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 현황 및 보전 방안

        이시완,송민정,이한수,최종인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1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70종에 최대개최수 합계가 169,351개체이었다. 군집별로는 오리류가 22종, 도요류 20종, 백로류 9종 및 갈매기류 5종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개체수는 3월이 95,465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2월과 11월에도 70,000개체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4월~6월에는 7,000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연중 1회 최대 출현개체수에서 최우점종은 58,627개체로 34.6%를 점유한 고방오리(Anas acuta)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4.5%인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13.6%인 흰죽지(Aythya ferina), 6.1%인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5.0%인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및 2.69%인 검은머리흰죽지(Aythya marila)순이었다. 시화간척지에는 노랑부리백로(Egretta ulophotes), 저어새(Platalea minor),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혹고니(Cygnus olor), 큰고니 Cygnus cygnus) 및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등의 희귀조류가 서식 및 번식하고 있었다. 주로 시화호의 수변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수변부 뒤쪽의 간척지(배후습지)를 휴식 및 서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검은머리물떼새는 칠면초(Suaeda japonica)와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등이 자라고 있는 간척지를 번식지로 이용하고 있었다. 시화호가 매립과 간척, 수변부에 조성되는 해안도로, 송전철탑 건설 및 농지확보를 위한 방조제 조성 등으로 물새류의 서식 및 번식지가 훼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곳에 도래하는 물새류를 번식조류, 통과조류 및 겨울철새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보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먹이원 확보, 서식지인 수변부와 번식지인 수변부 뒤쪽의 배후습지의 유지 및 외지섬, 형도, 음섬과 시화 상류갯골이 연계되는 생태계 벨트 구축 등에 의한 물새류 보전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Sihwa reclaimed area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3. We observed total 169,351 individuals of 70 species(22 species of waders, 9 species of egrets and 5 species of gulls). Waterbird population was the largest in March(95,465 individuals) and was the smallest from April to June(less than 7,000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Pintail(Anas acuta: 58,627 individuals, 34.6%) and other species were Mallards(Anas latyrhynchos: 24.5%), Common Pochards(Aythya ferina: 13.8%), Black-tailed Gulls(Larus crassirostris: 6.1%), Spotbill Ducks(Anas poecilorhyncha: 5.0%) and Greater Scaups(Aythya marila: 2.69%). Sihwa reclaimed area supported many kinds of protected species such as Chinese egrets(Egretta eulophotes), Black-faced Spoonbills(Platalea minor), Eurasian Spoonbills(Platalea leucorodia), Mute Swans(Cygnus olor), Whooper Swans(Cygnus cygnus), and Eurasian Oystercatchers(Haematopus ostralegus). They foraged at waterside of Sihwa lake and rested at reclaimed area. Particularly, Eurasian Oystercatchers bred in habitats with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a. Reclamation of mud flats and construction of roads, transmission towers and tide embankments disturbed waterbirds in breeding and foraging. We suggest that waterbirds are protected in different action plans according to their status such as breeding, passaging and wintering birds. Maintaining of waterside and swamps in Sihwa reclaimed area will be useful for breeding waterbirds. It is needed to make a protect zone for ecological connecting belt from Oeji isarea, Hyeong isarea, Eum isarea to upper channel on Sihwa lake.

      • KCI등재

        제주도에서 잠재덕 먹이원에 따른 저어새 월동지의 보호방안

        이시완(Si-Wan Lee),오흥식(Hong-Shik Oh) 한국조류학회II 2006 한국조류학회지 Vol.13 No.2

        제주도내에서 겨울철에 도래하는 저어새를 성산포양어장, 종달리 해안 빛 하도리 양어장에서 2003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조사하여, 서식환경 및 분포양상을 파악하였다. 분포요인을 밝히기 위해서 저어새 먹이원인 어류를 비롯하여 저서무척추동물의 조사도 월동기간 중인 2004년 1월 3일~7일에 걸쳐 5개 지역(하도리, 시흥리, 종달리 백만불 수산, 종달리 해안, 성산리 갯벌)의 갯벌에서 수행하였다. 저어새는 숭어류 치자어와 망둑어류를 취식하였으며, 이들 종은 종달리 백만불수산 앞 갯벌과 성산리 갯벌에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다. 성산리 갯벌에서 잠재적 먹이원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른 지역보다는 종달리 백만불수산 앞 갯벌과 성산 갯벌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저어새 개체수가 앞으로 많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이 지역에 대한 습지보호지역 지정 및 보전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서 저어새의 월동지를 보호하여야 할 것이다. From October 2003 to June 2004, we checked places such as Seoungsanpo fish-farming enclosure, Chongdalri coastline and Hadori fish-farming enclosure, in order to examine habitats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pattern of Black-faced Spoonbill during the wintering seasons in Jheju Island. To find out distribution condition from January 3, 2004 to January 7 during Black-faced Spoonbill's wintering period, we also researched fish, feeding source of Black-faced Spoonbill, and benthos while checking five tidal flat areas (i.e. HadoRi, SiheungRi, Baegmangul Fisheries in ChongdalRi, ChongdalRi, Seoungsan tidal flats). Black-faced Spoonbill fed young individuals of Mugilidae and Gobiidae. And the number of these kinds were collected relatively more than ones in tidal flats nearby Baegmangul Fisheries and Seoungsan tidal flats. Also, the density of potential preys is higher in Baegmangul Fisheries and Seoungsan tidal flats than another areas. So in stead of other areas, Black-faced Spoonbill will feed in tidal flats nearby Baegmangul Fisheries and Seoungsan tidal flats. Therefore we recommend to protect Black-faced Spoonbill' wintering sites by designating these sites as wetland conservation areas and preparing conserv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대형저서동물과 물새류 서식지인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의 생태적 중요성

