해저지하수의 유입량은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은 방두만내 전체 영양염류 유입양의 용존무기질소는 90~100%, 용존무기인은 70~95%, 용존무기규소는 65~100% 이었으며, 이는 0.9~33 g $carbon/m^2/day$의 유기탄소 생성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저지하수를 통한 영양염류의 유입은 제주도 연안의 부영양화 및 생물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To determine the temporal variation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nd SGD-driven nutrients inputs, we measured the seepage rate and the nutrient concentrations of pore water/groundwater in Bangdu Bay of Jeju Island at two and three month intervals from September 2009 to September 2010. The seepage rate of groundwater ranged from 0 to 330 cm/day (average ~170 cm/day) during the five sampling periods, which increased sharply from high tide to low tide due to changes in hydraulic pressure gradient between water table in land and water sea level in the coastal ocean by the tidal cycles. The submarine inputs of groundwater were also relatively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The nutrient fluxes from SGD were about 90~100%, 70~95%, and 65~100% of the total input (except from open ocean waters) fo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phosphorus (DIP), and silicate (DSi), respectively, potentially supporting about 0.9~33 g $carbon/m^2/day$ of new primary production in Baugdu Bay. Thus, our study suggests that SGD-driven nutrien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utrophication and biological production in the coastal ocean of Jeju Island.

      • KCI등재

        한국 갯벌 생태 등급도의 개발 필요성과 방향

        유재원,이창근,고병설,이시완,한동욱,최근형,김창수,홍재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0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2 No.2

        There is a host of habitat assessment systems available to evaluate and grade tidal flat ecosystems in Korea. Nevertheless, we recognize the need to develop a better ecological scheme to improve reliability and accuracy given the importance of using an empirical approach in assigning grades to indicators and the limitation of current systems which evaluate tidal flats on a regional basis. A preferable system would be one that enables habitat mapping within a tidal flat, provides a diagnosis of ecological stress/health, has a high level of ecological relevance, communicability, and statistical robustness, and enables evaluation of diverse habitats within a tidal fla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in framing such a system. Indicators should discriminate habitat quality into five to seven grades accomodating diverse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value of a habitat, and the grading should be made from frequency distribution of indicators based on nationwide data.We suggest the following tasks in crafting such a system: i) The decision on selection of indicators should be made based on accuracy of assess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ⅱ) effects of physical habitat conditions on variability of indicators should be reflected; and, ⅲ) further works on stress/health indicators should be addressed for adopting a multiple-indicator approach which reduces misdiagnosis.

      • KCI등재

        Polyp Removal of a Bloom Forming Jellyfish, Aurelia coerulea, in Korean Waters and Its Value Evaluation

        윤원득,채진호,고병설,한창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 Ocean science journal Vol.53 No.3

        Aurelia coerulea is a bloom forming jellyfish that first appeared before 1980 in the western and southern Korean seas and which has been blamed for huge economical losses in all fields of marine activities. As a preventive measure to reduce economical losses, polyp removal was undertaken at Lake Shihwa, Lake Saemangeum, and Masan Bay, Korea. In the course of efforts during 2 years to remove polyps, polyps were surveyed, quantified, and removed. In these areas, the initial total polyp abundance was 5.04 × 109 and 46.25% of them were removed; Lake Shihwa the highest rates of removal and Lake Saemangeum the lowest. These efforts to remove polyps prevented the appearance of 1.20 × 109 medusae, corresponding to 78.28 × 106 kg. The cost of polyp removal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medusae removal. The ratio between the cost of polyp removal and that of medusae removal ranged between 0.78–3.14%, indicating large cost savings for polyp removal undertakings. However, the effect of polyp removal varied from positive to none, and we assumed that the cleared surface for polyp removal, quantity of removed polyp, and existence of polyps’ hotspots in neighboring areas were the causes of the non-effectiveness of polyp removal undertak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