        이시완(Si-Wan Lee),김용현(Yong-Hyun Kim),강태한(Tae-Han Kang),송민정(Min-Jung So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2

        서해안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에서 대형저서동물과 물새류의 출현양상 및 생태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대형저서동물은 2008년 6월에, 물새류는 2008년 5월과 6월에 조사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은 총 48종/1.2㎡, 평균서식밀도 758개체/㎡로 출현하였다. 장봉도 남 ? 북측 조간대는 니질성 퇴적상이 발달되어 저서다모류가 우세하였다. 동만도와 서만도 조간대는 사질성 퇴적상이 발달되어 단각류와 이매패류인 말백합이 우세하였다. 동물문별 출현종수는 저서다모류가 19종으로 전체 중 39.6%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갑각류, 연체동물류 순이었다. 서식밀도는 갑각류가 415개체/㎡로 54.7%의 우점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저서다모류, 연체동물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장봉도 습지보호지역 전체에서 물새류는 총18종, 13,337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이었고, 차우점종은 노랑부리백로이었다. 장봉도 습지보호지역 중에 장봉도에서는 14종 1,029개체가 관찰되었고, 동 ? 서만도에서는 12종 12,308개체가 관찰되었다. 동 · 서만도에서 번식조류는 10종이 관찰되었으며, 이 중 괭이갈매기는 12,050개체가 관찰되었고, 12,000둥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랑부리백로는 장봉도 일대 갯벌에서 취식활동을 하였고, 집단 번식지인 서만도에서 31둥지가 관찰되었다. 검은머리물떼새는 동만도에서 4둥지 이상, 서만도에서는 1둥지 이상 확인되었다. 왜가리와 중대백로는 서만도 남측 교목림에서 각각 2둥지와 15둥지가 확인되었으며, 민물가마우지도 남측 교목층에서 12둥지가 확인되었다. 가마우지는 나출된 절벽에서 35둥지가 확인되었으며, 저어새 1쌍이 번식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물새가 번식지로 이용하고 있고, 주변 갯벌에 서식하고 있는 저서동물로부터 먹이원을 얻고 있는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은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은 조력 발전소 조성, 해사 채취 등의 꾸준한 개발압력을 받고 있어 이에 대비한 습지보호지역의 보전 및 관리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o recognize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Jangbongdo Coastal Wetland Protected Area, the appearance patterns of macro-benthic fauna and waterbirds were investigated in June 2008, and from May to June 2008, respectively. The macro-benthic fauna comprised 48 species/1.2㎡ occurring at a mean density of 758 indiv./㎡. Benthic polychaetes were the major faunal taxonomic group of the muddy sedimental face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tidal flat areas in Jangbongdo. On the other hand, sandy sedimental face developed in the tidal flat around Dongmando and Seomando where Amphipoda (Crustacea) and Bivalvia (Mollusca) such as Meretrix petechialis presented as the dominant faunal group. Nineteen species (39.6%) of benthic polychaetes appeared which was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mong taxonomic groups. After benthic the next two faunal groups with the highest species number were Crustacea and Mollusca. Crustaceans were sampled at 415 indiv./㎡ (54.7%), which was the most abundant faunal group. Polychaeta and Mollusca were the next two groups with the highest abundance. A total of 18 species and 13,337 individuals of waterbirds were observed in Jangbong Wetland Protected Area. Approximately, 12,050 birds bred in 12,050 birds bred in Dongmando and Seomando (12,000 nests) with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dentified as a dominant species. Swinhoe's Egret (Egretta eulophotes - 31 nests in Seomando),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4 nests in Dongmando, 1 nest in Seomando), Grey Heron (Ardea cinerea, 2 nests in Seomando), Great Egret (Egretta alba, 15 nests in Seomando), Great Cormorant (Phalacrocorax carbo, 12 nests in Seomando), Temminck's Comorant (Phalacrocorax capillatus, 35 nests in Seomando) also bred on the islands. Jangbongdo tidal flat is an important habitat for rare birds. Specifically, more than 1% of the Swinhoe's Egret (Egretta eulophotes) world population use this tidal flat. Also, important birds like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and the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reside in the tidal flat. Benthic organisms are good prey for these birds. Jangbongdo Coastal Wetland Protected Area also has a development plan that includes such activities as sand mining, and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Thus, this area must be continuously managed and preserved for the protection of rare waterbi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